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480B1 -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480B1
KR101747480B1 KR1020127031949A KR20127031949A KR101747480B1 KR 101747480 B1 KR101747480 B1 KR 101747480B1 KR 1020127031949 A KR1020127031949 A KR 1020127031949A KR 20127031949 A KR20127031949 A KR 20127031949A KR 101747480 B1 KR101747480 B1 KR 10174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pusch
initial
resource amount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738A (ko
Inventor
요시히코 오가와
아키히코 니시오
세이고 나카오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3011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SU-MIMO 송신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단말 장치. 제어 정보가 배치된 2개의 코드워드를 다른 복수의 레이어로 송신하는 단말(200)로서,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코드워드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부호화율, 또는, 상기 2개의 코드워드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고, 송신 신호 형성부(205)는, 상기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변조된 제어 정보를, 2개의 코드워드에 배치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의 상향 회선에서는, 낮은 CM(Cubic Metric)을 유지하기 위해서, 싱글 캐리어 송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가 시간 다중되어 송신된다. 이 제어 정보에는, 응답 신호(긍정 응답/부정 응답(ACK/NACK). 이하에서는, 「ACK/NACK 신호」라고 부름) 및 채널 품질(Channel Quality Indicator, 이하에서는, 「CQI」라고 부름)이 포함되어 있다. 또, 데이터 신호는 몇 개인가의 코드블록(CB : Code Block)으로 분할되어, 코드블록 단위로 오류 정정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부가된다.
이러한 ACK/NACK 신호와 CQI는, 할당 방법이 다르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2 참조). 구체적으로는, ACK/NACK 신호는, 파일럿 신호(Reference Signal, RS)에 인접한 리소스(resource)에 매핑된 데이터 신호(4 심볼)의 일부분을 펑처링(puncturing)(데이터 신호를 ACK/NACK 신호로 겹쳐쓰기(overwriting))함으로써, 그 일부분의 리소스에 배치된다. 한편, CQI는, 서브프레임(2 슬롯) 전체에 걸쳐서 배치된다. 이 때, 데이터 신호는, CQI가 배치된 리소스 이외의 리소스에 배치되므로, CQI에 의해 펑처링되는 일이 없다(도 1 참조). 이러한 이유로서, ACK/NACK 신호의 할당 유무는, 하향 회선 데이터 신호의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즉, ACK/NACK 신호의 발생을 미리 예측하는 것은 CQI에 비해 어려우므로, ACK/NACK 신호의 매핑시에는, ACK/NACK 신호가 갑자기 발생해도 리소스 할당이 가능한 펑처링이 이용된다. 한편, CQI는 미리 송신하는 타이밍(서브프레임)이 통지 정보로 결정되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 및 CQI의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CK/NACK 신호가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ACK/NACK 신호는, 전파로 추정 정밀도가 높은, 파일럿 신호에 가까운 심볼에 할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ACK/NACK 신호의 오류를 경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 회선의 데이터 신호에 대한 MCS(Modulation and Coding Rate Scheme)는, 상향 회선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기지국 장치(이하에서는, 「기지국」이라고 부른다. 또는, eNB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에 의해 결정된다. 또, 상향 회선의 제어 정보에 대한 MCS는, 데이터 신호의 MCS에 오프셋(offset)을 부가해서 결정된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상세한 것은, 제어 정보는 데이터 신호보다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제어 정보의 MCS에는, 데이터 신호의 MCS보다 전송 레이트가 낮은 MCS가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정보는, 고품질로 송신된다.
예를 들면, 3GPP LTE의 상향 회선에서는, PUSCH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 제어 정보에 할당되는 리소스량(量)은, 데이터 신호의 MCS에 나타나는 부호화율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수학식(1)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어 정보에 할당되는 리소스량 Q는,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의 역수(逆數)에 오프셋을 곱셈해서 도출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1
식(1)에 있어서, O는 제어 정보(ACK/NACK 신호 또는 CQI)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P는 제어 정보에 대해서 오류 정정용으로서 추가되는 비트수(예를 들면, CRC의 비트수. 단 P=0의 경우도 있다.)를 나타낸다. 즉, O 및 P의 합계값 (O+P)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의 비트수를 나타낸다. 또, MSC PUSCH - initial은 PUSCH의 송신 대역폭을 나타내고, NSymb PUSCH - initial은 단위 송신 대역폭당 PUSCH의 송신 심볼수를 나타내고, C는 데이터 신호를 코드블록으로 분할할 때의 분할수를 나타내고, Kr은 각 코드블록 내의 비트수를 나타낸다. 또한, UCI(제어 정보)에는 ACK/NACK, CQI, RI(Rank Indicator. 랭크에 관한 정보),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프리코딩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여기서, 식(1)에 나타내는, (MSC PUSCH - initialㆍNSymb PUSCH - initial)은 데이터 신호의 송신 리소스량을 나타내고, ΣKr은 1개의 데이터 신호의 비트수(몇 개인가로 분할된 각 코드블록의 비트수의 총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ΣKr/(MSC PUSCH - initialㆍNSymb PUSCH -initial)은,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에 의존하는 값(이후, 부호화율이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을 나타낸다. 즉, 식(1)에 나타내는 (MSC PUSCH - initialㆍNSymb PUSCH - initial)/ΣKr은,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의 역수(즉, 1비트의 송신에 이용하는 RE(Resource Element, 1 심볼이자 1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리소스)수)를 의미한다. 또, βoffset PUSCH는 상술한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의 역수에 곱셈되는 오프셋량을 나타내고, 상위 레이어(layer)를 경유해서 기지국으로부터 각 단말 장치(이하에서는, 「단말」이라고 부른다. 또는 UE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에 통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정보(ACK/NACK 신호 및 CQI)마다 오프셋량 βoffset PUSCH의 후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정의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ACK/NACK 신호용으로 정의된 오프셋량 βo ffset PUS CH의 후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예를 들면 도 2 참조)로부터 1개의 오프셋량 βo ffset PUS CH를 선택하고, 선택한 오프셋량에 대응하는 통지 인덱스를 단말에 통지한다. 또한, (MSC PUSCH - initialㆍNSymb PUSCH - initial)은 PUSCH-initial이라는 기재(記載)로부터도 판단할 수 있는 것처럼, 초회(初回) 송신시의 데이터 신호의 송신 리소스량이다.
또, 3GPP LTE보다 한층 더 통신의 고속화를 실현하는 3GPP LTE-Advanced의 표준화가 개시되었다. 3GPP LTE-Advanced 시스템(이하, 「LTE-A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은, 3GPP LTE 시스템(이하, 「LTE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을 답습한다. 3GPP LTE-Advanced에서는, 최대 1Gbps 이상의 하향 전송 속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40㎒ 이상의 광대역 주파수에서 통신 가능한 기지국 및 단말이 도입될 전망이다.
LTE-Advanced의 상향 회선에서는, 1개의 단말이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레이어로 송신하는 SU-MIMO(Sing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송신이 검토되고 있다. SU-MIMO 통신에서는, 데이터 신호가 복수의 코드워드(CW : Codeword)로 생성되어, 각 CW는 다른 레이어에서 송신된다. 예를 들면, CW#0은 레이어#0 및 레이어#1로 송신되고, CW#1은 레이어#2 및 레이어#3으로 송신된다. 또, 각 CW에서는, 데이터 신호가 몇 개인가의 코드블록으로 분할되어, 코드블록 단위로 오류 정정을 위한 CRC가 부가된다. 예를 들면, CW#0의 데이터 신호가 5개의 코드블록으로 분할되고, CW#1의 데이터 신호가 8개의 코드블록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코드워드」는, 데이터 신호를 재송(再送)하는 단위로서 볼 수 있다. 또, 「레이어」는, 스트림과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상술한 LTE-A 시스템과 비교해서, 상기한 비특허 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LTE 시스템의 상향 회선에서는, Non-MIMO 송신이 전제로 되어 있다. 이 Non-MIMO 송신에서는, 각 단말에서 1개의 레이어만이 이용된다.
또, SU-MIMO 송신에서는, 제어 정보가 복수 레이어로 송신되는 경우와, 제어 정보가 복수 레이어 중의 1개의 레이어로 송신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예를 들면, LTE-Advanced의 상향 회선에서는, ACK/NACK 신호를 복수의 CW에 배치하고, CQI를 1개의 CW에 배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상세한 것은, ACK/NACK 신호는, 제어 정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의 하나이므로, 모든 CW에 동일 신호를 배치(즉, 모든 레이어에 동일 정보를 할당하는 송신(Rank1 송신))함으로써 레이어간 간섭을 경감시키고 있다. 복수의 CW로 송신된 ACK/NACK 신호(공간 다중된 ACK/NACK 신호)는 전파로상에서 동일 정보가 합성되기 때문에, 수신측(기지국측)에서는 복수의 CW로 송신된 ACK/NACK 신호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수신측에서 분리시에 발생하는 계열간 간섭 등이 발생하지 않고, 높은 수신 품질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어 정보가 ACK/NACK 신호이고, 제어 정보가 2개의 CW(CW#0 및 CW#1)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행 기술 문헌)
(비특허 문헌)
(비특허 문헌 1) TS36.212 v8.7.0, "3GPP TSG 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비특허 문헌 2) TS36.213 v8.8.0, "3GPP TSG 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
SU-MIMO 통신에 있어서 PUSCH로 제어 정보를 송신할 때, 2개의 CW 중 임의의 CW의 부호화율에 기초하여, LTE 시스템(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과 동일하게 해서, 제어 정보(ACK/NACK 신호)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결정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 수학식(2)에 나타내는 것처럼, 2개의 CW#0 및 CW#1 중, CW#0의 부호화율 rCW #0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 QCW #0을 결정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2
식(2)에 있어서, L은 총 레이어수(CW#0 및 CW#1이 할당되는 레이어수의 합계)를 나타낸다. 즉, 식(2)에서는, 식(1)과 동일하게 하여 부호화율 rCW #0의 역수(1/rCW #0)에 오프셋량 βoffset PUSCH를 곱셈한 결과를, 총 레이어수 L로 나눗셈함으로써, 각 레이어에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이 결정된다. 그리고, 단말은, 식(2)에 따라 결정한 리소스량 QCW #0을 이용해, 각 레이어(L개의 레이어)에 각각 할당된 CW#0 및 CW#1을 각각 송신한다.
그렇지만, 이 때, 기지국측에서 CW#0 및 CW#1을 합성하여도, 합성 후의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이 소요 품질(所要 品質)을 만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CW#0은, CW#0의 부호화율 rCW #0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량 QCW #0,즉, CW#0에 대해서 적절한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송신되므로, CW#0에 배치된 제어 정보에 대해서 소요(所要) 수신 품질을 만족시킬 가능성은 높다. 한편, CW#1은, CW#0(즉, 다른 CW)의 부호화율 rCW #0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량 QCW #0을 이용해서 송신되므로, CW#1이 할당된 레이어가 열악한 전파로(傳播路) 환경일 경우에는 CW#1에 배치된 제어 정보에 대한 수신 품질이 열화(劣化)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CW#0이 레이어#0 및 레이어#1에 배치되고, CW#1이 레이어#2 및 레이어#3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CW#0의 부호화율이 CW#1의 부호화율보다 높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CW#0에 배치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은, CW#1에 배치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보다 적다.
