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812B1 - 자전거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자전거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812B1
KR101749812B1 KR1020150133569A KR20150133569A KR101749812B1 KR 101749812 B1 KR101749812 B1 KR 101749812B1 KR 1020150133569 A KR1020150133569 A KR 1020150133569A KR 20150133569 A KR20150133569 A KR 20150133569A KR 101749812 B1 KR101749812 B1 KR 101749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icycle
groove
bearing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037A (ko
Inventor
홍미은
Original Assignee
홍복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5031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4981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홍복용 filed Critical 홍복용
Priority to KR102015013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8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개념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안전에 매우 유익한 구조를 갖춘 안전레버가 구비된 웨이브 클램핑장치(10)는 시트튜브와 연계되는 시트프레임(20) 상부면에 연결 부착되어 캠 레버와 안전레버의 연동으로 죠우를 상하 왕복시켜 탑프레임(30) 상부면에 형성되어진 웨이브형상에 고착되도록 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시트프레임(20)을 위치시킬 수 있게 하며, 이때 상기 시트프레임(20)과 연결 부착되어 자전거의 속도에 있어 분명한 특징을 갖는 증속장치(40)를 겸비한 일측 및 타측 다운프레임(50) 역시 상기 시트프레임에 부착 되도록 한 구조이다. 그리고 자전거 조향 핸들바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포크프레임(60)이 있고 상기 포크프레임(60)을 상기 탑프레임(30)과 용접 없이 연결되는 구조로 하여 자전거 후륜이 부착되는 상기 다운프레임(50)이 상기 탑프레임(30) 상을 왕복 슬라이드 하며 임의의 위치로 신축과 확장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신개념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 프레임 구조{STRUCTURE OF BIKE FRAME}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에 대하여 시트와 후륜의 각 거리를 임의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신개념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프레임은 대략 다이아몬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에 핸들바가 연결되고 하부에 전륜을 고정한 포크가 연결되는 헤드튜브와, 상부에 시트(안장)가 연결되고 하부에 페달 크랭크 축이 연결되는 시트튜브와, 상기 헤드튜브와 상기 시트튜브의 상부를 연결하는 탑튜브와, 상기 헤드튜브와 상기 시트튜브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운튜브와, 상기 시트튜브의 상부와 후륜 축을 연결하는 시트스테이튜브와, 상기 페달 크랭크 축과 후륜 축을 연결하는 체인스테이 튜브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 프레임은 이들 각각의 튜브 부재들이 상호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불량시 연결 부분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또한 내구성이 취약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자전거의 보관이나 운송시의 편리성을 위해 프레임의 길이 또는 용적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이식이나 절첩식 자전거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있지만, 탑승자의 연령이나 신장 등을 고려하여 전륜과 페달 크랭크축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자전거는 부재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자전거 프레임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용접을 배제한 상태에서 헤드튜브와 탑튜브를 일체로 형성하고, 시트스테이튜브, 체인스테이튜브 및 다운튜브를 일체로 형성하며, 또한 탑튜브(탑프레임) 상에서 다운튜브(다운프레임)가 임의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륜과 페달 크랭크 축 간 거리 및 조향 핸들의 높낮이를 임의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신개념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부면에 웨이브 형상부가 형성된 탑프레임과; 상기 탑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탑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 상에 연결되고, 안전레버가 구비된 캠레버의 하부에는 상기 웨이브 형상부와 고착 가능한 죠우가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 클램핑장치와;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쪽 측부에서 각각 하향 연장되는 일측 다운프레임 및 타측 다운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후륜이 구비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과 연동하는 다운 프레임과;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 및 타측 다운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페달 회전시 후륜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증속장치와; 상기 탑프레임의 전방에 대하여 무용접으로 연결되고, 상부에는 조향 핸들바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에는 전륜이 구비되는 포크프레임;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레버 및 캠레버 작동에 의해 상기 죠우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웨이브 형상부에 