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696B1 - 형광체 및 실리콘의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광체 및 실리콘의 배합방법 - Google Patents

형광체 및 실리콘의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광체 및 실리콘의 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696B1
KR101748696B1 KR1020100092679A KR20100092679A KR101748696B1 KR 101748696 B1 KR101748696 B1 KR 101748696B1 KR 1020100092679 A KR1020100092679 A KR 1020100092679A KR 20100092679 A KR20100092679 A KR 20100092679A KR 101748696 B1 KR101748696 B1 KR 10174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discharge
silicon
discharg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868A (ko
Inventor
안요한
김형식
박상민
신세철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6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를 자동으로 토출하여 혼합함으로써 불량이 없는 형광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양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제1형광체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제2형광체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 및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 제2형광체 토출장치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형광체, 제2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가 수납되는 혼합용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형광체 및 실리콘의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광체 및 실리콘의 배합방법{DISCHARGING SYSTEM OF FLUORESCENCE MATERIAL AND SILICON AND MIXING METHOD OF FLUORESCENCE MATERIAL AND SILICO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형광체 및 실리콘을 토출하는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형광체 및 실리콘을 계량하고 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로서 형광램프 대신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와 같이 자체적으로 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광소자는 R, G, B 단색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액정패널에 백색광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발광소자에서 발광하는 단색광을 백색광으로 만들어야만 한다. 단색광을 백색광으로 만들기 위해 단색광 발광소자와 형광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패키지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러한 발광소자패키지는 청색(R)의 발광소자에 노란색 형광층을 형성한 것으로, 청색 발광소자에서 발광하는 청색의 단색광의 일부가 상기 노란색 형광층에 흡수됨에 따라 상기 형광층으로부터 노란색광이 발광되므로 상기 청색광과 노란색광이 혼합되어 백색광이 출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백색광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색 형광체 및 녹색 형광체를 혼합하여 노란색 형광층을 형성해야만 하는데, 원하는 백색광을 얻기 위해서는 적색 형광체 및 녹색 형광체의 양을 정확하게 혼합해야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 주제와 실리콘 경화제를 이들 형광체에 정확하게 혼합해야만 원하는 비율 및 형태의 노란색 형광층이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들 형광체 및 실린콘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실행하였다. 즉, 작업자가 실리콘주제와 실리콘경화제 및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의 양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이들을 수작업으로 혼합용기에 넣어서 혼합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물질을 혼합하므로, 혼합되는 형광체 및 실리콘주제와 실리콘경화제의 양에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그 결과 발광소자패키지를 제작했을 때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리콘주제와 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를 토출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토출하여 항상 설정된 양을 혼합함으로써 형광층의 형성시 불량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광층 형성용 토출시스템 및 형광물질 배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리콘주제와 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를 토출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토출함으로써 실리콘주제와 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를 신속하게 배합할 수 있는 토출시스템 및 형광물질 배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은 설정된 양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제1형광체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제2형광체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 및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형광체, 제2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가 수납되는 혼합용기로 구성된다.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는 대용량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적하기; 및 미세용량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용적식 정량펌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리콘주제 적하기는 내부에 실리콘주제가 충진되며, 가스가 공급되는 실린지; 및 상기 실린지 하부에 구비되어 실리콘주제를 혼합용기로 토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리콘주제 용적식 정량펌프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며, 하부의 일정 영역에 홈이 형성되어 회전 및 상하운동함에 따라 실리콘주제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운동함에 따라 실리콘주제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로 이루어진 토출펌프; 및 상기 토출펌프로부터 토출된 실리콘주제를 혼합용기로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형광체 토출장치는 진동에 의해 대량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제1형광체 대량토출기; 및 진동에 의해 미세용량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제1형광체 미세량토출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형광체 대량토출기 및 제1형광체 미세량토출기는 진동자; 제1형광체가 채워진 용기; 용기의 제1형광체가 공급되는 공급부; 상기 진동자에 의해 진동하여 진동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1형광체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1형광체를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지며, 제1형광체 대량토출기의 진동의 진폭이 제1형광체 미세량토출기의 진폭보다 크고, 제1형광체 대량토출기의 노즐의 직경이 제1형광체 미세량토출기의 노즐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형광체 토출장치는 진동에 의해 대량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제2형광체 대량토출기; 및 진동에 의해 미세용량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제2형광체 미세량토출기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2형광체 대량토출기 및 제2형광체 미세량토출기는 진동자; 제2형광체가 채워진 용기; 용기의 제2형광체가 공급되는 공급부; 상기 진동자에 의해 진동하여 진동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2형광체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2형광체를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지며, 제2형광체 대량토출기의 진동의 진폭이 제2형광체 미세량토출기의 진폭보다 크고, 제2형광체 대량토출기의 노즐의 직경이 제2형광체 미세량토출기의 노즐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는 대용량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경화제 적하기; 및 미세용량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경화제 용적식 정량펌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을 기초로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 및 제2형광체 토출장치,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 상기 제어부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 설정값을 저장하고 이를 저장된 설정값을 실시간으로 수정하는 설정부;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측정값과 설정부에서 입력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 판단된 결과에 따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형광물질 배합방법은 실리콘주제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혼합용기에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단계; 제1형광체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실리콘주제가 수납된 혼합용기에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 제2형광체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실리콘주제 및 제1형광체가 수납된 혼합용기에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가 수납된 혼합용기에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형광물질을 배합하는 단계는 토출량 설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토출된 실리콘주제의 토출량과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실리콘주제의 토출량이 토출량 설정값의 오차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토출량 설정값을 수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또한 토출된 제1형광체의 토출량과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제1형광체의 토출량이 토출량 설정값의 오차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토출량 설정값을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토출량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를 다시 토출하는 단계도 포함하다.
