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831B1 - Liquid Leakage Detector and Base for Liquid Leakage Detector - Google Patents

Liquid Leakage Detector and Base for Liquid Leakage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831B1
KR101747831B1 KR1020110108530A KR20110108530A KR101747831B1 KR 101747831 B1 KR101747831 B1 KR 101747831B1 KR 1020110108530 A KR1020110108530 A KR 1020110108530A KR 20110108530 A KR20110108530 A KR 20110108530A KR 101747831 B1 KR101747831 B1 KR 10174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iquid
case
light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2864A (en
Inventor
케이스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2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8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3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28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refractive and reflective surfaces, e.g. non-imaging catadioptric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누액 검출 센서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를 구비한다. 베이스에는, 케이스의 저부와 밀착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후면측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액체 도입부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내에는, 투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수용되어 있다. 투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액체 도입부를 통하여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고, 그 수광량에 기초하여 액체 도입부 내에서의 액체의 유무가 검출된다. 베이스에는, 액체 도입부로부터 상면까지 관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의 상면에는, 공기구멍으로부터 밀착면의 외연부까지 연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leak detection sensor includes a case and a bas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ase. The base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ase and a liquid introduction portion which is recessed in the rear side portion of the close contact surface. A light-emitting element and a light-receiving element are accommodated in the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projecting element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rough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iquid in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is detected based on the received light amount. In the base, air holes penetrating from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re is formed a groove extending from the air hole to the outer edge of the contact surface.

Description

누액 검출 장치 및 누액 검출 장치의 베이스{Liquid Leakage Detector and Base for Liquid Leakage Detec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a liquid leakage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생산 라인(line)의 제조 장치로부터의 누액(漏液)이나 그 제조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는 배관으로부터의 누액을 검출하는 누액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age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leakage from a production line of a production line or leakage from a pipe for supplying a liquid to the production line.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누액 검출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조 장치 아래의 설치면에 놓여지고, 그 설치면과 누액 검출 장치 사이로 침입한 액체를 검출한다. 상세하게는, 누액 검출 장치는, 투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수용함과 아울러 투광성을 가진 케이스를 구비한다. 그 케이스의 검출면(설치면과 대향하는 하면)에는,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액체 도입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투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케이스의 액체 도입부를 통하여 수광소자에서 수광되고, 그 수광량에 기초하여 액체 도입부 내의 액체의 유무가 검출된다.Conventionally, this kind of leakage detecting device is placed on, for example, a mounting surface under a manufacturing apparatus, as disclosed i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detects the liquid entering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leakage detecting device. Specifically, the leakage detecting device includes a case having a light-transmitting element and a light-receiving element, and having a light-transmitting property. A liquid introducing portion for introducing the liquid is formed concavely in the detection surface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rough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of the cas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iquid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is detected based on the light reception amount.

이와 같은 누액 검출 장치에서는, 케이스의 검출면의 형상 등의 설정은 예를 들면 피검출 대상이 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변경된다. 그래서 케이스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케이스와 설치면 사이에 투광성을 가진 베이스를 개재시켜, 액체 도입부를 케이스가 아닌 베이스의 설치면과 대향하는 하면에 형성한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액체 도입부를 가지는 검출면의 구성을 변경할 경우에 베이스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끝나기 때문에, 케이스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액체의 검출에 대응할 수 있다.In such a leak detecting apparatus, the setting of the shape of the detection surface of the cas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liquid to be detected, 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versatility of the case, it is conceivable that a liquid-permeable base is interposed between the case and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liquid-introduc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pposed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base.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only the base is changed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surface having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detection of various kinds of liquid without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또한, 이와 같은 누액 검출 장치에 있어서, 액체를 액체 도입부에 침입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액체 도입부로부터 케이스의 하면까지 관통하는 공기구멍을 베이스에 형성하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 및 케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면은 밀착된다. 이 때문에, 공기구멍이 케이스의 베이스와 대향하는 단면(端面)에 의해 막혀버려 액체 도입부 내의 공기를 공기구멍으로 양호하게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Further, in the leakage detec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ir hole penetrating from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is formed in the base, in order to make it easier for the liquid to enter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However, the surfaces of the base and the case facing each oth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 air hole is clogged by the end face opposing the base of the case,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air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can not be satisfactorily discharged into the air hole.

