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458B1 -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458B1
KR101749458B1 KR1020160074382A KR20160074382A KR101749458B1 KR 101749458 B1 KR101749458 B1 KR 101749458B1 KR 1020160074382 A KR1020160074382 A KR 1020160074382A KR 20160074382 A KR20160074382 A KR 20160074382A KR 101749458 B1 KR101749458 B1 KR 10174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fertilizer
growing
space
s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성 왕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영 성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성 왕 filed Critical 영 성 왕
Priority to KR102016007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458B1/ko
Priority to PCT/KR2017/006224 priority patent/WO20172177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2Special arrangements for delivering the liquid directly into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2Special arrangements for delivering the liquid directly into the soil
    • A01C23/027Other methods for delivering fertiliser into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0058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관리기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에게 추비와 기비를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와 식물의 생육환경에 알맞게 제공하면서 식물의 근권부에 적절한 용존산소량이 형성되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는 생육용토를 수용하여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을 생육관리하는 식물재배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생육용토에 매설되는 소정의 깊이영역에까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에서 하부측 출구의 근권부영역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있는 비료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물의 근권부 생육환경에 따라 깊이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비료공급관과; 상기 비료공간에 수용되고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 식물에 요구되는 시기에 상기 식물의 근권부영역에게 양분 및 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물에 해당하는 생육증진환경을 제공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와; 상기 비료공급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생육용토의 토압에 의해 상기 비료공간이 수축되어 막히지 않도록 상기 비료공간을 다수개로 분할되도록 한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apparatus to supply for fertilizer on roots area, in addition}
본 발명은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재배관리기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에게 완효성 알갱이비료의 추비를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와 식물의 생육환경에 알맞게 제공하면서 상기 완효성 알갱이비료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유로에 따라 식물의 근권부에 적절한 소정의 용존산소를 제공하도록 한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재배관리기는 식물이 식재가능한 생육용토를 갖고 생육환경을 제공하는 생육화분과, 상기 생육화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생육화분에게 물 또는 수분을 제공하는 수조화분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상기 생육화분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식물재배관리기는 생육용토에 기비를 매설한다 하더라도, 생육기간 동안에 소진되어 생육이 왕성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비료가 없어 생육정지되거나, 치명적으로 생존이 불가능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식물재배관리기에 기능적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본 출원인이 2014.04.09일자 등록(10-1396104)한 " 근권부 환경개선을 위한 높이조절용 2중 식물재배관리기"와 같이, 식용식물의 생육상태에 따라 상기 생육화분이 타공망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수조화분의 물수용공간에 전용거치대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비료팩이 소진될 경우 비료를 공급하기 어렵고, 더우기 상기 생육화분의 생육용토에 제공하는 기비를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생육에 치명적이거나, 생육관리가 어려워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식물재배관리기는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의 뿌리에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식물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뿌리생장과 식물생육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생물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여 근권부 생육환경이 활성화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식물재배관리기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의 근권부영역에게 완효성 알갱이비료의 추비를 기비방식으로 제공하거나, 그 추비를 관리자가 원하거나 요구되는 시기와 식물의 생육환경에 알맞게 제공하고, 상기 완효성 알갱이비료의 공극으로 형성된 유로를 따라 식물의 근권부영역에 적절한 소정의 용존산소를 제공하므로 식물의 안정적인 생육증진환경에 의해 왕성한 수확과 수확기간을 연장하도록 한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 따라, 생육용토를 수용하여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을 생육관리하는 식물재배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생육용토에 매설되는 소정의 깊이영역에까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에서 하부측 출구의 근권부영역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있는 비료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물의 근권부 생육환경에 따라 깊이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비료공급관과; 상기 비료공간에 수용되고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 식물에 요구되는 시기에 상기 식물의 근권부영역에게 양분 및 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물에 해당하는 생육증진환경을 제공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와; 상기 비료공급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생육용토의 토압에 의해 상기 비료공간이 수축되어 막히지 않도록 상기 비료공간을 다수개로 분할되도록 한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의 다른 분야에 따라, 생육용토를 수용하여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을 생육관리하는 식물재배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생육용토에 매설되는 소정의 깊이영역에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에서 하부측 출구의 근권부영역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있는 비료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물의 근권부 생육환경에 따라 깊이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원통튜브와; 상기 원통튜브를 다수개로 상호 접촉하여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묶음부재와; 상기 비료공간에 수용되고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 식물에 요구되는 시기에 상기 식물의 근권부영역에게 양분 및 