이 경우, 레이어#0 및 레이어#1에서는, CW#0에 배치된 제어 정보에 대해서, 각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CW수)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비해서, 레이어#2 및 레이어#3에서는, CW#1에 배치된 제어 정보에 대해서, CW#0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량을 이용하므로, 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리소스량이 부족하여, 각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CW#0 및 CW#1에 각각 배치되는 제어 정보를 합성하여도, 전부의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SU-MIMO 송신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단말 및 그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른 단말 장치는, 제어 정보가 배치된 2개의 코드워드를 다른 복수의 레이어로 송신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변조된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2개의 코드워드에 배치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2개의 코드워드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부호화율, 또는, 상기 2개의 코드워드의 부호화율의 역수(逆數)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량을 결정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른 통신 방법은, 제어 정보가 배치된 2개의 코드워드가 송신되는 다른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고, 상기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변조된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2개의 코드워드에 배치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2개의 코드워드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부호화율, 또는, 상기 2개의 코드워드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U-MIMO 송신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ACK/NACK 및 CQI의 배치 방법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오프셋량의 후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3은 과제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정 계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정 계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정 계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에서 레이어수가 다른 경우의 과제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실시형태 1]
[통신 시스템의 개요]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을 포함한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LTE-A 시스템이며,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LTE-A 기지국이며, 단말(200)은, 예를 들면, LTE-A 단말이다. 또, 이 통신 시스템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을 상정한다. 또, 단말(200)(LTE-A 단말)은 Non-MIMO 송신 모드 및 SU-MIMO 송신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다.
[기지국의 구성]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기지국(100)에 있어서, 설정부(101)는, 설정 대상 단말의 단말 송수신 능력(UE Capability) 또는 전파로 상황에 기초하여, 설정 대상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의 상향 회선의 상향 회선 데이터 채널(PUSCH)로 송신되는 제어 정보(ACK/NACK 신호 또는 CQI를 적어도 포함한다)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제어 파라미터로서는, 예를 들면, 설정 대상 단말이 송신하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 할당시에 이용하는 오프셋량(예를 들면, 수학식(2)에 나타내는 오프셋량 βoffset PUSCH)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설정부(101)는, 설정한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부호화ㆍ변조부(102) 및 ACK/NACKㆍCQI 수신부(111)에 출력한다.
또, 설정부(101)는, Non-MIMO 송신을 행하는 단말에 대해서, 1개의 CW(또는 트랜스포트 블록)에 대한 MCS 정보 및, 리소스(RB(Resource Block))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할당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또, 설정부(101)는, SU-MIMO 송신을 행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2개의 CW(또는 트랜스포트 블록)에 대한 MCS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할당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설정부(101)에 의해 생성되는 할당 제어 정보에는, 단말의 상향 회선 데이터를 할당하는 상향 회선 리소스(예를 들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나타내는 상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 및 단말 앞으로의 하향 회선 데이터를 할당하는 하향 회선 리소스(예를 들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나타내는 하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또, 하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에는,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정보(ACK/NACK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설정부(101)는, 상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를 부호화ㆍ변조부(102), 수신부(107-1~107-N)의 각 수신 처리부(109), 및, ACK/NACKㆍCQI 수신부(111)에 출력하고, 하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를 송신 신호 생성부(104) 및 ACK/NACKㆍCQI 수신부(111)에 출력한다.
부호화ㆍ변조부(102)는, 설정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설정 정보 및 상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를 부호화 후에 변조하고, 변조 후의 신호를 송신 신호 생성부(104)에 출력한다.
부호화ㆍ변조부(103)는,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 후에 변조하고, 변조 후의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 신호)를 송신 신호 생성부(104)에 출력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104)는, 설정부(101)로부터 입력되는 하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ㆍ변조부(1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부호화ㆍ변조부(10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주파수 리소스에 할당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 신호 생성부(104)는, 주파수 영역 신호에 대해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실시하여 시간 파형으로 변환하고, 이 시간 파형에 CP(Cyclic Prefix)를 부가함으로써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얻는다.
송신부(105)는, 송신 신호 생성부(104)로부터 입력되는 OFDM 신호에 대해서 송신 무선 처리(업 컨버트, 디지털 아날로그(D/A) 변환 등)를 실시하여, 안테나(106-1)를 경유하여 송신한다.
한편, 수신부(107-1~107-N)는, 안테나(106-1~106-N)에 각각 대응해서 구비된다. 또, 각 수신부(107)는, 무선 처리부(108) 및 수신 처리부(109)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수신부(107-1~107-N)의 각 무선 처리부(108)는, 각각에 대응하는 안테나(106)를 경유하여 수신한 수신 무선 신호에 대해서 수신 무선 처리(다운 컨버트, 아날로그 디지털(A/D) 변환 등)를 실시하고, 얻어진 수신 신호를 수신 처리부(109)에 출력한다.
수신 처리부(109)는, 수신 신호로부터 CP를 제거하고, CP 제거 후의 수신 신호에 대해서 FFT(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실시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또, 수신 처리부(109)는, 설정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부터 각 단말의 상향 신호(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ACK/NACK 신호 및 CQI)를 포함함)를 추출한다. 또한, 수신 처리부(109)는, 수신 신호가 공간 다중되어 있는 경우(즉, 복수의 CW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SU-MIMO 송신시))에는, 각 CW를 분리해서 합성하는 처리도 실시한다. 그리고, 수신 처리부(109)는, 추출(또는, 추출 및 분리)한 신호에 대해서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실시하여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수신 처리부(109)는, 시간 영역 신호를 데이터 수신부(110) 및 ACK/NACKㆍCQI 수신부(111)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신부(110)는, 수신 처리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영역 신호를 복호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부(110)는, 복호 후의 상향 회선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ACK/NACKㆍCQI 수신부(111)는, 설정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설정 정보(제어 파라미터), 상향 회선의 데이터 신호의 MCS 정보(SU-MIMO 송신의 경우는 각 CW의 MCS 정보) 및, 하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예를 들면,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에 기초하여, ACK/NACK 신호가 할당된 상향 회선 리소스의 리소스량을 산출한다. 또한, ACK/NACKㆍCQI 수신부(111)는, CQI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CQI의 비트수에 관한 정보를 더 이용해서, CQI가 할당된 상향 회선 리소스(PUSCH)의 리소스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ACK/NACKㆍCQI 수신부(111)는, 산출한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상향 회선의 데이터 신호가 할당된 채널(예를 들면, PUSCH)로부터, 하향 회선 데이터(PDSCH 신호)에 대한 각 단말로부터의 ACK/NACK 또는 CQI를 추출한다.
또한, 기지국(100)이 커버하는 셀의 트래픽 상황이 변화하지 않은 경우, 또는, 평균적인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기지국(100)이 단말(200)에 통지하는 제어 파라미터(예를 들면, 오프셋량 βoffset PUSCH)를, 통지 간격이 긴 상위 레이어(RRC 시그널링)로 통지하는 것이 시그널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제어 파라미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보 정보로서 통지함으로써, 통지에 요하는 리소스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00)이 커버하는 셀의 트래픽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이러한 제어 파라미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지 간격이 짧은 PDCCH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의 구성]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200)은 LTE-A 단말이고, 데이터 신호(하향 회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 신호에 대한 ACK/NACK 신호를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PUSCH를 이용해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또, 단말(200)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로 통지되는 지시 정보에 따라, CQI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단말(200)에 있어서, 수신부(202)는, 안테나(201-1)를 경유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여기에서는, OFDM 신호)에 대해서 수신 무선 처리(다운 컨버트, 아날로그 디지털(A/D) 변환 등)를 실시하고, 얻어진 수신 신호를 수신 처리부(203)에 출력한다. 또한, 수신 신호에는,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 신호), 할당 제어 정보 및,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수신 처리부(203)는, 수신 신호로부터 CP를 제거하고, CP 제거 후의 수신 신호에 대해 FFT 처리를 실시하여 CP 제거 후의 수신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수신 처리부(203)는, 주파수 영역 신호를, 설정 정보를 포함한 상위 레이어의 제어 신호(예를 들면, RRC signaling 등)와, 할당 제어 정보와, 데이터 신호(즉, PDSCH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한 각 신호에 대해서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또, 수신 처리부(203)는,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 오류 검출 처리를 행하고, 오류 검출의 결과,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ACK/NACK 신호로서 NACK를 생성하는 한편,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없을 경우에는, ACK/NACK 신호로서 ACK를 생성한다. 그리고, 수신 처리부(203)는, ACK/NACK 신호, 할당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ACK/NACK 정보 및, 할당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MCS 정보를 리소스량 결정부(204) 및 송신 신호 생성부(205)에 출력하고, 설정 정보(예를 들면, 제어 파라미터(오프셋량))를 리소스량 결정부(204)에 출력하고, 할당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향 회선 할당 제어 정보(예를 들면 상향 회선 리소스 할당 결과)를, 송신부(206-1~206-M)의 각 송신 처리부(207)에 출력한다.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수신 처리부(203)로부터 입력되는 ACK/NACK 정보(ACK/NACK 신호의 비트수), MCS 정보, 및, 제어 정보(ACK/NACK 신호)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오프셋량 등)에 기초하여, ACK/NACK 신호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또한,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CQI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CQI의 비트수, 및, 수신 처리부(203)로부터 입력되는 MCS 정보, 및, 제어 정보(CQI)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오프셋량 등)에 기초하여, CQI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SU-MIMO 송신을 행하는 경우(여기서는, 2개의 CW(CW#0 및 CW#1)를 다른 복수의 레이어로 송신하는 경우),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CW(CW#0 및 CW#1)에 배치되는 제어 정보(ACK/NACK 신호)에 할당되는, 복수의 레이어마다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부호화율, 또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또한, 리소스량 결정부(204)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ACK/NACK 또는 CQI)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의 결정 방법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그리고,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결정한 리소스량을 송신 신호 생성부(205)에 출력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수신 처리부(203)로부터 입력되는 ACK/NACK 정보(ACK/NACK 신호의 비트수) 및 MCS 정보에 기초하여, ACK/NACK 신호(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 데이터 신호(상향 회선 데이터) 및 CQI(하향 회선 품질 정보)를,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각각 할당된 CW에 배치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우선, 리소스량 결정부(204)로부터 입력되는 리소스량(ACK/NACK 신호의 리소스량)에 따라, ACK/NACK 신호를 변조한다. 또,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로부터 입력되는 리소스량(CQI의 리소스량)에 따라, CQI를 변조한다. 또,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로부터 입력되는 리소스량(CQI의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특정되는 리소스량(각 슬롯의 리소스량으로부터 CQI의 리소스량을 뺀 리소스량)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변조한다.
