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028B1 -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028B1
KR101755028B1 KR1020170002528A KR20170002528A KR101755028B1 KR 101755028 B1 KR101755028 B1 KR 101755028B1 KR 1020170002528 A KR1020170002528 A KR 1020170002528A KR 20170002528 A KR20170002528 A KR 20170002528A KR 101755028 B1 KR101755028 B1 KR 10175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case
ring gear
flange
differentia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강모
노기동
Original Assignee
대동기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기어(주) filed Critical 대동기어(주)
Priority to KR102017000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7Gearboxes for accommodating differential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디퍼렌셜 케이스에 링기어가 결합 고정되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에 있어서, 디퍼렌셜 케이스의 외주에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이 플랜지에 링기어가 면접촉된 상태로 볼트 체결되어 구비되며,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와 링기어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링기어를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 고정시키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differential case}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동장치에 구성되는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바퀴에 적절히 전달하기 위해 클러치와 변속기 및 차동장치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전륜 구동차는 변속기로부터의 출력을 바로 차동장치에 연결하고, 후륜 구동차는 변속기로부터의 출력을 추진축을 통해 차동장치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차동장치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 내륜과 외륜의 속도차를 발생시켜 차량의 원활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면이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동장치는 최외측에 차축케이스가 구성되고, 차축케이스의 내부에는 내부에는 디퍼렌셜 케이스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디퍼렌셜 케이스의 내부에는 피니언 샤프트와, 피니언기어 및 사이드기어가 서로 치합(이맞물림)되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동장치는 한국 등록특허 10-1260762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와 한국 등록특허 10-1421016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차동 제한장치로 제안된 바 있고, 이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차동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디퍼렌셜 케이스(10)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외측에 볼트(60)로서 결합 고정되는 링기어(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퍼렌셜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설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구가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링기어(50)는 그 중앙부에 구비되어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단부에 접한 상태로 볼트(60)로서 결합 고정되는 관부(51)와, 관부(51)의 외주에 구비되어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는 기어부(52)를 포함한다.
링기어(50)의 관부(51)에는 디퍼렌셜 케이스(10)의 관통구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링기어(50)의 기어부(52)에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도 4의 "110")가 치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링기어(50)의 관부(51)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타단부(링기어(50)가 구비된 반대편 측 단부) 외주에는 베어링이 안착되어 구비된다.
한편,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중앙부에는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니언 샤프트(20)가 관통되게 구비되고, 피니언 샤프트(20)는 스프링핀(21)에 의해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 고정되어 구비된다.
즉, 스프링핀(21)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외측에서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피니언 샤프트(20)를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시켜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피니언 샤프트(20)의 양단부에는 피니언기어(30)가 각각 구비되고, 이 피니언기어(30)는 피니언 샤프트(20)에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게다가, 디퍼렌셜 케이스(10)에는 피니언기어(30)와 치합(이맞물림)되는 사이드기어(40)가 구비되고, 이 사이드기어(40)는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내부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양 사이드기어(40)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내에서 축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양 사이드기어(40)에는 각각의 차축이 기어 결합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차동장치(1)는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기어가 회전되고,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링기어(50)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링기어(50)의 회전에 의해 링기어(50)가 결합 고정된 디퍼렌셜 케이스(10)가 링기어(50)와 같이 일체로 회전되고, 디퍼렌셜 케이스(10)에 의해 피니언 샤프트(20)가 회전되며, 피니언 샤프트(20)에 의해 피니언기어(30)가 회전된다.
이때, 좌,우 차축에 걸리는 부하가 동일하여 힘의 균형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피니언기어(30)가 회전되지 않고, 피니언기어(30), 사이드기어(40), 차축이 모두 링기어(5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좌,우 차축에 걸리는 부하가 달라져 힘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양 차축의 회전수 차이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피니언기어(30)의 회전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즉, 코너링 상황과 같이 어느 한 쪽의 차축에 상대적으로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면, 부하가 걸리는 쪽의 차축에 제동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피니언기어(30)의 회전운동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피니언기어(30)의 회전운동은 반대측 차축으로 전달되어 회전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게 되고, 피니언기어(30)의 반작용 운동에 의해 좌,우 양측의 차축은 상호 반비례 관계의 회전비를 갖는다.
