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095B1 - 트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095B1
KR101750095B1 KR1020150174168A KR20150174168A KR101750095B1 KR 101750095 B1 KR101750095 B1 KR 101750095B1 KR 1020150174168 A KR1020150174168 A KR 1020150174168A KR 20150174168 A KR20150174168 A KR 20150174168A KR 101750095 B1 KR101750095 B1 KR 10175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receiving
accommodating
tray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464A (ko
Inventor
육영준
김혜광
Original Assignee
(주) 루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루리텍 filed Critical (주) 루리텍
Priority to KR102015017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0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부품이 수용되는 트레이 장치에 관한 기술, 자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개의 부품이 결합된 완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트레이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부품이 결합된 완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단위 셀 트레이는 제 1 소자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셀, 제 2 소자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셀 및 제 3 소자를 수용하되, 제 1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을 갖으며 제 2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을 갖는 제 3 수용셀; 를 포함하는 단위 셀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레이 장치{Tray apparatus}
부품이 수용되는 트레이 장치에 관한 기술, 자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개의 부품이 결합된 완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트레이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트레이는 부품 또는 부품이 결합된 완성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구비한다. 종래의 트레이는 오직 부품만을 수용하는 트레이와 오직 완성품만을 수용하는 트레이로 구분되어 있었다. 부품 결합을 위해 부품만을 수용하는 트레이에서 모든 부품이 제거된 경우, 부품만을 수용하는 트레이를 다음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부품을 조립하여 완성품을 제조하기 전에는 완성품 만을 수용하는 트레이 역시 완성품을 수용하는 것 이외에는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이에 따라,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부품이 결합된 완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품이 놓이는 공간의 공차는 작게하여, 트레이에 놓인 부품을 정교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완성품이 놓이는 공간의 공차는 크게 하여, 완성품이 놓일 공간에 용이하게 완성품이 수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부품이 결합된 완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부품이 놓이는 공간의 공차는 작게하여, 트레이에 놓인 부품을 정교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완성품이 놓이는 공간의 공차는 크게 하여, 완성품이 놓일 공간에 용이하게 완성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단위 셀 트레이는 제 1 소자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셀, 제 2 소자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셀 및 제 3 소자를 수용하되, 제 1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을 갖으며 제 2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을 갖는 제 3 수용셀; 를 포함하는 단위 셀 수용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제 1 수용셀은 제 1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2 수용셀은 제 2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3 수용셀은 제 3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제 1 수용셀은 제 1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 및 제 1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1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 2 수용셀은 제 2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 및 제 2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2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 3 수용셀은 제 3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 및 제 3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2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제 1 수용셀은 4개의 제 1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2 수용셀은 4개의 제 2 지지축을 포함하며, 제 3 수용셀은 4개의 제 3 지지축을 포함하되, 4개의 제 1 지지축 중 어느 2개의 제 1 지지축은 제 3 지지축이고, 4개의 제 2 지지축 중 어느 2개의 제 2 지지축은 제 3 지지축이고, 4개의 제 1 지지축 중 어느 1개의 제 1 지지축은 제 2 지지축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단위 셀 트레이는 단위 셀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는 트레이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단위 셀 트레이가 횡방향으로 반복되어, 제 1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는 제 1 수용셀 어레이, 제 2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제 1 수용셀들 간의 피치와 동일 피치로 배열되되 제 1 수용셀과 종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제 2 수용셀 어레이 및 제 3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되 제 3 수용셀의 전방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전방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 1 수용셀과 공유되는 영역이 되고, 제 3 수용셀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후방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 2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이 되도록 배열되는 제 3 