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142B1 -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142B1
KR101747142B1 KR1020170002538A KR20170002538A KR101747142B1 KR 101747142 B1 KR101747142 B1 KR 101747142B1 KR 1020170002538 A KR1020170002538 A KR 1020170002538A KR 20170002538 A KR20170002538 A KR 20170002538A KR 101747142 B1 KR101747142 B1 KR 10174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ear
knuckle
hub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강모
노기동
Original Assignee
대동기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기어(주) filed Critical 대동기어(주)
Priority to KR1020170002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2Hubs adapt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ax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너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너클축의 외주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와, 허브 전방의 너클축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에 있어서, 링기어와 너클축 사이에는 고정핀이 삽입 결합되어, 링기어를 너클축에 결합 고정시키는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Hub reduction assembly}
본 발명은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축의 파이널부에 구성되는 허브 리덕션의 링기어와 너클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구동장치에 사용되는 리어 액슬은 변속기를 통하여 들어온 엔진의 출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용 차량에 적용되는 리어 액슬은 형태에 따라 단 감속(single reduction)과 이중 감속(double reduction)으로 구별되며, 일반적인 차량에는 단 감속 리어 액슬이 적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단 감속 리어 액슬에는 추진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연결된 링기어를 포함한다.
링기어는 액슬 샤프트에 연결되어 차륜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링기어 및 피니언 기어는 액슬 하우징에 의하여 덮여져 보호된다. 이러한 리어 액슬의 구조는 차량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지상고를 확보하여야만 한다.
한편, 엔진이 고출력화 되면, 리어 액슬 기어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되므로 액슬 기어 크기가 증대되어야 한다.
그러나, 액슬 기어의 크기는 기어를 감싸고 있는 액슬 하우징 부위의 지상고 한계로 인하여 액슬 기어 크기가 제한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고출력용 엔진에 적합한 리어 액슬로써 2단계에 나누어 감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이중 감속(double reduction) 리어 액슬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중 감속 리어 액슬은 허브 리덕션(hub reduction)이라고도 하며, 허브 리덕션은 리어 액슬의 중심부에 1단계의 감속을 위한 1차 감속 기어가 설치되고, 리어 액슬의 양측으로 액슬 샤프트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2단계의 감속을 위한 한 쌍의 허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허브에는 2단계의 감속을 위한 유성기어 세트가 설치된다.
종래의 허브 리덕션은 한국 등록특허 10-1342666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고, 이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허브 리덕션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액슬 하우징(미도시)의 단부에는 너클(10)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너클(10)의 외주면에는 허브(40)가 베어링(3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너클(10)의 내주면에는 구동축(2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축(20)에는 액슬 샤프트(미도시)가 연동 회전되게 연결되어 구비된다.
액슬 하우징에 고정되는 너클(10)은 그 선단부에 중공의 너클축(1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너클축(11)의 외주면에는 허브(40)가 베어링(3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너클축(11)과 허브(4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30)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으로 구비되고,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내측링은 너클축(11)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외측링은 허브(40)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너클(10)의 너클축(11)에 허브(4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액슬 샤프트와 연결되는 구동축(20)은 너클(10) 및 너클축(11)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그 선단부에는 선기어(21)가 결합 고정되어 구동축(20)과 같이 회전된다.
선기어(21)는 중공부재로서 구동축(20)의 선단부 외주에 끼워져 결합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는 기어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선기어(21)와 후술될 링기어(50) 사이에는 다수의 유성기어(22)가 구비되고, 이 유성기어(22)는 각각 선기어(21)와 링기어(50)에 치합(이맞물림)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유성기어(22)의 외주면에는 링기어(50)가 치합되게 구비되고, 링기어(50)의 후단부에는 링기어(50)와 베어링(30)을 지지하는 서포터(60)가 구비된다.