예를 들면, 링기어(50)를 통해 입력되는 토오크 값을 "10"으로 가정할 때, 좌,우 차축을 통해 출력되는 각각의 토오크 값의 합은 항상 "10"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좌,우 차축에 걸리는 부하의 비중에 따라 출력값의 비는 5:5, 4:6, 3:7, 2:8, 1:9 등과 같은 회전비를 갖도록 차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 및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종래의 차동장치(1)는, 링기어(50)의 관부(51)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단부에 접한 상태에서 링기어(50)의 기어부(52)가 디퍼렌셜 케이스(10)에 볼트(60)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엔진의 동력에 의해 링기어(50)가 회전될 때 링기어(50)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단부(볼트 결합부) 측으로 이동되는 추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링기어(50)에는 많은 다수의 볼트(60)를 체결하여 링기어(50)를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고정해야 하므로 많은 부품으로 인해 작업공수가 증가될 뿐 아니라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다수의 볼트(60)로서 링기어(50)를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 고정시켜도 링기어(50)에서 발생되는 추력에 의해 볼트(60)가 풀릴 수 있고, 볼트(6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피니언 샤프트(20)를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고정하기 위해,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외측에서 별도의 스프링핀(21)을 강제로 압입하여 피니언 샤프트(20)를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고정된 스프링핀(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코킹 작업을 해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차동장치 및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10-1260762호 한국 등록특허 10-142101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퍼렌셜 케이스에 링기어와 면접촉되는 플랜지를 구성하여 링기어의 추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에 면접촉된 링기어를 고정핀과 볼트로서 결합 고정시켜 줌으로써 링기어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볼트의 풀림에 의한 링기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는, 디퍼렌셜 케이스에 링기어가 결합 고정되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에 있어서, 디퍼렌셜 케이스의 외주에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이 플랜지에 링기어가 면접촉된 상태로 볼트 체결되어 구비되며,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와 링기어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링기어를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핀은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와 링기어를 관통하여 피니언 샤프트에 삽입 결합되어, 피니언 샤프트를 디퍼렌셜 케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디퍼렌셜 케이스와 플랜지에는 서로 마주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링기어에는 플랜지의 결합구와 동일선상으로 구비되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피스톤 샤프트에는 디퍼렌셜 케이스의 결합구와 동일선상으로 구비되는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고정핀이 각 결합구와 결합요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구비될 수 있고,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에는 스냅링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이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에 따르면, 디퍼렌셜 케이스의 외주에 플랜지를 돌출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에 링기어가 면접촉되게 결합 고정됨으로써 링기어의 추력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에 링기어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핀을 디프렌셜 케이스의 외측에서 링기어까지 삽입하는 한편 볼트를 체결하여 링기어를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에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링기어를 간편하게 디퍼렌셜 케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고, 볼트의 풀림에 의한 링기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디퍼렌셜 케이스에 링기어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피니언 샤프트까지 삽입하여 고정핀으로 디퍼렌셜 케이스에 링기어와 피스톤 샤프트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부품 수를 줄여 작업공수를 줄이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동장치의 디퍼렌셜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동장치의 디퍼렌셜 케이스와 차동기어들을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차동장치의 디퍼렌셜 케이스와 차동기어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에 구비되는 디퍼렌셜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리도이다.
도 7은 도 5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와 디퍼렌셜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륜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차축과, 양 차축이 양측부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는 디퍼렌셜 케이스(130)를 감싸 보호하는 차축케이스(19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축케이스(190)의 중앙부에는 구동기어(110)가 구비되고, 구동기어(110)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후술될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링기어(120)에 전달하게 된다.
즉, 구동기어(110)는 차축케이스(190)의 중앙부를 관통한 상태로 차축케이스(190) 내부에 구비되는 후술될 링기어(120)와 치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동장치(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케이스(19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는 링기어(120)를 포함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30)는 그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설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구가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양측 단부에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일측 외주에는 외향 돌출되는 플랜지(131)가 원주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링기어(120)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플랜지(131)의 일면에 면접촉되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플랜지(131)와 링기어(120)에는 서로 일치되게 구비되는 결합구(121)(132)가 각각 형성되고, 이 결합구(121)(132)는 원형 또는 반원 형상으로서 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플랜지(131)의 경계부에는 천공에 의한 원형의 결합구(130a)(132)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구(130a)(132) 중 외주 측의 반원의 결합구(132)는 플랜지(131)에 형성되고, 내주 측의 반원의 결합구(130a)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에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결합구(130a)(132) 중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구(130a)는 플랜지(131)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링기어(120)의 내주면에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결합구(130a)와 마주하는 반원 형상의 결합구(121)가 형성되어 양 결합구(121)(130a)가 원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결합구(130a)에 플랜지(131)의 결합구(132)와 링기어(120)의 결합구(121)가 마주하여 각각 원형의 결합구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원형의 결합구에 후술될 피니언 샤프트(140)의 결합요홈(141)이 동일 선상으로 구비되어 고정핀(170)으로 결합됨으로써 디퍼렌셜 케이스(130) 및 플랜지(131)와 링기어(120)가 일체로 회전된다.
