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29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29B1
KR101749529B1 KR1020100118124A KR20100118124A KR101749529B1 KR 101749529 B1 KR101749529 B1 KR 101749529B1 KR 1020100118124 A KR1020100118124 A KR 1020100118124A KR 20100118124 A KR20100118124 A KR 20100118124A KR 101749529 B1 KR101749529 B1 KR 10174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nput
image
display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542A (ko
Inventor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29B1/ko
Priority to US13/190,217 priority patent/US20120137216A1/en
Priority to EP11009286A priority patent/EP2458488A3/en
Priority to CN2011103783739A priority patent/CN102480567A/zh
Publication of KR2012005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리킹 입력이나 드래그 입력과 같이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여러 가지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리킹 입력이나 드래그 입력과 같이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입출력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입출력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플리킹 입력이나 드래그 입력과 같이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문서의 편집화면의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프레임이 표시된 상태에서 편집 도구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화면을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표시 모드를 다른 표시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화면을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표시 모드에서 이퀄라이저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제1 그룹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2 그룹에서 가장 최근에 표시되었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제1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제1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른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2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중 가장 최근에 표시되었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문서의 편집화면의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으로 변경시켜 표시하고, 상기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프레임이 표시된 상태에서 편집 도구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화면을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표시 모드를 다른 표시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화면을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표시 모드에서 이퀄라이저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2 그룹에서 가장 최근에 표시되었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제1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른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2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중에서 가장 최근에 표시되었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리킹 입력이나 드래그 입력 등과 같이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일반적인 키 입력이나 터치 입력 등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 뷰어 메뉴의 선택이나 기타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제어부(180)는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00).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상하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이나 드래그하는 입력과 같이, 상하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된 이미지에 다른 화면 효과를 적용시켜 표시한다(S210).
이때, 플리킹(flicking)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가볍게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긋는 동작과 같은 입력 상태를 말한다. 터치 입력과 플리킹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된 후부터 터치된 면에서 손가락 등이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시간 등에 따라 식별할 수 있다.
상하 방향성을 갖는 입력 중,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아래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 이미지에 적용된 화면 효과를 다른 효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위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 이미지에 적용된 화면 효과를 이전 화면 효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이미지에 적용되는 화면 효과의 예로는, 세피아, 네거티브, 흑백, 썬라이즈, 아쿠아 등과 같은 특정 필터가 적용시켜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나, 이미지의 경계 영역에 왕관 사진이나 공주 사진 등과 같은 여러가지 펀 요소나 장식 효과를 갖는 프레임을 표시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노이즈(Noise), 렌더(Render), 브러쉬 스트록(Brush Strokes), 비디오, 선명 효과(Sharpen), 스케치 효과(Sketch), 스타일화(Stylize), 예술효과(Artistic), 왜곡(Distort), 텍스처(Texture), 픽셀화(Pixelate), 흐림 효과(Blur) 등과 같은 화면 효과를 이미지에 적용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면 효과의 설정을 위해 별도의 메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좌우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과 같이, 좌우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S215),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된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를 가장 최근에 적용된 화면 효과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20).
예컨대, 제1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화면을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입력에 따라 제1 이미지에 세피아 화면 효과를 부여한 후, 화면을 왼쪽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입력에 따라 제2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화면을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입력에 따라 제2 이미지에 세피아 화면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다시 화면을 오른쪽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입력이 있으면, 세피아 효과가 부여되어 있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기타 방향성을 갖는 입력외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S225),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230).
이와 같은 과정은 동작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235).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화면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전자문서 편집화면에서 프레임이나 편집 도구를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표시한다(S300).
이때, 전자문서는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거나 송수신되거나 저장된 문서형식의 자료를 의미한다. 예컨대, 문자나 이메일 작성 화면이나 메모 작성 화면 등이 전자문서에 포함된다.
전자문서 편집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 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과 같이, 상하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S305), 제어부(180)는 현재 전자문서 편집화면의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S310). 이와 같이 변경된 프레임은 작성된 문자나 이메일의 장식 효과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통해 아래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 전자문서 편집화면에 적용된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통해 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 전자문서 편집화면에 적용된 프레임을 이전에 적용되었던 프렘임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문서 편집화면을 좌우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과 같이, 좌우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S315), 제어부(180)는 현재 프레임이 표시된 상태에서 편집도구를 다른 편집도구로 변경한다(S320). 편집도구의 변경에 따라 대응하는 설명이나 아이콘 등도 함께 변경되어 표시할 수 있다.
