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183B1 -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183B1
KR101750183B1 KR1020150189943A KR20150189943A KR101750183B1 KR 101750183 B1 KR101750183 B1 KR 101750183B1 KR 1020150189943 A KR1020150189943 A KR 1020150189943A KR 20150189943 A KR20150189943 A KR 20150189943A KR 101750183 B1 KR101750183 B1 KR 10175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sensor
pulle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국
Original Assignee
최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국 filed Critical 최성국
Priority to KR102015018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코더가 구비되지 않은 BLDC 모터를 이용해 효율적인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위치와 이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는, 상면에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몸체; 동력을 발생시키는 BLDC 모터;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BLDC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1 풀리;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2 풀리;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에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타이밍 벨트; 일단은 상기 타이밍 벨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연결부; 상면에 피검사물인 카메라 모듈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전후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장착부; 하단이 상기 몸체 전방측에 설치되고, 승강 가능한 고정핀;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 상기 고정핀 및 상기 검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INSPECTION DEVICE FOR CAMERA MODULE OF MOBILE TERMINAL USING BLDC MOTOR AND METHOD FOR INSPECTING THEREOF}
본 발명은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코더가 구비되지 않은 BLDC 모터를 이용해 효율적인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위치와 이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검사장치와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휴대전화, 노트북, 테블릿 등의 휴대단말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제작이 완성되면 카메라 모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렌즈 자동 초점 조정, 색온도 조정, 렌즈 왜곡 조정 및 이물질 검출 등의 다양한 검사과정을 거치게 된다. 대량으로 생산되는 카메라 모듈을 검사하는 과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수밖에 없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비는 DC 모터를 이용하여 속도제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DC 모터는 브러쉬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음이 크고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BLDC 모터는 소형이면서 수명이 길고, 고출력을 발생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과 같이 크기가 작으면서 내구성이 요구되는 기계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검사장비는 피검사대상인 카메라 모듈을 자동으로 공급, 회수하는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되는데, 안정적인 공급, 회수 동작을 위해서는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인코더에 의한 위치 제어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양산 라인에 적용하기에는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인코더 없는 BLDC 모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위치와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방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08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91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코더가 구비되지 않은 BLDC 모터를 이용해 효율적인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위치와 이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저속 이동구간과 고속 이동구간이 반복되는 공정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고 정확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코더를 이용하지 않아 모터의 개당 가격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정밀도가 증진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는, 상면에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몸체; 동력을 발생시키는 BLDC 모터;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BLDC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1 풀리;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2 풀리;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에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타이밍 벨트; 일단은 상기 타이밍 벨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연결부; 상면에 피검사물인 카메라 모듈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전후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장착부; 하단이 상기 몸체 전방측에 설치되고, 승강 가능한 고정핀;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 상기 고정핀 및 상기 검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이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의 속도를 저감시키며, 상기 장착부가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정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검사부가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 접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검사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수행된 후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검사부가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수행된 후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이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피감지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후방 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의 전방에 상기 제 2 센서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감지물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신호생성모듈을 구비한 제 1 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피감지물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신호생성모듈을 구비한 제 2 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감지물은, 상기 제 1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부분인 제 1 피감지체와 상기 제 2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부분인 제 2 피감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피감지체와 상기 제 2 피감지체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피감지체가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의 제 1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1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검출부의 신호 검출을 막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 2 피감지체가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의 제 2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2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검출부의 신호 검출을 막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 1 피감지체와 상기 제 2 피감지체 사이의 중공부가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의 제 1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1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검출부가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부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딩된 후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중공부가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의 제 2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2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검출부가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부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딩된 후 상기 몸체의 후방측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전면 스위치; 상기 몸체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후면 스위치;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과 함께 이동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전면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상기 BLDC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후면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상기 BLDC 모터의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제 1 완충 스프링; 및 상기 몸체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제 2 완충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의 단부가 상기 장착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고, 상기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의 단부가 상기 장착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를 적용한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방법은,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단계;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단계; 상기 장착부가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정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정핀이 하강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검사부가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 접하는 단계; 상기 검사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검사부가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단계;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코더가 구비되지 않은 BLDC 모터를 이용해 효율적인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위치와 이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저속 이동구간과 고속 이동구간이 반복되는 공정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고 정확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코더를 이용하지 않아 모터의 개당 가격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정밀도가 증진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검사장치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센서부와 피감지물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검사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검사부가 장착부의 상면을 향하여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는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검사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검사장치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는 받침대(10), 몸체(12), 풀리(14, 16), 타이밍 벨트(18), 연결부(20), 장착부(22), 피감지물(24), 센서부(30, 36), 검사부(42), 고정핀(44), 가이드레일(4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검사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받침대(10)는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의 하부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받침대(10)는 지면에 수평하게 유지된다. 받침대(10)의 상면에는 몸체(12)가 고정 설치된다.