일본 특허공개 2004-5356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53560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도입부 내에 액체를 침입시키기 쉽게 할 수 있는 누액 검출 장치 및 누액 검출 장치의 베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leakage detecting device and a base of a liquid leakage detecting device which can facilitate the entry of liquid into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면에 설치되는 누액 검출 장치로서, 투광성을 가짐과 아울러 하면을 가지는 케이스 내에 투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한 센서 본체부와, 케이스의 하면과 설치면 사이에 개재된 투광성을 가진 베이스를 구비하는 누액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케이스의 하면과 밀착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과 반대측인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액체 도입부를 구비한다. 투광소자로부터 케이스의 하면을 향하여 출사된 광이 액체 도입부를 통하여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고, 그 수광량에 기초하여 액체 도입부 내에서의 액체의 유무가 검출된다. 베이스에는, 액체 도입부로부터 베이스의 상면까지 관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다. 베이스의 상면 및 케이스의 하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투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를 피하여 공기구멍으로부터 밀착면의 외연부까지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ak detection device provided on a mounting surface, comprising: a sensor main body having a translucent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a case having translucency, There is provided a liquid leakage detecting device comprising a base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interposed between a lower surface of a case and a mounting surface. The base has a close contact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liquid introduction part which is recessed in a surface opposite to the close contact surfac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elemen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rough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iquid in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is detected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amount. In the base, an air hole penetrating from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s formed.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is formed with a groove extending from the air hole to the outer edge of the contact surface avoiding the optical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projector.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투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누액 검출 장치의 베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는, 투광성을 가짐과 아울러 케이스의 하면과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케이스의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을 갖는다. 베이스는, 상면에서 케이스의 하면과 밀착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과 반대측인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액체 도입부를 갖는다. 액체 도입부로부터 상면까지 관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다. 상면에는, 투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를 피하여 공기구멍으로부터 밀착면의 외연부까지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se of a leakage detection device having a case that accommodates a light-emitting element and a light-receiving element. The base has a light-transmitting property, and is interposed between a lower surface of the case and a mounting surface, and has an upper surface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The base has an adhering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on the upper surface and a liquid introducing portion which is recess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dhering surface. An air hole penetrating from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groove extending from the air hole to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close contact surface is formed avoiding the optical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element.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면과 베이스 사이로 들어온 액체가 액체 도입부에 침입할 때, 그 액체 도입부 내의 공기가 공기구멍으로부터 홈을 통하여 케이스에 밀착하는 베이스의 밀착면의 외측까지 배출된다. 이 때문에, 액체 도입부 내에 액체를 침입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quid that has entered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base enters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air in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is discharged from the air hole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Therefore, the liquid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검출 센서의 용도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누액 검출 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누액 검출 센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누액 검출 센서의 센서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베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a)의 5b-5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센서 본체부 및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누액 검출 센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투광소자로부터의 광의 진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베이스의 공기구멍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nsor body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of FIG. 2;
FIG. 5A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se, and FIG. 5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b-5b in FIG.
6 is a side view of the sensor body and the base.
7 is a bottom view showing a leakage detection sensor.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rse of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hole around the bas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검출 센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a leak detect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액 검출 센서(1)는, 공장 내의 제조 장치(D) 아래쪽의 설치면(P)에 볼트(미도시)로 설치되어 제조장치(D)로부터의 누액을 검출한다. 누액 검출 센서(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본체부(11)와, 설치면(P)과 센서 본체부(11) 사이에 개재되는 베이스(12)와, 센서 본체부(11)를 설치면(P)에 대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베이스(1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를 갖고 있다.1,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1 is provided with a bolt (not shown) on the installation surface P below the production apparatus D in the factory to detect leakage from the production apparatus D. 2 and 3, the leak detecting sensor 1 includes a sensor main body 11, a base 12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P and the sensor main body 11, (13) for fixing the base (11) to the mounting surface (P) and supporting the base (12).

센서 본체부(11)는, 대략 바닥을 가지는 원통형, 즉 캡(cap) 형상의 케이스(14)와, 케이스(14)의 상부를 수밀(水密)하게 폐색(閉塞)하는 커버(15)와, 케이스(14)로부터 도출된 케이블(16)을 갖는다. 케이스(14)는, 원통형 외주부(21)와, 외주부(21)의 하단을 막는 저부(22)를 갖는다. 케이스(14)의 외주부(21)에서, 저부(22)와 반대측인 상단부에는, 개구(14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4a)는, 대략 원반형인 커버(15)(도 8 참조)로 막혀져 있다. 또한, 케이스(14), 커버(15) 및 상기 베이스(12)는, 투광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을 가진 퍼플루오르 알콕시 알칸(PFA: perfluoro alkoxy alkane) 등의 불소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15)와 케이스(14)의 개구(14a)는 레이저 용접되어 있다.The sensor main body portion 11 include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i.e., cap-shaped case 14, a cover 15 that watertightly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4, And a cable 16 led out from the case 14. The case 14 has a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portion 21 and a bottom portion 22 closing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21. [ An opening 14a is form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21 of the case 14 opposite to the bottom portion 22. [ The opening 14a is closed with a cover 15 (see Fig. 8) which is generally disk-shaped. The case 14, the cover 15 and the base 12 are made of a fluororesin such as perfluoro alkoxy alkane (PFA) having translucency,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The cover 15 and the opening 14a of the case 14 are laser welded.

케이스(14) 외주부(21)의 전후방향(X) 후단부에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돌출하는 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24)에는, 대략 원통형의 케이블 도출부(23)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도출부(23)로부터는 케이블(16)이 케이스(14)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A base portion 24 projecting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s formed at a rear end portion (X)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21 of the case 14. In the base 24,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able lead-out portion 23 is formed so as to protrude. A cable 16 is led out of the case 14 from the cable lead-

지지부재(13)에는, 고정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에는, 고정용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에는, 센서 본체부(11)의 케이블 도출부(23)를 수용하는 수용부(32)가 위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수용부(32)로부터는 케이스(14)의 기부(24)를 지지하는 1쌍의 지지편(33)이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On the support member 13, a fixing portion 31 is formed. The fixing portion 31 is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31a for inserting the fixing bolt. The accommodation portion 32 for accommodating the cable lead-out portion 23 of the sensor main body portion 11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31 so as to extend upward. And a pair of support pieces 33 for supporting the base portion 24 of the case 14 are extend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32.

베이스(12)는, 케이스(14)의 저부(22)와 설치면(P) 사이에 개재된다. 베이스(12)는 대략 원반형이고, 높이방향, 즉 수직방향(Z)에서 보아서 센서 본체부(11)의 케이스(14)와 대략 동형(同形)이다. 또한, 베이스(12)는, 케이스(14)와 마찬가지로 투광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을 가진 PFA 등의 불소수지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2)의 후부(전후방향(X)의 단부)에는, 횡방향(Y)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1쌍의 돌기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3)에서 돌기부(12a)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고정부(31)로부터 앞쪽으로 연장하는 1쌍의 계지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31b)는 베이스(12)의 대응하는 돌기부(12a)에 각각 계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12)가 지지부재(13)로부터 앞쪽으로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된다.The base 12 is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22 of the case 14 and the mounting surface P. The base 12 is substantially disk-shaped and is substantially in the same shape as the case 14 of the sensor main body portion 11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Z. The base 12 is made of a fluororesin such as PFA having translucency,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similar to the case 14. A pair of protruding portions 12a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ateral direction Y are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12 (end portio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A pair of locking portions 31b extending forward from the fixing portion 3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s 12a in the supporting member 13. [ The locking portions 31b are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projecting portions 12a of the base 12, respectively. Thereby preventing the base 12 from falling out of the support member 13 in the forward direction.

