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998B1 -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998B1
KR101746998B1 KR1020150186661A KR20150186661A KR101746998B1 KR 101746998 B1 KR101746998 B1 KR 101746998B1 KR 1020150186661 A KR1020150186661 A KR 1020150186661A KR 20150186661 A KR20150186661 A KR 20150186661A KR 101746998 B1 KR101746998 B1 KR 10174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ed material
roll
reaction force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석
김경식
정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46Roll speed or drive moto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flatness or profile of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5/00Mill drive parameters
    • B21B2275/02Spee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속도 제어 장치 압연 소재을 가압하여 반력을 측정하는 가압 스탠드; 상기 가압 스탠드로부터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압연 소재의 변형도를 연산하는 변형도 연산부; 및 상기 변형도로부터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속도를 결정하는 압연 속도 결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OLLING VELOCITY AND ENDLESS ROLL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형저항이 크고, 우수한 표면광택이 요구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가역식 압연기를 이용하여 가역적으로 여러번 왕복시켜 압연한후, 환원성 가스 분위기인 광휘소둔로에서 소둔하여 재질을 맞추고, 조질압연기를 이용하여 최종 경도, 형상 및 표면광택을 위한 마무리 압연을 거쳐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역식 압연기는 압연기의 전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권취롤에 압연하고자 하는 소재를 미리 권취하여 준비시킨 후, 상기 소재를 왕복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두께를 감소시키고, 상기 소재의 표면을 평탄하게 만든다. 상기 소재의 목표로 하는 두께 및 표면품질에 따라 상기 가역식 압연기에 사용되는 작동롤을 수시로 교체하여야 소정의 표면품질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역식 압연기는 소경의 작동롤을 이용하여 압연하므로 압연조건에 대한 미세한 제어가 가능한 반면, 압연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압연공정 중 작동롤의 교체를 요하므로, 생산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스테인리스강판, 전지강판, 티탄강판 등과 같이 변형저항이 큰 강종이나, 엄격한 표면품질을 요하는 강종에 대하여 주로 사용된다.
상기 가역식 압연기와는 다르게, 연속압연기는 가역식 압연기에 비하여 생산성이 매우 우수한 반면에, 작동롤 지름이 상대적으로 커서 수재의 두께를 미세하게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사용되는 압연유를 점도가 높아 표면품질이 상대적으로 열위하다. 연속압연기는 작동롤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스탠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소재를 1회 통과시킴으로써 압연이 수행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작업능률의 측면에서는 우수하다. 반면, 배열시킬 수 있는 스탠드의 개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압하에서 압연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탄소강과 같은 비교적 연질의 경우에는 연속압연기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나, 그외의 고강도의 경우 또는 미세한 표면품질을 요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압연기는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등에 적용되는 경우, 냉간압연시 압연유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상기 연속압연에서의 냉간압연공정은 통상 고압하에서 고속압연이 행해지게 되므로, 사용되는 압연유의 온도가 상승하여 윤활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히트 스트리크(heat srteak)와 같은 표면 결합을 유발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56913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연 소재의 표면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속도 제어 장치는 압연 소재을 가압하여 반력을 측정하는 가압 스탠드; 상기 가압 스탠드로부터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압연 소재의 변형도를 연산하는 변형도 연산부; 및 상기 변형도로부터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속도를 결정하는 압연 속도 결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압연 장치는 릴로부터 이송되는 선행 압연 소재와 후행 압연 소재를 용접하는 용접기; 복수의 압연밀 스탠드를 구비하여 상기 용접기로부터 이송되는 용접된 압연 소재를 연속 압연하는 압연밀 스탠드; 및 상기 릴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릴로부터 이송되는 압연 소재의 반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속도를 제어하는 압연 속도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연 소재의 변형도로부터 결정되는 압연 속도로 압연 소재를 연속 압연하여, 연속 압연시 발생할 수 있는 마찰 발열을 낮추고, 압연유에 의한 윤활 성능을 유지하여, 스트리크(heat srteak)와 같은 표면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압연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압연 소재을 압연할 때 측정된 압연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스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스탠드의 일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스탠드의 다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도 연산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속도 결정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압연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소재의 연속압연장치(100)는 릴(10), 용접기(20), 루퍼(30), 연속식 압연밀(40) 및 압연속도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릴(10)은 압연 소재(s)가 와이딩 또는 리와인딩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압연 소재(s)는 스테인리스강일 수 있다.
압연 소재(s)의 제조공정에서, 압연 소재(s)은 2개의 릴(10)에 각각 권취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용접기(20)는 릴(10)에서 풀리는 선행 압연 소재(s)의 미단부와 후행 압연 소재(s)의 선단부를 접합한다. 용접기(20)에 의해 접합된 압연 소재(s)은 루퍼(30)로 이송될 수 있다.
