KR101750363B1 -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363B1
KR101750363B1 KR1020150140990A KR20150140990A KR101750363B1 KR 101750363 B1 KR101750363 B1 KR 101750363B1 KR 1020150140990 A KR1020150140990 A KR 1020150140990A KR 20150140990 A KR20150140990 A KR 20150140990A KR 101750363 B1 KR101750363 B1 KR 10175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marker
marker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494A (ko
Inventor
권오원
김창원
이동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4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3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은 밀폐부, 프로세스 유닛, 도어유닛, 마커부, 센서유닛 및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로세스 유닛은 상기 밀폐부의 공간에서 소정의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상기 도어유닛은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밀폐부의 공간을 외부와 차단한다. 상기 마커부는 상기 도어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유닛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되며, 복수의 마커들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마커부를 광학 센싱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유닛의 센싱 결과로부터 상기 도어유닛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스 유닛의 동작을 즉각 중단시킨다.

Description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DOOR MOVEMENT SENSING SYSTEM FOR PROCESS SHUTDOWN}
본 발명은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챔버나 룸(room)의 내부에서 동작되는 프로세스를 비상정지하기 위한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서 다양한 공정이 수행되는 챔버 또는 룸의 경우, 내부 공정을 통해 많은 유해가스가 발생하거나, 내부의 보안이 요구되거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는 등, 내부를 차단하는 출입문이나 도어의 밀폐가 중요하게 된다. 또는, 내부의 밀폐는 아니더라도, 내부에서 수행되는 공정의 특성상, 출입문이나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공정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하여, 챔버나 룸과 같이 제한된 공간 내에서 프로세스가 수행될 때, 출입문 또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의 예로, 도어나 벽 등에 센서를 마운팅(mounting)하여 도어나 벽 등의 개방 여부를 센싱하거나, 와이어 등을 연결하여 인장이나 압축 등의 기계적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센싱하는 기술들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61036호에서는 기판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또는 기판 반송 장치에서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조사된 광이 차단되는 지의 여부를 바탕으로 도어가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상기 센싱기술들의 경우, 센서의 마운팅 또는 기계적 변위를 이용한 센싱은 설치가 용이하지 않거나 센서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광의 차단 여부를 센싱하는 기술의 경우 센싱의 정밀도나 정확도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보안장비, 고속 산업용 로봇, 의료용 방사능 또는 레이저 장비 등이 작동하는 공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장비의 정밀도도 증가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센싱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1036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이 향상되면서도 정밀하고 정확한 도어의 동작 감지가 가능한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은 밀폐부, 프로세스 유닛, 도어유닛, 마커부, 센서유닛 및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로세스 유닛은 상기 밀폐부의 공간에서 소정의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상기 도어유닛은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밀폐부의 공간을 외부와 차단한다. 상기 마커부는 상기 도어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유닛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되며, 복수의 마커들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마커부를 광학 센싱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유닛의 센싱 결과로부터 상기 도어유닛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스 유닛의 동작을 즉각 중단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부는 상기 도어유닛의 외측에 부착되며,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밀폐부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커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밀폐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로세스 유닛의 동작을 즉각 중단하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센서유닛의 센싱 결과를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유닛은 센싱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마커부의 마커들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유닛에서 센싱된 상기 마커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이 이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부가 판단하는 상기 마커들의 정보는, 상기 센싱영역 내에서의, 상기 마커들의 개수의 변화, 상기 마커들의 움직임, 상기 마커들의 강도 변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도어유닛에 부착된 마커부를 광학 센싱하여 도어유닛이 이동되면 즉각 프로세스를 중단시키므로, 도어유닛의 개방에 따른 안전사고의 문제를 즉각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커부는 도어유닛의 외측에 부착되며 센서유닛도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내부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와 무관하게 상기 마커부 및 상기 센서유닛이 독립적이고 안정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센서유닛에서의 측정 결과를 제어유닛에서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므로, 측정된 결과의 즉각적인 송수신이 가능하여, 상기 프로세스의 즉각적인 중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커부는 상기 도어유닛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내부에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다양한 형태의 챔버 또는 룸(room) 등의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센서유닛은 정의된 센싱영역에서 상기 마커부의 마커들을 센싱하고, 판단부에서는 상기 마커들의 개수나 강도의 변화 또는 상기 마커들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의 이동을 판단하므로, 상기 마커들의 개수나 배열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도어유닛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의 설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마커부 및 센싱영역을 도시한 예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어의 동작에 따라 도 3의 마커부가 센싱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의 설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10)은 밀폐부(100), 프로세스유닛(110), 제어유닛(120), 도어유닛(130), 마커부(140) 및 센서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10)은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스가 수행되며 