고착되고,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시트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다운프레임이 상기 탑프레임 상을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여 신축과 확장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튜브와 탑튜브를 일체로 형성하고, 시트스테이튜브, 체인스테이튜브 및 다운튜브를 일체로 형성하며, 또한 탑튜브(탑프레임) 상에서 다운튜브(다운프레임)가 임의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튜브(프레임) 고정을 위한 용접을 배제할 수 있어서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남녀노소 및 신장이나 신체적 조건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최적의 자전거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정성과 피로감을 최소화하면서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안전레버가 구비된 웨이브 클램핑장치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시트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탑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증속장치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일측 및 타측 다운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포크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여 제품의 신규성과 기술의 진보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는, 클램핑장치(10), 시트프렝임(20), 탑프레임(30), 증속장치(40), 다운프레임(50) 및 포크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부면의 전후방에 각각 웨이브 형상부가 형성된 탑프레임(30)과, 상기 탑프레임(3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탑프레임(3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 시트프레임(20)과, 상기 시트프레임(20) 상에 연결되고, 안전레버(10-2)가 구비된 캠레버(10-1)의 하부에는 상기 웨이브 형상부와 고착 가능한 죠우(10-8)가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 클램핑장치(10)와, 상기 시트프레임(20)의 양쪽 측부에서 각각 하향 연장되는 일측 다운프레임(50-1) 및 타측 다운프레임(50-2)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각각 후륜 및 페달축이 구비되며 상기 시트프레임(20)의 슬라이드 이동과 연동하는 다운 프레임(50)과,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 및 타측 다운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페달 회전시 후륜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증속장치(40)와, 상기 탑프레임(30)의 전방에 대하여 무용접으로 연결되고, 상부에는 조향 핸들바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에는 전륜이 구비되는 포크프레임(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레버(10-2) 및 캠레버(10-1) 작동에 의해 상기 죠우(10-8)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웨이브 형상부(30-3)에 고착되고,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시트프레임(2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다운프레임(50)이 상기 탑프레임(30) 상을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여 전륜과 후륜 간 거리가 신축 및 확장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요소(프레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안전레버가 구비된 웨이브 클램핑장치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안전레버가 구비된 웨이브 클램핌장치(10)는, 하단이 상기 시트프레임(20)에 고정되고, 하단 내부에 형성된 상기 죠우(10-8)가 추상스프링(10-9)에 의해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클램핑하우징(10-5)을 더 포함한다.
하부가 캠 형상인 상기 캠레버(10-1) 하부가 상기 클램핑하우징(10-5)의 내부에 캠레버힌지(10-6)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캠레버(10-1) 이면에 형성된 홈에 상기 안전레버(10-2)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전레버힌지(10-3)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다.
상기 클램프하우징(10-5) 일단에는 상기 죠우(10-8)가 상기 탑프레임(30)에 고착시 상기 안전레버(10-2)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형상부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캠레버(10-1)의 회동을 억제하는 안전핀(10-7)이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클램프하우징(10-5) 내부로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캠레버(10-1) 이면에 형성된 홈을 통해 안전레버(10-2)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전레버힌지(10-3)로 연계하여 상기 안전레버(10-2)를 회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캠레버(10-1)와 상기 안전레버(10-2) 중단에 복귀스프링(10-4)을 연계하여 상기 안전레버를 복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캠레버(10-1)와 안전레버(10-2) 일체는 클램프하우징(10-5)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캠레버(10-1) 하단에 형성된 홀과 상기 클램핑하우징(10-5)에 형성된 홀과 연계하여 캠레버힌지(10-6)로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클램프하우징(10-5) 일단에는 안전핀(10-7)이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하우징(10-5) 하단 내부로는 밑면에 물결 웨이브 형상을 갖는 클램핑 죠우(10-8)가 삽입되고 상기 클램핑 죠우(10-8)는 추상스프링(10-9)에 의해서 상기 클램핑 하우징(10-5) 내부를 왕복하게 한다.