수용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수용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제 1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1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을 공유하고, 제 2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2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을 공유하고, 제 3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3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3 지지축을 공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횡방향 트레이는 종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은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부품이 결합된 완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은 부품이 놓이는 공간의 공차는 작게하여, 트레이에 놓인 부품을 정교하게 파지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은 완성품이 놓이는 공간의 공차는 크게 하여, 완성품이 놓일 공간에 용이하게 완성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가 수용된 트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소자가 수용된 트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셀 트레이(100)는 제 1 수용셀(110), 제 2 수용셀(130)(130) 및 제 3 수용셀(120)을 포함하는 단위 셀 수용부를 포함한다. 단위 셀 수용부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수용셀(110), 제 2 수용셀(130) 및 제 3 수용셀(120)을 각각 하나씩만 포함한다. 단위 셀 트레이는 도 1 에 도시된 단위 셀 트레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수용셀(110), 제 2 수용셀(130) 및 제 3 수용셀(120)을 각각 하나씩 포함하는 단위 셀 수용부를 포함하는 한 그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단위 셀 트레이의 바닥면을 배면, 배면의 반대면이며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면을 상면이라고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횡방향을 좌 및 우로 정의하였고, 도 1을 기준으로 종방향을 전 및 후로 정의하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110)은 제 1 소자를 수용한다. 제 1 소자는 예를 들어 렌즈 홀더이다. 렌즈 홀더는 렌즈 및 렌즈를 내부에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소자는 상면에서 배면으로 제 1 수용셀(110)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수용셀(130)은 제 2 소자를 수용한다. 제 2 소자는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다.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 기판은 렌즈 홀더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은 상면에서 배면으로 제 2 수용셀(130)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수용셀(120)은 제 3 소자를 수용하되, 제 1 수용셀(110)과 공유하는 영역을 갖으며 제 2 수용셀(130)과 공유하는 영역을 갖는다. 제 3 소자는 제 1 소자와 제 2소자가 결합된 소자이다. 제 3 소자는 렌즈 모듈로, 렌즈 모듈은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의 배면에서 결합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제 1 소자와 제 2 소자 각각이 제 1 수용셀(110) 및 제 2 수용셀(130)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제 3 소자가 제 3 수용셀(120)에 수용될 수 없다. 제 3 수용셀(120)과 제 1 수용셀(110)은 서로 공유하는 영역(111)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 3 소자는 제 1 수용셀(110)에 제 1 소자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 3 수용셀(120)에 수용될 수 있다.
제 3 수용셀(120)과 제 2 수용셀(130)은 서로 공유하는 영역(131)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 3 소자는 제 2 수용셀(130)에 제 2 소자가 수용되어 잇지 않은 경우에 제 3 수용셀(120)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제 3 수용셀(120)은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가 제 1 수용셀(110) 및 제 2 수용셀(130)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활용되는 공간이다. 단위 셀 트레이는 부품 즉,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가 수용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부품이 결합된 완성품 즉, 제 3 소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110) 또는 제 2 수용셀(130)의 수용 공간은 제 3 수용셀(120)에 비해 작다. 즉, 제 3 수용셀(120)의 수용 공간은 제 1 수용셀(110) 또는 제 2 수용셀(130)의 수용 공간에 비해 크다. 예를 들어, 제 3 수용셀에서 제 3 소자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은 가로 25cm 세로 27cm 이고, 제 2 수용셀에서 제 2 소자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은 가로 21.3cm 세로 19.3cm 이고, 제 3 수용셀에서 제 3소자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은 가로 24.1 cm 세로 26.1 cm 이다. 전술한 예에서, 제 3 수용셀에서 제 3 소자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제일 크다. 이에 따라, 제 3 수용셀의 공차는 다른 수용셀의 공차에 비해 클 수 있다. 공차는 소자가 수용셀에 수용되었을 때, 소자와 수용셀간의 빈공간을 의미한다.
소자가 수용셀에 상면에서 배면으로 삽입 수용되었을 때, 공차가 크면 클 수록, 소자가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영역도 커진다. 소자가 수용셀에 상면에서 배면으로 삽입 수용되었을 때 공차가 작을수록, 소자가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영역도 작아 진다.
제 1 수용셀(110) 및 제 2 수용셀(130)에 각각 놓인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를 파지 후 서로 결합 시켜 제 3 소자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를 정교하게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제 1 수용셀(110)의 공차가 작아야 제 1 소자를 파지하는 그립부는 제 1 소자의 같은 부위를 파지할 수 있다. 제 2 수용셀(130)의 경우에도 공차가 작아야 제 2 소자를 파지하는 그립부는 제 2 소자의 같은 부위를 파지할 수 있다. 그립부가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의 같은 부위를 파지할 확률이 높아질수록,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는 정교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단위 셀 트레이는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와 같은 부품이 놓이는 공간의 공차는 작기에 단위 셀 트레이에 놓인 부품을 정교하게 파지할 수 있다.