루퍼(30)는 연속압연장치(100) 전반의 속도 변화를 완충 또는 흡수하여 압연 소재(s)에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속식 압연밀(40)은 복수의 압연밀 스탠드(40a, 40b, 40c, 40d)를 구비하여 루퍼(30)를 거친 용접된 압연 소재(s)를 설정된 두께로 연속 압연할 수 있다.
도 1에서 압연밀 스탠드(40a, 40b, 40c, 40d)가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연속식 압연밀(40)에는 압연밀 스탠드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압연밀 스탠드(40a, 40b, 40c, 40d)에는 각각 압연롤이 구비되어 제1 내지 제4 압연스탠드(40a, 40b, 40c, 40d)를 통과하는 압연 소재(s)를 소정의 압하율 및 압하속도로 연속압연 할 수 있다. 압연롤은 압연 소재(s)의 상부 및 하부와 접촉되어, 압연 소재(s)를 압연할 수 있는데, 압연 소재(s)를 압연하는 압연롤의 지름은 f130~140mm일 수 있다.
도 2는 압연 소재을 압연할 때 측정된 압연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동일한 압연 조건 하에서 측정된 압연하중 대한 압연 소재의 도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일한 조건하에서 압연소재에 가해지는 압연하중에 편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는 압연 소재의 소강 성분 및 소둔 온도에 의해 발생한다.
압연하중의 편차가 있을 시에, 압연하중이 높은 압연 소재에서 히트 스트리크(heat srteak)와 같은 표면 결함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압연 장치는 압연 소재의 반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도출되는 변형도에 따라 압연 소재의 압연 속도를 제어하는 압연 속도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히트 스트리크(Heat Streak)와 같은 표면 결함을 방지하고자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며, 압연속도 제어부(50)는 가압 스탠드(510), 변형도 연산부(520) 및 압연 속도 결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스탠드(510)는 릴(10)의 출측에 배치되어, 압연 소재(s)의 반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변형도 연산부(520)는 가압 스탠드(510)로부터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압연 소재(s)의 변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압연 속도 결정부(530)는 변형도 연산부(520)로부터 측정된 변형도로부터 압연 소재의 압연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압연 속도 결정부(530)으로부터 연산된 압연 속도는 압연 소재의 변형도가 반영된 값으로서, 연산된 압연속도 이하로 압연시 히트 스트리크(heat srteak)와 같은 표면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스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스탠드의 일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스탠드의 다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스탠드는 상부롤(52), 하부롤(53), 및 하우징(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롤(52)은 상부 중간롤(52a) 및 상부 작업롤(52b)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부 중간롤(52a) 및 상부 작업롤(52b)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지지 블록(52c) 및 제2 지지 블록(5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블록(52c)은 상부 중간롤(52a)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지 블록(52d)은 상부 작업롤(52b)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블록(52c) 및 제2 지지 블록(52d)은 하우징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부 중간롤(52a) 및 상부 작업롤(52b)은 제1 지지 블록(52c) 및 제2 지지 블록(52d)의 이동에 의해 하부롤(53) 측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고, 승강 이동에 의해 상부 작업롤(52b)과 하부 작업롤(53b)의 롤 갭은 변동될 수 있다.
하부롤(53)은 하부 중간롤(53a) 및 하부 작업롤(53b)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하부 중간롤(53a) 및 하부 작업롤(53b)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3 지지 블록(53c) 및 제4 지지 블록(5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 블록(53c)은 하부 중간롤(53a)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4 지지 블록(53d)은 하부 작업롤(53b)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지지 블록(53c) 및 제4 지지 블록(53d)는 하우징(54)에 고정될 수 있고, 하부 중간롤(53b)은 압연 소재(s)가 이송되도록 회전 운동 할 수 있다.
승강부(55)는 상부롤(52)의 제1 지지 블록(52c) 및 제2 지지 블록(52d)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상부롤(52)을 하부롤(53)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부(55)는 유압 실린더 및 액츄에이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55)는 상부 중간롤(52a)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블록(52c)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55)는 제1 지지 블록(52c)의 한 쌍의 블록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블록(52c)의 한 쌍의 블록에 형성되는 승강부(55)는 상부 중간롤(52a)의 양 단부 - 워크 사이드와 드라이브 사이드 - 를 평행하게 하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중간롤(52a)의 이동에 따라 상부 작업롤(52b)의 양 단부가 평행하게 하부 작업롤(53b)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부(55)는 제1 지지 블록(52c)을 이동시켜, 압연 소재(s)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 상부 작업롤(52b)와 하부 작업롤(53b) 간의 이격 거리 - 롤 갭 - 를 줄일 수 있다.