또한, 베이스(12)에는, 그 외연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1쌍의 계지 돌기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지 돌기부(12b)가 케이스(14)의 외주부(21)의 하단에 형성된 계지 오목부(21c)에 둘레방향으로 계지됨으로써 케이스(14)에 대한 베이스(12)의 둘레방향 회전 방지가 이루어진다.The base 12 is formed with a pair of locking projections 12b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edge thereof. These locking projections 12b are lock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locking concave portion 21c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21 of the case 14 to prevent the base 12 from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se 14. [

이와 같은 베이스(12)에 있어서, 설치면(P)과 대향하는 하면이 검출면(12c)이다. 베이스(12)의 검출면(12c)의 반대측인 상면(케이스와 대향하는 상면(12d))에는, 도 3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4)의 저부(22)(베이스(12)와 대향하는 하면)와 밀착하는 밀착면(41)이 형성되어 있다. 밀착면(41)은, 베이스(12)의 중앙부에서 전연부(前緣部)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2)의 상면(12d)에서 밀착면(41)의 주위에는 복수의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In such a base 12,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mounting surface P is the detection surface 12c. As shown in Figs. 3 and 5 (a), on the upper surface (the upper surface 12d opposite to the case) opposite to the detection surface 12c of the base 12,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base 12). The contact surface 41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12 to the front edge portion. A plurality of recesses 42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2d of the base 12 around the contact surface 41. [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2)의 검출면(12c)의 중앙부에는, 원형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 원형 오목부(43)의 둘레에는 평면형의 환상면(環狀面)(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면(44)의 후단측(후술할 제2검출부와는 반대측)에는 원형 오목부(43)를 향하여 돌출하는 원호형 가이드(44a)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 circular recess 4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etection surface 12c of the base 12. A planar annular surface 44 is formed around the circular concave portion 43. An arcuate guide 44a protruding toward the circular concave portion 43 is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annular surface 44 (the side opposite to the second detecting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누액 검출 센서(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면(P)과 베이스(12) 사이의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제1검출부(S1) 및 제2검출부(S2)를 갖고 있다. 제1 및 제2검출부(S1,S2)는, 베이스(12)의 밀착면(41)(도 3 및 도 5의 (a))의 내측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하면, 제1 및 제2검출부(S1,S2)는, 전후방향(X)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1검출부(S1)는 누액 검출 센서(1)의 중앙 위치에 형성되고, 제2검출부(S2)는 누액 검출 센서(1)의 전연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7, the leakage detecting sensor 1 has a first detecting portion S1 and a second detecting portion S2 for detecting a liquid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P and the base 12 . The first and second detecting portions S1 and S2 are provided in an inner range of the contact surface 41 (FIG. 3 and FIG. 5 (a)) of the base 12. The first and second detecting portions S1 and S2 are provided in parallel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The first detecting portion S1 is form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leakage detecting sensor 1, 2 detection unit S2 is formed at a position near the leading edg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1. [

제1검출부(S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2)의 원형 오목부(43) 내에 형성된 1쌍의 베이스 융기부(45)를 갖고 있다. 이 1쌍의 베이스 융기부(45)는, 베이스(12)에 횡방향(Y)을 따라 병설되어 있다. 또한, 각 베이스 융기부(45)는 설치면(P)(케이스(14)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각 베이스 융기부(45)의 케이스(14)와 대향하는 부분은 오목부로 되어 있다(도 3 참조). 각 베이스 융기부(45)에서 횡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45a)은, 베이스 융기부(45)의 하단을 향하여 감에 따라, 즉 설치면(P)에 근접함에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1쌍의 대향면(45a)과 대향면(45a)의 상단을 연결하는 천정면(45b)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액체 도입부(G1)로 되어 있다. 이 액체 도입부(G1)는, 베이스(12)의 전후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7, the first detecting portion S1 has a pair of base raised portions 45 formed in a circular recess 43 of the base 12. The base elevating portion 45 has a pair of base raised portions 45, The pair of base raised portions 45 are juxtaposed to the base 12 along the lateral direction Y. [ Each of the base raised portions 45 protrudes toward the mounting surface P (direction away from the case 14), and a portion of each base raised portion 45, which faces the case 14, (See FIG. 3). The opposing faces 45a facing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Y of the respective base raised portions 4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y approach the lower end of the base raised portion 45, Respectively. A space formed by the ceiling surface 45b connecting the pair of opposed surfaces 45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pposed surface 45a serves as a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extend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X of the base 12. [

또한, 제1검출부(S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4)의 저부(22)에서 횡방향(Y)으로 병설된 1쌍의 케이스 융기부(46)를 갖고 있다. 각 케이스 융기부(46)는, 베이스(12)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그 내측 부분은 오목부로 되어 있다. 1쌍의 케이스 융기부(46)는, 1쌍의 베이스 융기부(45)의 케이스(14)와 대향하는 오목부에 각각 끼워 넣어져 밀착되어 있다(도 8 참조).4, the first detecting portion S1 has a pair of case raised portions 46 which are juxta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Y on the bottom portion 22 of the case 14. As shown in Fig. Each of the case raised portions 46 protrudes toward the base 12, and the inner portion thereof is a concave portion. The pair of case ridges 46 are respectively fitted into the recesses opposed to the case 14 of the pair of base ridges 45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ee Fig. 8).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검출부(S1)는, 케이스(14)의 내부에 배치된 투광소자(47) 및 수광소자(48)를 갖고 있다. 투광소자(47) 및 수광소자(48)는, 케이스(14) 내에 수용된 회로기판(미도시)에 설치되고, 1쌍의 케이스 융기부(46)의 위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8, the first detection unit S1 has a light-transmitting element 47 and a light-receiving element 48 disposed inside the case 14. The light- The light projecting element 47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48 are provided on a circuit board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case 14 and are arranged above the pair of case ridges 46, respectively.