생성된 제 3 소자는 제 3 수용셀(120)에 용이하게 수용될 필요가 있다. 제 3 수용셀(120)의 공차가 큰 경우, 제 3 소자를 파지하는 그립부가 파지를 해제하여 제 3 소자를 제 3 수용셀(120)에 수용시킬 확률도 커진다. 즉, 단위 셀 트레이에서 제 3 소자와 같은 완성품이 놓이는 공간의 공차는 크기에, 완성품이 놓일 공간에 용이하게 완성품이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 제 2 수용셀 및 제 3 수용셀 중 적어도 하나는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수용셀은 바닥부를 포함하여, 바닥부는 소자가 수용셀에 상면에서 배면으로 삽입 수용되었을 때 제 1 소자의 배면을 지지한다. 또한, 제 2 수용셀은 바닥부를 포함하여, 바닥부는 제 2 소자가 수용셀에 상면에서 배면으로 삽입 수용되었을 때 소자의 배면을 지지한다. 또한, 제 3 수용셀은 바닥부를 포함하여, 바닥부는 제 3 소자가 수용셀에 상면에서 배면으로 삽입 수용되었을 때 소자의 배면을 지지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110)은 제 1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211, 212, 213, 214)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수용셀(110)은 제 1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4개의 제 1 지지축(211, 212, 213, 214)을 포함한다.
제 1 수용셀, 제 2 수용셀 및 제 3 수용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셀이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실시예와 달리 지지축이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축을 포함하는 수용셀은 바닥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수용셀, 제 2 수용셀 및 제 3 수용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셀은 바닥부 및 지지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수용셀(130)은 제 2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214, 216, 217, 218)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수용셀(130)은 제 2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4개의 제 2 지지축(214, 216, 217, 21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수용셀(120)은 제 3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지지축(213, 214, 215, 217)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3 수용셀(120)은 제 3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4개의 제 3 지지축(213, 214, 215, 217)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110)은 제 1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 및 제 1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1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221, 222, 223, 22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수용셀(110)은 4개의 제 1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1 지지축 상면에는 상방으로 형성된 상방 돌출부가 존재한다. 제 1 소자가 제 1 수용셀(110)에 수용될 때, 제 1 소자의 배면은 4개의 제 1 지지축 상면과 접촉한다. 제 1 소자의 측면은 상방 돌출부의 측면과 접촉한다.
제 1 수용셀(110)의 제 1 지지축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지지축 측면에 형성된 측방 돌출부(232, 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지지축은 2개의 측방 돌출부(232, 242)를 포함한다. 제 1 소자의 우측 배면은 2개의 측방 돌출부가 끼워 질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소자의 우측 배면만이 2개의 측방 돌출부에 끼워질 수 있기 때문에 제 1 소자가 제 1 수용셀(11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때 좌우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지지축은 2개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지지축은 1개 또는 3개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용셀(110)에서 우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만이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4개의 제 1 지지축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수용셀(130)은 제 2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 및 제 2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2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224, 226, 227, 228)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수용셀(130)은 4개의 제 2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2 지지축 상면에는 상방으로 형성된 상방 돌출부가 존재한다. 제 2 소자가 제 2 수용셀(130)에 수용될 때, 제 2 소자의 배면은 4개의 제 2 지지축 상면과 접촉한다. 제 2 소자의 측면은 상방 돌출부의 측면과 접촉한다.
제 2 수용셀(130)의 제 2 지지축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지지축 측면에 형성된 측방 돌출부(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지지축은 1개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 2 소자의 우측 배면은 1개의 측방 돌출부가 끼워 질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소자의 우측 배면만이 1개의 측방 돌출부에 끼워질 수 있기 때문에 제 2 소자가 제 2 수용셀(13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때 좌우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지지축은 1개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지지축은 2개 이상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용셀(130)에서 우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만이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4개의 제 2 지지축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수용셀(120)은 제 3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지지축(213, 214, 215, 217) 및 제 3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3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223, 224, 225, 227)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3 수용셀(120)은 4개의 제 3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3 지지축 상면에는 상방으로 형성된 상방 돌출부가 존재한다. 제 3 소자가 제 3 수용셀(120)에 수용될 때, 제 3 소자의 배면은 4개의 제 3 지지축 상면과 접촉한다. 제 3 소자의 측면은 상방 돌출부의 측면과 접촉한다.