도어유닛을 통해 밀폐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폐부(100), 프로세스유닛(110) 및 도어유닛(130)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10)은 마커부(140), 센서유닛(200) 및 제어유닛(120)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스가 내부에서 수행되는 밀폐 시스템에 적용되어, 상기 밀폐 시스템의 도어유닛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밀폐부(100), 프로세스 유닛(110) 및 도어유닛(13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100)는 내부에 공간, 즉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이 위치하여, 소정의 프로세스(process)가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보안이 필요하여 밀폐된 공간 내에서 수행되는 보안공정, 공정의 효율을 높이거나 유해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공간에서 수행되는 반도체 생산 공정, 의료용 방사능 또는 레이저 공정 등 밀폐 환경이 필요한 다양한 공정일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에 의해 수행되는 공정은 공정의 효율성 등의 이유로 밀폐 환경에서 공정이 수행되거나, 공정의 수행에 따라 유해물질이 발생되어 밀폐 환경이 필요한 공정일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유닛(130)은 폐쇄되는 경우 상기 밀폐부(100)를 밀폐하며, 개방되는 경우 상기 밀폐부(100) 내부의 공간을 개방한다. 즉,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에 의해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중에는 상기 도어유닛(130)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상기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상기 도어유닛(130)은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유닛(130)도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마커부(140)는 상기 도어유닛(130)의 외측에 부착된다. 즉, 상기 마커부(140)는 상기 밀폐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에, 상기 도어유닛(130) 상에 부착된다.
이 경우, 상기 마커부(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유닛(130)의 외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상기 도어유닛(130)에 부착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동작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커부(140)는 스티커 형태로 상기 도어유닛(13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커부(140)의 보다 구체적인 마커부의 형상 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밀폐부(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마커부(140)를 센싱한다. 상기 센서유닛(200)은 예를 들어, 광학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마커부(140)가 부착된 상기 도어유닛(130)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마커부(140)를 광학 센싱한다.
이 경우, 상기 센서유닛(200)에서 측정된 상기 마커부(140)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유닛(120)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어유닛(120)은 동작제어부(121), 판단부(122) 및 송수신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120)은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여야 하므로,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유닛(120)이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상기 제어유닛(120)은 상기 밀폐부(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120)이 상기 밀폐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상기 센서유닛(200)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유닛(120)은 상기 송수신부(123)를 통해, 상기 센서유닛(200)에서 센싱된 상기 마커부(140)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송수신부(123)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센서유닛(200)에서 센싱된 상기 마커부(14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판단부(122)는 상기 도어유닛(130)이 이동되었는지, 즉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밀폐부(100)가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판단부(122)의 구체적인 판단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리하여, 상기 판단부(122)에서 상기 도어유닛(130)이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동작제어부(121)는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의 동작을 즉각 정지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도어유닛(130)의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에 의한 프로세스의 수행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즉각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마커부 및 센싱영역을 도시한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부(140)는 복수의 마커들(141, 142)을 포함하며, 상기 마커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이나 일정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마커들은 각각 상기 센서유닛(200)에 의한 센싱의 기준이 되는 기준마커(141)와 상기 센서유닛(200)에 의해 상기 마커부(140)의 이동 여부의 센싱 대상이되는 센싱마커(142)로 구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센서유닛(200)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마커부(140)의 모든 마커들을 기준으로 초기상태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기준마커(141)만 센싱하고, 기 입력된 상기 기준마커(141)에 대한 여타의 마커들의 배열 상태 또는 배열 형식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마커부(140)의 모든 마커들의 초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센서유닛(200)에 의해 초기상태의 센싱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마커(14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일렬로 배열된 마커들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네 모서리에 각각 위치한 마커들일 수도 있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도어유닛(130)에 부착된 상기 마커부(140)를 센싱하기 위해 가상의 센싱영역(201)에서 상기 마커부(140)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싱영역(201)은 상기 마커부(140)에 포함된 모든 마커들(141, 142)을 센싱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유닛(130)이 닫힌 상태, 즉,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센싱영역(201) 내에 모든 마커들(141, 142)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유닛(200)이 초기상태의 마커들의 배열이나 형태를 기준마커들(141)만 센싱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싱영역(201) 내에 위치한 기준마커들(141)만 센싱함으로써 초기 상태에서의 상기 마커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어의 동작에 따라 도 3의 마커부가 센싱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유닛(130)이 일 측으로 또는 다른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유닛(130)에 부착된 상기 마커부(140)도 일 측으로 또는 다른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센서유닛(200)에 의해 측정되는 영역인 센싱영역(201)의 내에서 상기 마커들(141, 142)의 일부가 사라지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센서유닛(200)에 의해 측정되는 마커들의 개수는 초기상태에서 측정된 마커들의 개수에 비해 줄어들게 되며, 이러한 정보는 상기 센서유닛(200)으로부터 상기 송수신부(123)를 통해 상기 판단부(122)로 제공된다.