받침대(10)의 저면에는 4개의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바퀴의 회동에 의하여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받침대(10)의 측면에는 전도 방지 연결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도 방지 연결부의 단부에는 전도 방지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전도 방지 연결부는 각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전도 방지부의 하면은 마찰력이 큰 소재로 제작되며, 전도 방지부의 하면이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가 고정된다.
받침대(10)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12)에는 카메라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각종 구성이 설치된다. 몸체(12)의 상면에는 가이드 레일(46)이 설치되며, 장착부(22)는 상기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몸체(12)의 후면에는 브러쉬가 없는 BLDC 모터와 제 1 풀리(14)가 설치된다. BLDC 모터의 회전축은 제 1 풀리(14)에 연결되며, BLDC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은 제 1 풀리(14)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 1 풀리(14)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제 2 풀리(16)는 몸체(12)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제 2 풀리(16)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 2 풀리(16)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타이밍 벨트(18)는 제 1 풀리(14)와 제 2 풀리(16)에 연결된다. 타이밍 벨트(18)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풀리(14, 16)의 돌기와 타이밍 벨트(18)의 홈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제 1 풀리(14)와 제 2 풀리(16)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타이밍 벨트(18)가 돌아간다.
연결부(20)는 일단이 타이밍 벨트(18)에 체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장착부(22)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풀리(14)와 제 2 풀리(16)가 회전함에 따라 타이밍 벨트(18)가 돌아가면, 연결부(20)는 타이밍 벨트(18)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부(20)는 타이밍 벨트(18)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장착부(22)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한다.
장착부(22)는 상면에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피검사물인 카메라 모듈이 고정된다. 장착부(22)는 연결부(20)의 전후방 이동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몸체(12)의 측면에는 장착부(22)의 슬라이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30, 36)가 설치된다. 센서부(30, 36)는 피감지물(24)을 감지하며,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센서부(30, 36)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며, 제어부는 수신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감지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는 제 1 센서(30)와 제 2 센서(36)로 구성된다. 제 1 센서(30)는 제 2 센서(36)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제 2 센서(36)는 몸체(12)의 후면에 설치된다. 센서부(30, 36)의 구성은 도 3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센서부와 피감지물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센서(30)는 제 1 신호생성부(32)와 제 1 검출부(34)로 구성되며, 제 2 센서(36)는 제 2 신호생성부(38)와 제 2 검출부(40)로 구성된다.
제 1 신호생성부(32)의 제 1 신호생성모듈(31)은 피감지물(24)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제 1 검출부(34)는 제 1 신호생성부(32)의 제 1 신호생성모듈(31)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한다. 제 1 신호생성부(32)의 제 1 신호생성모듈(31)과 제 1 검출부(34) 사이에 다른 객체가 없으면 제 1 검출부(34)는 제 1 신호생성모듈(31)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반면에, 제 1 신호생성부(32)의 제 1 신호생성모듈(31)과 제 1 검출부(34) 사이에 피감지물(24)이 위치하게 되면 피감지물(24)이 제 1 신호생성모듈(31)에서 발생된 신호의 진행을 막게 되며, 제 1 검출부(34)는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제 2 신호생성부(38)의 제 2 신호생성모듈(37)은 피감지물(24)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제 2 검출부(40)는 제 2 신호생성부(38)의 제 2 신호생성모듈(37)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한다. 제 2 신호생성부(38)의 제 2 신호생성모듈(37)과 제 2 검출부(40) 사이에 다른 객체가 없으면 제 2 검출부(40)는 제 2 신호생성모듈(37)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신호생성부(38)의 제 2 신호생성모듈(37)과 제 2 검출부(40) 사이에 피감지물(24)이 위치하게 되면 피감지물(24)이 제 2 신호생성모듈(37)에서 발생된 신호의 진행을 막게 되며, 제 2 검출부(40)는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피감지물(24)은 장착부(22)에 연결되며, 장착부(22)의 슬라이딩에 따라 장착부(22)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감지물(24)의 단부는 두 개의 갈래로 분지되는 형태를 이루며, 각각 제 1 피감지체(26)와 제 2 피감지체(28)라 칭한다. 후술할 것과 같이, 제 1 피감지체(26)의 폭은 저속 이동구간에 대응되며, 제 2 피감지체(28)의 폭은 저속 이동구간에 대응된다. 제 1 피감지체(26)와 제 2 피감지체(28) 사이에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부(27)가 형성된다.