제 3 수용셀(120)의 제 3 지지축 중 적어도 하나는 제 3 지지축 측면에 형성된 측방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4개의 제 3 지지축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측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110)은 4개의 제 1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2 수용셀(130)은 4개의 제 2 지지축을 포함하며, 제 3 수용셀(120)은 4개의 제 3 지지축을 포함하되, 4개의 제 1 지지축 중 어느 2개의 제 1 지지축은 제 3 지지축이다.
제 1 수용셀(110)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은 제 3 수용셀(12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이기도 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수용셀(110)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3 수용셀(12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은 동일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수용셀(110)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3 수용셀(12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은 분리되어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제 1 수용셀(11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측은 제 3 수용셀(120)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이기도 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수용셀(11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측은 제 3 수용셀(120)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과 동일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수용셀(11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측은 제 3 수용셀(120)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은 분리되어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110)은 4개의 제 1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2 수용셀(130)은 4개의 제 2 지지축을 포함하며, 제 3 수용셀(120)은 4개의 제 3 지지축을 포함하되, 4개의 제 2 지지축 중 어느 2개의 제 2 지지축은 제 3 지지축이다.
제 2 수용셀(13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은 제 3 수용셀(120)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이기도 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2 수용셀(13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과 제 3 수용셀(120)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은 동일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수용셀(11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3 수용셀(120)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은 분리되어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제 2 수용셀(130)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은 제 3 수용셀(12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이기도 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2 수용셀(130)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과 제 3 수용셀(12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은 동일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수용셀(110)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3 수용셀(12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은 분리되어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110)은 4개의 제 1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2 수용셀(130)은 4개의 제 2 지지축을 포함하며, 제 3 수용셀(120)은 4개의 제 3 지지축을 포함하되, 4개의 제 1 지지축 중 어느 1개의 제 1 지지축은 제 2 지지축이다.
제 1 수용셀(11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은 제 2 수용셀(130)의 상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이기도 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수용셀(11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2 수용셀(13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은 동일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수용셀(110)의 후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과 제 2 수용셀(13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은 분리되어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위 셀 트레이는 단위 셀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는 트레이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장 가장 자리에 존재하는 지지축은 트레이 프레임부와 일체로 존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수용셀(110)의 전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 제 1 수용셀(110)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측 및 제 3 수용셀(120)의 좌측에 존재한느 제 3 지지축은 트레이 프레임부와 일체로 존재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횡방향 트레이는 단위 셀 트레이가 횡방향으로 반복되어, 제 1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는 제 1 수용셀 어레이, 제 2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제 1 수용셀들 간의 피치와 동일 피치로 배열되되 제 1 수용셀과 종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제 2 수용셀 어레이 및 제 3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되 제 3 수용셀의 전방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전방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 1 수용셀과 공유되는 영역이 되고, 제 3 수용셀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후방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 2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이 되도록 배열되는 제 3 수용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수용부 어레이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셀 트레이는 횡방향으로 일정피치로 반복되어 횡방향 트레이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용셀 어레이는 제 1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제 1 수용셀은 일정 피치, 즉 일정 간격으로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수용셀 어레이는 제 2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제 1 수용셀들 간의 피치와 동일 피치로 배열되되 제 1 수용셀과 종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제 2 수용셀들은 제 1 수용셀들간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서 모든 제 2 수용셀들은 제 1 수용셀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수용셀 어레이는 제 3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되 제 3 수용셀의 전방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전방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 1 수용셀과 공유되는 영역이 되고, 제 3 수용셀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후방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 2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이 되도록 배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장 좌측에 존재하는 제 3 수용셀을 제외한 모든 제 3 수용셀은 2개의 제 1 수용셀 및 2개의 제 2 수용셀과 공유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단위 셀 수용부(301)가 포함하는 제 3 수용셀의 전방 좌측 영역은 단위 셀 수용부(300)의 제 1 수용셀의 후방 우측 영역과 중첩된다. 단위 셀 수용부(301)가 포함하는 제 3 수용셀의 후방 좌측 영역은 단위 셀 수용부(300)의 제 2 수용셀의 전방 우측 영역과 중첩된다.