제2검출부(S2)는, 상기 제1검출부(S1)와 대략 마찬가지로, 1쌍의 베이스 융기부(51), 1쌍의 케이스 융기부(52), 투광소자(53) 및 수광소자(54)를 갖는다. 1쌍의 베이스 융기부(51)의 대향면(51a) 사이에는 액체 도입부(G2)(도 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제2검출부(S2)에는, 베이스(12)의 액체 도입부(G2)를 전후방향(X)으로 사이에 둔 위치에 설치된 1쌍의 안내 돌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 돌출부(55)는, 설치면(P)(케이스(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그 케이스(14)와 대향하는 부분은 오목부로 되어 있다. 또한 액체 도입부(G2)의 천정면(51b)에는, 공기빼기를 위한 공기구멍(51c)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detecting portion S2 includes a pair of base ridges 51, a pair of case ridges 52, a light emitting element 53,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54, which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detecting portion S1. . A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2 (Fig. 7) is formed between the opposed surfaces 51a of the pair of base rises 51. In addition, the second detecting portion S2 is provided with a pair of guide projections 55 provided at positions at which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G2 of the base 12 is loc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respectively. Each guide protrusion 55 protrudes toward the mounting surface P (direction away from the case 14), and a portion facing the case 14 is a concave portion. An air hole 51c for air venting is formed in the ceiling face 51b of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2.

또한, 베이스(12)의 환상면(44)에는, 3개의 원기둥형 다리부(44b)가 설치면(P)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각 다리부(44b)는 설치면(P)과 맞닿아 있다. 다리부(44b)의 길이에 의해 설치면(P)으로부터 환상면(44)까지의 간격이 결정되고, 그 다리부(44b)의 길이는 피검출 대상이 되는 액체에 따라 설정된다. 즉, 피검출 대상이 되는 액체에 따라 설치면(P)으로부터 환상면(44)까지의 간격을 변경할 경우, 다리부(44b)의 길이가 다른 타입의 베이스(12)로 변경하는 것만으로 족하기 때문에 센서 본체부(11)의 범용성이 향상된다.Three circular columnar leg portions 44b are formed on the annular surface 44 of the base 12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mounting surface P (see Fig. 6). Each of the leg portions 44b is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P. The distance from the mounting surface P to the annular surface 44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leg portion 44b and the length of the leg portion 44b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liquid to be detected. In other words, when changing the distance from the mounting surface P to the annular surface 44 in accordance with the liquid to be detected, it is only necessary to change the length of the leg portion 44b to the base 12 of a different type The versatility of the sensor main body portion 11 is improved.

상기 누액 검출 센서(1)의 제1 및 제2검출부(S1,S2)의 검출 태양은 대략 같기 때문에 제1검출부(S1)를 예로 하여 도 8을 따라 설명한다.Since the detec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S1 and S2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1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 first detection unit S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1검출부(S1)의 투광소자(47)로부터 출사된 광은, 일측(도 8에 있어서 좌측)의 케이스 융기부(46) 및 베이스 융기부(45)의 대향면(45a)을 통과한다. 이때, 제1검출부(S1)의 액체 도입부(G1)에 액체가 침입되어 있지 않고, 대향면(45a)에 액체가 접촉되어 있지 않으면, 투광소자(47)로부터의 광은 좌측의 대향면(45a)에서 굴절하여, 타측(우측)의 베이스 융기부(45)의 대향면(45a) 및 케이스 융기부(46)를 통과하여 수광소자(48)에 수광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element 47 of the first detecting portion S1 passes through the case ridge 46 on one side (the left side in Fig. 8) and the opposite surface 45a of the base ridge 45. At this time, if the liquid does not enter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G1 of the first detecting portion S1 but the liquid does not contact the opposing face 45a, the light from the light transmitting element 47 is reflected by the left opposing face 45a And passes through the opposing face 45a of the base ridge 45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and the case ridge 46 to be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48.

이에 반하여, 액체 도입부(G1) 내에 침입한 액체가 대향면(45a)과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좌측의 대향면(45a)에서의 굴절률이 변화하기 때문에, 수광소자(48)에서의 수광량은, 액체 도입부(G1) 내에 액체가 침입하여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변화한다. 즉, 수광소자(48)에서의 수광량은, 베이스 융기부(45)들 사이의 액체의 유무에 따라 변화하고, 수광소자(48)는 그 수광량에 따라 수광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liquid entering the liquid inlet G1 is in contact with the opposed surface 45a, the refractive index at the opposed surface 45a at the left changes, And changes from a state in which no liquid has entered the introduction portion G1. That is,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48 va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between the base raised portions 45,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48 outputs a light receiving signal to a control unit (not shown) according to the received light amount.

또한, 이와 같은 누액 검출 센서(1)에서는, 제조 장치(D)로부터의 누액이 설치면(P)에 부착하고, 베이스(12)와 설치면(P)의 사이의 틈에 액체가 유입한다. 그러면, 먼저, 베이스(12)의 하면(검출면(12c))에서 원형 오목부(43) 주위의 환상면(44)과 설치면(P) 사이의 틈으로 액체가 유입하고, 다음으로, 원형 오목부(43)와 설치면(P) 사이의 틈으로 누액이 유입한다.In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1, the leakage from the production apparatus D adheres to the installation surface P and the liquid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base 12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P. First, the liquid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annular surface 44 around the circular recess 43 and the mounting surface P on the lower surface (detection surface 12c) of the base 12, and then, The leakage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concave portion 43 and the mounting surface P.