여기서, Non-MIMO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상기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변조된, ACK/NACK 신호, 데이터 신호 및 CQI를 1개의 CW에 배치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 SU-MIMO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상기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변조된, ACK/NACK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2개의 CW에 배치함과 동시에, CQI를 2개의 CW 내의 일부 CW에 배치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Non-MIMO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1개의 CW를 1개의 레이어에 할당하고, SU-MIMO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2개의 CW를 복수의 레이어에 할당한다. 예를 들면, SU-MIMO 송신을 행하는 경우,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2개의 CW#0 및 CW#1에 대해서, CW#0을 레이어#0 및 레이어#1에 할당하고 CW#1을 레이어#2 및 레이어#3에 할당한다.
또,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 신호 및 CQI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CW 중 1개의 CW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레이트 매칭을 이용해 데이터 신호 및 CQI를 시간 다중ㆍ주파수 다중으로 상향 회선 데이터 채널(PUSCH)에 할당한다. 또,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 신호 및 ACK/NACK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레이어 전부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의 일부분을 ACK/NACK 신호로 겹쳐쓰기(펑처링)한다. 즉, ACK/NACK 신호는, 전부의 레이어에서 송신된다. 또한, 송신해야 할 데이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상향 회선 제어 채널(예를 들면 PUCCH)에 CQI 및 ACK/NACK 신호를 할당한다. 그리고, 송신 신호 생성부(205)는, 생성한 송신 신호(ACK/NACK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CQI를 포함함)를 송신부(206-1~206-M)에 각각 출력한다.
송신부(206-1~206-M)는, 안테나(201-1~201-M)에 각각 대응해서 구비된다. 또, 각 송신부(206)는, 송신 처리부(207) 및 무선 처리부(208)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부(206-1~206-M)의 각 송신 처리부(207)는, 송신 신호 생성부(205)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신호(각 레이어에 대응하는 신호)에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실시하여 데이터 신호, ACK/NACK 신호, CQI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송신 처리부(207)는, 수신 처리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회선 리소스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DFT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주파수 성분(PUSCH상에서 송신되는 ACK/NACK 신호 및 CQI를 포함함)을, 상향 회선 데이터 채널(PUSCH)에 매핑한다. 그리고, 송신 처리부(207)는, PUSCH에 매핑된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시간 영역 파형으로 변환하고, 그 시간 영역 파형에 CP를 부가한다.
무선 처리부(208)는, CP가 부가된 신호에 송신 무선 처리(업 컨버트, 디지털 아날로그(D/A) 변환 등)를 실시하여 안테나(201-1~201-M)의 각각을 경유하여 송신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주로, 단말(200)의 리소스량 결정부(204)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ACK/NACK 또는 CQI)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의 결정 방법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SU-MIMO 송신을 행하는 경우, 즉, 제어 정보가 배치된 복수의 CW를 다른 복수의 레이어로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리소스량의 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200)(송신 신호 생성부(205))은, 제어 정보인 ACK/NACK 신호를 2개의 CW(CW#0 및 CW#1)에 배치한다.
이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의 결정 방법 1~5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정 방법 1>
결정 방법 1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제어 정보가 배치되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부호화율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다음 수학식(3)에 따라, CW#0의 부호화율 및 CW#1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CW의 부호화율(부호화율 rlowMCS)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 QCW #0+ CW #1을 결정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3
식(3)에 있어서, O는 제어 정보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P는 제어 정보에 대해서 오류 정정용으로서 추가되는 비트수(예를 들면, CRC의 비트수. 단 P=0의 경우도 있음.)를 나타내고, L은 총 레이어수(각 CW가 배치되는 레이어수의 합계)를 나타낸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식(3)에 나타내는 것처럼, 식(1)과 동일하게 해서 부호화율 rlowMCS의 역수(1/rlowMCS)에 오프셋량 βoffset PUSCH를 곱셈한 곱셈 결과를, 총 레이어수 L로 나눗셈함으로써,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부의 레이어에 있어서, 각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W#0 및 CW#1 중 부호화율이 보다 낮은 CW(부호화율 rlowMCS의 CW)가 배치된 레이어에서는, 부호화율 rlowMCS에 기초해서 결정된 리소스량 QCW #0+ CW #1,즉, 적절한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송신되기 때문에, 그 CW에 배치된 제어 정보에 대해서 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 CW#0 및 CW#1 중 부호화율이 보다 높은 CW가 배치된 레이어에서는, 부호화율 rlowMCS(즉, 다른 CW의 부호화율)에 기초해서 결정된 리소스량 QCW #0+ CW #1을 이용해서 송신되지만, 적절한 리소스량 이상의 리소스량을 이용해서 송신되기 때문에, 그 CW에 배치된 제어 정보에 대해서 소요 수신 품질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 방법 1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복수의 CW 중, 부호화율이 보다 낮은 CW를 기준으로 해서,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복수의 CW 중, 열악한 전파로 환경의 레이어에 할당된 CW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열악한 전파로 환경의 레이어에 할당된 CW를 포함한 모든 CW에서 소요 수신 품질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기지국(100)에서는, 모든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에서는, CW#0 및 CW#1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후의 제어 정보에 있어서 소요 수신 품질을 확실하게 만족시킬 수 있고,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결정 방법 2>
결정 방법 2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다음 수학식(4)에 따라,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QCW #0+ CW #1을 결정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4
식(4)에 있어서, rCW #0은 CW#0의 부호화율을 나타내고, rCW #1은 CW#1의 부호화율을 나타낸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식(4)에 나타내는 것처럼, 식(1)과 동일하게 하여 부호화율 rCW #0의 역수(1/rCW #0) 및 부호화율 rCW #1의 역수(1/rCW #1)의 평균값에 오프셋량 βoffset PUSCH를 곱셈한 곱셈 결과를, 총 레이어수 L로 나눗셈함으로써,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CW#0에 배치되는 제어 정보 1비트는 (1/rCW #0)비트에 부호화된다. 마찬가지로, CW#1에 배치되는 제어 정보 1비트는 (1/rCW #1)비트에 부호화된다. 즉, 각 CW에 배치되는 제어 정보 1비트의 부호화 후의 비트수의 평균값((1/rCW #0)+(1/rCW #1)/2)은, CW#0 및 CW#1의 합성에 적합한 비트수의 평균값에 상당한다. 따라서, 각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1/rCW #0)+(1/rCW #1)/2)은, CW#0 및 CW#1을 합성한 합성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에 상당한다.
여기서, 결정 방법 1(식(3))에서는, 2개의 CW 중 한쪽 CW의 부호화율(보다 낮은 부호화율)에 기초해서 리소스량이 결정된다. 그 때문에, CW#0 및 CW#1 중 한쪽 CW(부호화율이 보다 낮은 CW)가 배치된 레이어에 대해서는 적절한 리소스량이 결정되지만, 다른 쪽 CW(부호화율이 보다 높은 CW)가 배치된 레이어에 대해서는 적절한 리소스량 이상의 리소스량이 결정되어, 리소스의 낭비적인 사용이 발생해 버린다.
이것에 비해서, 결정 방법 2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CW#0 및 CW#1을 합성한 합성 CW의 부호화율의 역수(각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에 기초해서,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CW#0 및 CW#1 중, 부호화율이 보다 높은 CW에 배치된 레이어에 대해서는, 결정 방법 1의 경우보다 적은 리소스량이 결정된다. 즉, 부호화율이 보다 높은 CW에 배치된 레이어에 대해서는, 결정 방법 1의 경우보다, 낭비적으로 사용되는 리소스량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부호화율이 보다 낮은 CW에 배치된 레이어에 대해서는, 적절한 리소스량보다도 적은 리소스량이 결정된다. 그러나, 리소스량 결정부(204)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모든 CW의 합성 후에 있어서 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리소스량이 결정되므로, 기지국(100)에서는, CW#0 및 CW#1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후의 제어 정보에 있어서 필요한 수신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 방법 2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복수의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리소스의 낭비적인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결정 방법 3>
결정 방법 3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CW 중 한쪽 CW의 부호화율의 역수, 및,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되는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다음 수학식(5)에 따라,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QCW #0+ CW #1을 결정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5
식(5)에 있어서, rCW #0은 CW#0의 부호화율을 나타내고, γoffset은 기지국(100)으로부터 제어 파라미터로서 통지되는 보정 계수를 나타낸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식(5)에 나타내는 것처럼, 식(1)과 동일하게 하여 부호화율 rCW #0의 역수(1/rCW #0)에 오프셋량 βoffset PUSCH를 곱셈해서 산출되는 리소스량에 보정 계수 γoffset를 곱셈한 곱셈 결과를, 총 레이어수 L로 나눗셈함으로써,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되는 보정 계수 γoffset의 일례를 도 6에 나타낸다. 기지국(100)은, 2개의 CW#0 및 CW#1의 부호화율 차(差)(수신 품질의 차(差)) 또는 부호화율 비(比)(수신 품질의 비(比))에 따라, 보정 계수 γoffset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00)은,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의 결정에 이용되는, 한쪽 CW의 부호화율(여기에서는 CW#0의 부호화율 rCW #0)이 다른 쪽 CW의 부호화율(여기에서는 CW#1의 부호화율 rCW #1)보다 낮을 경우에는, 1.0보다 작은 값의 보정 계수 γoffset(도 6에 나타내는 시그널링#A~#C의 보정 계수)를 선택한다.
한편, 기지국(100)은,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의 결정에 이용되는, 한쪽 CW의 부호화율(여기에서는 CW#0의 부호화율 rCW#0)이 다른 쪽 CW의 부호화율(여기에서는 CW#0의 부호화율 rCW #1)보다 높을 경우에는, 1.0보다 큰 값의 보정 계수 γoffset(도 6에 나타내는 시그널링#E, #F의 보정 계수)를 선택한다.