서포터(60)는 그 선단부 외주연부가 외향 절곡되어 상태로 링기어(5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서포터(60)의 후면부는 너클축(11)의 선단부에 면접촉된 상태로 너클축(11)에 볼트(61)와 너트(62)로서 결합 고정되며, 이와 같이 구정된 서포터(60)의 후면부에는 베어링(30)이 접하여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서포터(60)의 중앙부에는 구동축(20)이 관통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서포터(60)의 전면부에는 볼트(61)와 너트(62)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테이너(71)가 구비되며, 리테이너(71)의 전면부에는 중공의 지지콘(70)이 구비되어 구동축(20)에 결합된 선기어(21)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콘(70)과 리테이너(71)의 중앙부에는 구동축(20)이 관통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허브(40)는 너클축(11) 외주면에 베어링(3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허브(40)와 너클(10) 사이에는 간격 유지를 위한 링 형태의 심부재(90)가 구비된다.
게다가, 허브(40)의 전면부에는 선기어(21) 및 유성기어(22), 링기어(50)를 그 내부에 수용한 커버(80)가 볼팅으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커버(80)는 그 내부에 각각의 유성기어(22)가 격리된 상태로 수용되고, 선기어(21)에 의한 유성기어(22)의 회전시 커버(80)가 유성기어(22)와 같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허브 리덕션은 엔진의 동력이 차동장치를 통해 양측의 액슬 샤프트로 각각 전달되고, 액슬 샤프트에 연결된 양 구동축(20)이 액슬 샤프트와 같이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동축(20)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20) 선단부에 결합 고정된 선기어(21)가 일체로 회전되고, 선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선기어(21)의 외주면에 치합된 다수의 유성기어(22)가 각각 자전하면서 선기어(21)의 외주를 따라 공전하게 된다.
그러면, 유성기어(22)의 공전에 의해 커버(80)가 유성기어(22)와 같이 회전되고, 커버(80)와 볼팅되어 결합된 허브(40)가 너클(10)의 너클축(11) 상에서 베어링(3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허브(40)의 회전에 의해 허브(40)에 장착된 바퀴가 감속 회전하게 된다.
이때, 너클(10) 및 너클축(11), 서포터(60), 링기어(5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 및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종래의 허브 리덕션은, 너클축(11)의 선단부에 링기어(50)를 고정하기 위한 서포터(60)가 너클축(11)에 볼트(61)와 너트(62)로서 결합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볼트(61)와 너트(62)는 링기어(50)의 고정을 위해서는 너클축(1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볼트(61)와 너트(62)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많은 개수의 볼트(61)와 너트(62)로 인해 작업공수가 증가되어 작업성 및 유지보수, 생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선기어(21)와 유성기어(22)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링기어(50) 및 서포터(60)를 통해 볼트(61)와 너트(62)로 전달되어 볼트(61)와 너트(62)의 풀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볼트(61)와 너트(62)의 풀림은 빈번하게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종래의 허브 리덕션 구조에서 링기어(50)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체결 방식은 베어링(30)의 예압 측정 후 심부재(90) 조절을 위해 볼트(61)와 너트(62)를 다시 풀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허브 리덕션 및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10-134266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너클의 너클축 외주에 링기어를 직접 결합 고정시켜 구비함으로써 링기어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너클의 너클축 외주에 고정되는 링기어를 핀 결합방식으로 결합 고정하여 조립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볼트 풀림에 의한 링기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는, 너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너클축의 외주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와, 허브 전방의 너클축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에 있어서, 링기어와 너클축 사이에는 고정핀이 삽입 결합되어, 링기어를 너클축에 결합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링기어와 너클축에는 서로 마주하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고정핀이 서로 마주하는 결합구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너클축의 외주에 결합 고정되어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구비될 수 있고, 스냅링은 너클축의 외주면에서 링기어의 내부까지 도달하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스냅링과 링기어 사이에는 간격심이 구비될 수 있고, 이 간격심은 그 일면이 스냅링에 접하여 구비되는 한편 타면은 고정핀과 링기어 사이의 경계부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에 따르면, 너클의 너클축 외주에 링기어를 직접 결합 고정시켜 구비함으로써 링기어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너클축 외주에 링기어를 핀에 의해 결합 고정함으로써 조립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볼트 풀림에 의한 링기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너클축과 허브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의 예압 측정 후 링기어와 너클축 사이의 핀을 빼낸 후 심부재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링기어와 너클축 사이에 구비되던 많은 부품 수가 줄어 작업공수가 절감되고, 이로 인해 작업성 및 생산성,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의 결합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의 분리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의 분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을 1차 감속시키는 차동장치(미도시)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액슬 하우징(미도시)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는 너클(100)과, 너클(100)의 외주에 베어링(30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400)와, 허브(400) 전방의 너클(10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링기어(500)를 포함한다.