상술하면, 베이스(12)의 환상면(44)과 설치면(P) 사이의 틈으로 유입한 액체는, 우선, 모세관 현상의 추진력 및 새로 액체가 공급됨에 따른 유입방향으로의 압력에 의해 환상면(44)과 설치면(P) 사이의 틈으로 퍼져 간다. 여기서, 원형 오목부(43)와 설치면(P) 사이의 틈은, 환상면(44)과 설치면(P) 사이의 틈보다 크기 때문에, 베이스(12)와 설치면(P) 사이로 침입한 누액이 원형 오목부(43)로 침입하기 어려워, 그 누액은 주로 원형 오목부(43) 이외의 환상면(44)의 부분으로 퍼져 간다. 그리고 누액이 환상면(44)의 전체로 퍼진 상태에서 베이스(12)와 설치면(P) 사이로 누액이 더 침입하면, 상기 가이드(44a)로부터 원형 오목부(43) 안으로 액체가 유입한다.The liquid that has flowed into the gap between the annular surface 44 of the base 12 and the mounting surface P is first heated by the propulsion force of the capillary phenomenon and the pressure in the inflow direction due to the supply of the new liquid, (44) and the mounting surface (P). Since the gap between the circular concave portion 43 and the mounting surface P is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annular surface 44 and the mounting surface P, the gap between the base 12 and the mounting surface P It is difficult for the leakage liquid to intrude into the circular concave portion 43, and the leakage thereof mainly spreads to the portion of the annular surface 44 other than the circular concave portion 43. The liquid flows into the circular recess 43 from the guide 44a when the leakage penetrates further between the base 12 and the mounting surface P in the state where the leakage liquid spreads to the entirety of the annular surface 44. [

요컨대, 제조 장치(D)로부터의 누액이 일정량 이하인 경우, 그 누액은 환상면(44)과 설치면(P) 사이의 틈까지 유입한다. 이에 반하여, 제조 장치(D)로부터의 누액이 일정량을 초과할 경우, 그 누액은, 환상면(44)과 설치면(P) 사이의 틈으로부터 원형 오목부(43) 안까지 유입한다. 이 베이스(12)에 있어서, 환상면(44)으로 유입하는 누액을 검출할 부분에 제2검출부(S2)를 설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원형 오목부(43)로 유입하는 누액을 검출할 부분에 제1검출부(S1)를 설치함으로써 제1 및 제2검출부(S1,S2)의 액체 검출에 시차(time lag)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누액 검출 센서(1)의 누액 검출의 편차(variation)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amount of leakage from the manufacturing apparatus D is equal to or less than a certain amount, the leakage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annular surface 44 and the mounting surface P. [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leakage from the manufacturing apparatus D exceeds a certain amount, the leakage flows into the circular recess 43 from the gap between the annular surface 44 and the mounting surface P. [ In the base 12, the second detecting portion S2 is provided at a portion for detecting the leakage flowing into the annular surface 44, and the second detecting portion S2 is provided at a portion for detecting leakage flowing into the circular recessed portion 43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ime lag in detection of the liqui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S1 and S2 by providing the first detection unit S1.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variation of leak detection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1.

이와 같은 누액 검출 센서(1)에 있어서,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검출부(S1)의 베이스 융기부(45)들 사이에는, 액체 도입부(G1)로부터 베이스(12)의 상면(12d)(검출면(12c)과는 반대측인 면)까지 수직방향(Z)을 따라 관통된 공기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 공기구멍(61)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2)의 상면(12d)에는, 공기구멍(61)으로부터 밀착면(41)의 외연부(41a)까지 연장하는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62)은, 투광소자(47)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를 피하여 베이스(12)의 후단측(제2검출부(S2)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3 and Fig. 5, the liquid is introduced from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 through the base ridge portions 45 of the first detection portion S1, An air hole 61 penetrat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Z to the surface 12d (surface opposite to the detection surface 12c) is formed. In the plan view,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ir hole 6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groove 62 extending from the air hole 61 to the outer edge 41a of the contact surface 4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d of the base 12. The groove 62 extends toward the rear end side (the side opposite to the second detection section S2) of the base 12, away from the optical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홈(62)은, 천저부(얕은 바닥부)(63)와 1쌍의 심저부(깊은 바닥부)(64)를 갖는다. 천저부(63)는, 베이스(12)의 공기구멍(61)으로부터 액체 도입부(G1)의 후측 부분을 통과하여 밀착면(41)의 대략 외연까지 전후방향(X)을 따라 연장한다. 1쌍의 심저부(64)는, 그 천저부(63)와 밀착면(41)의 외연부(41a)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심저부(64)는, 천저부(63)의 횡방향(Y)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심저부(64)의 깊이(T2)는, 천저부(63)의 깊이(T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심저부(64)는, 베이스 융기부(45)로부터 밀착면(41) 주위의 오목부(42)까지 전후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천저부(63) 및 심저부(64)의 깊이(T1,T2)는 각각, 천저부(63) 및 심저부(64)의 저면으로부터 베이스(12)의 밀착면(41)까지의 수직방향(Z)의 치수이다. 이 천저부(63)와 심저부(64)로 이루어지는 홈(62)에 의해, 공기구멍(61)과 연통하는 간극이 베이스(12)와 케이스(1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2)의 상면(12d)에 있어서 공기구멍(61)보다 제2검출부(S2)에 가까운 곳은, 케이스(14)의 저부(22)와 밀착하는 밀착면(41)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밀착면(41)은, 공기구멍(61) 부분에서 경사부(65)를 거쳐 천저부(63)로 이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groove 62 has a cloth bottom portion (shallow bottom portion) 63 and a pair of deep portions (deep bottom portions) 64. The cloth bottom portion 63 extends from the air hole 61 of the base 12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and extend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to the substantially outer edge of the contact surface 41. [ The pair of deep bottom portions 64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the cloth bottom portion 63 and the outer edge portion 41a of the close contact surface 41 with each other. The deep bottom portion 6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oth bottom portion 63 in the lateral direction Y, respectively. The depth T2 of the deep bottom portion 64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epth T1 of the cloth bottom portion 63. [ Each of the deep bottom portions 64 extend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from the base raised portion 45 to the recessed portion 42 around the fastening surface 41. The depths T1 and T2 of the bottom bottom portion 63 and the deep bottom portion 64 are set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bottom portion 63 and the deep bottom portion 64 to the close surface 41 of the base 12, Direction < / RTI > A gap communicating with the air hole 61 is formed between the base 12 and the case 14 by the groove 62 made up of the cloth bottom portion 63 and the deep bottom portion 64. [ 9,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2d of the base 12 closer to the second detecting portion S2 than the air hole 6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22 of the case 14 (41). The contact surface 41 is formed so as to move from the air hole 61 to the cloth bottom portion 63 via the inclined portion 65.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검출부(S1)에서, 액체가 액체 도입부(G1)에 침입할 때, 액체 도입부(G1) 내의 공기는 액체의 유입 압력에 의해 공기구멍(61)을 통하여 홈(62)의 천저부(63)에서 심저부(64)로 흐른다. 그 후에, 그 공기는, 심저부(64)에서 오목부(42)로 흐르고, 최종적으로 케이스(14)와 베이스(12) 외주부 사이의 틈으로부터 센서 본체부(11)의 옆쪽(수직방향(Z)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흐른다. 이와 같이 액체 도입부(G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액체의 유입 압력이 적더라도 액체 도입부(G1)로 칩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The air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is guided to the cloth bottom portion 63 of the groove 62 through the air hole 61 by the inflow pressure of the liquid when the liquid intrudes into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in the first detection portion S1 ) To the deep portion 64 of the bottom portion. Thereafter, the air flows from the deep bottom portion 64 to the recessed portion 42 and finally flows from the clearance between the case 14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ase 12 to the side of the sensor main body 11 (I.e.,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the air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inflow pressure of the liquid is small, it is easy to get into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또한, 홈(62)은, 액체 도입부(G1)의 후면에 위치하는 천저부(63)와, 그 천저부(63)로부터 밀착면(41)의 외연부(41a)까지 연장하는 심저부(64)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천저부(63)에 의해 액체 도입부(G1)의 깊이(수직방향(Z)의 치수)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된 액체 검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액체 도입부(G1) 내의 공기는, 천저부(63)보다 깊은 심저부(64)에 의해 밀착면(41)의 외측까지 원활하게 흐르도록 되어 있다.The groove 62 has a bottom bottom portion 63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and a deep bottom portion 64 extending from the bottom bottom portion 63 to the outer edge portion 41a of the close- ). Therefore, the depth of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Z) can be sufficiently secured by the cloth bottom portion 63, and stable liquid detection can be performed. The air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flows smoothly to the outer side of the contact surface 41 by the deep bottom portion 64 deeper than the cloth bottom portion 63. [