그 결과, 상기 판단부(122)에서는 상기 마커들의 개수의 변화, 즉 개수의 감소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판단하게 되고, 상기 동작제어부(121)를 통해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의 동작을 즉각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마커부(140) 중 상기 센싱영역(201)의 내부에 위치한 센싱마커들(142)에 대하여만 센싱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유닛(13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준마커(141)도 역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센싱영역(201)의 내부에 위치한 센싱마커는 물론이고 기준마커(141)에 대하여도 센싱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상기 제어유닛(12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싱영역(201) 내에 위치한 마커들의 개수의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프로세스유닛(110)을 즉각 중단시킬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유닛(130)이 일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유닛(130)에 부착된 상기 마커부(140)도 일 측으로 이동하되, 이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상기 마커부(140)가 이동 전과 후 모두 상기 센싱영역(2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센싱영역(201)의 내에서 상기 마커들(141, 142)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싱된 상기 마커들(141, 142)의 움직임은 상기 판단부(122)로 제공되며, 상기 판단부(122)에서는 상기 마커들(141, 142)이 움직임을 판단하여, 상기 동작제어부(121)에서 상기 프로세스유닛(110)을 즉각 중단시킨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판단부(122)는 상기 센싱마커(142)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판단하되, 상기 기준마커(141)도 움직이므로 상기 기준마커(141)도 동시에 움직임 판단의 기준으로 고려할 수 있다.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유닛(130)이 일 측으로 또는 다른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유닛(130)에 부착된 상기 마커부(140)도 일 측으로 또는 다른 측으로 이동하되, 하나의 마커 중 일부 면적은 상기 센싱영역(201)의 내부에 위치하되 나머지 면적은 상기 센싱영역(20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마커들의 개수를 연산하는 것은 곤란하며, 도 4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커의 이동을 센싱하기도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4d 및 도 4e와 같은 상태의 경우, 상기 센서유닛(200)에서 측정된 결과로부터, 상기 판단부(122)는 상기 센싱영역(201) 내의 마커들의 강도의 변화를 판단하여,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판단한다.