이어 고정볼트(10-10)로 이후 설명될 시트 프레임(20) 상부면에 고정된다.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하단면이 캠구조 형상인 상기 캠레버(10-1)를 회동시켜 상면에 캠홈 형상을 갖는 상기 클램핑 죠우(10-8)를 누르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전레버(10-2)는 상기 안전핀(10-7)에 고리형상이 걸려있게 되고 상기 클램핑 죠우(10-8)의 하단면에 형성된 웨이브 형상은 이후 설명될 탑프레임(30) 상면에 형성된 웨이브 형상에 맞물리게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구조는 자전거 주행중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하여 상기 클램핑 죠우(10-8)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상기 안전레버(10-2)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자전거 라이더는 상기 캠레버(10-1)와 안전레버(10-2)를 동시에 잡고 회동 시켜야만 캠 곡선의 특성의 스트로크만큼 상기 클램핑 죠우(10-8)를 상기 복귀스프링의 힘으로 상승시켜 상호 맞물린 웨이브형상에서 이격 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시트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통상 시트프레임은 자전거 안장이 부착된 원형의 포스트 튜브를 왕복시켜 안장의 높낮이를 라이더의 신체크기에 맞추어 조절하도록 하는 용도이고, 이를 통상 퀵 릴리이스 클램프로 고정시킨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20)의 특징은, 안장이 부착된 원형의 포스트 튜브를 상하 왕복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형튜브 형상의 가이드 바(20-1)를 구성시키고, 라이더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바(20-1)의 후면에서 가이드 바를 지지하는 보강 브라켓(20-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이후 설명될 다운프레임(50)과 연계 조립 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용 나사산(20-3)이 형성되고, 상기 설명된 크램핑 죠우(10-8)가 상하 왕복시 흔들림이 없도록 하기 위해 크램핑 죠우 가이드 홈(20-4)이 형성되며, 상기 설명된 추상스프링(10-9)을 안착시킬 수 있는 추상스프링 자리홈(20-5)이 형성됨으로써 무용접으로 일체형의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시트프레임(20)의 상부면에 안전레버(10-2)가 구비된 웨이브 클램핌장치(10)가 고정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탑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통상 자전거에서 헤드튜브란 자전거에 있어서 앞바퀴의 충격을 고스란이 받는 부분으로 내구성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탑 프레임(30)은 통상 자전거의 부품 명칭에서 헤드튜브와 탑튜브 용접구조 결합과 달리 용접 없이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강성도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탑 프레임(30) 상단부에 이후 설명될 포크 프레임(60)이 삽입 되어지는 포크 연결구(30-1)가 형성되고, 통상의 탑튜브 상부면에 자전거의 조작성이 외부로 도출되는 것과 다르게 자전거의 변속기선과 브레이크선을 상기 탑 프레임(30) 배면부로 설치하기 위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조작선 삽입홀(30-2)이 구비되고 또한 선단부와 중후부에 물결 웨이브형상부(30-3)가 길게 형성되어져 있고 도면상 표기가 생략되었으나 상기 탑 프레임(30) 좌.우 측면부로 이후 설명될 다운 프레임(50)에 부착되는 주행베어링이 왕복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 가이드 홈(30-4)이 양 측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행베어링의 하한 위치를 구속하는 베어링 스톱퍼(30-5)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프레임의 배면상으로는탑 프레임의 안전과 강성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격자형태의 보강대(30-6)가 형성되고 이어서 배면부로 변속기선과 브레이크선이 지나가는바 이를 고정시키는 조작선 고정대(30-7)가 부착되는 구조 형상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증속장치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증속장치(40)는,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먼저, 이후 설명 되어지는 일측 및 타측 다운 프레임(50) 양측 공간 사이에 구동축(40-1)과 구동체인 스프로켓(40-2)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40-1)과 구동체인 스프로켓(40-2)은 일측 및 타측 다운 프레임(50) 내측에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에 구동축 베어링(40-3)이 삽입되고 상기 구동축(40-1)의 양 선단은 상기 구동축 베어링(40-3)의 내륜을 지나 일측 및 타측 다운 프레임(50) 양측 외면으로 돌출되고 이어서 돌출된 양측 구동축(40-1)의 선단에 각각 통상의 페달크랭크 및 페달을 연계하여 고정시켜 라이더에 페달을 회전시키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피동축(40-4)과 피동체인 스프로켓(40-5) 역시 피동축 베어링(40-6) 의 지지를 받고 상기 피동축(40-4)의 일단이 일측의 다운 프레임(50) 외면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피동축(40-4) 선단에 내측 고정판(40-7)과 외측 고정판(40-8)에 의해 2차 피동체인 스프로켓(40-9)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통상의 자전거 후륜 허브에 부착된 다단 체인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계하여 자전거의 후륜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체인 스프로켓(40-2)과 피동체인 스프로켓(40-5)은 연결체인(40-8)으로 연계되어 있고 도면상 정확히 도시되지 않으나 체인텐셔너(40-10)가 상기 연결체인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구조의 설명은 라이더가 페달 크랭크를 1회전 시키는 경우 상기 구동축(40-1) 역시 1회전 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40-1)에 부착된 상기 구동체인 스프로켓(40-2)의 잇수를 10개로 하고 상기 피동체인 스프로켓(40-5) 잇수를 5개로 하여 상기 연결체인(40-8)으로 연계하면 피동축은 2회전을 하게된다. 