단, 기지국(100)은, CW의 부호화율 차(수신 품질의 차)가 작을수록, 1.0에 보다 가까운 값의 보정 계수 γoffset(CW의 부호화율 차가 없을 경우(동일한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시그널링#D의 보정 계수(1.0))를 선택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선택한 보정 계수 γoffset(보정 계수 γoffset의 시그널링 번호)를 포함한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를 경유해서 단말(200)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 차(수신 품질의 차)에 따라 설정되는 보정 계수 γoffset를 이용하여, 2개의 CW 중 한쪽 CW의 부호화율(역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리소스량을 보정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것처럼,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부호화율(여기에서는 CW#0의 부호화율 rCW #0)의 역수에 기초하여 리소스량이 결정되면, 다른 쪽 CW(여기에서는 CW#1)에 대해서는 과잉한 리소스량이 설정된다. 그래서,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보다 낮은 부호화율의 역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량에, 1.0보다 작은 값의 보정 계수 γoffset를 곱셈함으로써, 다른 쪽 CW(여기에서는 CW#1)에 대한 과잉한 리소스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보다 높은 부호화율의 역수에 기초하여 리소스량이 결정되면, 다른 쪽 CW에 대해서는 리소스량이 부족하다. 그래서,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보다 높은 부호화율의 역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량에, 1.0보다 큰 값의 보정 계수 γoffset를 곱셈함으로써, 다른 쪽 CW에 대한 리소스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식(5)에서는, 한쪽 CW의 부호화율(여기에서는 CW#0의 부호화율 rCW#0)만으로 결정되는 리소스량을, 2개의 CW의 부호화율 차에 따라 설정된 보정 계수 γoffset를 이용해서 보정함으로써, 2개의 CW(2개의 CW의 합성 후의 소요 수신 품질)에 기초하는 리소스량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시 말하면,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CW 중 한쪽 CW의 부호화율(역수)을 2개의 CW의 부호화율 차에 따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 차가 클수록, 2개의 CW 중 한쪽 CW의 부호화율(역수)의 보정량(γoffset)을 보다 크게 함으로써, 보정 후의 부호화율이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평균값에 근사(近似)한 값이 되도록 조정한다. 즉, 보정 후의 부호화율의 역수(식(5)에서는 γoffset/rCW #0)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근사한 값)에 상당한다. 그리고,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보정 후의 부호화율의 역수(도 5에서는 γoffset/rCW #0))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 방법 3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한쪽 CW의 부호화율의 역수 및 2개의 CW의 부호화율 차에 따라 설정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CW의 양쪽을 고려한 리소스량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리소스의 낭비적인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결정 방법 3에 의하면, 2개의 CW 중 한쪽 CW의 부호화율(식(5)에서는 CW#0의 부호화율 rCW #0)이 극단적으로 작은 경우(예를 들면, rCW #0이 한없이 0에 가까운 경우)에도, 그 부호화율 rCW #0에 기초해서 산출되는 리소스량에, 2개의 CW의 부호화율 차에 따라 설정된 보정 계수 γoffset를 곱셈함으로써,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방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정 계수에 의해, 과잉한 리소스 할당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식(5)에 나타내는 CW#0의 부호화율 rCW #0 대신에,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부호화율을 이용하여 리소스량 QCW #0+ CW #1을 결정하는 것을 미리 결정해 두면, 보정 계수 γoffset의 후보로서는 1.0 이하의 값만을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보정 계수 γoffset의 후보 중, 시그널링#A~#D의 보정 계수 γoffset만을 설정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보정 계수 γoffset를 통지하기 위한 시그널링량을 삭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식(5)에 나타내는 CW#0의 부호화율 rCW #0 대신에,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보다 높은 부호화율을 이용해 리소스량 QCW #0+ CW #1을 결정하는 것을 미리 결정해 두면, 보정 계수 γoffset의 후보로서는 1.0 이상의 값만을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보정 계수 γoffset의 후보 중, 시그널링#D~#F의 보정 계수 γoffset만을 설정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보정 계수 γoffset를 통지하기 위한 시그널링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식(5)에 나타내는 CW#0의 부호화율 rCW #0이,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낮은 부호화율인지 높은 부호화율인지에 따라, 보정 계수 γoffset의 후보 테이블을 전환해서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식(5)에 나타내는 CW#0의 부호화율 rCW #0이,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낮은 부호화율일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시그널링#A~#D의 보정 계수 γoffset가 설정된 후보 테이블을 이용해도 좋고, 식(5)에 나타내는 CW#0의 부호화율 rCW #0이, 2개의 CW의 부호화율 중 높은 부호화율일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시그널링#D~#F의 보정 계수 γoffset가 설정된 후보 테이블을 이용해도 좋다.
<결정 방법 4>
결정 방법 4에 있어서, 2개의 CW 중 한쪽 CW의 부호화율(역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에 보정 계수를 곱셈하는 점은 결정 방법 3(식(5))과 동일하다. 다만, 결정 방법 4에서는, 보정 계수의 산출 방법이 결정 방법 3과 다르다.
이하, 결정 방법 4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제어 정보가 배치되는 2개의 CW는, 기지국(100)측에서 합성되므로, 2개의 CW 중 「한쪽 CW의 수신 품질」에 착목하면, 2개의 CW의 합성 후에는 (「합성된 CW의 수신 품질」/「한쪽 CW의 수신 품질」)배(倍)의 수신 품질이 얻어진다. 또한, 「합성된 CW의 수신 품질」은 2개의 CW가 합성되었을 때에 얻어지는 수신 품질이다.
따라서, 전체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쪽 CW의 부호화율(역수)에 기초해서 산출되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에 대한 보정 계수로서, (「한쪽 CW의 수신 품질」/「합성된 CW의 수신 품질」)을 설정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CW의 합성 후에는, 제어 정보가 배치된 각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수신 품질을, 필요 최소한의 리소스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수신 품질과 부호화율 사이에는, 신호의 수신 품질이 증가할수록, 그 신호의 부호화율은 높아진다고 하는 관계가 있다. 이 때문에, 보정 계수로서는, (「한쪽 CW의 수신 품질」/「합성된 CW의 수신 품질」) 대신에, (「한쪽 CW의 부호화율」/「합성된 CW의 부호화율」)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즉, 「합성된 CW의 부호화율」은 2개의 CW가 합성되었을 때의 합성 CW의 부호화율이다.
그래서,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우선, 다음 수학식(6)에 따라, (「한쪽 CW의 부호화율(rCW #0)」/「합성 CW의 부호화율(rCW #0+ CW #1)」)로 표시되는 보정 계수 γoffset를 설정한다. 또한, 식(6)에서는 상기 「한쪽 CW의 부호화율」로서, CW#0 및 CW#1 중 CW#0의 부호화율 rCW #0을 이용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6
식(6)에 있어서, MCW #0 SC PUSCH - initial은 CW#0의 PUSCH에 있어서의 송신 대역폭을 나타내고, MCW #1 SC PUSCH - initial은 CW#1의 PUSCH에 있어서의 송신 대역폭을 나타내고, NCW#0Symb PUSCH-initial은 CW#0의 PUSCH에 있어서의 단위 송신 대역폭당 PUSCH의 송신 심볼수를 나타내고, NCW #1 Symb PUSCH - initial은 CW#1의 PUSCH에 있어서의 단위 송신 대역폭당 PUSCH의 송신 심볼수를 나타낸다. 또, CCW #0은 CW#0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코드블록으로 분할할 때의 분할수를 나타내고, CCW #1은 CW#1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코드블록으로 분할할 때의 분할수를 나타내고, Kr CW #0은 CW#0의 각 코드블록 내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Kr CW #1은 CW#1의 각 코드블록 내의 비트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CW#0이 2개의 레이어에 할당되고, 각 레이어에서 12송신 심볼, 그리고 또, 12서브캐리어에 할당되는 경우는, CW#0의 리소스량(MCW #0 SC PUSCH - initialㆍNCW #0 Symb PUSCH - initial)은 288(RE)이 된다. 상세한 것은, MCW #0 SC PUSCH - initial은 12서브캐리어라 하고, 12송신 심볼이 2레이어분이기 때문에, NCW #0 Symb PUSCH - initial은 24송신 심볼로서 취급하면, CW#0의 리소스량(MCW #0 SC PUSCH - initialㆍNCW #0 Symb PUSCH - initial)은 288(=12×24)이 된다. 또한, MCW#0SC PUSCH-initial, MCW #1 SC PUSCH - initial, NCW #0 Symb PUSCH - initial, NCW #1 Symb PUSCH - initial은 초회 송신시의 수치이다.
즉, 식(6)에 나타내는, (MCW #0 SC PUSCH - initialㆍNCW #0 Symb PUSCH - initial+MCW #1 SC PUSCH - initialㆍNCW#1Symb PUSCH-initial)은 CW#0 및 CW#1의 각각의 데이터 신호의 송신 리소스량의 합계를 나타내고, (ΣKr CW #0+ΣKr CW #1)은 CW#0 및 CW#1의 각각의 데이터 신호(전(全) 코드블록)가 할당되는 PUSCH의 송신 심볼 총 수(또는 CW#0 및 CW#1의 합계 비트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식(6)에 나타내는 (MCW #0 SC PUSCH - initialㆍNCW #0 Symb PUSCH - initial+MCW #1 SC PUSCH -initialㆍNCW #1 Symb PUSCH - initial)/(ΣKr CW #0+ΣKr CW #1)은, 합성된 CW의 부호화율의 역수(1/(합성 CW의 부호화율(rCW #0+ CW #1)))를 의미한다.