승강부(55)는 온 동작 구간에서 제1 지지 블록(52c)에 압력을 가하여 하부로 이동시키고, 오프 동작 구간에서 제1 지지 블록(52c)에 압력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55)의 오프 동작 구간에서, 릴(10)로부터 이송되는 압연 소재(s)가 상부 작업롤(52b)와 하부 작업롤(53b) 사이로 인입된다. 승강부(55)의 오프 동작 구간에서 압연 소재(s)은 상부 작업롤(52b)와의 마찰없이, 하부 작업롤(53b)에 의해 용접기(20)로 이송될 수 있다.
승강부(55)는 온 동작 구간에서, 제1 지지 블록(52c)에 압력을 가하여, 압연 소재(s)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 상부 작업롤(52b)와 하부 작업롤(53b) 간의 이격 거리 - 롤 갭 - 를 감소시킨다.
연속식 압연밀(40)에 의해 압연되기 전에 압연 소재(s)의 두께는 승강부(55)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작업롤(52b)와 하부 작업롤(53b) 간의 이격 거리 보다 두꺼우므로, 상부 작업롤(52b)과 하부 작업롤(53b)이 압연 소재(s)에 힘을 가하는 경우, 압연 소재(s)에서는 반력이 발생되는데, 승강부(55)는 상기 반력을 측정할 수 있다.
승강부(55)에서 반력이 측정된 후, 승강부(55)는 압연 소재(s)의 이송을 위하여 다시 오프 동작할 수 있다.
연속 압연 공정에서 릴(10)에서 풀리면서 이송되는 복수의 압연 소재(s) 각각의 반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압연 소재(s) 각각이 이송될 때, 승강부(55)는 적어도 한번 온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압연 소재(s)에서 강도가 측정되는 부분은 압연 소재(s)의 선단부 또는 미단부일 수 있다. 후차적인 용접 공정에서 압연 소재(s)의 측정 부위인 선단부 또는 미단부는 선행 또는 후행의 압연 소재(s)과 용접될 수 있다.
변형도 연산부(52)는 가압 스탠드(51)로부터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압연 소재(s)의 변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식 압연밀(40)에 의해 압연되기 전에 압연 소재(s)의 두께는 승강부(55)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작업롤(52b)와 하부 작업롤(53b) 간의 이격 거리 보다 두꺼우므로, 압연 소재(s)에서는 반력이 발생된다. 변형도 연산부(52)는 상부 작업롤(52b)와 하부 작업롤(53b)이 모두 압연 소재(s)과 맞닿는 시점부터 압연 소재(s)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의 롤 갭 및 반력의 변화로부터 압연 소재(s)의 변형도를 연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도 연산부(52)는 롤 갭과 반력 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변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관관계는 롤 갭과 반력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울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도 연산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서 가로축은 롤 갭의 거리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승강부(55)에서 측정되는 반력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롤 갭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반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가 있다. 도 6에서 Case 1은 변형도가 작은 경우, 즉 변형 저항도가 큰 경우에 해당하고, Case 2는 변형도가 큰 경우, 즉 변형 저항도가 작은 경우에 해당한다.
압연 속도 결정부(53)는 변형도 연산부(52)로부터 연산된 변형도로부터 압연 소재의 압연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속도 결정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압연 속도 결정부(53)는,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 내의 범위 내에서, 최대 변형도를 가지는 압연 소재의 경우, 압연 속도를 최대로 결정하고, 최소 변형도를 가지는 압연 소재의 경우, 최소 변형도를 가지는 압연 소재의 경우, 압연 속도를 최소로 결정한다.
또한, 압연 속도 결정부(53)는 최소 변형도와 최대 변형도의 사이 범위에서 변형도가 클수록 속도가 빨라지도록 압연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압연 속도 결정부(53)는 승강부에 의해 강도가 측정되는 압연 소재(s)의 선단부 또는 미단부의 경우 최대 속도로 압연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 내의 범위에서 변형도가 증가할수록 압연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릴
20: 용접기
30: 루퍼
40: 연속식 압연밀
50: 압연속도 제어부
52: 상부롤
52a: 상부 중간롤
52b: 상부 작업롤
52c: 제1 지지 블록
52d: 제2 지지 블록
53: 하부롤
53a: 하부 중간롤
53b: 하부 작업롤
53c: 제3 지지 블록
53d: 제4 지지 블록
510: 가압 스탠드
520: 변형도 연산부
530: 압연 속도 결정부

Claims (15)

  1. 압연 소재을 가압하여 반력을 측정하는 가압 스탠드;
    상기 가압 스탠드로부터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압연 소재의 변형도를 연산하는 변형도 연산부; 및
    상기 변형도로부터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속도를 결정하는 압연 속도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연 속도 결정부는, 상기 변형도가 클수록 압연 속도를 빠르게 결정하는 압연 속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탠드는,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 상기 압연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반력을 측정하는 압연 속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탠드는,
    상기 압연 소재의 선단부 및 미단부 중 하나를 가압하는 압연 속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탠드는 상부롤 및 하부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 간의 롤 갭을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 감소하여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 사이에 위치하는 압연 소재를 가압하는 압연 속도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변형도 연산부는,
    상기 롤 갭과 상기 반력 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변형도를 연산하는 압연 속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의 상기 압연 소재와 맞닿는 시점부터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의 상기 롤 갭과 상기 반력의 변화로부터 상기 변형도를 연산하는 압연 속도 제어 장치.