상기 피동축(40-4)에 연계된 2차 피동체인 스프로켓(40-9) 역시 2회전 하여 자전거 후륜을 회전시키는 관계로 통상 자전거에서 페달크랭크 1회전시 후륜도 1회전 하는 경우에 비하여 2배속의 주행속도를 유도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일측 및 타측 다운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통상 자전거에서는 시트스테이 튜브와 체인스테이 튜브와 다운 튜브를 각각 용접하여 자전거의 프레임을 구성시키는데 비하여,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 및 타측 다운프레임(50)은, 시트 스테이튜브와 체인 스테이 튜브와 다운튜브를 일체형으로 무 용접 성형하는 방법으로 디자인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운프레임(50)은, 일측 다운프레임(50-1)과 타측 다운프레임(50-2)으로 구분되고 다수개의 연결 보강대(50-2)로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50-1)과 타측 다운프레임(50-2)을 조임볼트(50-3)로 연결되게 한다.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50-1)과 타측 다운프레임(50-2) 내측면에는 자전거의 후륜 부레이크 부착 홈(50-4)과 체인텐셔너 부착 홈(50-5)과 상기 구동축 및 피동축 베어링하우징 홈(50-6)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자전거의 후륜브레이크 고정대(50-7)와 체인텐셔너가 상기 연결 보강대(50-2)와 같이 상기 조임볼트(50-3)로 고정되고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50-1)과 타측 다운프레임(50-2) 내측 면 좌.우로 주행베어링(50-8)과 베어링축(50-9)이 연계하여 부착되고 고정볼트로 고정시킨다.
전체적으로 신개념 자전거 프레임을 조립할 때, 상기 주행 베어링(50-8)은 이전 설명된 탑 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베어링 가이드 홈(30-4)을 따라 왕복할 수 있고, 또한 이전 설명된 구동축(40-1)과 구동체인 스프로켓(40-2) 및 피동축(40-4)과 피동체인 스프로켓(40-5)이 내장되며, 또한 상단부에는 이전 설명된 시트 프레임(20)을 정교하게 조립하기 위한 시트프레임 안착홈(50-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시트 프레임(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50-1) 외측면으로 체인가이드(50-11)가 형성되고 연계하여 안전 체인커버(50-12)가 부착되는 형태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 구조의 요부로서 포크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포크 프레임(6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용으로,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이전 설명 되어진 탑 프레임(30)의 포크연결구(30-1)를 관통한 조향 포스트 하우징 튜브(60-1)의 하단부가 회전 베어링(60-2)을 통과하여 포크(60-6)의 연결구로 삽입된다. 상기 조향 포스트 하우징 튜브(60-1)의 특징으로는 상부에 탄성홈이 절개되고 튜브 내로는 자전거에 있어서 조향 포스트(60-3)를 인입 후 왕복 가능하도록 하고 통상 자전거의 퀵 릴리이스 클램프로 상기 탄성홈 조여서 조향 포스트(60-3)를 클램프 하거나 클램핑 해제시키는 구조이다. 이 경우 라이더의 신체크기에 맞추어 자전거 조향 핸들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구조이며, 통상의 자전거에서는 조향 포스트 튜브의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60-1)는 하단에 탄성 홈이 절개되고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하단부 내면으로 일정 구간 나사산이 형성되어진 구조이다.
상기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60-1) 하단부는 자전거 전조등 부착 홀(60-4)과 자전거 전륜 브레이크 부착 홀(60-5)을 구비한 포크(60-6)의 상단부 원형 홀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된다.
내면이 길이방향의 테이퍼가 형성되고 외부면은 나사산을 형성하고 또한 탄성홈이 절개된 형상의 조임볼트(60-8)는 상기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60-1) 하단부 내면으로 일정 구간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조여서 고정된다. 즉 상기 조임볼트(60-8)의 외부면 나사산과 상기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60-1) 하단부 내면의 나사산이 상호 맞물려서 고정될 수 있다.
외주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고 내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테이퍼 너트(60-7)를 상기 조임볼트(60-8)의 내주면이 길이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곳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테이퍼 너트(60-7)를 조이면, 테이퍼 너트(60-7) 외면의 테이퍼 형상과 조임볼트(60-8) 내면의 길이방향의 테이퍼에 의해 조임볼트(60-8)에 형성된 탄성 홈이 벌어지게 되고, 또한 벌어지는 탄성 홈의 힘으로 상기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60-1)는 하단에 형성된 탄성 홈 또한 벌어지게 된다.