또한, 홈(62)의 천저부(63) 및 심저부(64)의 깊이(T1,T2)와 공기구멍(61)의 유로 면적(단면적으로서 평면시에서 볼 때의 공기구멍(61)의 면적)이 다른 복수의 베이스(12)가 준비되어 있다. 이들 베이스(12)를 피검출 대상인 액체에 따라 센서 본체부(11)에 대하여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액체의 점도가 높아서 액체 도입부(G1)로 침입시키기 어려운 경우에, 그 액체에 적합한 베이스(12)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depths T1 and T2 of the bottom bottom portion 63 and the deep bottom portion 64 of the groove 62 and the flow passage area (the area of the air hole 61 as viewed in plan) A plurality of bases 12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prepared. And these bases 12 can be exchanged with respect to the sensor main body part 11 in accordance with the liquid to be detected.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viscosity of the liquid is high and it is difficult to invade into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the base 12 suitable for the liquid can be selectively used.

아울러, 제2검출부(S2)의 액체 도입부(G2)에도 공기구멍(51c)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공기구멍(51c)의 주변 부분에는, 제1검출부(S1)의 공기구멍(61)의 주변 부분에 설치한 것과 같은 홈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는, 제2검출부(S2)가 베이스(12)의 전연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액체 도입부(G2)에 액체가 침입할 때에는 충분한 유입 압력이 얻어지고, 상기 액체 도입부(G2) 내의 공기가 공기구멍(51c)에서 안내 돌출부(55)의 후면측(케이스(14)측)의 오목부를 통하여 외부로 흐르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제1검출부(S1)는, 베이스(12)의 중앙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액체 도입부(G1)로의 액체의 유입 압력이 작아지는 경향이 많다. 이 때문에, 홈(62)을 제1검출부(S1)의 액체 도입부(G1)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홈(62)의 공기배출효과를 더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Although the air hole 51c is formed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2 of the second detection portion S2 as well,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air hole 51c is surrounded by the periphery of the air hole 61 of the first detection portion S1 There is not the same groove installed in the part. This is because a sufficient inflow pressure is obtained when the liquid enters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2 because the second detection portion S2 is provided at the leading edge portion of the base 12 and air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2 is air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flow to the outside from the hole 51c through the concave portion on the rear surface side (the case 14 side) of the guide projection portion 55.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detection section S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12, the inflow pressure of the liquid to the liquid introduction section G1 tends to be small. Therefore, by providing the grooves 62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of the first detection portion S1, the air venting effect of the grooves 62 can be more remarkably obtained.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효과를 기재한다.Next,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 베이스(12)에는, 액체 도입부(G1)로부터 상면(12d)까지 관통하는 공기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2)의 상면(12d)에는, 공기구멍(61)으로부터 밀착면(41)의 외연부(41a)까지 연장하는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설치면(P)과 베이스(12) 사이로 들어온 액체가 액체 도입부(G1)에 침입할 때, 그 액체 도입부(G1) 내의 공기가 공기구멍(61)으로부터 홈(62)을 통하여 케이스(14)에 밀착하는 베이스(12)의 밀착면(41)의 외측까지 배출된다. 이 때문에, 액체 도입부(G1) 내에 액체를 쉽게 침입시킬 수 있다.(1) In the base 12, an air hole 61 penetrating from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to the upper surface 12d is formed. A groove 62 extending from the air hole 61 to the outer edge 41a of the contact surface 4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d of the base 12. The air in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G1 flows from the air hole 61 through the groove 62 to the case 14 through the groove 62 when the liquid that has entered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P and the base 12 enters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G1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surface 41 of the base 12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12. Therefore, the liquid can easily enter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또한, 홈(62)은, 투광소자(47)와 수광소자(48) 등의 주요 부품을 내부에 구비하기 위하여 설계상의 제약이 많은 케이스(14)가 아니라, 베이스(12)에 형성되기 때문에 홈(62)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Since the groove 62 is formed in the base 12 instead of the case 14 having many design constraints in order to provide the main components such as the light emitting element 47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48 therei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design of the mold 62.