제 1 피감지체(26) 부분은 제 1 센서(3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고, 제 2 피감지체(28) 부분은 제 2 센서(36)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즉, 제 1 피감지체(26)가 제 1 신호생성부(32)의 제 1 신호생성모듈(31)과 제 1 검출부(34)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검출부(34)의 신호 검출을 막는 경우, 센서부는 장착부(22)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제 2 피감지체(28)가 제 2 신호생성부(38)의 제 2 신호생성모듈(37)과 제 2 검출부(40) 사이에 위치하여 제 2 검출부(40)의 신호 검출을 막는 경우, 센서부는 장착부(22)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한편, 몸체(12)의 전방측에는 전면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고, 몸체(12)의 후방측에는 후면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장착부(22)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며, 스토퍼는 장착부(22)의 슬라이딩과 함께 이동한다.
장착부(2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스토퍼가 전면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BLDC 모터의 동작이 정지된다. 장착부(2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스토퍼가 후면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BLDC 모터의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몸체(12)의 전방측에는 제 1 완충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고, 몸체(12)의 후방측에는 제 2 완충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장착부(2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제 1 완충 스프링의 단부가 장착부(22)에 접촉되거나 장착부(2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제 2 완충 스프링의 단부가 상기 장착부에 접촉되는 경우, 제 1 완충 스프링, 제 2 완충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검사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6은 검사부가 장착부의 상면을 향하여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BLDC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제 1 풀리(14) 및 제 2 풀리(18)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장착부(2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S10). 장착부(22)는 고속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피감지물(24)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감지물(24)의 제 1 피감지체(26) 부분이 제 1 신호생성부(32)의 제 1 신호생성모듈(31)과 제 1 검출부(34)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센서부는 장착부(22)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며(S11), 센서부는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생성된 제 1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장착부(22)가 슬라이딩되는 속도를 저감시킨다. 제 1 감지신호에 의하여 장착부(22)는 저속 이동구간에 들어가게 되며(S12), 장착부(22)의 속도는 선형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어서,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감지물(24)의 중공부(27) 부분이 제 1 신호생성부(32)의 제 1 신호생성모듈(31)과 제 1 검출부(34)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는 중공부(27)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S13). 이에 따라, 장착부(22)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추가로 이동된 후 몸체(12)의 전방측에 정지한다(S14).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는 고정핀(44)이 하강되도록 제어하여 검사부(42)가 장착부(22)의 상면에 접하게 한다. 검사부(42)는 장착부(22)의 상면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다(S15).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종료된 후, 제어부는 고정핀(44)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검사부(42)가 장착부(22)와 이격되어 장착부(22)의 상부에 위치하게 한다.
이어서, BLDC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제 1 풀리(14) 및 제 2 풀리(18)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장착부(2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S14). 장착부(22)는 고속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피감지물(24)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감지물(24)의 제 2 피감지체(28) 부분이 제 2 신호생성부(38)의 제 2 신호생성모듈(37)과 제 2 검출부(4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센서부는 장착부(22)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며(S17), 센서부는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생성된 제 2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장착부(22)가 슬라이딩되는 속도를 저감시킨다. 제 1 감지신호에 의하여 장착부(22)는 저속 이동구간에 들어가게 되며(S18), 장착부(22)의 속도는 선형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어서,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감지물(24)의 중공부(27) 부분이 제 2 신호생성부(36)의 제 2 신호생성모듈(37)과 제 2 검출부(4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는 중공부(27)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S19). 이에 따라, 장착부(22)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추가로 이동된 후 몸체(12)의 후방측에 정지한다(S20).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상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받침대
12: 몸체
14: 제 1 풀리
16: 제 2 풀리
18: 타이밍 벨트
20: 연결부
22: 장착부
24: 피감지물
26: 제 1 피감지체
27: 중공부
28: 제 2 피감지체
30: 제 1 센서
31: 제 1 신호생성모듈
32: 제 1 신호생성부
34: 제 1 검출부
36: 제 2 센서
37: 제 2 신호생성모듈
38: 제 2 신호생성부
40: 제 2 검출부
42: 검사부
44: 고정핀
46: 가이드 레일
100: 검사장치

Claims (7)

  1. 상면에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몸체;
    동력을 발생시키는 BLDC 모터;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BLDC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1 풀리;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2 풀리;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에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타이밍 벨트;
    일단은 상기 타이밍 벨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연결부;
    상면에 피검사물인 카메라 모듈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전후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장착부;
    하단이 상기 몸체 전방측에 설치되고, 승강 가능한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피감지물;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 상기 고정핀 및 상기 검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후방 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의 전방에 상기 제 2 센서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감지물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신호생성모듈을 구비한 제 1 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피감지물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신호생성모듈을 구비한 제 2 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감지물은,
    상기 제 1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부분인 제 1 피감지체와 상기 제 2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부분인 제 2 피감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피감지체와 상기 제 2 피감지체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피감지체가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의 제 1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1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검출부의 신호 검출을 막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 2 피감지체가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의 제 2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2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검출부의 신호 검출을 막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되,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이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의 속도를 저감시키며,