  7. 삭제
  8. 릴로부터 이송되는 선행 압연 소재와 후행 압연 소재를 용접하는 용접기;
    복수의 압연밀 스탠드를 구비하여 상기 용접기로부터 이송되는 용접된 압연 소재를 연속 압연하는 압연밀 스탠드; 및
    상기 릴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릴로부터 이송되는 압연 소재의 반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상기 압연밀 스탠드의 압연 속도를 제어하는 압연 속도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연 속도 제어부는,
    상기 압연 소재을 가압하여 상기 압연 소재의 반력을 측정하는 가압 스탠드;
    상기 가압 스탠드로부터 측정된 반력으로부터 압연 소재의 변형도를 연산하는 변형도 연산부; 및
    상기 변형도로부터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속도를 결정하는 압연 속도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연 속도 결정부는, 상기 변형도가 클수록 압연 속도를 빠르게 결정하는 연속 압연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탠드는,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 상기 압연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반력을 측정하는 연속 압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탠드는,
    상기 릴 로부터 이송되는 압연 소재의 선단부 및 미단부 중 하나를 가압하는 연속 압연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탠드는 상부롤 및 하부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 간의 롤 갭을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 감소하여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 사이에 위치하는 압연 소재를 가압하는 연속 압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변형도 연산부는,
    상기 롤 갭과 상기 반력 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변형도를 연산하는 연속 압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변형도 연산부는,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이 상기 압연 소재와 맞닿는 시점부터 상기 압연 소재의 압연 목표 두께까지의 상기 롤 갭과 상기 반력의 변화로부터 상기 변형도를 연산하는 연속 압연 장치.
  15. 삭제
KR1020150186661A 2015-12-24 2015-12-24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 KR10174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661A KR101746998B1 (ko) 2015-12-24 2015-12-24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661A KR101746998B1 (ko) 2015-12-24 2015-12-24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998B1 true KR101746998B1 (ko) 2017-06-28

Family

ID=5928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661A KR101746998B1 (ko) 2015-12-24 2015-12-24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9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271A (ja) * 2006-01-27 2007-08-09 Nippon Steel Corp 2次冷間圧延機における板厚変動抑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271A (ja) * 2006-01-27 2007-08-09 Nippon Steel Corp 2次冷間圧延機における板厚変動抑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445B2 (en) Roll stand and method for rolling a rolled strip
US8365565B2 (en) System for leveling metal strip
US114267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urface texturing of a metal substrate with low pressure rolling
KR20020018081A (ko) 냉간 압연기 및 압연 방법
CN101563172A (zh) 钢带的表面光轧方法和高强度冷轧钢板的制造方法
CA2594870A1 (en) Method and rolling mill for improving the running-out of a rolled metal strip whose trailing end is moving at rolling speed
JP2018058106A (ja) 連続鋳造設備及び板クラウン制御方法
KR101746998B1 (ko) 압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압연 장치
CA2986646C (en) Method for stepped rolling of a metal strip
Mazur et al. Efficient cold rolling and coiling modes
JP6922873B2 (ja) 調質圧延方法、調質圧延装置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JP6860025B2 (ja) 調質圧延方法、調質圧延装置、鋼帯の製造方法
KR100758237B1 (ko) 연속압연기에서의 고강도 초극박재 엣지 드롭 제어 방법
JP2015193037A (ja) 2段式圧延機及びロールシフト方法
JP7098626B2 (ja) 金属ストリップを圧延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8173684A (ja) 鋼帯の調質圧延方法および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4885038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高張力金属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2002126811A (ja) 冷間圧延設備および冷間圧延方法
JP7067541B2 (ja) 圧延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7200918B2 (ja) 鋼板の冷間圧延方法及び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009183969A (ja) 冷間圧延における圧延荷重の予測方法
JP5949569B2 (ja) 鋼板の調質圧延方法及び超高張力鋼板
KR20170012641A (ko) 핀치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설비
JP2021146392A (ja) 金属板の圧延方法
JP4482494B2 (ja) 異厚鋼板の矯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