너클(100)은 그 일면에 중공의 너클축(110)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너클축(11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300)을 매개로 허브(4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너클축(110)과 허브(40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300)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내측링은 너클축(110)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구비되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외측링은 허브(400)의 내주면에 접하여 구비되어, 너클(100)의 너클축(110)에서 허브(400)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특히, 베어링(300) 전방의 너클축(110) 선단부(바퀴가 구비되는 측의 단부)에는 축방향으로 평행한 반원 형상의 결합구(120)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이 결합구(120)는 후술될 링기어(500)의 결합구(510)와 일치되어 고정핀(70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너클축(110)의 선단부에는 후술될 스냅링(72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차진 결합홈(130)이 너클축(11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너클축(110)의 내부에는 구동축(200)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이와 같이 구비된 구동축(200)은 너클축(11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동축(200)은 그 후단부(차동장치를 향하는 측의 단부)가 액슬 샤프트와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고, 그 선단부에는 선기어(210)가 결합 고정되어 구동축(200)과 같이 회전된다.
선기어(210)는 중공의 기어로서, 구동축(200)의 선단부 외주에 끼워져 결합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선기어(210)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유성기어(220)가 일정 간격으로 치합(이맞물림)되어 구비되고, 다수의 유성기어(220)는 후술될 커버(60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격리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다수의 유성기어(220)는 링기어(500) 내에 구비되어, 링기어(500) 내주면의 기어부에 치합된다.
따라서, 다수의 유성기어(220)는 각각 선기어(210)와 링기어(500)에 치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선기어(210)와 링기어(500) 사이에서 자전하면서 선기어(210)의 원주를 따라 공전하게 된다.
이러한 링기어(500)는 그 내주면의 기어부에 각 유성기어(220)가 치합되어 구비되고, 후단부는 너클축(110)의 선단부에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은 링기어(500)는 기어부와 이격된 후단부의 내주면에 너클축(110)의 결합구(120)에 대응한 반원 형상의 결합구(510)가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구(510)는 링기어(500)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링기어(500)의 결합구(510)가 너클축(110)의 결합구(120)에 일치되어 원형의 홈을 형성하게 되고, 이 원형의 결합구(120)(510)에 후술될 고정핀(70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링기어(500)의 외측에는 그 내부에 링기어(500) 및 유성기어(220), 선기어(210)를 수용하는 캡 형상의 커버(600)가 구비되고, 커버(600)는 후술될 허브(400)에 볼팅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링기어(500)는 그 내부에 격벽이 돌출 형성되고, 이 격벽에 의해 다수의 유성기어(220)는 격리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링기어(500) 후방의 너클축(110) 외주면에 베어링(300)을 매개로 한 허브(4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허브(400)의 전면부에는 커버(600)가 볼팅되어 결합됨으로써 허브(400)는 커버(600)와 같이 너클축(110) 상에서 베어링(30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허브(400)는 그 외주면과 너클(100)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 유지를 위한 링 형태의 심부재(800)가 끼워져 구비된다.
또한, 허브(400)와 너클축(110)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는 베어링(300)은 너클(100)의 전면부와 링기어(500)의 후면부 사이에서 그 양측면이 각각 접한 상태로 지지 고정된다.