그리고, 상기 형광물질을 배합하는 단계는 토출된 제2형광체의 토출량과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제2형광체의 토출량이 토출량 설정값의 오차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토출량 설정값을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토출량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를 다시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주제와 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를 토출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토출하여 항상 설정된 양을 혼합함으로써 형광층의 형성시 불량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주제와 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를 토출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토출함으로써 실리콘주제와 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를 신속하게 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의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의 대용량 적하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의 용적식 정량펌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의 용적식 정량펌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의 용적식 정량펌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토출펌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토출펌프가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장치의 분말토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의 분말토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의 제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을 이용하여 형광물질을 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한 설명한다.
종래 형광체와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계량한 후 혼합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형광체와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를 각각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토출함으로써 정확한 양을 신속하게 계량 및 배출하여 혼합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의 형광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형광체와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는 각각 분말, 고점도의 액체 및 저점도의 액체라는 물질적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물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형광체와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한다.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에는 분말형태의 형광체를 혼합용기에 넣은 후 액체 형태의 실리콘주제와 실리콘경화제를 넣어 혼합하는데, 그 이유는 액체형태의 실리콘주제를 넣은 후 형광체를 넣으면 액체의 실리콘주제에 형광체가 용융되기 때문에 형광체의 계량이 잘못되는 경우에도 이를 수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형광체를 먼저 계량하여 혼합용기에 넣으면, 형광체의 계량이 잘못되어도 혼합용기 내의 형광체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부 제거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형광체를 먼저 혼합용기에 넣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형광체를 먼저 혼합용기에 넣는 경우 분말형태의 형광체가 공기중으로 비산하여 형광체의 혼합량에 문제가 발생하며 작업자의 건강상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점도의 실리콘주제를 혼합용기에 배출하고 형광체를 배출하여 상기 실리콘주제에 혼합한 후, 실리콘경화제를 배출하여 형광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토출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각각의 실리콘주제와 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를 배출하여 혼합하기 때문에, 형광체 대신에 실리콘주제를 먼저 배출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실리콘주제, 제1형광체, 제2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의 혼합비율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약 22%, 6%, 6%, 66%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형광층 형성용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출시스템은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와,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와,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와,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와,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에서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형광체, 제2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가 수납되는 혼합용기(510)와, 상기 혼합용기(510)에 배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형광체, 제2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520)와, 상부에 상기 혼합용기(510) 및 측정부(520)가 놓여 가이드레일(540)을 따라 이동하는 테이블(530)로 구성된다.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는 실리콘주제 대용량 토출기(100a)와 실리콘주제 미세용량 토출기(100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실리콘주제 대용량 토출기(100a)는 대용량을 신속하게 토출하여 실리콘주제의 설정된 배출량에 가까운 양의 실리콘주제를 빠른 속도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실리콘주제 미세용량 토출기(100a)는 미세한 양의 실리콘주제를 저속으로 토출하여 토출량을 설정된 배출량에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는 제1형광체 대용량 토출기(200a)와 제1형광체 미세용량 토출기(200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제1형광체 대용량 토출기(200a)는 제1형광체를 대용량으로 신속하게 토출하여 제1형광체의 설정된 배출량에 가까운 양의 제1형광체를 빠른 속도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제1형광체 미세용량 토출기(200b)는 미세한 양의 제1형광체를 저속으로 토출하여 토출량을 설정된 배출량에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는 제2형광체 대용량 토출기(300a)와 제2형광체 미세용량 토출기(300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제2형광체 대용량 토출기(300a)는 제2형광체를 대용량으로 신속하게 토출하여 제2형광체의 설정된 배출량에 가까운 양의 제2형광체를 빠른 속도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제2형광체 미세용량 토출기(300b)는 미세한 양의 제2형광체를 저속으로 토출하여 토출량을 설정된 배출량에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는 실리콘경화제 대용량 토출기(400a)와 실리콘경화제 미세용량 토출기(400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실리콘경화제 대용량 토출기(400a)는 대용량을 신속하게 토출하여 실리콘경화제의 설정된 배출량에 가까운 양의 실리콘경화제를 빠른 속도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실리콘경화제 미세용량 토출기(400a)는 미세한 양의 실리콘경화제를 저속으로 토출하여 토출량을 설정된 배출량에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배합비율이 각각 22%, 6%, 6%, 66%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에서 전체에 대하여 약 22% 비율의 실리콘주제가 토출되고,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및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에서 전체에 대하여 각각 6% 비율의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가 토출되며,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에서 약 66% 비율의 실리콘경화제가 토출된다.
혼합용기(510) 및 측정부(520)는 테이블(530) 상에 배치된 상태로 가이드레일(540)을 따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에서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로 이동하면서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로부터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를 수납하여 이들을 혼합한다.
측정부(520)는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로부터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측정부(520)는 혼합용기(510)의 무게로 영점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계측된 무게가 실제 적하된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무게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를 차례로 설치하여 테이블(530)이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에서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로 이동하면서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가 토출되어 혼합용기(510)에 수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실리콘주제는 액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리콘주제를 먼저 혼합용기(510)에 토출한 후, 분말형태의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를 토출하여 혼합하면,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가 액체의 실리콘주제에 용해되기 때문에,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의 토출시 분말형태의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리콘주제에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를 혼합한 후, 실리콘경화제를 혼합하여 형광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청색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 패키지의 발광소자가 청색 발광소자인 경우, 제1 및 제2형광체로서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를 사용하며, 유기발광소자 패키지의 발광소자가 녹색 발광소자인 경우, 제1 및 제2형광체로서 적색 형광체와 청색 형광체를 사용한다. 또한, 유기발광소자 패키지의 발광소자가 적색 발광소자인 경우, 제1 및 제2형광체로서 녹색 형광체와 청색 형광체를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는 각각 대용량을 토출하는 대용량 토출장치(100a,200a,300a,400a)와 미세량을 토출하는 미세용량 토출장치(100b,200b,300b,400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를 대용량을 토출하는 대용량 토출장치와 미세량을 토출하는 미세용량 토출장치로 형성하는 것은 토출을 신속하게 함과 동시에 항상 정확한 양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대용량 토출장치로서 우선 대용량의 토출물질을 전체 설정양의 약 80-95%까지 신속하게 토출하고 미세용량 토출장치에 의해 미세한 양을 저속을 토출하여 설정된 토출량에 도달하면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대용량의 토출에 의한 신속한 토출의 진행을 도모함과 아울러 미세토출에 의해 정확한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는 액체이므로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는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장치이며,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는 분말이므로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는 분말을 토출하는 토출장치이다.