이때, 고정핀(170)은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플랜지(131) 및 링기어(120)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의 결합구에 대응한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게다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결합구(130a)는 후술될 피니언 샤프트(140)의 결합요홈(141)과 동일한 구조 즉 동일한 형상, 동일한 폭과 깊이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디퍼렌셜 케이스(130)에 링기어(120)가 끼워져 플랜지(131)의 일면에 면접촉된 상태로서,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플랜지(131) 및 링기어(120)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의 결합구에 고정핀(170)이 삽입되어 링기어(120)를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외측에 가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플랜지(131)와 링기어(120)를 볼트(134)로서 체결함으로써 링기어(120)를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외측에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볼트(134)의 개수가 종래보다 대폭 줄어듦과 더불어 볼트(134)의 체결공정보다 고정핀(170)의 삽입공정이 상대적으로 작업성이 용이하므로 불편한 볼트(134) 체결에 의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볼트(134)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플랜지(131)를 관통한 상태로 링기어(120)에 체결됨으로써 볼트(134)를 조임에 따라 링기어(120)가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플랜지(131)에 더욱 견고히 면밀착되어 결합 고정된다.
또한, 종래보다 적은 볼트(134)의 개수에도 불구하고 링기어(120)가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플랜지(131) 일면에 견고하게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 고정됨으로써 링기어(120)의 회전시 발생되는 추력을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플랜지(131)에서 흡수하여 감쇠시키게 된다.
특히, 링기어(120)는 기어가 없는 평탄면이 플랜지(131)에 면접되게 구비되기 때문에, 링기어(120)의 회전시 발생되는 추력이 플랜지(131) 측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의 추력을 플랜지(131)에서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중앙부에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니언 샤프트(140)가 관통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피니언 샤프트(140)의 양단부에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결합구(130a)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요홈(141)이 피니언 샤프트(140)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결합요홈(141)은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결합구(130a)와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게 구비된다.
삭제
따라서,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플랜지(131) 및 링기어(120)의 결합구(121)(130a)(132)에 삽입되는 고정핀(170)은 그 단부가 피니언 샤프트(140)의 결합요홈(141)에 삽입됨으로써 피니언 샤프트(140)는 고정핀(170)에 의해 디퍼렌셜 케이스(13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어,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한편,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플랜지(131) 사이에는 후술될 스냅링(180)을 압축한 상태로 끼워 넣을 수 있는 이격된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에 위치한 플랜지(131)의 내주면에는 걸림홈(133)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133)에는 압축되었던 스냅링(180)이 확장되면서 걸림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확장된 스냅링(180)은 그 외주연부가 걸림홈(133)에 삽입되어 걸림되고, 내주연부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외측면 측으로 돌출되어,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플랜지(131)의 결합구(130a)(132)에 삽입된 고정핀(17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결합구(121)(130a)(132) 및 결합요홈(141)에 결합되는 고정핀(170)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핀(170)의 형상에 따라 각 결합구(121)(130a)(132)와 결합요홈(141)의 형상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특히, 결합구(121)(130a)(132)와 결합요홈(141) 및 고정핀(170)의 형상을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면,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링기어(120)가 축 회전시 양 부품 간의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랜지(131)와 링기어(120)를 결합시킨 볼트(134)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분산시켜 볼트(134)의 결합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디퍼렌셜 케이스(130) 내부에 구비되는 피니언 샤프트(140)의 양단부에는 피니언기어(150)가 각각 구비되고, 양 피니언기어(150)는 피니언 샤프트(140)에 각각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게다가, 디퍼렌셜 케이스(130) 내부에는 피니언기어(150)와 치합(이맞물림)되는 사이드기어(160)가 구비되고, 이 사이드기어(160)는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내부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양 사이드기어(160)는 디퍼렌셜 케이스(130) 내에서 축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양 사이드기어(160)에는 각각의 차축이 기어 결합되어 엔진의 동력을 각 차축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결합구조를 갖는 차동장치(100)는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기어(110)가 회전되면, 구동기어(110)에 치합된 링기어(120)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그러면, 구동기어(110)와 베벨기어의 형태로 치합된 링기어(120)에 의해 동력이 직각방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링기어(120)는 차축케이스(190) 내에서 축 방향으로 회전(축 회전)되고, 링기어(120)와 결합 고정된 디퍼렌셜 케이스(130) 역시도 링기어(120)와 같이 축 방향으로 회전되며, 디퍼렌셜 케이스(130)에 의해 피니언 샤프트(140)와, 이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150)도 회전된다.