단위 셀 수용부(301)가 포함하는 제 3 수용셀의 전방 우측 영역은 단위 셀 수용부(301)의 제 1 수용셀의 후방 좌측 영역과 중첩된다. 단위 셀 수용부(301)가 포함하는 제 3 수용셀의 후방 우측 영역은 단위 셀 수용부(301)의 제 2 수용셀의 전방 좌측 영역과 중첩된다.
단위셀 수용부(301)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3 수용셀이 자신이 포함된 단위셀 수용부의 제 1 수용셀, 제 2 수용셀, 이웃하는 단위셀 수용부의 제 1 수용셀 및 제 2 수용셀과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은 단위셀 (301) 수용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횡방향 트레이의 제 1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1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을 공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셀 트레이(300)이 포함하는 제 1 수용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은 단위 셀 트레이(301)이 포함하는 제 1 수용셀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1 지지축이기도 하다. 제 1 지지축을 공유하는 제 1 수용셀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제 1 수용셀은 제 1 지지축을 공유하지 않고, 별개의 제 1 지지축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횡방향 트레이의 제 2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2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을 공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셀 트레이(300)가 포함하는 제 2 수용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은 단위셀 트레이(301)가 포함하는 제 2 수용셀(301)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2 지지축이기도 하다. 제 2 지지축을 공유하는 제 2 수용셀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제 2 수용셀은 제 2 지지축을 공유하지 않고, 별개의 제 2 지지축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횡방향 트레이의 제 3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3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3 지지축을 공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셀 트레이(300)가 포함하는 제 3 수용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은 단위셀 트레이(301)가 포함하는 제 3 수용셀(301)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 3 지지축이기도 하다. 제 3 지지축을 공유하는 제 3 수용셀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3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제 3 수용셀은 제 3 지지축을 공유하지 않고, 별개의 제 3 지지축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에에 있어서, 트레이 장치는 횡방향 트레이가 종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된다. 횡방향 트레이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제 1 수용셀 어레이와 제 2 수용셀 어레이는 교번하여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최후방에 존재하는 제 2 수용셀 어레이를 제외한 모든 제 2 수용셀 어레이는 상방 및 후방에 제 1 수용셀 어레이가 존재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가 수용된 트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 1 소자 및 제 2 소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소자가 수용된 트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 3 소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 져야 할 것이다.
10: 트레이 장치
100: 단위 셀 트레이
110: 제 1 수용셀
120: 제 3 수용셀
130: 제 2 수용셀
111: 제 3 수용셀과 제 1 수용셀이 공유하는 영역
131: 제 3 수용셀과 제 2 수용셀이 공유하는 영역
211: 제 1 지지축
212: 제 1 지지축
213: 제 1 지지축, 제 3 지지축
214: 제 1 지지축, 제 2 지지축, 제 3 지지축
215: 제 3 지지축
216: 제 2 지지축
217: 제 2 지지축, 제 3 지지축
218: 제 2 지지축
221: 상방 돌출부
222: 상방 돌출부
223: 상방 돌출부
224: 상방 돌출부
225: 상방 돌출부
226: 상방 돌출부
227: 상방 돌출부
228: 상방 돌출부
232: 측방 돌출부
236: 측방 돌출부
242: 측방 돌출부
300 내지 309: 단위 셀 트레이
410: 제 1 소자
420: 제 2 소자
510: 제 3 소자

Claims (10)

  1. 제 1 소자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셀;
    제 2 소자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셀; 및
    제 3 소자를 수용하되, 제 1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을 갖으며 제 2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을 갖는 제 3 수용셀; 를 포함하는 단위 셀 수용부를
    포함하는 단위 셀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수용셀의 수용 공간은
    제 1 수용셀의 수용 공간 또는 제 2 수용셀의 수용 공간보다 큰
    단위 셀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용셀, 제 2 수용셀 및 제 3 수용셀 중 적어도 하나는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단위셀 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용셀은
    제 1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2 수용셀은 제 2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3 수용셀은 제 3 소자의 배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지지축을 포함하는
    단위셀 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용셀은
    제 1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 및
    제 1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1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 2 수용셀은
    제 2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 및