이때,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장치로는 적하기(dispenser)와 용적식 정량펌프를 사용하는데, 적하기는 대용량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데 사용되고 용적식 정량펌프는 미세용량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분말을 토출하는 장치로는 진동을 이용한 분말토출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주제를 적하하는 적하기 및 용적식 정량펌프와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적하기 및 용적식 정량펌프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분말토출장치와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분말토출장치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적하기, 용적식 정량펌프 및 분말토출장치를 설명함으로써 전체의 토출장치 구조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의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를 대용량으로 신속하게 적하하는 적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 적하기(110)는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가 채워진 실린지(syringe;141)와, 상기 실린지(141) 하부에 형성되어 실린지(141)에 채워진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방출되는 노즐(152)과, 상기 실린지(141)의 상부에 설치된 캡부(cap member;103)와, 캡부(103)와 연결되어 실린지(141)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여 가스의 압력에 의해 실린지(141)에 충진된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를 노즐(152)을 통해 적하시키는 가스공급관(1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는 일정 점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린지(141)에 충진된 경우 노즐(152)을 통해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를 혼합용기(510)에 적하시키기 위해서는 실린지(141)에 충진된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에 압력을 인가해야만 한다.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에 인가되는 압력은 실린지(141)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혼합용기(510)에 적하되는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의 적하량은 가스공급관(145)에 설치되어 가스의 양을 조정하는 유량밸브(도면표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유량밸브의 조작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현재 적하되는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의 적하량을 측정부(520)에 의해 측정한 후 설정된 배출량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의 적하량을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켐의 실리콘주제 및 실리콘경화제를 미세용량으로 토출하는 용적식 정량펌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용적식 정량펌프의 사시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적식 정량펌프(220)에서는 원통형의 용기(222)가 케이스(223)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용기(222)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가 충진되어 있으며, 케이스(223)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용기(222)가 수납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용기(222)의 상부에는 가스공급관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질소와 같은 가스가 공급된다. 이러한 가스 공급에 의해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 등과 같은 액체의 적하시 용기(122)의 액체가 충진되지 않은 영역이 압력이 저하되어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의 적하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222)의 하부에는 토출펌프(2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펌프(240)는 용기(222)의 액체를 일정량 토출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용기(222)와 연결되어 토출펌프(240)가 작동함에 따라 액체가 흡입되는 흡입구(247)와 상기 흡입구(247)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토출펌프(240)가 작동함에 따라 액체가 토출되는 토출구(248)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247)에는 제1연결관(226)이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흡입구(247)가 제1연결관(226)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지만,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흡입구(247)와 제1연결관(226)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관(226)의 일측에는 주사바늘과 같이 내부가 통공된 핀(2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관(226)으로 실리콘주제나 실리콘경화제 등의 액체를 유출하는 용기(222)의 하부에는 실리콘이나 부틸고무계열과 같이 수축성과 밀폐성이 강한 재질의 패드(도면표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228)은 패드를 통해 용기(222)로 삽입되어 용기(222)의 액체를 흡입구(247)로 유입한다. 핀(228)의 삽입시 패드가 핀(228)으로 강하게 수축되므로 핀(228)의 삽입영역으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핀과 패드에 의해 흡입구(247)와 용기(222)를 체결하므로 체결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그 결과 체결 및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출펌프(240)의 하부에는 노즐(2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250)은 제2연결관(260)을 통해 토출펌프(240)의 토출구(248)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펌프(240)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를 적하한다.
한편, 상기 토출펌프(240)는 회전부재(257)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257)는 고정부(255)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재(257)는 제1모터(23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모터(231)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57)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부재(257)에 고정된 토출펌프(24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토출펌프(240)는 바(bar)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용적량 조절부재(234)의 일측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용적량 조절부재(234)의 타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236)이 상기 구멍에 삽입된다. 상기 용적량 조절부재(234)의 구멍과 회전축(236)의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36)은 일단은 제2모터(233)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조절레버(237)에 연결되어 있다.
토출펌프(240)를 통해 용기(222)로부터 토출되는 실리콘주제나 실리콘경화제의 양은 회전부재(257)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회전부재(257)에 고정되는 고정각도에 따라 토출펌프(240)의 용적량이 달라지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236)에 연결된 제2모터(233)가 구동(자동조절)하거나 조절레버(237)를 작동(수동조절)하면 회전축(236)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236)과 나사결합된 용적량 조절부재(234)의 일단이 회전축(236)을 따라 전후로(직선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용적량 조절부재(234)의 일단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토출펌프(240)에 인가되는 힘이 달라지게 되고, 그 결과 상기 토출펌프(240)의 고정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모터(231)는 토출펌프(240)를 작동시켜 용기(222)의 액체를 토출하여 적하하며, 제2모터(233)는 회전부재(257)에 고정되는 토출펌프(240)의 고정각도를 조절하여 토출펌프(140)로부터 토출되는 액체의 양을 제어한다.