이때, 볼트(134)와 고정핀(170)에 의해서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플랜지(131)에 링기어(12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되고, 피니언 샤프트(140) 역시도 고정핀(170)에 의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되는 링기어(120)에 발생되는 추력을 링기어(120)와 면접된 디퍼렌셜 케이스(130)의 플랜지(131)에서 흡수하여 감쇠시키게 된다.
또한, 디퍼렌셜 케이스(130)와 플랜지(131) 및 링기어(120)의 결합구(121)(130a)(132)에 삽입된 고정핀(170)에 의해서 축 회전시 볼트(134)의 체결부위에 집중되던 전단력을 고정핀(170) 측으로 분산시켜 감쇠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동장치 110 : 구동기어
120 : 링기어 121 : 결합구
130 : 디퍼렌셜 케이스 130a : 결합구
131 : 플랜지 132 : 결합구
133 : 걸림홈 134 : 볼트
140 : 피니언 샤프트 141 : 결합요홈
150 : 피니언기어 160 : 사이드기어
170 : 고정핀 180 : 스냅링

Claims (6)

  1. 디퍼렌셜 케이스에 링기어가 결합 고정되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에 있어서,
    디퍼렌셜 케이스의 외주에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이 플랜지에 링기어가 면접촉된 상태로 볼트 체결되어 구비되며,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의 경계부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링기어를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 고정시키고,
    고정핀은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와 링기어를 관통하여 피니언 샤프트에 삽입 결합되어, 피니언 샤프트를 디퍼렌셜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디퍼렌셜 케이스와 플랜지에는 서로 마주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링기어에는 플랜지의 결합구와 동일선상으로 구비되어 디퍼렌셜 케이스의 결합구와 마주하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피스톤 샤프트에는 디퍼렌셜 케이스의 결합구와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요홈이 디퍼렌셜 케이스의 결합구와 동일선상으로 구비되어, 고정핀이 각 결합구와 결합요홈에 삽입 결합되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구비되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디퍼렌셜 케이스의 플랜지에는 스냅링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핀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KR1020170002528A 2017-01-06 2017-01-06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KR10175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28A KR101755028B1 (ko) 2017-01-06 2017-01-06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28A KR101755028B1 (ko) 2017-01-06 2017-01-06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028B1 true KR101755028B1 (ko) 2017-07-11

Family

ID=5935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528A KR101755028B1 (ko) 2017-01-06 2017-01-06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4986A1 (en) * 2022-09-08 2024-03-14 Harbinger Motors Inc. Electric commercial vehicle drive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412A (ja) 2001-09-28 2003-04-09 Kubota Corp 作業車の差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412A (ja) 2001-09-28 2003-04-09 Kubota Corp 作業車の差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4986A1 (en) * 2022-09-08 2024-03-14 Harbinger Motors Inc. Electric commercial vehicle drive unit
US12018746B2 (en) 2022-09-08 2024-06-25 Harbinger Motors Inc. Electric commercial vehicle driv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7165B2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US6863634B2 (en) Tandem axle power divider assembly with inboard slip driveshaft connection
US10208846B2 (en) Axle assembly having a drive pinion support bearing and a method of assembly
US8051744B2 (en) Locking differential
US20090181820A1 (en) Transmitting torque limit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14503776A (ja) 電気自動車用差動ギヤの直動駆動方式の駆動モジュール
US6884196B1 (en) Inter-axle differential with improved differential gear mounting arrangement
US8628445B2 (en) Vehicle-driving system
JP2015168392A (ja) 四輪駆動車両のトランスファー構造
US8152678B2 (en) Hybrid differential gear device, differential case therefor and assembling method of differential case
US10253858B2 (en) Clearance control swash plate device and single-shaft two-speed drive system with friction clutch applied thereto
KR101755028B1 (ko) 디퍼렌셜 케이스 결합구조
US9605741B2 (en) Differential system for a machine
US7258644B2 (en) Tandem axle carrier structural rib
KR20140069451A (ko)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US10612637B2 (en) Driveline component having differential assembly with differential gearset configured to limit inboard thrust of side gears
US4977796A (en) Drive system for railroad track vehicle
JP4501384B2 (ja) 終減速機のドライブピニオン支持構造
KR100534221B1 (ko) 차량용 사륜 구동장치
KR100692697B1 (ko) 탠덤 액슬장치용 디퍼렌셜
KR20110040482A (ko) 자동차용 차동장치
KR20210063074A (ko) 탠덤 액슬용 쓰루 샤프트
JP2006266485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KR20020017450A (ko) 차량용 디퍼렌셜
JPH0512806U (ja) デフアレンシヤ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