게다가, 링기어(500)와 너클축(110)의 결합구(120)(510)에는 고정핀(700)이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너클축(110)의 외주면에 링기어(500)를 결합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핀(700) 및 링기어(500)와 이격된 너클축(110) 단부의 결합홈(130)에는 스냅링(720)이 결합되어 구비되고, 이 스냅링(720)은 너클축(110)의 외주면에서 고정핀(700)을 지나 링기어(500)의 내측면까지 돌출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스냅링(720)에 의해 고정핀(700) 뿐만 아니라 링기어(500)도 걸림되게 구비됨으로써 링기어(500) 및 고정핀(700)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핀(700)은 링기어(500)와 너클축(110) 사이에 개재되어 링기어(500)를 고정되게 구비하는데, 너클축(110)의 외주면에서 허브(400)가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추력이 너클축(110)의 단부 측 방향으로 작용되고, 이러한 허브(400)의 추력에 의해 링기어(500)는 너클축(110)의 단부로 이탈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링기어(500)가 이탈되면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너클축(110)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냅링(720)을 링기어(500)의 내부까지 도달하는 높이로 구비함으로써 스냅링(720)에 의해 고정핀(700) 뿐만 아니라 링기어(500)도 지지되게 구비되므로 허브(400)의 회전에 의한 추력의 발생시에도 링기어(500)와 고정핀(700)의 이탈을 방지하여 링기어(500)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링기어(500)와 고정핀(7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스냅링(720)과 링기어(500) 사이에는 링 형상의 간격심(7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간격심(710)은 스냅링(720)과 링기어(500) 사이의 공간 즉 간격을 메울 뿐 아니라 그 양면이 각각 스냅링(720)과 링기어(500)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간격심(710)은 고정핀(700)과 링기어(500) 사이의 경계부에 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구비되는 간격심(710)은 링기어(500)와 고정핀(700) 모두에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허브(400)의 회전에 의한 추력 발생시 링기어(500)와 고정핀(700)의 이탈을 하나의 간격심(710)으로 견고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는, 엔진의 동력이 차동장치(미도시)를 통해 양측의 액슬 샤프트(미도시)로 각각 전달되고, 액슬 샤프트로 전달된 동력은 액슬 샤프트에 연결된 각 구동축(200)으로 전달된다.
이에, 구동축(200)은 액슬 샤프트와 같이 회전되고, 이러한 구동축(200)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200)의 선단부에 결합 고정된 선기어(210)가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선기어(210)의 회전에 의해 선기어(210)의 외주면과 링기어(500)의 내주면에 치합된 다수의 유성기어(220)가 각각 회전되어 자전하면서 선기어(210)의 외주 및 링기어(500)의 내주를 따라 이동되어 공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성기어(220)의 공전에 의해 커버(600)가 유성기어(220)와 같이 회전되고, 커버(600)와 볼팅되어 결합된 허브(400)가 너클(100)의 너클축(110) 상에서 베어링(30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허브(400)의 회전에 의해 허브(400)에 장착된 바퀴가 감속 회전하게 된다.