한편, 토출펌프(240)를 통해 토출되는 액체의 1회 토출량은 매우 미세한 양이며, 따라서 제2모터(233)에 의해 조절되는 토출펌프(240)의 변화량 역시 미세한 양이다. 이것은 토출펌프(240)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토출펌프(140)의 경사각도를 매우 미세하게 조정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미세 조정을 위해 상기 제2모터(233)로는 펄스입력값에 의해 작동하는 스텝모터(step motor)를 사용한다.
도 5a 및 도 5b는 토출펌프(24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펌프(240)는 흡입구(247) 및 토출구(248)가 형성된 케이스(241)와,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케이스(241)에 결합되는 캡(244)과, 상기 케이스(241) 내부에 삽입되어 액체가 흡입되는 실린더(242)와, 상기 실린더(242)를 실링하는 실링수단(243)과, 상기 캡(244) 상부에 위치하여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o-ring;244a)과, 상기 캡(244)의 개구를 통해 실린더(242)에 삽입되어 상하 및 회전운동함으로써 흡입구(247) 및 토출구(248)를 통해 액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피스톤(245)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245)의 상부에는 회전부재(257)에 고정되는 헤드(246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246a)에는 바(246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246b)는 회전부재(257)에 형성된 홀(도면표시하지 않음)에 삽입, 고정되어 제1모터(231)의 힘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257)가 회전운동할 때 상기 피스톤(245)이 회전운동하도록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45)의 단부에는 홈(24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45a)은 피스톤(245)의 단면 원형상의 약 1/4 면적(또는 그 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피스톤(245)이 회전운동시(즉, 상하운동시) 흡입구(247) 및 토출구(248)를 열고 닫아 상기 흡입구(247) 및 토출구(248)를 통해 실리콘주제 또는 실리콘경화제와 같은 액체를 흡입하고 토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토출펌프(240)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토출펌프(240)가 회전부재(257)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45)은 회전부재(257)에 일정 각도(α)로 고정되어 있으며, 피스톤헤드(246a)에 형성된 바(246b)는 회전부재(257)의 내면에 형성된 홀(29)에 삽입되어 피스톤(245)과 회전부재(257)가 결합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홀(259) 내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홀(259)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45)의 바(246b)는 전후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제1펌프(231)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257)가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회전부재(257)와 결합된(즉, 고정된) 피스톤(245)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부재(257)에 대한 토출펌프의 고정각도(α), 즉 회전부재(257)에 대한 피스톤(245)의 고정각도(α)가 0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피스톤(245)은 단지 회전부재(257)를 따라 회전운동만 하게 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각도(α)가 0이 아니기 때문에(즉,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245)은 회전부재(257)의 회전운동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상하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피스톤(245)의 운동시, 피스톤(245)이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부방향으로 움직이면 실린더(242) 내부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이 공간으로 흡입구(247)를 통해 액체가 흡입되며, 이후 피스톤(245)이 더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245)이 하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실린더(242)에 흡입된 액체가 토출구(248)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피스톤(245)에 형성된 홈(245a)은 피스톤(245)의 회전에 의해 액체의 흡입 및 토출시 흡입구(247)와 토출구(248)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은 분말토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말토출장치는 형광체와 같은 분말을 수납하는 분말용기(310)와, 상기 분말용기(310) 하부에 배치되어 분말용기(310)로부터 분말이 공급되어 이를 배출하는 제1진동토출기(301a)와 제2진동토출기(301b)로 구성된다.
상기 분말용기(310)에는 투명한 윈도우(316)가 형성되어 분말용기(310)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되며, 분말용기(310)의 상부에는 두껑(312)이 형성되므로, 상기 윈도 우(316)를 통해 분말용기(310) 내부를 관찰하여 공급된 분말이 부족할 경우 상기 두껑(312)을 열고 분말용기(310) 내부에 분말을 공급한다. 이때, 두껑(312)에는 고정나사(314)가 설치되어 분말의 공급 후 두껑(312)을 단단하게 닫아 분말이 분말용기(310)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말용기(310)의 하부에는 제1공급구(318a) 및 제2공급부(318b)가 형성되어 내부의 분말을 하부에 배치된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로 배출한다.
상기 분말용기(310)로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분말토출장치가 작동되어 종료될 때까지 토출되는 양(예를 들면, 하루동안의 토출작업량)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분말용기(310)를 형성하여, 분말의 공급에 의해 분말토출장치의 작동이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분말이 토출되도록 한다.