기타 방향성을 갖는 입력외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S325),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330).
이와 같은 과정은 동작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335).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전자문선 편집화면에서 프레임의 변경이나 편집 도구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전자문서의 프레임을 변경하고, 상하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글씨체 등이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아래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글씨체가 순차적으로 변경되고, 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글씨체가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에서 표시 모드를 변경하거나 이퀄라이저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제어부(180)는 음악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등의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400).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 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과 같이, 상하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S405),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 모드를 다른 표시 모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S410).
예컨대,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일반 재생 모드에서 가사 보기 모드, 파일 정보 보기 모드 등의 순으로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일반 재생 모드에서 한글 자막 보기 모드, 전체 화면 보기 모드 순으로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을 통해 아래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 표시 모드에서 다른 표시 모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통해 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 적용된 표시 모드를 이전 표시 모드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드의 변경시,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의 경계 영역을 표시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을 좌우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과 같이, 좌우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S415),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 모드에서 이퀄라이저 모드를 변경한다(S420). 예컨대, ROCK 모드에서 POP, JAZZ, CLASSIC, VOCAL 등의 순으로 이퀄라이저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퀄라이저 모드의 변경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의 배경 화면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화면의 경계 영역의 색상과 배경 화면의 색상만으로 현재 설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방향성을 갖는 입력외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S425),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430).
이와 같은 과정은 동작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430).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에서 표시 모드나 이퀄라이저 모드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표시 화면, 전자문서 편집화면,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서 방행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태스킹으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그룹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이전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미디어 재생 그룹, 파일 뷰어 그룹, 웹 서핑 그룹, 게임 그룹 등과 같이 현재 그룹과 다른 그룹에 속하는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좌우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가장 최근에 표시되었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웹페이지 화면의 경우에도, 아래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동일한 웹사이트에 제공하는 다른 웹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동일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전 웹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이 있는 경우 다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가장 최근에 표시되었던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에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500)에서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503)이 있는 경우,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에 제1 화면 효과가 적용된 화면(5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 효과가 적용된 화면(510)에서 다시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513)이 있는 경우,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에 제2 화면 효과 적용된 화면(5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면 효과가 적용된 화면(510)에서 왼쪽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515)이 있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미지 화면(5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미지 화면(530)에서 다시 왼쪽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535)이 있는 경우,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이미지 화면(540)을 표시할 수 있다.
만일.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미지 화면(530)에서 우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537)이 있는 경우, 제1 이미지에 제1 화면 효과가 적용된 화면(5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의해 이미지에 다른 화면 효과를 적용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의해 가장 최근에 적용된 화면 효과를 갖는 다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의 프레임이 표시된 화면(560, 565, 570) 중 어느 하나를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선택하여, 이미지나 전자문서 편집화면 등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화면에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멀티미디어 재생화면(500)에서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603)이 있는 경우,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사가 표시되는 표시 모드로 전환된 (6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사가 표시되는 표시 모드로 전환된 화면(610)에서 다시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613)이 있는 경우,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모드로 전환된 화면(6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멀티미디어 재생화면(600)에서 왼쪽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605)이 있는 경우,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 모드가 POP에서 Jazz로 전환된 화면(6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퀄라이저 모드가 Jazz로 전환된 화면(630)에서 다시 왼쪽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635)이 있는 경우,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퀄라지어 모드가 Rock으로 전환된 화면(64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의해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서 표시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의해 가장 최근에 전환된 표시 모드에서 이퀄라이저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으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황에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태스킹으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1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00)에서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703)이 있는 경우,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군에 속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10)에서 다시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713)이 있는 경우,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군에 속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00)에서 왼쪽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705)이 있는 경우,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그룹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그룹의 예로는, 멀티미디어 재생 그룹, 문서 뷰어 그룹, 웹서핑 그룹, 게임 그룹 등이 있다. 