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물에 해당하는 생육증진환경을 제공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를 포함하는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식물재배관리기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에게 추비와 기비를 관리자가 원하거나 요구되는 시기와 식물의 생육환경에 알맞게 제공하면서 식물의 근권부에 적절한 소정의 용존산소를 제공하므로 식물의 안정적인 생육증진환경에 의해 왕성한 수확과 수확기간을 연장하기 때문에 식물이 요구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물별로 다른 근권부의 환경을 제공하여 식물의 생육관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가 장착된 식물관리재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가 장착된 식물관리재배기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육용토를 갖는 식물재배관리기에 기비를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 또는 식물의 생육에 따라 요구되는 시기에 적절하게 공급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근권부에 용존산소량을 극대화시켜 생육증진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와, 비료공급관(3)과, 완효성 알갱이비료(5)와, 격벽(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재배관리기는 생육용토(11)를 수용하여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생육화분(12)과, 펄라이트(13)와 물이 수용된 수조화분(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생육용토(11)의 보온과 같은 절연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생육용토(11)의 일정 깊이영역에까지 배치되고,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본체(1)는 곡선형으로 형성된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의 내측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식재가능한 충분한 생육용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료공급관(3)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에서 하부의 권근부영역에 형성된 출구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있는 비료공간(9)을 가지고, 상기 비료공간(9)에 충진된 완효성 알갱이비료(5)에 의해 상기 식물의 근권부에게 적절한 시기에 안정적으로 비료를 공급한다. 상기 비료공간(9)에는 상기 완효성 알갱이비료(5)에 의해 형성되어 생육산소의 공급으로 용존산소량을 계속 생성될 수 있도록 한 소정의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공극유로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의 근권부에 완효성 알갱이비료와 산소를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면 식물의 생육이 더욱더 왕성하게 활성화되어 생존력을 향상시키고, 그 생존력에 따라 요구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의 양액을 공급하므로 식용식물의 수확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근권부에 스트레스를 주지않기에 수확기간을 연장하여 수확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비료공급관(3)은 상기 비료공급관(3)의 입구가 상기 생육용토(11)의 표토층보다 상위하게 노출되어 각종 이물질이 물과 같이 섞여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완효성 알갱이비료(5)는 상기 비료공간(9)에 수용되어 상기 식물에게 양분 및 및 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입구에서 출구까지 소정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비료공간(9)의 완효성 알갱이비료(5)가 소정의 공극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공기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효성 알갱이비료(5)는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유기농 완효성비료제조방법에 의한 유기농비료와, 유기농이 아닌 완효성비료 중 하나이거나, 일정한 혼합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격벽(7)은 상기 비료공급관(3)이 상기 생육용토(11)의 토압에 의해 상기 비료공간(9)이 수축되어 막히지 않도록 높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비료공간이 다수개로 분할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분할된 다수의 상기 비료공간(9)에는 원통튜브(21)가 다수개 나열되어 일체형을 위한 묶음부재(22)로 형성된 보조적인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가 수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적인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가 메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적인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는 생육용토를 수용하여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을 생육관리하는 식물재배관리기에 매설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생육용토(11)에 매설되는 소정의 깊이영역에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노출되게 형성된 공급구에서 하부측 출구의 근권부영역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있는 비료공간(9)을 가지고 있는 원통튜브(21)와, 상기 원통튜브(21)를 다수개로 상호 접촉하여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묶음부재(22)와, 상기 비료공간(9)에 수용되고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 식물에 요구되는 시기에 상기 식물의 근권부영역에게 양분 및 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물에 해당하는 생육증진환경을 제공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에 식재된 식물 사이에는 양쪽의 상기 식물들에게 양분 및 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입구에서 출구까지 형성된 비료공간(9)에 소정의 공극으로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완효성 알갱이비료(5)를 수용하는 일정한 길이의 원통튜브(21)가 상기 생육용토에 하나이상 매설되어 있다. 상기 원통튜브(21)는 상기 생육용토의 표토층보다 상위하게 노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조화분에 펄라이트, 분리부재, 생육용토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식물재배관리기에도 동일하게 본체(1)와, 비료공급관(3)과, 완효성 알갱이비료(5)와, 격벽(7)으로 적용되어 상기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용식물의 근권부에 생육증진 및 활성화시키고, 상기 식물재배관리기가 어떠한 형태를 갖던간에 본 근권부 생육증진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육용토에 식재된 모든 식용식물의 근권부에 생육증진 및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는 식용의 뿌리식물(우엉, 도라지, 무우, 더덕, 근데, 인삼종류 등)일 경우, 상기 뿌리식물의 생육에 따라 장생깊이가 달라져 상기 비료공급관(3)이 서로 다른 깊이를 갖도록 복수개로 겹쳐서 매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육용토(11)에 식재된 식물의 근권부에게 비료공급관(3)의 비료공간(9)에 수용된 완효성 알갱이비료(5)의 양분을 추비가 아닌 기비로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속하여 비료를 공급하는 방식은 실제로 추비이지만, 근권부 영역에 근접하는 기비방식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식물에게 추비를 기비방식으로 계속하여 공급하고, 상기 완효성 알갱이비료(5)에 의해 공기통로에 해당하는 일정한 공극이 형성되어 근권부 영역에 용존산소량을 향상시키므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의 근권부 생육이 증진되어 안정적인 식물 생장 및 수확을 확보라고, 수확기간을 연장하여 생산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7)은 상기 생육용토의 토압이 근권부의 생장이나 그외의 요인에 의해 발생될 경우 상기 비료공간(9)이 막혀 생육증진 및 활성화가 정지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완효성 알갱이비료(5)와 공극에 따른 용존산소량이 충분히 조성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생장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 사이에 배치된 하나이상의 원통튜브(21)는 수용된 완효성 알갱이비료(5)와 이에 따른 공극이 다소 부족할 수 있는 부분이 충족될 수 있도록 한다.