(2) 베이스(12)의 상면(12d)에 형성된 홈(62)은, 베이스(12)에서 적어도 액체 도입부(G1)의 후면측 부분에 형성된 공기구멍(61)과 연통하는 천저부(63)와, 상기 천저부(63)와 밀착면(41)의 외연부(41a)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심저부(64)를 갖는다. 심저부(64)의 깊이(T2)는, 천저부(63)의 깊이(T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홈(62)에 있어서 액체 도입부(G1) 의 후면측 부분에 형성되어 공기구멍(61)과 연결되는 부분이 천저부(63)로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천저부(63)로부터 밀착면(41)의 외연부(41a)까지의 부분이 심저부(64)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천저부(63)에 의해 액체 도입부(G1)의 깊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천저부(63)와 연결되는 심저부(64)에 의해 액체 도입부(G1) 내의 공기를 밀착면(41)의 외측까지 적절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2) The grooves 62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2d of the base 12 include a bottom bottom 63 communicating with at least the air hole 61 formed in the back side portion of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G1 in the base 12, And a deep bottom portion 64 formed so as to communicate the outer edge portion 41a of the sealing surface 41 with the cloth bottom portion 63. [ The depth T2 of the deep bottom portion 64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epth T1 of the cloth bottom portion 63. [ That is, the portion of the groove 6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and connected to the air hole 61 is formed as a cloth bottom portion 63, And the outer edge portion 41a of the bottom portion 41a is formed as a deep bottom portion 64. The air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is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close contact surface 41 by the deep portion 64 connected to the cloth bottom portion 63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depth of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by the cloth bottom portion 63 As shown in Fig.

(3) 베이스(12)가 센서 본체부(11)에 대하여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검출 대상인 액체에 따라, 예를 들면 홈(62)의 천저부(63) 및 심저부(64)의 깊이(T1,T2)와 공기구멍(61)의 유로 면적(단면 면적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의 공기구멍(61)의 면적)이 다른 베이스(12)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액체의 점도가 높아서 액체 도입부(G1)로 침입시키기 어려운 경우에, 그 액체에 적합한 베이스(12)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3) The base 12 is configured to be exchangeable with respect to the sensor main body portion 11. The depth T1 and the depth T2 of the bottom bottom portion 63 and the deep bottom portion 64 of the groove 62 and the flow path area of the air hole 61 The area of the air hole 61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base 12)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base 12.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viscosity of the liquid is high and it is difficult to invade into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the base 12 suitable for the liquid can be selectively used.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s follows.

- 상기 실시예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공기구멍(61)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공기구멍(61)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전후방향(X)(즉, 액체 도입부(G1)의 형상)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長孔)형(타원형이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기구멍(61)의 단면 형상이 평면에서 볼 때 액체 도입부(G1)를 따르는 장공형을 이루기 때문에 공기구멍(61)의 단면 형상(유로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액체 도입부(G1) 내의 공기를 홈(62)으로 배출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기구멍(61)의 전후방향(X)의 치수는, 액체 도입부(G1)의 전후방향(X)의 치수의 반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ir hole 61 in the plan view is circular. Instea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ir hole 61 may be formed into a long hole shape (oval or rectangular) extending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X (that is, the shape of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ir hole 61 is a long shape along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in plan view, the sectional shape (flow passage area) of the air hole 61 can be made large,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air in the groove G1 into the groove 62. [ The dimension of the air hole 6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is preferably set to be half or more of the dimens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of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G1.

- 상기 실시예에서는, 홈(62)의 천저부(63)는, 공기구멍(61)으로부터 밀착면(41)의 외연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대신에, 예를 들면 천저부(63)가 공기구멍(61)으로부터 베이스 융기부(45)의 후단부(제2검출부(S2)로부터 더 멀어진 위치에 있는 단부)까지 연장되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loth bottom portion 63 of the groove 62 extends from the air hole 61 to the outer edge of the contact surface 41. The cloth bottom portion 63 may extend from the air hole 61 to the rear end of the base raised portion 45 (the end located farther from the second detection portion S2).

- 상기 실시예에서는, 홈(62)은 천저부(63)와 심저부(64)를 구비한다. 이 대신에, 예를 들면 홈(62)의 홈 깊이는 일정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groove 62 has a cloth bottom portion 63 and a deep bottom portion 64. Instead, for example, the groove depth of the groove 62 may be constant.

- 상기 실시예에서는, 홈(62)은 베이스(12)에 형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예를 들면 홈(62)은 케이스(14)의 저부(22)에 형성되어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grooves 62 are formed in the base 12. Instead, for example, the groove 62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2 of the case 14. Fig.

- 상기 실시예에서는, 누액 검출 센서(1)는, 제1검출부(S1) 및 제2검출부(S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대신에, 예를 들면 제2검출부(S2)가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누액 검출 센서(1)는, 3개 이상의 검출부를 구비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1 is provided with the first detection unit S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S2. 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second detection section S2 may be omitted. Further, the leakage detecting sensor 1 may be provided with three or more detecting portions.