그리고,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식(6)에 나타내는 보정 계수 γoffset를, 예를 들면 식(5)에 대입한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다음 수학식(7)에 따라,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QCW #0+ CW #1을 결정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7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식(7)에 나타내는 것처럼, 식(1)과 동일하게 하여 부호화율 rCW #0의 역수(1/rCW #0)에 오프셋량 βoffset PUSCH를 곱셈하여 산출되는 리소스량에 보정 계수 γoffset를 곱셈한 결과를, 총 레이어수 L로 나눗셈함으로써,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식(5)에 있어서의 「한쪽 CW의 부호화율(rCW #0)」의 역수(1/rCW #0)에, 식(6)에 나타내는 보정 계수 γoffset(「한쪽 CW의 부호화율(rCW #0)」/「합성 CW의 부호화율(rCW #0+ CW #1)」)를 곱셈한 결과는, CW#0 및 CW#1을 합성한 합성 CW의 부호화율의 역수(1/(합성 CW의 부호화율(rCW#0+CW#1)))가 된다. 즉, 2개의 CW 중 한쪽 CW의 부호화율의 역수(1/rCW #0)를 보정 계수 γoffset(식(6))로 보정함으로써, 합성 CW의 부호화율의 역수(1/(합성 CW의 부호화율(rCW #0+ CW #1))), 즉,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이 얻어진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합성 CW의 부호화율의 역수를,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으로서 이용하여,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결정 방법 4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한쪽 CW의 부호화율의 역수, 및, 2개의 CW의 수신 품질 비(比)(부호화율 비)에 의해 산출되는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보정 계수로서 한쪽 CW의 부호화율(수신 품질)과 합성된 2개의 CW의 부호화율(수신 품질)의 비, 즉, 2개의 CW의 부호화율 비(수신 품질비)를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제어 정보가 배치된 각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신 품질을, 필요 최소한의 리소스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 방법 4에서는, 2개의 CW의 양쪽을 고려한 리소스량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리소스의 낭비적인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결정 방법 4에서는, 단말(200)측에서 2개의 CW의 부호화율(수신 품질)에 기초해서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결정 방법 3처럼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로의 보정 계수의 통지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결정 방법 4에서는, 결정 방법 3과 비교해서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로의 시그널링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결정 방법 4에서는, 식(6)에 나타내는 보정 계수 γoffset의 분모(分母)는, CW#0 및 CW#1의 각각의 비트수의 합계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CW#0 및 CW#1의 어느 쪽인가 한쪽의 CW의 부호화율이 극단적으로 낮은(데이터 사이즈가 극단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다른 쪽 CW의 부호화율도 고려된 보정 계수 γoffset가 설정되므로,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방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정 방법 5>
복수의 레이어에서 동일한 제어 정보가 동일 시간ㆍ동일 주파수로 송신되는 경우, 즉, Rank1 송신일 경우, 복수의 레이어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에 할당되는 리소스량은 전부의 레이어에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동일 리소스량(예를 들면, 어떤 RE(예를 들면 1RE))으로 송신할 수 있는 비트수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CW#0의 부호화율 rCW #0은 1RE를 이용해서 송신할 수 있는 CW#0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CW#1의 부호화율 rCW #1은 1RE를 이용해서 송신할 수 있는 CW#1의 비트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CW#0이 배치되는 레이어수를 LCW # 0라고 하고, CW#1이 배치되는 레이어수를 LCW #1이라고 하면, 전 레이어(즉, (LCW #0+LCW #1)개의 레이어)에 있어서 1RE씩을 이용해서 송신할 수 있는 비트수 WRE는, 다음 수학식(8)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8
즉, 각 레이어에서는 1RE를 이용해서 평균 (WRE/(LCW #0+LCW #1))비트의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각 레이어에 할당되는 CW의 부호화율(1RE를 이용해서 송신할 수 있는 비트수)의 평균값으로서 (WRE/(LCW #0+LCW #1))을 이용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에서 송신된 2개의 CW의 합성 후에는, 제어 정보가 배치된 각 CW에서 요구되는 수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신 품질을, 필요 최소한의 리소스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다음 수학식(9)에 따라, 각 레이어에 할당되는 CW의 부호화율의 평균값 ((rCW #0×LCW #0+rCW #1×LCW #1)/(LCW #0+LCW #1))의 역수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QCW #0+ CW #1을 결정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09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식(9)에 나타내는 것처럼, 식(1)과 동일하게 해서 각 레이어에 할당되는 CW의 부호화율의 평균값의 역수((LCW #0+LCW #1)/(rCW #0×LCW#0+rCW#1×LCW #1))에 오프셋량 βoffset PUSCH를 곱셈한 곱셈 결과를, 총 레이어수 L로 나눗셈함으로써,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식(9)에 나타내는 각 레이어에 할당되는 CW의 부호화율의 평균값((rCW #0×LCW #0+rCW #1×LCW #1)/(LCW #0+LCW #1))은, rCW #0×(LCW #0/(LCW #0+LCW #1))+rCW #1×(LCW #1/(LCW #0+LCW #1))로 나타낼 수 있다. 즉, CW#0의 부호화율 rCW #0에 대해서, 전(全) 레이어수(LCW#0+LCW #1)에 대한 CW#0이 할당되는 레이어수(LCW#0)의 비율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부여되고, CW#1의 부호화율 rCW #1에 대해서, 전 레이어수(LCW#0+LCW#1)에 대한 CW#1이 할당되는 레이어수(LCW#1)의 비율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복수의 CW가 할당된 모든 레이어에 대한 각 CW가 할당된 레이어수의 비율에 따라, 각 CW의 부호화율의 가중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CW가 할당된 모든 레이어에 대해서, CW가 할당된 레이어수의 비율이 클수록, 그 CW의 부호화율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보다 크게 된다. 예를 들면, 결정 방법 2(식(4))에서는, 단지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평균값을 구하고 있으며, 각 CW가 할당되는 레이어수가 고려되고 있지 않다. 이것에 비해서, 결정 방법 5(식(9))에서는, CW가 배치되는 모든 레이어에 있어서의 CW의 부호화율의 평균값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결정 방법 5에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각 레이어에 있어서 동일 리소스량(예를 들면, 1RE)으로 송신할 수 있는 비트수의 평균값을, 각 레이어에 할당되는 CW의 부호화율의 평균값으로서 이용하여,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에 할당되는 2개의 CW의 양쪽을 고려한 리소스량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리소스의 낭비적인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 Rank1 송신이 이용되기 때문에 각 레이어에서 리소스량이 동일하지만, 데이터 신호에서는 Rank1 송신 이외의 송신 모드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각 레이어에서 리소스량이 다르게 된다. 이 때, 결정 방법 5와 같이, 각 레이어에서 동일 리소스량을 상정해서, 송신할 수 있는 비트수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리소스량을 과부족없이 산출할 수 있다. 즉, 결정 방법 5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 대역폭이 다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초회 송신시(서브프레임 0)에 있어서의 CW#0이 ACK가 되고, CW#1이 NACK가 되고, 재송시(서브프레임 8)에 있어서의 CW#0에 신규 패킷이 할당되고, CW#1에 재송 패킷이 발생하면, 서브프레임 8에서는, 신규 패킷과 재송 패킷의 송신 대역폭이 다른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 8에서는, CW#0 정보로서 서브프레임 8로 초회 송신되는 CW#0에 관한 정보, CW#1 정보로서 서브프레임 0으로 초회 송신된 CW#1에 관한 정보를 수학식(9) 등에 각각 대입함으로써,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산출된다. 또, 각 레이어에서 동일한 리소스량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가정해서 산출하고 있는 방법이며, 복수의 레이어에서 동일한 제어 정보를, 동일 시간ㆍ동일 주파수로 송신하는 경우, 즉, Rank1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 결정 방법 5에서는, 단말(200)측에서 2개의 CW의 부호화율(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결정 방법 3처럼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로의 보정 계수의 통지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결정 방법 5에서는, 결정 방법 3과 비교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로의 시그널링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결정 방법 5에서는, 수학식(9)에 나타내는 부호화율의 역수에 대응하는 부분((LCW #0+LCW #1)/(rCW #0×LCW #0+rCW #1×LCW #1))의 분모는, CW#0 및 CW#1이 각각 할당된 모든 레이어에 있어서 1RE를 이용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수의 합계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CW#0 및 CW#1의 어느 것인가 한쪽 CW의 부호화율이 극단적으로 낮은(데이터 사이즈가 극단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다른 쪽 CW의 부호화율도 고려되므로,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방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CW를 할당하는 각 레이어에 대해서 동일한 리소스량을 할당하는 것을 상정하면, MCW #0 SC PUSCH - initialㆍNCW #0 Symb PUSCH - initial=MSC PUSCH - initial (0)ㆍNSymb PUSCH - initial (0)ㆍLCW #0,및, MCW#1SC PUSCH-initialㆍNCW #1 Symb PUSCH - initial=MSC PUSCH - initial (1)ㆍNSymb PUSCH - initial (1)ㆍLCW #1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MSC PUSCH - initial (0)ㆍNSymb PUSCH - initial (0)은 CW#0을 할당하는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레이어당 데이터 신호의 초회 송신시의 리소스량을 나타내고, MSC PUSCH - initial (1)ㆍNSymb PUSCH-initial(1)은 CW#1을 할당하는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레이어당 데이터 신호의 초회 송신시의 리소스량을 나타낸다. 이것을 이용해서, 식(9)를 단순 변환하면 수학식(10)이 된다. 또, LCW #0+LCW #1=L이기 때문에, 식(10)은 식(11)과 등가이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0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1
또, CW가 할당되는 각 레이어의 리소스량을 동일한 것으로 하여 Wlayer(=MSC PUSCH-initialㆍNSymb PUSCH - initial)로 하면, 식(9)는, 다음 수학식(12)와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2
또한, 수학식(12)에 있어서, ((LCW #0+LCW #1)×Wlayer)는, 다음 수학식(13)과 동일하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3
또한, Wlayer=MSC PUSCH - initialㆍNSymb PUSCH - initial, 및, LCW #0+LCW #1=L이기 때문에, 식(10)은 단순 변환하면 다음 수학식(14)가 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4
이상,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결정 방법 1~5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기지국(100)의 ACK/NACKㆍCQI 수신부(111)는, 리소스량 결정부(204)에 있어서의 결정 방법 1~5와 동일하게 하여,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ACK/NACK 신호 또는 CQI)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ACK/NACKㆍCQI 수신부(111)는, 결정한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상향 회선의 데이터 신호가 할당된 채널(예를 들면, PUSCH)로부터, 하향 회선 데이터(PDSCH 신호)에 대한 각 단말로부터의 ACK/NACK 또는 CQI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SU-MIMO 송신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2개의 CW(코드워드)의 부호화율 중 보다 낮은 부호화율, 또는,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역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했다. 이것에 비해서, 실시형태 2에서는, 실시형태 1의 처리에 더해,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에 존재하는 레이어간 간섭의 차이를 고려해서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되므로, 도 4, 5를 원용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기지국(100)의 설정부(101)(도 4)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처리에 더해, 보정 계수(αoffset(L))를 설정한다.
ACK/NACKㆍCQI 수신부(111)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처리에 더해, 설정부(101)로부터 입력되는 보정 계수(αoffset(L))를 사용해서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한편, 실시형태 2에 따른 단말국(200)의 리소스량 결정부(204)(도 5)는,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되는 보정 계수(αoffset(L))를 사용해서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정 방법 6>
제어 정보의 레이어수(數) 또는 Rank수(數)와, 데이터 신호의 레이어수 또는 Rank수가 동일한 경우,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 사이에는 동일한 레이어간 간섭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어 정보가 배치되는 CW#0을 레이어#0에 할당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CW#1을 레이어#1에 할당하여 공간 다중하는 경우,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는 Rank2가 되어 동일 정도의 레이어간 간섭이 된다.
한편, 제어 정보의 Rank수와 데이터 신호의 Rank수가 다른 경우,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에는 다른 레이어간 간섭이 발생한다. 동일한 제어 정보가 CW#0, CW#1에 배치되어, 레이어#0, 레이어#1에서 송신되는 경우, 즉 Rank1 송신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신호가 CW#0, CW#1에 배치되어, 레이어#0, 레이어#1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레이어간 간섭이 적다.
그래서,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에 따라 상기 정식(定式)(예를 들면 식(1) 등)으로 산출되는 리소스량을 증감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다음 수학식(15)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 레이어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한쪽의 CW(CW#0 또는 CW#1) 또는 양쪽의 CW의 부호화율로부터 상기 식(1)을 이용해서 결정하고, 결정한 리소스량에, Rank수 또는 레이어수에 의존하는 보정 계수 αoffset(L)을 곱셈하고, 곱셈 결과를 총 레이어수 L로 나눗셈하여, 리소스량 QCW #0+ CW #1을 산출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5
또한, 식(15)에 있어서, αoffset(L)은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의 레이어수 또는 Rank수에 의존하는 보정 계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가 제어 정보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보다 큰 경우, 보정 계수 αoffset(L)은,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 사이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의 차가 증가함 따라 암시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 사이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의 차가 작을수록 보정 계수를 1.0에 접근시킨다.