만일, 다른 그룹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30)에서 다시 왼쪽 방향으로 플리킹하거나 드래그하는 입력(735)이 있는 경우,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그룹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4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의해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의해 서로 다른 그룹에서 가장 최근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리킹 입력이나 드래그 입력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여러 가지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성과 반대 방향인 제3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 효과는 특정 필터 적용 효과 또는 특정 형태의 프레임 적용 효과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성은 상 또는 하 방향성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및 제3 방향성은 각각 좌 또는 우 방향성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4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된 이미지에 이전 화면 효과를 적용시킨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효과의 설정을 위해 별도의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디스플레이부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성과 반대 방향인 제3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 효과는, 노이즈, 렌터, 브러쉬 스트록, 비디오, 선명 효과, 스케치 효과, 스타일화, 예술 효과, 왜곡, 텍스쳐, 픽셀화, 흐림 효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1 방향성을 갖는 입력에 따라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성과 반대 방향인 제3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다른 화면 효과가 적용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 효과는, 특정 필터 적용 효과, 특정 형태의 프레임 적용 효과, 노이즈, 렌터, 브러쉬 스트록, 비디오, 선명 효과, 스케치 효과, 스타일화, 예술 효과, 왜곡, 텍스쳐, 픽셀화, 흐림 효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4 방향성을 갖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된 이미지에 이전 화면 효과를 적용시킨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00118124A 2010-11-25 2010-11-2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49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24A KR101749529B1 (ko) 2010-11-25 2010-11-2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3/190,217 US20120137216A1 (en) 2010-11-25 2011-07-25 Mobile terminal
EP11009286A EP2458488A3 (en) 2010-11-25 2011-11-23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2011103783739A CN102480567A (zh) 2010-11-25 2011-11-24 移动终端及其操作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24A KR101749529B1 (ko) 2010-11-25 2010-11-2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542A KR20120056542A (ko) 2012-06-04
KR101749529B1 true KR101749529B1 (ko) 2017-06-21

Family

ID=4509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24A KR101749529B1 (ko) 2010-11-25 2010-11-2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37216A1 (ko)
EP (1) EP2458488A3 (ko)
KR (1) KR101749529B1 (ko)
CN (1) CN1024805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10161S1 (en) 2008-01-09 2010-02-16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USD671558S1 (en) 2011-10-04 2012-11-2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8572515B2 (en) * 2011-11-30 2013-10-29 Google Inc. Turning on and off full screen mode on a touchscreen
USD703231S1 (en) 2012-03-06 2014-04-2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5808S1 (en) 2012-03-27 2014-05-2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3695S1 (en) 2012-06-10 2014-04-2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11408S1 (en) * 2012-06-10 2014-08-1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4159S1 (en) 2012-06-11 2016-04-1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3777852B (zh) * 2012-10-18 2018-10-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获取图像的方法、装置
JP2014134913A (ja) * 2013-01-09 2014-07-24 Sharp Corp 情報表示装置
JP5862967B2 (ja) * 2013-01-16 2016-02-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510613A (en) * 2013-02-08 2014-08-13 Nokia Corp User interface for image processing
USD735227S1 (en) * 2013-04-01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4774S1 (en) 2013-06-09 2015-07-2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5191S1 (en) 2013-06-09 2016-05-0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066048B2 (en) 2013-06-17 2015-06-2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udio content while navigating through video streams
US10097604B2 (en) 2013-08-01 2018-10-09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transition point for transitioning between media streams
USD741889S1 (en) * 2013-09-10 2015-10-2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529888B2 (en) 2013-09-23 2016-12-27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viding media and associated metadata
US9917869B2 (en) 2013-09-23 2018-03-1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segment of a file that includes target content
US9063640B2 (en) 2013-10-17 2015-06-2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edia items in a plurality of sequences of media items
USD733744S1 (en) 2013-10-21 2015-07-0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3443S1 (en) 2013-10-22 2015-11-1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522468B1 (ko) 2013-12-05 2015-05-28 네이버 주식회사 동영상 간 전환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870157B (zh) * 2014-03-05 2017-03-22 美卓软件设计(北京)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的方法及装置
USD792420S1 (en) 2014-03-07 2017-07-18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5632S1 (en) 2014-03-07 2017-01-03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112S1 (en) 2014-06-01 2016-11-0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5839S1 (en) 2014-09-09 2016-05-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423184B1 (ko) * 2015-05-29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D760746S1 (en) 2015-06-04 2016-07-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138235A (zh) * 2015-07-07 2015-12-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图片的装置和方法