제1진동배출기(301a)와 제2진동배출기(301b)는 각각 서로 다른 양의 분말을 배출한다. 즉, 제1진동배출기(301a)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분말을 고속으로 배출하며, 제2진동배출기(301b)는 미세한 양의 분말을 배출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양의 분말을 배출하는 2개의 진동배출기(301a,301b)를 구비함으로써, 우선 제1진동배출기(301a)에 의해 목표 배출량에 근접하는 양의 분말을 고속으로 대량 배출한 후, 제2진동배출기(301b)에 의해 미세한 양의 분말을 배출하여 실제 토출되는 양이 목표량과 정확하게 일치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양의 분말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진동배출기(301a) 및 제2진동배출기(301b)는 각각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와, 상기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와 연결되어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의 분말이 각각 공급되는 제1공급용기(330a) 및 제2공급용기(330b)와, 상기 제1공급용기(330a) 및 제2공급용기(330b)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공급용기(330a) 및 제2공급용기(330b)로부터 각각 배출되는 분말을 수납하는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와, 상기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와 연결되어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에서 각각 공급되는 분말을 이송하는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과, 상기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을 진동시켜 상기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내에서 분말이 이동시키는 제1진동자(34a) 및 제2진동자(34b)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의 상면에는 제1유입구(323a) 및 제2유입구(23b)가 형성되어 분말용기(310)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이 유입되며, 측면에는 각각 제1배출구(도면표시하지 않음) 및 제2배출구(도면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상기 제1이송부(324a)와 제2이송부(324b)로부터 유입된 분말을 각각 제1공급용기(330a) 및 제2공급용기(330b)로 배출한다.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에는 각각 제1이송부재(320a) 및 제2이송부재(320b)가 삽입된다. 상기 제1이송부재(320a) 및 제2이송부재(320b)에는 각각 제1볼스크루(321a) 및 제2볼스크루(321b)가 형성되고 이 제1볼스크루(321a) 및 제2볼스크루(321b)가 각각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볼스크루(321a) 및 제2볼스크루(321b)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볼스크루(321a) 및 제2볼스크루(321b)를 통해 분말용기(310)의 분말이 분말용기(310)로부터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로 공급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의 내부에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와 같은 센서가 설치되어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에 공급되는 분말의 양을 측정하며,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 내부에 분말이 부족한 경우, 제1이송부재(320a) 및 제2이송부재(320b)를 작동시켜 분말용기(310)로부터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로 분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부재(320a) 및 제2이송부재(320b)의 작동은 도면표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센서의 경고에 의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는 제1공급용기(330a) 및 제2공급용기(330b)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공급용기(330a) 및 제2공급용기(330b)는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에 연결되어, 제1이송부(324a) 및 제2이송부(324b)에 공급된 분말이 각각 제1공급용기(330a) 및 제2공급용기(330b)를 거쳐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에 공급된다.
상기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는 각각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에 연결된다.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은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의 밑면에는 각각 V자 형상, U자 형상 또는 사각형상의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홈 및 제2홈은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으로부터 공급된 분말을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으로 인도하는 가이드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에도 각각 제1홈 및 제2홈과 연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제1공급부(341a) 및 제2공급부(341b)로부터 공급된 분말이 상기 홈에 공급된 후, 상기 제1홈 및 제2홈을 따라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로 인도된다. 이때, 상기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은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고 상기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이 진동하게 되므로, 진동에 힘에 의해 분말이 상기 제1홈 및 제2홈을 따라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의 전단에는 제1매쉬(mesh;346a) 및 제2매쉬(346b)가 배치된다. 상기 제1매쉬(346a) 및 제2매쉬(346b)는 제1홈 및 제2홈을 통해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로 배출되는 분말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분발의 알갱이 하나 하나가 제1매쉬(346a) 및 제2매쉬(346b)를 통해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로 이동하므로, 뭉쳐진 분말이 상기 제1매쉬(346a) 및 제2매쉬(346b)를 통과하면서 낱개로 분리되어 제1노즐(345a) 및 제2노즐(345b)에는 뭉친 분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제1노즐(35a)과 제2노즐(345b)에는 서로 다른 지름의 구멍이 형성된다. 즉, 제1노즐(345a)의 배출구는 약 2.5-3.5mm, 특히 3mm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2노즐(345b)의 배출구는 약 0.70-0.75mm, 특히 0.72mm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노즐(345a)의 배출구의 직경이 제2노즐(345b)의 배출구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제1노즐(345a)을 통해 대용량의 분말이 토출되고 제2노즐(345b)를 통해 미세한 양의 분말이 토출된다. 따라서, 일정량의 분말을 토출할 때 우선 제1노즐(345a)에 의해 대용량의 분말을 고속으로 토출한 후, 목표량에 근접하면 제2노즐(345b)에 의해 미량의 분말이 저속으로 토출되어 토출되는 양을 조절하여 원하는 양에 도달하면 제2진동배출기(301b)의 작동을 정지한다.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의 하부에는 제1진동자(304a) 및 제2진동자(304b)가 구비되어 각각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을 진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진동자(304a) 및 제2진동자(304b)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진동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진동자(304a) 및 제2진동자(304b)의 하부에는 각각 제1방진패드(307a) 및 제2방진패드(307b)가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이 상기 제1방진패드(307a) 및 제2방진패드(307b)에 의해 흡수되므로, 외부의 충격이 제1배출관(343a) 및 제2배출관(343b)에 전달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오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가 구비된 본 발명의 토출장치에서는 혼합용기(510)에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를 계량하여 토출하여 혼합함으로써 형광층을 형성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의 실리콘주제 대용량 토출기(100a), 즉 실리콘 주제 적하기에 의해 실리콘주제를 대량으로 적하한 후,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의 실리콘주제 미세용량 토출장치(100b), 즉 용적식 정량펌프에 의해 미세한 양의 실리콘주제를 혼합용기(510)에 정밀하게 토출하여 항상 원하는 양의 실리콘주제가 토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의 제1형광체 대용량 토출기(200a), 즉 대용량 분말토출장치에 의해 제1형광체를 대량으로 적하한 후,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의 제1형광체 미세용량 토출장치(200b), 즉 미세용량 분말토출장치에 의해 미세한 양의 제1형광체를 혼합용기(510)에 정밀하게 토출하여 항상 원하는 양의 제1형광체가 토출되도록 한다.