11: 센서 본체부
12: 베이스
13: 지지부재
14: 케이스
41: 밀착면
G1 : 액체 도입부
47: 투광소자
48: 수광소자
61: 공기구멍
62: 홈
63: 천저부
64: 심저부
11:
12: Base
13: Support member
14: Case
41: close face
G1: liquid introduction part
47:
48: Light receiving element
61: air hole
62: home
63: Cloth bottom
64:

Claims (6)

설치면에 설치되는 누액 검출 장치로서,
투광성을 가짐과 아울러 하면을 가지는 케이스 내에 투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한 센서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상기 설치면 사이에 개재된 투광성을 가지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밀착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과 반대측인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액체 도입부를 가지며,
상기 투광소자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을 향하여 출사된 광이 상기 액체 도입부를 통하여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고, 그 수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 도입부 내에서의 액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누액 검출 장치이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액체 도입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상면까지 관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투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를 피하여 상기 공기구멍으로부터 상기 밀착면의 외연부까지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도입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홈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공기구멍의 단면 형상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액체 도입부를 따라 연장하는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검출 장치.
A leak detector mounted on a mounting surface,
A sensor body portion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a cas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base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mounting surface,
Wherein the base has a contact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liquid introduction portion which is recess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close contact surface,
A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in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based on th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ption element through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from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elemen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The base includes an air hole penetrating from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extend from the air hole to the outer edge of the contact surface avoiding an optical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Wherein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groove when viewed in plan view,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ir hole is formed to have a long shape extending along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when viewed in a plan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에서 적어도 상기 액체 도입부와 반대측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구멍과 연통하는 천저부와, 상기 천저부와 상기 밀착면의 외연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천저부보다 깊이가 큰 심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검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in the bas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hole and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t leas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from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cloth bottom, Wherein the liquid leakage detection device has a large deep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센서 본체부에 대하여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검출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e is exchangeable with respect to the sensor main body.
투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누액 검출 장치의 베이스로서,
상기 베이스는, 투광성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하면과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밀착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과 반대측인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액체 도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 도입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상면까지 관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투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를 피하여 상기 공기구멍으로부터 상기 밀착면의 외연부까지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도입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홈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공기구멍의 단면 형상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액체 도입부를 따라 연장하는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검출 장치의 베이스.
As a base of a liquid leakage detecting device having a case accommodat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The base has an upper surface op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and being interposed between a lower surface and a mounting surface of the case,
And a liquid introduction part formed concavely in a surface opposite to the close contact surface,
An air hole penetrating from the liquid introduction portion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is formed,
Wherein a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o as to extend from the air hole to the outer edge of the contact surface avoiding an optical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Wherein the liquid introduc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groove when viewed in plan view,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ir hole is formed to have a long-axis shape extending along the liquid-introducing portion when viewed in a plan view.
삭제delete
KR1020110108530A 2011-04-28 2011-10-24 Liquid Leakage Detector and Base for Liquid Leakage Detector KR10174783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1262A JP5745325B2 (en) 2011-04-28 2011-04-28 Leak detection device and base of leak detection device
JPJP-P-2011-101262 2011-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864A KR20120122864A (en) 2012-11-07
KR101747831B1 true KR101747831B1 (en) 2017-06-15

Family

ID=4619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530A KR101747831B1 (en) 2011-04-28 2011-10-24 Liquid Leakage Detector and Base for Liquid Leakage Det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45325B2 (en)
KR (1) KR101747831B1 (en)
CN (1) CN202274978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8950A (en) * 2014-01-03 2014-04-16 合肥彩虹蓝光科技有限公司 Online liquid leakage monitoring device
CN106483070B (en) * 2016-12-20 2023-08-18 杭州聚光环保科技有限公司 Flow cell applied to liquid on-line detection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08501297A (en) * 2017-10-14 2018-09-07 上海尚耐自动化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ealing shell of photoelectric sensor under ultraviolet light environments
KR102006409B1 (en) * 2018-01-03 2019-08-01 오토센서코리아(주) Liquid leakage sensor with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JP6940155B2 (en) * 2018-08-10 2021-09-22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Diaphragm valve using diaphragm memb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0856A (en) * 1999-08-16 2001-02-23 Tsuuden:Kk Liquid leak sensor
JP2004294164A (en) * 2003-03-26 2004-10-21 Tsuuden:Kk Liquid leakag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1891A (en) * 1990-02-28 1995-02-21 Leopold Kostal Gmbh & Co. Kg Moisture sensing device
JP3756683B2 (en) * 1998-12-11 2006-03-15 株式会社ツーデン Leak sensor
JP3500351B2 (en) * 2000-07-31 2004-02-23 サンクス株式会社 Liquid leak sensor
JP4374173B2 (en) * 2002-07-24 2009-12-02 サンクス株式会社 Leak sensor
US7158039B2 (en) * 2003-03-26 2007-01-02 Tsuden Kabushiki Kaisha Liquid leakage sensor and liquid leakage detect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0856A (en) * 1999-08-16 2001-02-23 Tsuuden:Kk Liquid leak sensor
JP2004294164A (en) * 2003-03-26 2004-10-21 Tsuuden:Kk Liquid leakag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33744A (en) 2012-11-29
KR20120122864A (en) 2012-11-07
CN202274978U (en) 2012-06-13
JP5745325B2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31B1 (en) Liquid Leakage Detector and Base for Liquid Leakage Detector
CN106551683A (en) Optical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ement equipment with intermeshing optical barrier feature
US8654337B2 (en) Turbidity sensor
JP2015212954A (en) Integrated smoke cell
CN101978400A (en) Sensor
KR100733255B1 (en) Oil mist detector
JP2011248547A (en) Attachment structure of batteries in fire sensor
KR101613479B1 (en) Pressure sensor
JP2019016266A (en) Alarm device
CN102853879B (en) Fluid sensor
KR101632112B1 (en) Displacement sensor
JP5637718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EP3540389A1 (en) Photoelectric sensor
KR20090088928A (en) Equalizing container for a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JP5442207B2 (en) Lighting device and smoke detector
KR20190019747A (en) Light-scattering type particle sensor
US10983550B2 (en) Illumination switch device
KR20180112624A (en) Sensor
KR200352650Y1 (en) A structure of a sensing device for smoke
CN214201772U (en) Cliff sensing device and mobile robot
CN117593844A (en) Smoke detector with insect prevention function
TWI768934B (en) Distance sens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736536B2 (en) Photoelectric sensor
WO2023228301A1 (en) Alarm
KR20180065530A (en) Leak detec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