US20170195736A1 (en) * 2015-12-31 2017-07-06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ransitions between items of content
USD804508S1 (en) 2016-10-26 2017-12-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9023957A1 (zh) * 2017-08-02 2019-02-07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图像拍摄方法及图像拍摄系统
USD843442S1 (en) 2017-09-10 2019-03-19 Apple Inc. Type font
USD854043S1 (en) 2017-09-29 2019-07-16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099329A (zh) * 2018-01-31 2019-08-06 深圳瑞利声学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音响均衡器模式的方法及设备
CN108924599A (zh) * 2018-06-29 2018-11-30 北京优酷科技有限公司 视频字幕显示方法及装置
CN109151573B (zh) * 2018-09-30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增强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USD963685S1 (en) 2018-12-06 2022-09-13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edia playback control
KR20200094829A (ko) * 2019-01-22 2020-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공 방법 및 장치
USD902221S1 (en) 2019-02-01 2020-11-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00871S1 (en) 2019-02-04 2020-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536021B (zh) * 2019-09-11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隐蔽求助方法、计算机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1007521S1 (en) 2021-06-04 2023-12-1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3325A1 (en) 2008-10-09 2010-04-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roviding web page-merge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US20110126148A1 (en) 2009-11-25 2011-05-26 Cooliris, Inc. Gallery Application For Content Viewi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6420B2 (ja) * 1988-09-30 1999-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7073130B2 (en) * 2001-01-31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skins
US7093198B1 (en) * 2001-08-16 2006-08-15 Nokia Corporation Skin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30071860A1 (en) * 2001-08-29 2003-04-17 Goddard Edward Wayn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raphical components
US20030163784A1 (en) * 2001-12-12 2003-08-28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Compiling and distributing modular electronic publishing and electronic instruction materials
US20060053384A1 (en) * 2004-09-07 2006-03-09 La Fetra Frank E Jr Customiz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tilizing local and network content
US7593603B1 (en) * 2004-11-30 2009-09-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Multi-behavior image correction tool
US20070214422A1 (en) * 2006-03-07 2007-09-13 Sun Microsystems, Inc. Framework for implementing skins into a portal server
US20080172608A1 (en) * 2006-06-06 2008-07-1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ite builder
US20070286596A1 (en) * 2006-06-08 2007-12-13 Lonn Fredrik A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in a camera equipped mobile radio terminal
US8106856B2 (en) * 2006-09-06 2012-01-3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CN101356493A (zh) * 2006-09-06 2009-01-28 苹果公司 用于照片管理的便携式电子装置
US8736557B2 (en) * 2006-09-11 2014-05-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US7631260B1 (en) * 2006-10-23 2009-12-08 Adobe Systems Inc. Application modification based on feed content
US8091039B2 (en) * 2007-04-13 2012-01-03 Apple Inc. Authoring interface which distributes composited elements about the display
US8122378B2 (en) * 2007-06-08 2012-02-21 Apple Inc. Image capture and manipulation
US8233738B2 (en) * 2007-07-30 2012-07-3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Enhancing dynamic ranges of images
KR101387527B1 (ko) * 2007-12-06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US8713456B2 (en) * 2008-05-15 2014-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stablish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eme
KR2010002768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185949A1 (en) * 2008-12-09 2010-07-22 Denny Jaeger Method for using gesture objects for computer control
US8175617B2 (en) * 2009-10-28 2012-05-08 Digimarc Corporation Sensor-based mobile search,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5204326B1 (ja) * 2012-03-16 2013-06-05 株式会社東芝 電子装置、電子装置の制御方法、その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3325A1 (en) 2008-10-09 2010-04-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roviding web page-merge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US20110126148A1 (en) 2009-11-25 2011-05-26 Cooliris, Inc. Gallery Application For Content View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8488A2 (en) 2012-05-30
US20120137216A1 (en) 2012-05-31
EP2458488A3 (en) 2012-07-04
CN102480567A (zh) 2012-05-30
KR20120056542A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5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5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82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41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1204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349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770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8991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971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75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500517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3006633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2789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483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6955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3681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95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8206B1 (ko) 발광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4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581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500101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4004045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993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0050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