한편, 데이터 신호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가 제어 정보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보다 작은 경우, 보정 계수 αoffset(L)은,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 사이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의 차가 증가함에 따라 암시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레이어간 간섭은 전파로 변동 또는 채널 행렬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Rank수 또는 레이어수가 동일한 경우라도 레이어간 간섭은 다르다. 그 때문에, 1개의 설정치로는 적절한 보정을 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공유하는 복수의 보정 계수 αoffset를 각 레이어에서 준비하고, 기지국(100)이 복수의 설정치에서 1개를 선택하여, 상위 레이어 또는 PDCCH로 단말(200)에 통지해도 좋다.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보정 계수 αoffset를 수신하여, 결정 방법 6과 동일하게 하여, 보정 계수 αoffset를 이용해 리소스량을 산출한다. 또, 기지국(100)이 오프셋량 βoffset PUSCH를 각 레이어(또는 각 Rank수)에 대해서 통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의 레이어간 간섭의 차를 고려해서 리소스량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리소스의 낭비적인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레이어간 간섭은 전파로 변동(채널 행렬)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위 레이어에서는 빈번하게 변경할 수 없다. 그래서, 빈번하게 변화하는 전파로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서, 보정 계수의 유무(有無)를 상위 레이어보다 통지 간격이 짧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1비트로 통지해도 좋다. PDCCH는 각 서브프레임으로 통지되기 때문에, 유연한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 PDCCH의 1비트를 이용해 보정 계수의 유무의 전환만을 지시함으로써 시그널링량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계수는 각 제어 정보(ACK/NACK 신호 및 CQI 등)에서 다른 설정치를 가지지만, 각 제어 정보(ACK/NACK 신호 및 CQI 등)에 대해서 공통 통지(공통된 설정치를 이용한 통지)를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말에 설정치 1을 통지하는 경우, 단말에서는 ACK/NACK 신호용의 설정치 1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가 선택되고, CQI용의 설정치 1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가 선택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제어 정보에 대해서 1개의 설정치를 통지하면 되기 때문에, 보정 계수를 통지하는 시그널링량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의 Rank수 또는 레이어수에 따라 보정 계수를 증감시킨다고 했지만, 레이어수 및 Rank수는 CW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의 CW수에 따라 보정 계수를 증감시켜도 좋다. 또, 데이터 신호와 제어 정보의 Rank수, 레이어수 또는 CW수가 1, 또는, 1보다 큰지에 따라 보정 계수를 증감시켜도 좋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에서는,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에서 레이어수가 동일해지는 경우를 상정했다. 이것에 비해서,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1의 처리에 있어서,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의 레이어수의 차이를 고려해서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한다.
실시형태 3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되므로, 도 4, 5를 원용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 따른 기지국(100)의 ACK/NACKㆍCQI 수신부(111)(도 4)는, 실시형태 1과 거의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초회 송신시 및 재송시의 레이어수에 기초해서,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산출한다. 즉, ACK/NACKㆍCQI 수신부(111)에서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의 산출식이 확장되는 점이 실시형태 1과 다르다.
한편, 실시형태 3에 따른 단말국(200)의 리소스량 결정부(204)(도 5)는, 실시형태 1과 거의 동일한 처리를 행하고, 초회 송신시 및 재송시의 레이어수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의 할당에 필요한 리소스량을 산출한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에서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의 산출식이 확장되는 점이 실시형태 1과 다르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정 방법 7>
결정 방법 1~6에서는, 초회 송신과 재송시에서 레이어수가 동일한 경우를 상정했다. 또, 초회 송신시에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예를 들면 식(9)(결정 방법 5)로 설정함으로써, 제어 정보에 대해서 일정 이상의 수신 품질(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결정 방법 1~6(예를 들면 식(9) 등)에서는, 초회 송신시도 재송시도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동일하기 때문에, 재송시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의 레이어수가 변경(예를 들면, 감소)될 경우에는, 레이어수의 감소에 의해 제어 정보의 전(全) 레이어에서의 총 리소스량도 감소한다. 그 때문에, 재송시에는 초회 송신시보다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이 저하한다(예를 들면, 도 9 참조).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할당 통지 정보(UL grant)를 이용해서 레이어수를 4(초회 송신시)에서 2(재송시)로 변경할 경우, 데이터 신호의 리소스량이 감소하는데 수반하여, 제어 정보(예를 들면, ACK/NACK 신호)에 대한 전 레이어에서의 총 리소스량도 감소한다.
그래서,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재송시에 각 CW가 배치되는 레이어수에 따라, 재송시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재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재송시에는, 초회 송신시에 산출한 레이어당 리소스량을 이용하지 않고, 재송시(현재)에 각 CW가 배치되는 레이어수를 식(9)에 대입하여, 재송시(현시점)의 레이어당 리소스량을 재계산한다. 여기서, 레이어수 이외의 정보(MCW #0 SC PUSCH - initial, MCW #1 SC PUSCH - initial, NCW #0 Symb PUSCH - initial, NCW #1 Symb PUSCH - initial, ΣKr CW #0, ΣKr CW#)는 일정한 오류율(예를 들면 10%)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된 초회 송신시의 수치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LCW #0+LCW #1=L인 것도 고려하면, 재송시(현재)에 있어서의 식(9)는, 수학식(16)이 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6
여기서, LCW #0 current, LCW #1 current는, CW#0, CW#1을 할당하는 재송시(현재)의 레이어수를 나타내고, LCW #0 initial, LCW #1 initial은 CW#0, CW#1을 할당하는 초회 송신시의 레이어수를 나타낸다. 또한, 결정 방법 1~6에 있어서는,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에서 동일한 레이어수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에서 레이어수를 구별하고 있지 않지만, 결정 방법 1~6에서 이용한 레이어수는, 각 CW의 비트수, 리소스량 등과 마찬가지로, 초회 송신시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식(16)은 식(9)에 있어서의 분모의 각 항에 대해서,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의 레이어수의 비(比)(LCW #0 current/LCW #0 initial, LCW #1 current/LCW #1 initial)를 곱한 것이며, 식(11)에 맞추면 수학식(17)이 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7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어수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레이어당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증가한다. 즉, 제어 정보가 배치되는 각 레이어의 총 리소스량은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에서 동일 정도(즉, (제어 정보가 배치되는 레이어수×레이어당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동일한 정도)가 되어, 재송시에 있어서도 제어 정보에 대해서 일정 이상의 수신 품질(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도 10 참조).
이것에 의해,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에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어수가 다른 경우에도, 재송시(현재)의 레이어수를 고려해서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리소스의 낭비적 사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송신시의 레이어수와 재송시의 레이어수의 비율(재송시의 레이어수/초회 송신시의 레이어수)이, CW#0 및 CW#1의 양쪽에서 1/A(A : 정수)배(倍)인 경우에는, 식(17) 대신에 다음 수학식(18)을 이용해도 좋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8
여기서, Linitial, Lcurrent는 초회 송신시, 재송시에 있어서의 총 레이어수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조건((재송시의 레이어수/초회 송신시의 레이어수)=1/A) 이외에서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과잉 또는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리소스량의 낭비 또는 저품질이 되는 경우가 있다. 단, 상기 조건 이외의 확률이 낮은 경우, 또는, 발생 회피 가능한 설계인 경우,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식(18)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산출하면 된다.
또, 상기에서는 재송시 쪽이 초회 송신시보다 총 리소스량(예를 들면, 레이어 수)이 감소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러나, 재송시 쪽이 초회 송신시보다 총 리소스량(예를 들면, 레이어수)이 증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리소스량 결정부(204)에서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이 과잉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식(16), 식(17) 또는 식(18)을 적용해도 좋다.
또, 레이어수는 안테나 포트수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초기 송신시의 레이어수(도 10에서는 4)를 초기 송신시의 안테나 포트수(도 10에서는 4개)로 대체하고, 재송시(현재)의 레이어수(도 10에서는 2)를 재송시(현재)의 안테나 포트수(도 10에서는 2개)로 대체하고, 총 레이어 수를 총 안테나 포트수로 대체한다. 즉, 리소스량 결정부(204)는, 식(16), 식(17) 또는 식(18)에 있어서의 레이어수를 안테나 포트수로 대체하여,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계산한다.
여기서, 레이어수를, 다른 신호 계열이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수라고 정의하는 경우에는, 레이어수와 안테나 포트수는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4안테나 포트로 rank1 송신되는 경우에는, 4안테나 포트에 대해서 동일한 신호 계열이 송신되기 때문에, 레이어수는 1이다. 이 때, 초회 송신시에 4안테나 포트로 4레이어 송신되고 있었던 것에 비해, 재송시에 4안테나 포트로 1레이어 송신(rank1 송신)되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보정할 필요가 없다. 한편, 초회 송신시에 4안테나 포트로 4레이어 송신되고 있던 것에 비해, 재송시에 1안테나 포트로(1레이어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또, 재송시에 이용하는 안테나 포트수가 감소한 만큼, 안테나 포트당 송신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의 보정을 회피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포트수가 4에서 2로 감소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포트당 송신 전력을 3㏈(즉, 2배)만큼 증가시키고, 안테나 포트수 4에서 1로 감소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포트당 송신 전력을 6㏈(즉, 4배)만큼 증가시키면 된다.
또, 재송시에 이용되는 안테나 포트수가 초회 송신시와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또는 매트릭스(matrices))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식(11) 또는 식(14)를 이용해도 좋다. 또, 재송시에 이용되는 안테나 포트수가 초회 송신시와 다른 등의 프리코딩 벡터(또는 매트릭스)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식(16), 식(17) 또는 식(18)의 레이어수를 안테나 포트수로 대체해서 이용해도 좋다.