이때 탄성 홈이 벌어진 힘은 상기 포크 상단부 원형 홀 내부를 밀어붙여 상기 조향 포스트 하우징 튜브(60-1)와 포크(60-6)를 용접 없이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클램핑장치
20: 시트프레임
30: 탑프레임
40: 증속장치
50: 다운프레임
60: 포크프레임

Claims (8)

  1. 자전거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부면에 웨이브 형상부가 형성된 탑프레임과; 상기 탑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탑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 상에 연결되고, 안전레버가 구비된 캠레버의 하부에는 상기 웨이브 형상부와 고착 가능한 죠우가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 클램핑장치와;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쪽 측부에서 각각 하향 연장되는 일측 다운프레임 및 타측 다운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후륜이 구비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과 연동하는 다운 프레임과;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 및 타측 다운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페달 회전시 후륜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증속장치와; 상기 탑프레임의 전방에 대하여 무용접으로 연결되고, 상부에는 조향 핸들바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에는 전륜이 구비되는 포크프레임;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레버 및 캠레버 작동에 의해 상기 죠우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웨이브 형상부에 고착되고,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시트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다운프레임이 상기 탑프레임 상을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여 신축과 확장이 가능하게 되되,
    상기 클램핑 장치는, 하단이 상기 시트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 내부에 형성된 상기 죠우가 추상스프링에 의해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클램핑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하부가 캠 형상인 상기 캠레버 하부가 상기 클램핑하우징의 내부에 캠레버힌지로 축설되고, 상기 캠레버 이면에 형성된 홈에 상기 안전레버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전레버힌지로 상호 축설되고, 상기 캠레버와 상기 안전레버 중단에 복귀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안전레버를 복귀 가능하게 되고, 상기 클램핑하우징 일단에는 상기 죠우가 상기 탑프레임에 고착시 상기 안전레버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형상부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캠레버의 회동을 억제하는 안전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안장이 부착된 원형의 포스트 튜브를 상하 왕복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형튜브 형상의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지지하는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일측에 상기 다운프레임을 조립하는 연결용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죠우가 상하 왕복시 흔들림이 없도록 하기 위한 크램핑 죠우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추상스프링을 안착시킬 수 있는 추상스프링 자리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프레임은, 상단부에 상기 포크 프레임이 삽입되는 포크 연결구가 형성되고, 자전거의 변속기선과 브레이크선이 탑 프레임의 배면부에 설치되게 하는 조작선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웨이브형상부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선단부와 중후부에 형성되고, 좌.우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상기 다운 프레임에 부착되는 주행베어링이 왕복 가능한 베어링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행베어링의 하한 위치를 구속하는 베어링 스톱퍼가 부착되고, 배면상으로는 다수개의 격자형태의 보강대 및 상기 변속기선과 브레이크선을 고정시키는 조작선 고정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장치는, 상기 일측 및 타측 다운 프레임 양측 공간 사이에 구동축 및 구동체인 스프로켓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 및 구동체인 스프로켓은 일측 및 타측 다운 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에 구동축 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구동축의 양 선단은 상기 구동축 베어링의 내륜을 지나 일측 및 타측 다운 프레임의 양측 외면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돌출된 양측 구동축 선단에 각각 페달크랭크 및 페달이 고정되고, 피동축과 피동체인 스프로켓이 피동축 베어링의 지지를 받고 상기 피동축의 일단이 일측의 다운 프레임 외면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피동축 선단에 내측 고정판과 외측 고정판에 의해 2차 피동체인 스프로켓이 고정되며, 상기 구동체인 스프로켓과 피동체인 스프로켓은 연결체인으로 상호 연결되며, 체인텐셔너가 상기 연결체인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프레임은, 다수개의 연결 보강대로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과 타측 다운프레임이 상호 고정되고,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과 타측 다운프레임 내측면에는 각각 자전거의 후륜 부레이크 부착 홈과, 체인텐셔너 부착 홈과, 상기 구동축 및 피동축 베어링하우징 홈이 각각 형성되고, 후륜브레이크 고정대, 상기 체인텐셔너가 각각 상기 연결 보강대와 함께 조임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과 타측 다운프레임 내측 면 좌.