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694B1 -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694B1
KR101746694B1 KR1020150151830A KR20150151830A KR101746694B1 KR 101746694 B1 KR101746694 B1 KR 101746694B1 KR 1020150151830 A KR1020150151830 A KR 1020150151830A KR 20150151830 A KR20150151830 A KR 20150151830A KR 101746694 B1 KR101746694 B1 KR 10174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unit
fastening
shaft assembl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370A (ko
Inventor
이재영
김기남
김진모
Original Assignee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6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견인장치는, 철도차량 간의 상호 연결을 위한 연결기를 체결하기 위한 파단볼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볼트체결부와, 샤프트체결부를 포함하는 견인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샤프트체결부에 체결되며, 타측이 견인차량에 연결되는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견인장치{Traction Apparatus for Rolling Stock}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각 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의 파단볼트가 파단된 후, 분리된 차량을 견인차량에 연결하여 견인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차량을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는 완충장치, 전기연결장치, 연결기 헤드, 어댑터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장치에는, 일정 이상의 부하가 인가될 경우 파단되어 차량을 분리시킴에 따라 미연에 대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파단볼트가 설치된다. 상기 파단볼트는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소정 지점이 파단될 수 있도록 기 설계된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파단볼트가 파단된 후,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분리된 차량의 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까지는 사고차량의 처리를 위한 특별한 장치 또는 방법이 없어 차고 차량의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연결기에 구비되는 파단볼트의 파단에 따른 차량의 분리 이후, 해당 차량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견인장치는, 철도차량 간의 상호 연결을 위한 연결기를 체결하기 위한 파단볼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볼트체결부와, 샤프트체결부를 포함하는 견인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샤프트체결부에 체결되며, 타측이 견인차량에 연결되는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견인용 단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길이 가변 가능한 길이가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가변유닛은,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돌출 길이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길이가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각도 조절 가능한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기준부재, 상기 기준부재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회동부재 및 상기 제1회동부재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기준부재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견인차량에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서로 인접한 견인용 단위유닛의 일부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견인용 단위유닛 간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견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리된 차량과 견인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분리된 차량을 신속하게 견인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장치의 운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파단볼트가 적용된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견인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견인장치에 있어서, 각도조절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견인장치에 있어서, 길이가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파단볼트(50)가 적용된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철도차량용 연결기는 서로 인접한 차량 사이에 구비되며,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철도차량용 연결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튜브(10), 연결기 헤드(20), 에너지 흡수장치(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도차량용 연결기는 차량의 프레임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에너지 흡수장치(30)는 제1연결프레임(32)과, 제2연결프레임(34)을 통해 차량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프레임(32)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34)은 파단볼트(50)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파단볼트(50)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파단볼트(50)가 파단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32)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34)이 서로 분리됨에 따라 인접한 한 쌍의 차량 역시 서로 분리되어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연결기에 구비되는 파단볼트(50)의 파단에 따른 차량의 분리 이후, 해당 차량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견인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도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견인장치는 전체적으로 견인플레이트(110)와,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견인용 단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각도조절유닛(120)과, 조인트유닛(130)과, 길이가변유닛(140)과, 연결유닛(150)을 포함하며,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견인플레이트(110)는 파단볼트(50, 도 1 참조)가 삽입되는 제2연결프레임(34)의 연결홀(3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볼트체결부(111)와, 중심부에 형성된 샤프트체결부(1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견인플레이트(110)는 파단볼트가 파단된 후 제2연결프레임(34)에 직접 체결되는 구성요소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견인플레이트(110)는 상기 볼트체결부(111)와 상기 연결홀(35)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180a)와, 상기 제1체결부재(180a)를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180b)에 의해 상기 제2연결프레임(34)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체결부(112)는 전술한 견인샤프트 어셈블리의 일측을 상기 견인플레이트(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상기 샤프트체결부(1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견인플레이트(110)의 양측에 제1결합부재(170a) 및 제2결합부재(170b)를 체결하여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샤프트체결부(110)에 체결되며, 타측이 견인차량에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각도조절유닛(120)과, 조인트유닛(130)과, 길이가변유닛(140)과, 연결유닛(150)을 포함한다.
도 5에는, 각도조절유닛(120)의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각도조절유닛(120)은 분리된 차량의 견인 과정에서, 견인차량이 선회 등의 움직임을 수행할 경우 이에 대응되어 견인차량과 분리된 차량 사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각도조절유닛(120)은 기준부재(124)와, 제1회동부재(122)와, 제2회동부재(1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회동부재(122)는 상기 기준부재(124)에 제1회전축(123)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견인차량의 횡 방향 변위에 대응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동부재(126)는 상기 기준부재(124)에 제2회전축(125)에 의해 연결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견인차량의 종 방향 변위에 대응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각도조절유닛(120)을 구성하는 부재는 보다 많은 개수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보다 큰 각도에 대응되어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는, 길이가변유닛(140)의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길이가변유닛(140)은 견인차량과 분리된 차량 사이의 거리를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길이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길이가변유닛(140)은 가이드부재(142)와. 길이가변부재(14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42)는 상기 길이가변부재(144)의 길이 가변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길이가변부재(14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가변부재(144)는 상기 가이드부재(142)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42)에 대해 돌출 길이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가변유닛(14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142) 양측에 모두 상기 길이가변부재(144)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길이가변부재(144)는 상기 가이드부재(142)의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길이가변부재(144) 및 상기 가이드부재(142)의 결합 부분에는 서로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4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길이가변부재(144)의 돌출 길이를 가변시키는 스크류 방식을 채택하였다.
다만, 상기 길이가변부재(144)의 길이 조절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슬라이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조인트유닛(130)과, 연결유닛(15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조인트유닛(130)은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른 견인용 단위유닛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각도조절유닛(120)과 길이가변유닛(140) 사이에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인트유닛(130)과 상기 각도조절유닛(120)에는 각각 함몰홈(132, 128)이 형성되어, 별도로 구비된 고정유닛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은, 제1고정부재(160a) 및 제2고정부재(160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160a) 및 제2고정부재(160b)는 상기 조인트유닛(130)과 상기 각도조절유닛(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2개의 파트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160a) 및 제2고정부재(160b)에는 각각 체결돌기(162)가 형성되며, 이들은 상기 함몰홈(132, 128)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유닛(150)은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견인차량에 연결하거나,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연결유닛(150)은 전술한 견인샤프트 어셈블리의 구성요소 전체를 견인차량에 연결하거나, 또는 견인샤프트 어셈블리의 반대 측에 연결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유닛(150)은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견인차량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닛(150)은 상기 조인트유닛(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유닛(150)과 상기 조인트유닛(130)은 동일한 구성요소이나 그 역할에 따라 이름을 다르게 명명한 것이며, 서로 교차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닛(150) 역시 상기 조인트유닛(130)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120)과 마찬가지로 함몰홈(152)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또 다른 제1고정부재(160a)와 제2고정부재(160b)에 의해 견인차량과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견인용 단위유닛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장치의 운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분리된 차량과 견인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된 차량을 신속하게 견인하여 2차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견인플레이트 111: 볼트체결부
112: 샤프트체결부 120: 각도조절유닛
124: 기준부재 124: 제1회동부재
126: 제2회동부재 128, 132, 152, 함몰홈
130: 조인트유닛 140: 길이가변유닛
142: 가이드부재 144: 길이가변부재
150: 연결유닛 160a: 제1고정부재
160b: 제2고정부재 170a: 제1결합부재
170b: 제2결합부재 180a: 제1체결부재
180b: 제2체결부재