또, 식(16), 식(17)은, 한쪽 CW가 ACK가 되고, 다른 쪽 CW가 NACK가 되어, CW수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초회 송신의 CW#0이 ACK가 되고, CW#1이 NACK가 되고, CW#1만이 재송되는 경우에는, 식(16) 또는 식(17)에서 LCW #0 current=0을 대입하게 되어,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은 수학식(19)가 된다. 또한, 식(19)는, CW1만이 NACK인 경우를 나타내지만, 반대로, CW0만이 NACK인 경우에는, 식(19)에 있어서의 CW1 정보를 CW0 정보로 대체하면 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19
또, 2개의 CW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식(11) 또는 식(14)를 이용하고, 1개의 CW로 재송되는 경우에는 예외 처리로서 식(19)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초회 송신시가 2CW를 이용하는 4안테나 포트 송신이고, 재송시가 1CW의 2안테나 포트 송신이 될 경우에, 재송시에 식(19)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수신 품질이 극단적으로 저하한 경우 등에 사용하는 폴백(Fallback) 모드 등에, 재송시가 1CW의 1안테나 포트 송신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에는 예외 처리로서 식(19)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식(19)는, 수학식(20)에 나타내는 것처럼 보정치를 이용하는 정식(定式)으로 해도 좋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20
여기서, 식(20)에 있어서의 W는 보정치를 나타낸다. 보정치 W는,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에 있어서의 CW0 또는 CW1의 레이어수(또는 안테나 포트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식(20)에 있어서의 보정치 W로서, 초회 송신시의 CW0 또는 CW1을 할당하는 안테나 포트수에 대한, 재송시의 안테나 포트수의 비(比)로 한다. 또, 보정치 W는, 오프셋량 βoffset PUSCH에 포함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오프셋량 βoffset PUSCH가 초회 송신시와 재송시에 있어서의 CW0 또는 CW1의 레이어수(또는 안테나 포트수)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재송시에도 초기 송신시의 CW 정보를 이용해 리소스량을 산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재송시에도 초기 송신시의 CW 정보를 이용해서 리소스량을 산출하는 이유는, 재송시의 데이터 신호의 오류율이 10% 등 일정한 값으로 설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은, 초회 송신시에는 데이터 신호의 오류율이 10%가 되도록, 각 단말에 리소스를 할당하는 한편, 재송시에는 초회 데이터 신호의 오류를 개선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초회 송신시보다 적은 리소스를 데이터 신호에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즉,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의 산출식에 있어서, 재송시의 데이터 신호의 리소스량(MSC PUSCH - retransmissionㆍNSymb PUSCH-retransmission)이 적어지면,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도 적어져서,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이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초회 송신시의 정보를 이용해서 리소스량을 결정함으로써, 제어 정보에 대해서 일정 이상의 수신 품질(소요 수신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ΣKr, ΣKr CW #0, ΣKr CW #1은 초회 송신과 재송시에서 동일하다.
또, 초회 송신시에 데이터 오류율을 10%(0.1)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재송시는 시간 지연에 의해 데이터 신호의 오류율이 10%로부터 멀어질 가능성이 있다(더욱 오류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재송시에는 리소스량을 결정할 때에 보정치(K)를 곱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학식(21)과 같이, 각 CW에 있어서의 초회 송신시의 레이어수(LCW#0 initial, LCW#1 initial)와 재송시의 레이어수(LCW #0 current, LCW #1 current)의 비(比)에 대해서, 각 CW에서 생성되는 항에 대해서 다른 보정치(KCW #0, KCW #1)를 곱셈해도 좋다. 또는, 수학식(22)과 같이, 초회 송신시의 레이어수(Linitial)와 재송시의 레이어수(Lcurrent)의 비에 대해서 보정치(K)를 곱셈해도 좋다. 또, 이것들로 한정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의 시간 지연에 대한 보정치를 곱셈하면 된다.
Figure 112012101237225-pct00021
Figure 112012101237225-pct00022
또, 결정 방법 1~7과는 다른 방법으로서, 재송시에는 초회 송신시와 동일한 레이어수를 항상 사용한다고 하는 제한을 더해도 좋다. 예를 들면, 재송시에 있어서의 각 CW의 레이어수를 할당 정보(UL grant) 등에서 변경하는 것을 금지해도 좋다. 또, 재송시에 각 CW의 레이어수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ACK/NACK는 초회 송신시와 동일한 레이어수로 송신한다고 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IMO 송신 모드는, LTE에서 규정되는 Transmission mode 3, 4, 즉 2CW의 송신이 서포트되는 송신 모드라고 하고, non-MIMO 송신 모드는, 그것 이외의 Transmission mode, 즉 1CW만이 송신되는 송신 모드라고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CW로 송신하는 MIMO 송신 모드, 및, 1개의 CW로 송신하는 Non-MIMO 송신 모드를 상정해서 설명했다. 상세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MIMO 송신 모드에서는 신호가 복수의 레이어(또는 복수의 Rank)로 송신되고, Non-MIMO에서는 신호가 1개의 레이어(또는 1개의 Rank)로 송신되는 것을 상정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것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고, MIMO 송신 모드(예를 들면 SU-MIMO 송신)에서는 신호가 복수의 안테나 포트로 송신되고, Non-MIMO에서는 신호가 1개의 안테나 포트로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드워드는, 트랜스포트 블록(TB : Transport Block)과 대체해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정보로서 ACK/NACK 및 CQI를 채택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신호보다 높은 수신 품질이 요구되는 정보(제어 정보)이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CQI 또는 ACK/NACK를 PMI(프리코딩에 관한 정보)나 RI(랭크에 관한 정보)로 대체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레이어」란, 공간상의 가상적인 전파로를 가리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MIMO 송신에서는 각 CW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가, 동일 시간 및 동일 주파수에 있어서, 공간상의 다른 가상적인 전파로(다른 레이어)에 의해 송신된다. 또한, 「레이어」는, 스트림으로 불리는 일도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이 제어 정보를 배치한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차(또는 부호화율의 비)에 기초해서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2개의 CW의 부호화율의 차(또는 부호화율의 비) 대신에, 2개의 CW의 MCS의 차(또는 MCS의 비)를 이용해도 좋다. 또는, 부호화율로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의 조합을 이용해도 좋다.
(5) 또한, 상기 오프셋량을 보정 계수라고 불러도 좋고, 보정 계수를 오프셋량이라고 불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 이용된 보정 계수 및 오프셋량(αoffset(L), βoffset PUSCH, γoffset)은 어느 것인가 2개 또는 3개를 조합해서 1개의 보정 계수 또는 오프셋량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6)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테나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안테나 포트(antenna port)라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란, 1개 또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안테나를 가리킨다. 즉, 안테나 포트는 반드시 1개의 물리 안테나를 가리킨다고는 할 수 없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어레이 안테나 등을 가리키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3GPP LTE에 있어서는, 안테나 포트가 몇 개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지는 규정되지 않고, 기지국이 다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 안테나 포트는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의 가중치를 곱셈하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는 일도 있다.
또 레이어수(數)는 공간상에서 동시에 송신되는 다른 데이터 신호의 수라고 정의해도 좋다. 또, 레이어는, 데이터 신호 혹은 파일럿 신호에 관련지어진 안테나 포트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또는 그 공간상의 통신로)라고 해도 좋다. 예를 들면, LTE-A에 있어서 상향 회선의 복조용 파일럿 신호에서 검토되고 있는 웨이트 제어에 이용하는 벡터(프리코딩 벡터)에서는, 레이어와 프리코딩 벡터가 1대 1로 대응한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의 제휴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도 실현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것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서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2010년 6월 21일에 출원한 특허 출원 2010-140751 및 2010년 9월 30일에 출원한 특허 출원 2010-221392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등에 유용하다.
100 : 기지국 200 : 단말
101 : 설정부 102, 103 : 부호화ㆍ변조부
104, 205 : 송신 신호 생성부 105, 206 : 송신부
106, 201 : 안테나 107, 202 : 수신부
108, 208 : 무선 처리부 109, 203 : 수신 처리부
110 : 데이터 수신부 111 : ACK/NACKㆍCQI 수신부
204 : 리소스량 결정부 207 : 송신 처리부

Claims (12)

  1. 제어 정보를 복수의 레이어로 송신하는 단말 장치(200)로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는 결정부(204)와,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206)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QCW #0+ CW #1은, 수학식(1)에 의해 결정되는
    단말 장치.
    Figure 112012101237225-pct00023

    단, O는 상기 제어 정보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P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해서 오류 정정용으로서 추가되는 비트수를 나타내고, βoffset PUSCH는 오프셋량을 나타내고, L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의 수를 나타내고, LCW #0, L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에 할당되는 레이어수를 나타내고, MCW #0 SC PUSCH - initial, MCW #1 SC PUSCH - initial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PUSCH의 송신 대역폭을 나타내고, NCW #0 symb PUSCH - initial, NCW #1 symb PUSCH - initial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송신 심볼수를 나타내고, Kr CW #0, Kr 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각 코드블록 r에 있어서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CCW #0, C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데이터 신호를 코드블록으로 분할할 때의 분할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P는 제로(0)인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L은 LCW #0과 LCW #1의 합인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MCW #0 SC PUSCH - initial과 NCW #0 symb PUSCH - initial의 곱(積)은 MCW #0 SC PUSCH - initial과 LCW #0과 코드워드#0의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송신 심볼수의 곱이며, MCW #1 SC PUSCH - initial과 NCW #1 symb PUSCH -initial의 곱은 MCW #1 SC PUSCH - initial과 LCW #1과 코드워드#1의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송신 심볼수의 곱인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ACK/NACK 신호인 단말 장치.
  6. 제어 정보를 복수의 레이어로 수신하는 기지국 장치(100)로서,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7)와,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여,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 정보 추출부(111)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QCW #0+ CW #1은, 수학식(1)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 장치.
    Figure 112012101237225-pct00024

    단, O는 상기 제어 정보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P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해서 오류 정정용으로서 추가되는 비트수를 나타내고, βoffset PUSCH는 오프셋량을 나타내고, L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의 수를 나타내고, LCW #0, L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에 할당되는 레이어수를 나타내고, MCW #0 SC PUSCH - initial, MCW #1 SC PUSCH - initial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PUSCH의 송신 대역폭을 나타내고, NCW #0 symb PUSCH - initial, NCW #1 symb PUSCH - initial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송신 심볼수를 나타내고, Kr CW #0, Kr 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각 코드블록 r에 있어서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CCW #0, C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데이터 신호를 코드블록으로 분할할 때의 분할수를 나타낸다.
  7. 제 6 항에 있어서,
    P는 제로인 기지국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L은 LCW #0과 LCW #1의 합인 기지국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MCW #0 SC PUSCH - initial과 NCW #0 symb PUSCH - initial의 곱(積)은 MCW #0 SC PUSCH - initial과 LCW #0과 코드워드#0의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송신 심볼수의 곱이며, MCW #1 SC PUSCH - initial과 NCW #1 symb PUSCH -initial의 곱은 MCW #1 SC PUSCH - initial과 LCW #1과 코드워드#1의 각 레이어에 있어서의 송신 심볼수의 곱인 기지국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ACK/NACK 신호인 기지국 장치.
  11. 제어 정보를 복수의 레이어로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여,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QCW #0+ CW #1은, 수학식(1)에 의해 결정되는
    송신 방법.
    Figure 112012101237225-pct00025

    단, O는 상기 제어 정보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P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해서 오류 정정용으로서 추가되는 비트수를 나타내고, βoffset PUSCH는 오프셋량을 나타내고, L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의 수를 나타내고, LCW #0, L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에 할당되는 레이어수를 나타내고, MCW #0 SC PUSCH - initial, MCW #1 SC PUSCH - initial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PUSCH의 송신 대역폭을 나타내고, NCW #0 symb PUSCH - initial, NCW #1 symb PUSCH - initial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송신 심볼수를 나타내고, Kr CW #0, Kr 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각 코드블록 r에 있어서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CCW #0, C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데이터 신호를 코드블록으로 분할할 때의 분할수를 나타낸다.