그 후,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의 제2형광체 대용량 토출기(300a), 즉 대용량 분말토출장치에 의해 제2형광체를 대량으로 적하한 후,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의 제2형광체 미세용량 토출장치(300b), 즉 미세용량 분말토출장치에 의해 미세한 양의 제2형광체를 혼합용기(510)에 정밀하게 토출하여 항상 원하는 양의 제2형광체가 토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의 실리콘경화제대용량 토출기(400a), 즉 적하기에 의해 실리콘경화제를 대량으로 적하한 후,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의 실리콘경화제 미세용량 토출장치(400b), 즉 용적식 정량펌프에 의해 미세한 양의 실리콘경화제를 혼합용기(510)에 정밀하게 토출하여 항상 원하는 양의 실리콘경화제가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혼합용기(510)에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무게는 측정부(52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로 입력되는데, 도 9에 이러한 제어부(600)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측정부(520)에서 측정된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무게가 입력되는 입력부(610)와,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설정값을 저장하고 이를 저장된 설정값을 실시간으로 수정하는 설정부(620)와, 상기 입력부(610)를 통해 입력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무게와 설정부(620)에서 입력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비교부(640)와, 상기 비교부(64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660)와, 상기 판단부(660)의 판단에 따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를 구동하는 구동부(6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정부(620)에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설정값이 각각 저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실제 토출량, 즉 측정량이 설정값과 다르게 되는 경우, 이 측정량을 기초로 다시 설정값을 설정한 후 이를 비교부(640)에 제공한다.
형광층의 형성에서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절대량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들의 혼합비율이 중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실리콘주제의 실제 토출량이 설정값과 다를 경우 측정된 실제 토출량과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혼합비율을 감안하여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설정값을 다시 산출한다.
또한, 설정부(620)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 각각에 대한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이 저장되어 있다. 제1설정값은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의 대용량 토출기에 대한 토출량 설정값이고 제2설정값은 미세용량 토출기에 대한 토출량 설정값이다.
비교부(640)에서는 측정부(520)에서 측정되는 해당 물질(즉,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해당 물질을 토출하는 토출장치가 설정량을 모두 토출하지 않았음을 판단하여 구동부(680)에서 계속 해당 토출장치의 구동을 계속하여 해당 물질의 토출을 계속 진행하고 측정값이 설정값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 해당 물질이 모두 토출되었음을 판단하여 구동부(680)에서 해당 토출장치의 구동을 정지하고 다음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물질을 토출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출시스템을 이용하여 형광체 형성용 물질을 토출하는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에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에 설정값을 설정한다(S101).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530)을 가이드레일(540)을 따라 이동하여 혼합용기(510)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를 구동하여 혼합용기(510)에 실리콘주제를 토출한다(S102). 이때, 상기 실리콘주제는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의 실리콘주제 대용량 토출기(100a)와 실리콘주제 미세용량 토출기(100b)로부터 토출된다.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에서 토출된 실리콘주제의 무게는 측정부(52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600)로 입력되며, 제어부(600)의 비교부(640)에서는 상기 측정부(520)에서 측정된 결과를 설정부(620)에 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한다(S103).
비교결과, 현재의 실리콘주제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α) 이내이면, 정상적인 토출이라고 판단하여 혼합용기(510)를 가이드레일(540)을 따라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로 이동시켜 상기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를 작동하여 혼합용기(510)에 제1형광체를 토출한다(S105).
비교결과, 현재의 실리콘주제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α)를 벗어나되 설정값 보다 작은 양이 토출된 경우에는 실리콘주제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α) 이내로 될 때까지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를 계속 작동하여 실리콘주제의 토출을 계속 진행하며, 현재의 실리콘주제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α)를 벗어나되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토출된 실리콘주제의 토출량을 기준으로 다시 토출량의 설정값을 수정한다(S104). 즉,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혼합비율을 기초하여 현재 토출된 실리콘주제의 토출량에 대한 제1 및 제2형광체와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을 다시 산출하는 것이다.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에서 토출된 제1형광체의 무게는 측정부(52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600)로 입력되며, 제어부(600)의 비교부(640)에서는 상기 측정부(520)에서 측정된 결과, 즉 제1형광체의 토출량을 설정부(620)에 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한다(S106).
비교결과, 현재의 제1형광체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β) 이내이면, 정상적인 토출이라고 판단하여 혼합용기(510)를 가이드레일(540)을 따라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로 이동시켜 상기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를 작동하여 혼합용기(510)에 제2형광체를 토출한다(S108).
비교결과, 현재의 제1형광체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β)를 벗어나되 설정값 보다 작은 양이 토출된 경우에는 제1형광체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β) 이내로 될 때까지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를 계속 작동하여 제1형광체의 토출을 계속 진행하며, 현재의 제1형광체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β)를 벗어나되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토출된 제1형광체의 토출량을 기준으로 다시 토출량의 설정값을 수정한 후 실리콘주제 및 제1형광체의 토출을 다시 실행하여 토출량을 수정한다(S107). 즉,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혼합비율을 기초하여 현재 토출된 제1형광체의 토출량에 대한 실리콘주제, 제2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을 다시 산출하는 것이다.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에서 토출된 제2형광체의 무게는 측정부(52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600)로 입력되며, 제어부(600)의 비교부(640)에서는 상기 측정부(520)에서 측정된 결과, 즉 제2형광체의 토출량을 설정부(620)에 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한다(S109).
비교결과, 현재의 제2형광체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γ) 이내이면, 정상적인 토출이라고 판단하여 혼합용기(510)를 가이드레일(540)을 따라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로 이동시켜 상기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를 작동하여 혼합용기(510)에 제2형광체를 토출한다(S111).
비교결과, 현재의 제2형광체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γ)를 벗어나되 설정값 보다 작은 양이 토출된 경우에는 제2형광체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γ) 이내로 될 때까지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를 계속 작동하여 제2형광체의 토출을 계속 진행하며, 현재의 제2형광체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γ)를 벗어나되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토출된 제2형광체의 토출량을 기준으로 다시 토출량의 설정값을 수정한 후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의 토출을 다시 실행하여 토출량을 수정한다(S110). 즉,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혼합비율을 기초하여 현재 토출된 제2형광체의 토출량에 대한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을 다시 산출하는 것이다.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에서 토출된 실리콘경화제의 무게는 측정부(52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600)로 입력되며, 제어부(600)의 비교부(640)에서는 상기 측정부(520)에서 측정된 결과, 즉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을 설정부(620)에 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한다(S112).