우로 주행베어링과 베어링축을 연결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주행 베어링은 상기 탑 프레임의 양 측면에 형성된 베어링 가이드 홈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과 구동체인 스프로켓 및 피동축과 피동체인 스프로켓이 내장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시트 프레임을 조립하는 시트프레임 안착홈 형성되며, 상기 일측 다운프레임 외측면으로 체인가이드가 형성되는 동시에 안전 체인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프레임은, 상기 탑 프레임의 포크연결구를 관통한 조향 포스트 하우징 튜브의 하단부가 회전 베어링을 통과하여 포크의 연결구로 삽입되고, 상기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의 하단에 탄성 홈이 절개되고 하단부 내면으로 일정 구간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면이 길이방향의 테이퍼가 형성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탄성홈이 절개된 형상의 조임볼트가 상기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 하단부 내면으로 삽입되어 조임볼트 외부면의 나사산과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 하단부 내면의 나사산이 맞물려 고정되고, 외주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내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테이퍼 너트가 상기 조임볼트의 내면이 길이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곳에 삽입되어, 상기 테이퍼 너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조임볼트에 형성된 탄성 홈이 벌어지게 되고, 벌어지는 탄성 홈의 힘으로 상기 조향포스트 하우징 튜브는 하단에 형성된 탄성 홈을 벌어지게 하며 탄성 홈이 벌어진 힘은 상기 포크 상단부 원형 홀 내부를 밀어붙여 상기 조향 포스트 하우징 튜브와 포크를 용접 없이 연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포스트 하우징 튜브의 상부에 탄성홈이 절개되고, 상기 조향 포스트 하우징 튜브 내부로 조향 포스트를 인입하여 왕복 가능하도록 하며, 클램프 수단으로 상기 탄성홈을 조임으로써 상기 조향 포스트를 클램핑 하거나 클램핑 해제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프레임 구조.
KR1020150133569A 2015-09-22 2015-09-22 자전거 프레임 구조 KR10174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569A KR101749812B1 (ko) 2015-09-22 2015-09-22 자전거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569A KR101749812B1 (ko) 2015-09-22 2015-09-22 자전거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037A KR20170035037A (ko) 2017-03-30
KR101749812B1 true KR101749812B1 (ko) 2017-07-03

Family

ID=5850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569A KR101749812B1 (ko) 2015-09-22 2015-09-22 자전거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3479B (zh) * 2021-05-11 2022-05-01 寶兆工業有限公司 用於自行車的滑座機構
KR102512213B1 (ko) * 2021-09-06 2023-03-22 이덕신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806B1 (ko) 2009-12-07 2010-05-26 제너럴로터(주) 도심형 휴대자전거
KR101286225B1 (ko) 2011-06-09 2013-07-23 윤근수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806B1 (ko) 2009-12-07 2010-05-26 제너럴로터(주) 도심형 휴대자전거
KR101286225B1 (ko) 2011-06-09 2013-07-23 윤근수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037A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341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8042823B2 (en) Suspension bicycle seat post
US20080048412A1 (en) Pedal-Powered Vehicle
US20190176924A1 (en) Saddle Type Vehicle
KR101749812B1 (ko) 자전거 프레임 구조
US9809268B2 (en) Step structure of motorcycle
EP3144165A1 (en) Suspension lock mechanism of vehicle
JP2017065400A (ja) 前輪懸架装置の位置決め構造
US10220903B2 (en) Adjustable footrest for a vehicle
US20060181050A1 (en) Occupant Propelled Transportation Vehicle
US20070151395A1 (en) Hot start lever mount
US20100253036A1 (en) Wheeled Vehicle that is Operated by Stepping Upward and Downward
JP2015128987A (ja) 自転車用車載装置を支持する支持構造体
JP3109752U (ja) 伸縮式自転車のアルミ製ダブルチューブ構造体
JP6944915B2 (ja) 鞍乗り型車両の転舵構造
CN108688757A (zh) 快速释放机构及使用其的自行车
US7686388B2 (en) Wire/pipe support device of motorcycle
KR101028989B1 (ko) 자전거용 핸들
US11312448B1 (en) Bicycle with force-increasing actuation system
JP7296518B2 (ja) 鞍乗り型車両
JP2018069840A (ja) 自転車のフレーム構造
EP1873047B1 (en) Footboard structure for vehicle
KR100642154B1 (ko) 다인승 자전거 및 인력거 연결장치
JP6008894B2 (ja) 鞍乗り型車両
JP5913416B2 (ja) 鞍乗り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45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1106

Effective date: 201902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2592;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314

Effective date: 2019071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19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1014

Effective date: 20200626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37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510

Effective date: 202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