1 ; 본체 3 ; 비료공급관
5 ; 완효성 알갱이비료 7 ; 격벽
9 ; 비료공간 21 ; 원통튜브
22 ; 묶음부재

Claims (4)

  1. 생육용토를 수용하여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을 생육관리하는 식물재배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생육용토에 매설되는 소정의 깊이영역에까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에서 하부측 출구의 근권부영역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있는 비료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물의 근권부 생육환경에 따라 깊이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비료공급관과;
    상기 비료공간에 수용되고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 식물에 요구되는 시기에 상기 식물의 근권부영역에게 양분 및 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물에 해당하는 생육증진환경을 제공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와;
    상기 비료공급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생육용토의 토압에 의해 상기 비료공간이 수축되어 막히지 않도록 상기 비료공간을 다수개로 분할되도록 한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2. 생육용토를 수용하여 식재된 식용 및 관상용 식물을 생육관리하는 식물재배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관리기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생육용토에 매설되는 소정의 깊이영역에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에서 하부측 출구의 근권부영역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있는 비료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물의 근권부 생육환경에 따라 깊이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원통튜브와;
    상기 원통튜브를 다수개로 상호 접촉하여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묶음부재와;
    상기 비료공간에 수용되고 관리자가 원하는 시기, 식물에 요구되는 시기에 상기 식물의 근권부영역에게 양분 및 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물에 해당하는 생육증진환경을 제공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60074382A 2016-06-15 2016-06-15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KR10174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82A KR101749458B1 (ko) 2016-06-15 2016-06-15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PCT/KR2017/006224 WO2017217775A1 (ko) 2016-06-15 2017-06-15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82A KR101749458B1 (ko) 2016-06-15 2016-06-15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458B1 true KR101749458B1 (ko) 2017-06-21

Family

ID=5928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382A KR101749458B1 (ko) 2016-06-15 2016-06-15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9458B1 (ko)
WO (1) WO20172177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624A (ko) * 2019-10-29 2021-05-11 영 성 왕 선도적 수분이송으로 무동력의 수분을 공급하는 식물재배관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372B2 (ja) * 1995-12-27 2000-07-04 関西ガスメータ株式会社 湿式ガスメータドラ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923B2 (ja) * 1996-05-14 2001-01-15 堀 一雄 水耕栽培用培地
JPH09308382A (ja) * 1996-05-22 1997-12-02 Yasuo Murai 植木鉢用自動補給器
JP3059372U (ja) * 1998-11-26 1999-07-09 有限会社杉本金型製作所 植栽鉢用空調パネル
KR101630026B1 (ko) * 2014-01-03 2016-06-13 영 성 왕 근권부 환경개선을 위한 높이조절용 2중 식물재배관리기
KR101536534B1 (ko) * 2014-09-23 2015-07-14 영 성 왕 메인화분과 수조화분을 갖는 비료팩 교체용 식물재배관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372B2 (ja) * 1995-12-27 2000-07-04 関西ガスメータ株式会社 湿式ガスメータドラム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624A (ko) * 2019-10-29 2021-05-11 영 성 왕 선도적 수분이송으로 무동력의 수분을 공급하는 식물재배관리기
KR102348678B1 (ko) * 2019-10-29 2022-01-07 영 성 왕 선도적 수분이송으로 무동력의 수분을 공급하는 식물재배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775A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2103B2 (en) Modular, self-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JP2020054385A (ja) 植物栽培システムとそれを利用した栽培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99203B1 (ko)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US20090126266A1 (en) Planting of plant material
US200502520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growth of multiple root systems in a hydroponic environment
CZ2002652A3 (cs) Způsob pěstování dvou nebo více rostlin pro vytvoření složené nebo kombinované rostlinné struktury a rostlinná struktura
EP31383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izing yield by extending harvest period of edible plants in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device
KR101303247B1 (ko)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AU2017337080A1 (en) Subsurface irrig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10179710A1 (en) Plant Containment Device For Irrigation And Fertiga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KR101749458B1 (ko) 식물관리재배기의 근권부영역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완효성 알갱이비료용 공급장치
KR102175155B1 (ko) 식물재배베드
JP2013198406A (ja) 植物栽培方法、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用培土
JP5932909B2 (ja) 植物栽培方法
US119689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nsive biological hydrosynthesis,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nd/or topsoil restoration
KR101951591B1 (ko) 곧은 뿌리 작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배 방법
CN106171922A (zh) 家庭绿色种植套装
Bajracharya et al. Influence of drip-irrigation method on performance and yields of cucumber and tomato
KR101240666B1 (ko) 수경재배용 베드
JP7058075B2 (ja) 栽培装置及び酸素供給体
JP2016049027A (ja) 育苗装置
KR101682763B1 (ko) 메인화분과 수조화분을 갖는 비료팩 교체용 식물재배관리기
JPH11155385A (ja) 育苗用の苗マット構造
AU2020203536B2 (en) A method and system for intensive biological hydrosynthesis,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nd/or topsoil rest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