즉, 도 3에서의 상기 센싱영역(201) 내부에서의 상기 마커들(141, 142) 강도는 도 4d 또는 도 4e에서의 상기 센싱영역(201) 내부에서의 상기 마커들(141, 142)의 강도에 비하여 높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커들의 강도는, 상기 센서유닛(200)에서 상기 마커들을 광학적으로 센싱하며, 상기 마커들에 의해 반사되거나 상기 마커들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강도가 다른 영역에서의 광의 강도보다 높은 것을 바탕으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마커들의 강도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판단하는 경우에도, 상기 센싱마커들(142)의 강도만을 바탕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준마커들(141)도 포함하여 판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커들의 개수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판단하는 방법,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커들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판단하는 방법, 및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커들의 강도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판단하는 방법, 중 2가지 이상의 방법이 서로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도어유닛(130)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고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도어유닛에 부착된 마커부를 광학 센싱하여 도어유닛이 이동되면 즉각 프로세스를 중단시키므로, 도어유닛의 개방에 따른 안전사고의 문제를 즉각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커부는 도어유닛의 외측에 부착되며 센서유닛도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내부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와 무관하게 상기 마커부 및 상기 센서유닛이 독립적이고 안정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센서유닛에서의 측정 결과를 제어유닛에서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므로, 측정된 결과의 즉각적인 송수신이 가능하여, 상기 프로세스의 즉각적인 중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커부는 상기 도어유닛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내부에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다양한 형태의 챔버 또는 룸(room) 등의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센서유닛은 정의된 센싱영역에서 상기 마커부의 마커들을 센싱하고, 판단부에서는 상기 마커들의 개수나 강도의 변화 또는 상기 마커들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의 이동을 판단하므로, 상기 마커들의 개수나 배열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도어유닛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은 내부에서 다양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룸이나 챔버 등에 적용되어 도어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100 : 밀폐부
110 : 프로세스 유닛 120 : 제어유닛
121 : 동작 제어부 122 : 판단부
123 : 송수신부 130 : 도어유닛
140 : 마커부 200 : 센서유닛
201 : 센싱영역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의 공간에서 소정의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프로세스 유닛;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밀폐부의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도어유닛;
    상기 도어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유닛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되며, 복수의 마커들을 포함하는 마커부;
    상기 도어유닛의 마커부를 광학 센싱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의 센싱 결과로부터 상기 도어유닛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스 유닛의 동작을 즉각 중단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센싱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마커부의 마커들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상기 도어유닛의 외측에 부착되며,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밀폐부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커부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밀폐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로세스 유닛의 동작을 즉각 중단하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센서유닛의 센싱 결과를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유닛에서 센싱된 상기 마커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유닛이 이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판단하는 상기 마커들의 정보는,
    상기 센싱영역 내에서의, 상기 마커들의 개수의 변화, 상기 마커들의 움직임, 상기 마커들의 강도 변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KR1020150140990A 2015-10-07 2015-10-07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KR10175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90A KR101750363B1 (ko) 2015-10-07 2015-10-07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90A KR101750363B1 (ko) 2015-10-07 2015-10-07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494A KR20170041494A (ko) 2017-04-17
KR101750363B1 true KR101750363B1 (ko) 2017-06-23

Family

ID=5870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990A KR101750363B1 (ko) 2015-10-07 2015-10-07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3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1959B2 (ja) * 2010-05-18 2014-05-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ドア診断装置及びドア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1959B2 (ja) * 2010-05-18 2014-05-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ドア診断装置及びドア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494A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2736B2 (ja) 機械と可搬式無線操作盤との間の距離に応じて通信品質基準を変化させる機能を備えた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US8902410B2 (en) Optical rang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installed with the same
US8698893B2 (en) Device for monitoring an area of coverage on a work tool
US20230057447A1 (en) Vacuum valve with position sensor
US20040131361A1 (en) HMI device with optical touch screen
CN100515588C (zh) 一种通风橱组件
KR20140138768A (ko) 보수 시스템 및 기판 처리 장치
US20130302044A1 (en) Indica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1750363B1 (ko) 프로세스 비상정지용 도어 동작 감지시스템
WO2001056142A8 (en) Safety interlock for mechanically actuated closure device
KR100885305B1 (ko) 복합 가스 및 방사선 원격 측정이 가능한 이동 로봇 시스템
EP3692423B1 (en) Local user interface for explosion resistant field instruments using capacitive touch sensing
US8178829B2 (en) Wafer prescence detector with end effectors having optical couplers and fibers
US10282950B2 (en) Door and window sensors using ambient infrared
CN110411373A (zh) 设备控制方法和控制器以及检测设备
JP2016094750A (ja) 建築物への航空機衝突検知方法及び装置、並びに建築物の開口部閉塞設備
KR20180136158A (ko) 환경 인지 센서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버튼
CN108007343B (zh) 用于三角测量的测量装置和方法
US20110015861A1 (en) System for collision detection between objects
JP2020142344A (ja) 環境監視システム
JP2004361328A (ja) 移動体の動作診断方法および装置
KR101173686B1 (ko) 카세트 내의 평판 디스플레이용 기판 유무 및 파손 여부 검사 장치
KR101165037B1 (ko) 적외선 감지기의 동작 및 감도를 점검하는 장치
KR100892610B1 (ko) 카세트내의 기판 유무 검사 장치
CN104284989A (zh) 转炉产钢时对可移动的长叉无接触地进行位置测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