이때, 링기어(500)는 너클(100)의 너클축(110) 외주면에 고정핀(700)에 의해 결합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너클축(110)의 외주면에서 허브(400)가 회전됨에 따라 너클축(110)의 단부 측으로 추력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추력에 의해 너클축(1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링기어(500) 역시도 너클축(110)의 단부로 이탈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지만, 너클축(110) 단부의 결합홈(130)에 구비되는 스냅링(720)이 너클축(110)의 외주면에서 링기어(500)의 내부까지 도달하는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스냅링(720)에 의해 고정핀(700) 뿐만 아니라 링기어(500)도 지지되므로 추력에 의한 링기어(500)와 고정핀(700)의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스냅링(720)과 링기어(500) 사이에는 별도의 간격심(710)이 구비되고, 이 간격심(710)은 그 일면이 스냅링(720)에 접하여 구비되는 한편 타면은 고정핀(700)과 링기어(500) 사이의 경계부에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추력에 의한 링기어(500)와 고정핀(700)의 이탈을 간격심(710)으로 모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링기어(500)와 고정핀(700)은 간격심(710)과 스냅링(720)에 의한 이중 구조로 지지됨으로써 허브(400)의 추력에 의한 링기어(500)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링기어(500)와 고정핀(700)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링기어(500)가 스냅링(720)과 간격심(710) 및 고정핀(700)에 의해 너클축(110)에 고정된 구조이므로 너클축(110)과 허브(40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300)의 예압 측정 후, 링기어(500)와 너클축(110) 사이의 스냅링(720)과 간격심(710) 및 고정핀(700)을 빼내 심부재(800)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이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작업공수가 줄어 작업성 및 생산성, 생산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너클 110 : 너클축
120 : 결합구 130 : 결합홈
200 : 구동축 210 : 선기어
220 : 유성기어 300 : 베어링
400 : 허브 500 : 링기어
510 : 결합구 600 : 커버
700 : 고정핀 710 : 간격심
720 : 스냅링 800 : 심부재

Claims (5)

  1. 너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너클축의 외주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와, 허브 전방의 너클축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에 있어서,
    링기어와 너클축 사이에는 고정핀이 삽입 결합되어, 링기어를 너클축에 결합 고정시키되,
    너클축의 외주에 결합 고정되어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구비되고,
    스냅링과 링기어 사이에는 간격심이 구비되고, 이 간격심은 그 일면이 스냅링에 접하여 구비되는 한편 타면은 고정핀과 링기어 사이의 경계부에 접하여 구비되는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링기어와 너클축에는 서로 마주하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고정핀이 서로 마주하는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는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스냅링은 너클축의 외주면에서 링기어의 내부까지 도달하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5. 삭제
KR1020170002538A 2017-01-06 2017-01-06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KR10174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38A KR101747142B1 (ko) 2017-01-06 2017-01-06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38A KR101747142B1 (ko) 2017-01-06 2017-01-06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142B1 true KR101747142B1 (ko) 2017-06-14

Family

ID=5921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538A KR101747142B1 (ko) 2017-01-06 2017-01-06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1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4281A1 (en) 1981-01-26 1984-11-08 Young Simon A De Vehicle axle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4281A1 (en) 1981-01-26 1984-11-08 Young Simon A De Vehicle axl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8846B2 (en) Axle assembly having a drive pinion support bearing and a method of assembly
JP5320401B2 (ja) ホイール取り付けアセンブリ
WO2012132698A1 (ja) 電動フォークリフト
EP3453555B1 (en) Axle assembly having a drive pinion assembly
US6884196B1 (en) Inter-axle differential with improved differential gear mounting arrangement
CN108136891B (zh) 轮内电动机驱动装置
EP3144172A1 (en) Bogie axle system
US10875634B2 (en) Drive train
US8590649B2 (en) In-wheel motor unit
RU2013139686A (ru) Узел обода колеса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колеса
JP616047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US9493035B2 (en) Flanged hub-bearing unit
US9649882B2 (en) Axle assembly with outboard axle bearings
JP4647683B2 (ja)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舶用スラスタ装置
KR101747142B1 (ko) 허브 리덕션 어셈블리
EP2778469B1 (en) Wheel driving apparatus
JP2015096769A (ja) 一体型トルク伝達/回転シール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300864B (zh) 具有带轴承座圈的整体且一体形成部分的齿圈的车桥总成
US11708884B2 (en) Axle assembly having an interaxle differential unit
EP3408111B1 (en) Disconnectable axle assembly having a planetary differential
CN110654232A (zh) 轮边驱动系统以及车辆
AU2012214503A1 (en) Cylindrical roller bearing apparatus
JP2017198238A (ja) デファレンシャルギヤケース
KR101755028B1 (ko)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JP6819495B2 (ja) 車両用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