비교결과, 현재의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δ) 이내이면, 정상적인 토출이라고 판단하여 실리콘경화제의 토출을 중단한다.
비교결과, 현재의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δ)를 벗어나되 설정값 보다 작은 양이 토출된 경우에는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δ) 이내로 될 때까지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를 계속 작동하여 실리콘경화제의 토출을 계속 진행하며, 현재의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이 설정값의 오차한계범위(δ)를 벗어나되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토출된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을 기준으로 다시 토출량의 설정값을 수정한 후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을 다시 실행하여 토출량을 수정한다(S113). 즉,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혼합비율을 기초하여 현재 토출된 제2형광체의 토출량에 대한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의 토출량을 다시 산출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에 의해 설정된 토출량의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를 자동으로 토출하여 혼합하여 형광층을 형성하므로, 혼합비의 오차에 의해 형광층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주제 토출장치(100), 제1형광체 토출장치(200), 제2형광체 토출장치(3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400)에 의해 자동으로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를 배출하여 혼합하므로, 신속한 형광층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로서 특정한 구조의 토출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의 토출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점도가 있는 액체 및 분말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토출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토출장치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200: 제1형광체 토출장치
300: 제2형광체 토출장치 400: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
510: 혼합용기 520: 측정부
600: 제어부

Claims (25)

  1. 설정된 양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제1형광체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제2형광체 토출장치;
    설정된 양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 및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형광체, 제2형광체 및 실리콘경화제가 수납되는 혼합용기로 구성된 토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주제 토출장치는,
    대용량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적하기; 및
    미세용량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실리콘주제 용적식 정량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주제 적하기는,
    내부에 실리콘주제가 충진되며, 가스가 공급되는 실린지; 및
    상기 실린지 하부에 구비되어 실리콘주제를 혼합용기로 토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주제 용적식 정량펌프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며, 하부의 일정 영역에 홈이 형성되어 회전 및 상하운동함에 따라 실리콘주제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운동함에 따라 실리콘주제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로 이루어진 토출펌프; 및
    상기 토출펌프로부터 토출된 실리콘주제를 혼합용기로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광체 토출장치는,
    진동에 의해 대량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제1형광체 대용량토출기; 및
    진동에 의해 미세용량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제1형광체 미세량토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광체 대용량토출기 및 제1형광체 미세량토출기는,
    진동자;
    제1형광체가 채워진 용기;
    용기의 제1형광체가 공급되는 공급부;
    상기 진동자에 의해 진동하여 진동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1형광체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1형광체를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지며,
    제1형광체 대용량토출기의 진동의 진폭이 제1형광체 미세량토출기의 진폭보다 크고, 제1형광체 대용량토출기의 노즐의 직경이 제1형광체 미세량토출기의 노즐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광체 토출장치는,
    진동에 의해 대량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제2형광체 대용량토출기; 및
    진동에 의해 미세용량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제2형광체 미세량토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광체 대용량토출기 및 제2형광체 미세량토출기는,
    진동자;
    제2형광체가 채워진 용기;
    상기 용기로부터 제2형광체가 공급되는 공급부;
    상기 진동자에 의해 진동하여 진동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2형광체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2형광체를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지며,
    제2형광체 대용량토출기의 진동의 진폭이 제2형광체 미세량토출기의 진폭보다 크고, 제2형광체 대용량토출기의 노즐의 직경이 제2형광체 미세량토출기의 노즐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는,
    대용량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경화제 적하기; 및
    미세용량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실리콘경화제 용적식 정량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경화제 적하기는,
    내부에 실리콘경화제가 충진되며, 가스가 공급되는 실린지; 및
    상기 실린지 하부에 구비되어 실리콘경화제를 혼합용기로 토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경화제 용적식 정량펌프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며, 하부의 일정 영역에 홈이 형성되어 회전 및 상하운동함에 따라 실리콘경화제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운동함에 따라 실리콘경화제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로 이루어진 토출펌프; 및
    상기 토출펌프로부터 토출된 실리콘경화제를 혼합용기로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에 토출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혼합용기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 및 제2형광체 토출장치,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 사이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레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을 기초로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 및 제2형광체 토출장치,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 설정값을 저장하고 이를 저장된 설정값을 실시간으로 수정하는 설정부;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측정값과 설정부에서 입력되는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 판단된 결과에 따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및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실리콘주제 토출장치, 제1형광체 토출장치, 제2형광체 토출장치,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시스템.