    제 2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2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 3 수용셀은
    제 3 소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 및
    제 3 지지축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 2 소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단위셀 트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용셀은
    4개의 제 1 지지축을 포함하고
    제 2 수용셀은
    4개의 제 2 지지축을 포함하며,
    제 3 수용셀은
    4개의 제 3 지지축을 포함하되,
    4개의 제 1 지지축 중 어느 2개의 제 1 지지축은 제 3 지지축이고,
    4개의 제 2 지지축 중 어느 2개의 제 2 지지축은 제 3 지지축이고,
    4개의 제 1 지지축 중 어느 1개의 제 1 지지축은 제 2 지지축인
    단위셀 트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 셀 트레이는
    단위 셀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는 트레이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단위 셀 트레이
  8. 제 6 항의 단위 셀 트레이가
    횡방향으로 반복되어,
    제 1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는 제 1 수용셀 어레이;
    제 2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제 1 수용셀들 간의 피치와 동일 피치로 배열되되 제 1 수용셀과 종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제 2 수용셀 어레이; 및
    제 3 수용셀이 횡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되 제 3 수용셀의 전방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전방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 1 수용셀과 공유되는 영역이 되고, 제 3 수용셀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후방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제 2 수용셀과 공유하는 영역이 되도록 배열되는 제 3 수용셀 어레이; 를 포함하는 수용부 어레이를 포함하는
    횡방향 트레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1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축을 공유하고,
    제 2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2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축을 공유하고,
    제 3 수용셀 어레이가 포함하는 인접한 2개의 제 3 수용셀은 적어도 하나의 제 3 지지축을 공유하는
    횡방향 트레이.
  10. 제 8 항의 횡방향 트레이는
    종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는
    트레이 장치.
KR1020150174168A 2015-12-08 2015-12-08 트레이 장치 KR10175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68A KR101750095B1 (ko) 2015-12-08 2015-12-08 트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68A KR101750095B1 (ko) 2015-12-08 2015-12-08 트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64A KR20170067464A (ko) 2017-06-16
KR101750095B1 true KR101750095B1 (ko) 2017-07-03

Family

ID=5927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168A KR101750095B1 (ko) 2015-12-08 2015-12-08 트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003B1 (ko) * 2019-08-09 2021-09-06 삼성기전주식회사 렌즈 조립 장치
US20210069761A1 (en) * 2019-09-10 2021-03-11 Triple Win Technology(Shenzhen) Co.Ltd. Support bracket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6694A1 (en) 2000-12-01 2002-06-06 Soh Swee Chuan Tray for storing semiconductor chips
JP3840116B2 (ja) 2002-01-24 2006-11-01 京セラ株式会社 多数個取り配線基板
JP4446260B2 (ja) 1999-05-21 2010-04-07 株式会社大川金型設計事務所 半導体素子収納用トレ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6260B2 (ja) 1999-05-21 2010-04-07 株式会社大川金型設計事務所 半導体素子収納用トレイ
US20020066694A1 (en) 2000-12-01 2002-06-06 Soh Swee Chuan Tray for storing semiconductor chips
JP3840116B2 (ja) 2002-01-24 2006-11-01 京セラ株式会社 多数個取り配線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64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1356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ransferring high frequency signal
US8993147B2 (en) Battery pack
US9553297B2 (en) Battery pack
KR102163683B1 (ko) 배터리 셀 형성 장치와 그 프로브 지지 구조물
KR101750095B1 (ko) 트레이 장치
CN103038872B (zh) 用于电子器件的可剥离混合托盘系统
US953114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formed by the same
US10601179B2 (en) Connector
EP3067962B1 (en) Battery pack
JP2008097942A (ja) 組電池
US20190148689A1 (en) Battery pack including fixing part
KR20180002065U (ko) 카메라 렌즈 모듈 제작용 트레이 조립체
KR20140143723A (ko) 카드 커넥터 및 카드 커넥터 조립체
US10439180B2 (en) Battery module
CN110476269B (zh) 用于容纳多个二次电池单元的盖组件和包括其的电池模块
TWM553052U (zh) 晶圓運載盒及用於晶圓運載盒的下保持件
KR102082497B1 (ko) 전지팩의 퓨즈 조립 구조
US20110244274A1 (en) Battery packs
KR102356344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JP5353961B2 (ja) 電池用温調機構
TWI731299B (zh) 組合式試劑盤及試劑槽套組
KR20210108127A (ko) 이차 전지 팩
JP5535874B2 (ja) 部品装填用スティックの配置構造
JP2013089560A (ja) パック電池
US9680267B2 (en) Downsized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that is tolerant of tw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