    상기 장착부가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정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검사부가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 접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검사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수행된 후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검사부가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수행된 후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이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 1 피감지체와 상기 제 2 피감지체 사이의 중공부가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의 제 1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1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검출부가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부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딩된 후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중공부가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의 제 2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2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검출부가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부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딩된 후 상기 몸체의 후방측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전면 스위치;
    상기 몸체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후면 스위치;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과 함께 이동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전면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상기 BLDC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후면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상기 BLDC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제 1 완충 스프링; 및
    상기 몸체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제 2 완충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의 단부가 상기 장착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고,
    상기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의 단부가 상기 장착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7.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를 적용한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상면에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몸체; 동력을 발생시키는 BLDC 모터;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BLDC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BLDC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1 풀리;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2 풀리;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에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타이밍 벨트; 일단은 상기 타이밍 벨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연결부; 상면에 피검사물인 카메라 모듈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전후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장착부; 하단이 상기 몸체 전방측에 설치되고, 승강 가능한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의 슬라이딩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피감지물;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 상기 고정핀 및 상기 검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후방 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의 전방에 상기 제 2 센서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감지물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신호생성모듈을 구비한 제 1 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피감지물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신호생성모듈을 구비한 제 2 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감지물은, 상기 제 1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부분인 제 1 피감지체와 상기 제 2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부분인 제 2 피감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피감지체와 상기 제 2 피감지체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피감지체가 상기 제 1 신호생성부의 제 1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1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검출부의 신호 검출을 막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 2 피감지체가 상기 제 2 신호생성부의 제 2 신호생성모듈과 상기 제 2 검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검출부의 신호 검출을 막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되,
    상기 검사방법은,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장착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단계;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전방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단계;
    상기 장착부가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 정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정핀이 하강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검사부가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 접하는 단계;
    상기 검사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고정핀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검사부가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가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장착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단계;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가 소정의 후방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방법.
KR1020150189943A 2015-12-30 2015-12-30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10175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43A KR101750183B1 (ko) 2015-12-30 2015-12-30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43A KR101750183B1 (ko) 2015-12-30 2015-12-30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183B1 true KR101750183B1 (ko) 2017-06-22

Family

ID=5928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943A KR101750183B1 (ko) 2015-12-30 2015-12-30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1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701A (ja) * 2010-01-19 2011-08-04 Shonai Create Kogyo:Kk ラインセンサーカメラを用いたx線検査装置
KR101257390B1 (ko) * 2011-03-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서브랜스용 이송장치
KR101308741B1 (ko) * 2013-06-04 2013-09-17 김광일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701A (ja) * 2010-01-19 2011-08-04 Shonai Create Kogyo:Kk ラインセンサーカメラを用いたx線検査装置
KR101257390B1 (ko) * 2011-03-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서브랜스용 이송장치
KR101308741B1 (ko) * 2013-06-04 2013-09-17 김광일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529B1 (ko) 터치스크린 라미네이팅 장치
CN101424519B (zh) 平整度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2486824B (zh) 一种条码扫描装置及其血液细胞分析仪
CN204359286U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手机屏蔽罩平整度连续检测装置
CN110434474B (zh) 打标装置、打标设备及打标方法
CN101165476A (zh) 集成电路检测装置
CN106027730A (zh) 一种手机壳自动化智能检测系统
CN217465706U (zh) 一种激光轴类在线检测仪
KR101750183B1 (ko) Bldc 모터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CN109211788A (zh) 一种显示屏多工位自动光学检测装置
JP2012185118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106404251B (zh) 扭力检测装置
CN109828239B (zh) 一种用于矿产勘探的具有防护功能的矿井地质雷达仪
CN210070842U (zh) 一种推力调心滚子轴承内圈滚道测量装置
CN104741973B (zh) 一种光栅尺
CN103454090A (zh) 发动机试验支架装置
CN202630909U (zh) 光敏线阵旋转扫描激光探测器
CN201885690U (zh) 镭射跳动外径检测仪
CN206573084U (zh) 一种用于跳动检测的传感机构
CN201965097U (zh) 用于自动灯检机中的异物检测装置
CN203811154U (zh) 轴的自动跳动检测机
CN216410071U (zh) 一种视觉3d检测设备
CN108955533A (zh) 组装机用的高度检查装置及组装机
CN207264397U (zh) 一种自动读取二维码设备
CN202748322U (zh) X-ray设备全方位扫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