  15. 실리콘주제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혼합용기에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단계;
    제1형광체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실리콘주제가 수납된 혼합용기에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
    제2형광체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실리콘주제 및 제1형광체가 수납된 혼합용기에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
    실리콘경화제 토출장치를 구동하여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가 수납된 혼합용기에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로 구성된 형광물질 배합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토출량 설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토출된 실리콘주제의 토출량과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실리콘주제의 토출량이 토출량 설정값의 오차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토출량 설정값을 수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물질 배합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토출된 제1형광체의 토출량과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제1형광체의 토출량이 토출량 설정값의 오차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토출량 설정값을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토출량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를 다시 토출하는 단계로 구성된 형광물질 배합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토출된 제2형광체의 토출량과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제2형광체의 토출량이 토출량 설정값의 오차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토출량 설정값을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토출량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리콘주제와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를 다시 토출하는 단계로 구성된 형광물질 배합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토출된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과 토출량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실리콘경화제의 토출량이 토출량 설정값의 오차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토출량 설정값을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토출량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를 다시 토출하는 단계로 구성된 형광물질 배합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광체 및 제2형광체는 녹색 형광체, 적색 형광체 및 청색 형광체중 두개의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물질 배합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실리콘주제, 제1 및 제2형광체, 실리콘경화제의 배합비율은 각각 22%, 6%, 6%, 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물질 배합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단계는,
    내부에 실리콘주제가 충진되며, 가스가 공급되는 실린지와 상기 실린지 하부에 구비되어 실리콘주제를 혼합용기로 토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실리콘주제 적하기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단계; 및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며, 하부의 일정 영역에 홈이 형성되어 회전 및 상하운동함에 따라 실리콘주제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운동함에 따라 실리콘주제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로 이루어진 토출펌프와 상기 토출펌프로부터 토출된 실리콘주제를 혼합용기로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실리콘주제 용적식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미세량의 실리콘주제를 토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물질 배합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는,
    제1진동자와, 상기 제1진동자에 의해 진동하여 진동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제1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1형광체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1형광체를 배출하는 제1노즐을 구비한 제1형광체 대용량 토출장치를 이용하여 대량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 및
    제2진동자와, 상기 제2진동자에 의해 진동하되 제1배출관보다 작은 진폭으로 진동하여 상기 진동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제2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1형광체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배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1형광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1노즐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노즐을 구비한 제1형광체 미세용량 토출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용량의 제1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물질 배합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는,
    제3진동자와, 상기 제3진동자에 의해 진동하여 상기 진동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제3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3형광체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배출관과, 상기 제3배출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배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2형광체를 배출하는 제3노즐을 구비한 제2형광체 대용량 토출장치를 이용하여 대량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 및
    제4진동자와, 상기 제4진동자에 의해 진동하되 제3배출관보다 작은 진폭으로 진동하여 상기 진동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제4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2형광체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4배출관과, 상기 제4배출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4배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2형광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3노즐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4노즐을 구비한 제2형광체 미세용량 토출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용량의 제2형광체를 토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물질 배합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단계는,
    내부에 실리콘경화제가 충진되며, 가스가 공급되는 실린지와 상기 실린지 하부에 구비되어 실리콘경화제를 혼합용기로 토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실리콘경화제 적하기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단계; 및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며, 하부의 일정 영역에 홈이 형성되어 회전 및 상하운동함에 따라 실리콘경화제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운동함에 따라 실리콘경화제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로 이루어진 토출펌프와 상기 토출펌프로부터 토출된 실리콘경화제를 혼합용기로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실리콘경화제 용적식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미세량의 실리콘경화제를 토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물질 배합방법.
KR1020100092679A 2010-09-20 2010-09-20 형광체 및 실리콘의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광체 및 실리콘의 배합방법 KR10174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679A KR101748696B1 (ko) 2010-09-20 2010-09-20 형광체 및 실리콘의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광체 및 실리콘의 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679A KR101748696B1 (ko) 2010-09-20 2010-09-20 형광체 및 실리콘의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광체 및 실리콘의 배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868A KR20120030868A (ko) 2012-03-29
KR101748696B1 true KR101748696B1 (ko) 2017-06-19

Family

ID=4613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679A KR101748696B1 (ko) 2010-09-20 2010-09-20 형광체 및 실리콘의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광체 및 실리콘의 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803B1 (ko) * 2012-06-29 2013-12-11 세메스 주식회사 실리콘 및 형광체 배합 장치
KR101535740B1 (ko) * 2014-01-27 2015-07-09 세메스 주식회사 형광체 공급 방법
KR101535741B1 (ko) * 2014-01-29 2015-07-09 세메스 주식회사 실리콘 및 형광체 배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9114A (ja) 2005-05-30 2007-02-22 Sharp Corp 発光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7116035A (ja) 2005-10-24 2007-05-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9114A (ja) 2005-05-30 2007-02-22 Sharp Corp 発光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7116035A (ja) 2005-10-24 2007-05-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868A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3069B (zh) 於基材上分散黏性材料之方法及設備
KR101748696B1 (ko) 형광체 및 실리콘의 토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광체 및 실리콘의 배합방법
KR102494077B1 (ko) 고체 입자를 함유하는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 및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PL196346B1 (pl) Dozownik do precyzyjnego dawkowania płynu i sposób dawkowania płynu
KR20070086149A (ko) 액체 분배 시스템
US2009009043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oncentrated materials
TW201605546A (zh) 用於一分配系統的遠端散裝送料系統及供應黏性材料至一分配系統的方法
KR20040004519A (ko) 콘크리트 재료 계량 장치 및 계량 방법
KR101822601B1 (ko) 분말토출장치 및 분말토출방법
JP2001327905A (ja) 液体材料吐出装置、液体材料の吐出体積の制御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用いた電子部品製造方法
US20140224835A1 (en) Dispensing tool for multi-component substances
JP4576136B2 (ja) 多段シャッター式計量ダンパ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材料供給装置
US6347650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KR101137550B1 (ko) 발광 다이오드 제조용 형광물질 혼합 장치 및 형광 물질 혼합 방법
JP2011156338A (ja) シリンジポンプ
KR100956094B1 (ko) 고점도 접착제의 정량 토출기
JP3445745B2 (ja) 粉粒体定量供給搬出装置
JP4871796B2 (ja) 液体調合装置
TWI827933B (zh) 配給系統及使用其之方法
KR100779216B1 (ko) 이액 혼합 토출장치
CN112639481A (zh) 自动分析装置
KR102267012B1 (ko) 디스플레이 진공 열 증착용 유기물 분말 토출장치 및 토출장치를 구비한 토출 시스템
CN217111926U (zh) 一种水泥密度测试加料系统
JP2007117892A (ja) 吐出装置および塗布装置
CN108556176A (zh) 一种pe粉体输送计量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