  12. 제어 정보를 복수의 레이어로 수신하는 수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 정보의 리소스량 QCW #0+ CW #1은, 수학식(1)에 의해 결정되는
    수신 방법.
    Figure 112012101237225-pct00026

    단, O는 상기 제어 정보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P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해서 오류 정정용으로서 추가되는 비트수를 나타내고, βoffset PUSCH는 오프셋량을 나타내고, L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의 수를 나타내고, LCW #0, L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에 할당되는 레이어수를 나타내고, MCW #0 SC PUSCH - initial, MCW #1 SC PUSCH - initial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PUSCH의 송신 대역폭을 나타내고, NCW #0 symb PUSCH - initial, NCW #1 symb PUSCH - initial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송신 심볼수를 나타내고, Kr CW #0, Kr 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각 코드블록 r에 있어서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CCW #0, CCW #1은 각각 코드워드#0, #1의 데이터 신호를 코드블록으로 분할할 때의 분할수를 나타낸다.
KR1020127031949A 2010-06-21 2011-06-07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1747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0751 2010-06-21
JPJP-P-2010-140751 2010-06-21
JPJP-P-2010-221392 2010-09-30
JP2010221392 2010-09-30
PCT/JP2011/003198 WO2011161887A1 (ja) 2010-06-21 2011-06-07 端末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368A Division KR101833695B1 (ko) 2010-06-21 2011-06-07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738A KR20130118738A (ko) 2013-10-30
KR101747480B1 true KR101747480B1 (ko) 2017-06-14

Family

ID=453710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368A KR101833695B1 (ko) 2010-06-21 2011-06-07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0127031949A KR101747480B1 (ko) 2010-06-21 2011-06-07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368A KR101833695B1 (ko) 2010-06-21 2011-06-07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8) US8830911B2 (ko)
EP (3) EP2584827B1 (ko)
JP (2) JP5715129B2 (ko)
KR (2) KR101833695B1 (ko)
CN (2) CN105554814B (ko)
AU (1) AU2011270584B2 (ko)
BR (1) BR112012031268B1 (ko)
CY (1) CY1120539T1 (ko)
DK (1) DK2584827T3 (ko)
ES (1) ES2668811T3 (ko)
HR (1) HRP20180949T1 (ko)
HU (1) HUE038240T2 (ko)
LT (1) LT2584827T (ko)
PL (1) PL2584827T3 (ko)
PT (1) PT2584827T (ko)
RS (1) RS57335B1 (ko)
RU (2) RU2556877C2 (ko)
SG (2) SG186233A1 (ko)
SI (1) SI2584827T1 (ko)
TW (2) TWI584608B (ko)
WO (1) WO2011161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0039B (zh) * 2010-07-09 2015-08-26 日本电气株式会社 通信设备和资源导出方法
US8848557B2 (en) * 2010-08-25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xing of control and data in UL MIMO system based on SC-FDM
CN107104716B (zh) * 2011-04-19 2020-10-02 太阳专利托管公司 信号生成方法及装置、信号处理方法及装置
WO2015008830A1 (ja) * 2013-07-19 2015-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7026972A1 (en) * 2015-08-07 2017-02-16 Intel IP Corporation Uci for carrier aggregation
MX2018006354A (es) 2015-12-01 2018-09-05 Ericsson Telefon Ab L M Mecanismo de retroalimentacion de reconocimiento predictivo.
CN109417448B (zh) 2016-05-11 2021-08-20 Idac控股公司 支持在同一信道内使用混合参数配置的物理(phy)层方案
WO2017193382A1 (zh) * 2016-05-13 2017-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发送、接收方法和设备
WO2018145047A1 (en) * 2017-02-06 2018-08-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hort pdcch operation
WO2018163431A1 (ja) * 2017-03-10 2018-09-1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892821B2 (en) * 2017-03-20 2021-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pping code word and layer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SG11201900095WA (en) 2017-03-25 2019-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trs reception for phase noise cancel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9024116A1 (zh) 2017-08-04 2019-0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通信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1601223B2 (en) * 2017-08-18 2023-03-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HARQ transmission and retransmission using multiple code words
US11516834B2 (en) * 2017-11-13 2022-11-2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S11812433B2 (en) * 2017-11-17 2023-11-0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6947291B2 (ja) * 2018-03-30 2021-10-1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5681A1 (en) 2006-05-26 2007-11-29 Fujitsu Limited Radio base station receiver and program
JP2009189007A (ja) 2008-02-04 200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及びデータ多重化
US20090268844A1 (en) 2008-04-28 2009-10-29 Pasi Kinnunen Method and apparatus to link modulating and coding scheme to amount of resources
WO2010064407A1 (ja) 2008-12-02 2010-06-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化率設定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0587B2 (en) * 2001-08-22 2006-10-31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corporated, Administrative Agency Communication quality estimation method, communication quality estim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4675167B2 (ja) * 2005-06-14 2011-04-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
CN101132608A (zh) * 2006-08-22 2008-02-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指示信道资源分配信息的设备和方法
CA2819715A1 (en) 2006-11-06 2008-05-15 Qualcomm Incorporated Mimo transmission with layer permu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44896A1 (en) * 2007-01-09 2008-07-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figuration of control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671982B2 (ja) * 2007-01-09 2011-04-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WO2008093413A1 (ja) * 2007-01-31 2008-08-07 Fujitsu Limited 無線通信制御方法並びに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CN101296207B (zh) * 2007-04-28 2011-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令的传输方法、网络侧设备以及终端
CN101682381B (zh) * 2007-06-15 2013-06-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DK2291940T4 (en) * 2008-02-06 2018-08-13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DURES AND DEVICES RELATING TO DOWNLINK ALLOCATIONS
KR101591086B1 (ko) * 2008-05-21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KR100925444B1 (ko) * 2008-05-27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CN102144367B (zh) * 2008-06-30 2013-07-31 诺基亚西门子通信公司 在正常和虚拟双层ack/nack之间选择
ES2760570T3 (es) * 2008-07-22 2020-05-14 Lg Electronics Inc Método para asignar un PHICH y generar una señal de referencia en un sistema que usa MIMO de usuario único basado en múltiples palabras de código en una transmisión de enlace ascendente
JP2010140751A (ja) 2008-12-11 2010-06-24 Nsk Ltd 発電素子
US8625554B2 (en) * 2009-01-30 2014-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data and control signal transmission in MIMO wireless systems
JP2010221392A (ja) 2009-02-25 2010-10-07 Kyocera Corp 光通信用スリーブの内径研磨ピン並びにこれを用いた内径研磨装置および製造方法
WO2010125737A1 (ja) * 2009-04-28 2010-11-04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の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1695017A (zh) * 2009-10-27 2010-04-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物理上行共享信道传输上行控制信令的方法与装置
CN101702631A (zh) * 2009-11-04 2010-05-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控制信令传输方法和装置
US8958380B2 (en) * 2010-03-22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US9100155B2 (en) * 2010-05-03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and data multiplex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US8989156B2 (en) * 2010-06-18 2015-03-24 Sharp Kabushiki Kaisha Selecting a codeword and determining a symbol length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WO2012021231A2 (en) * 2010-08-13 2012-02-16 Zte (Usa) Inc. Method for multiplex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US8848557B2 (en) * 2010-08-25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xing of control and data in UL MIMO system based on SC-FDM
WO2012067443A2 (ko) * 2010-11-17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5681A1 (en) 2006-05-26 2007-11-29 Fujitsu Limited Radio base station receiver and program
JP2009189007A (ja) 2008-02-04 200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及びデータ多重化
US20090268844A1 (en) 2008-04-28 2009-10-29 Pasi Kinnunen Method and apparatus to link modulating and coding scheme to amount of resources
WO2010064407A1 (ja) 2008-12-02 2010-06-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化率設定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09477B2 (en) 2016-11-29
US20230074444A1 (en) 2023-03-09
US10057035B2 (en) 2018-08-21
US10419189B2 (en) 2019-09-17
US11949624B2 (en) 2024-04-02
RU2556877C2 (ru) 2015-07-20
WO2011161887A1 (ja) 2011-12-29
TW201208279A (en) 2012-02-16
PL2584827T3 (pl) 2018-08-31
PT2584827T (pt) 2018-06-22
ES2668811T3 (es) 2018-05-22
EP3694250B1 (en) 2021-02-24
US20170033910A1 (en) 2017-02-02
EP2584827A1 (en) 2013-04-24
US20130064212A1 (en) 2013-03-14
CN105554814A (zh) 2016-05-04
US8830911B2 (en) 2014-09-09
EP3340675B1 (en) 2020-03-18
US11533147B2 (en) 2022-12-20
US9755805B2 (en) 2017-09-05
RU2659232C2 (ru) 2018-06-29
CY1120539T1 (el) 2019-07-10
EP2584827B1 (en) 2018-03-21
CN102934482B (zh) 2016-02-03
EP3694250A1 (en) 2020-08-12
KR20170066708A (ko) 2017-06-14
US20210006374A1 (en) 2021-01-07
JP5715129B2 (ja) 2015-05-07
KR101833695B1 (ko) 2018-02-28
RS57335B1 (sr) 2018-08-31
US20180323937A1 (en) 2018-11-08
EP3340675A1 (en) 2018-06-27
EP2584827A4 (en) 2017-08-09
TWI514803B (zh) 2015-12-21
JP5883523B2 (ja) 2016-03-15
RU2015120327A3 (ko) 2018-04-26
JP2015146602A (ja) 2015-08-13
BR112012031268B1 (pt) 2021-02-09
HRP20180949T1 (hr) 2018-08-10
HUE038240T2 (hu) 2018-10-29
AU2011270584B2 (en) 2014-03-13
SI2584827T1 (en) 2018-06-29
TW201624939A (zh) 2016-07-01
SG10201404644VA (en) 2014-10-30
SG186233A1 (en) 2013-01-30
CN105554814B (zh) 2019-01-04
JPWO2011161887A1 (ja) 2013-08-19
AU2011270584A1 (en) 2012-12-06
US20180048449A1 (en) 2018-02-15
US20190363855A1 (en) 2019-11-28
KR20130118738A (ko) 2013-10-30
RU2015120327A (ru) 2015-11-27
RU2012152641A (ru) 2014-07-27
BR112012031268A2 (pt) 2016-11-01
CN102934482A (zh) 2013-02-13
US20140341154A1 (en) 2014-11-20
DK2584827T3 (en) 2018-07-02
TWI584608B (zh) 2017-05-21
US10826666B2 (en) 2020-11-03
LT2584827T (lt)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480B1 (ko)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1625861B1 (ko) 상향링크 전송 시, 다중 코드워드 기반 단일 사용자 mimo가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phich 할당 및 참조 신호 생성 방법
EP2313988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23490A1 (en) Base station device,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KR101676461B1 (ko) 단말 및 그 통신 방법
KR101638659B1 (ko) 통신 장치 및 제어 정보의 송신 방법
KR20130004790A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신호 처리 방법, 그 단말, 그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