Claims (8)

  1. 변형튜브, 연결기 헤드 및 에너지 흡수장치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철도차량 간의 상호 연결을 위한 연결기를 각 철도차량의 프레임에 체결하는 파단볼트가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파단될 경우, 서로 분리된 철도차량의 사후 견인을 위해 철도차량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파단볼트가 삽입되던 연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볼트체결부와, 상기 볼트체결부와 이격된 샤프트체결부를 포함하는 견인플레이트;
    상기 볼트체결부 및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체결부재;
    상기 제1체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 및
    일측이 상기 샤프트체결부에 체결되며, 타측이 견인차량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견인용 단위유닛을 포함하는 견인샤프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길이 가변 가능한 길이가변유닛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유닛은,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돌출 길이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길이가변부재;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각도 조절 가능한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기준부재;
    상기 기준부재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회동부재; 및
    상기 제1회동부재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기준부재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회동부재;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를 견인차량에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샤프트 어셈블리는,
    서로 인접한 견인용 단위유닛의 일부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견인용 단위유닛 간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KR1020150151830A 2015-10-30 2015-10-30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KR10174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30A KR101746694B1 (ko) 2015-10-30 2015-10-30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30A KR101746694B1 (ko) 2015-10-30 2015-10-30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70A KR20170050370A (ko) 2017-05-11
KR101746694B1 true KR101746694B1 (ko) 2017-06-14

Family

ID=5874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830A KR101746694B1 (ko) 2015-10-30 2015-10-30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6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193B1 (ko) 2019-07-04 2021-01-11 유진기공산업 주식회사 철도 차량 연결기용 구면 베어링
KR20220028817A (ko) 2020-08-31 2022-03-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견인모터와 마그네틱 감속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일체형 구동장치
KR20230157058A (ko) 2022-05-09 2023-11-16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철도 차량 연결기용 구면 베어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3875A (ja) * 2005-09-22 2007-04-05 Mitsubishi Heavy Ind Ltd 高速車両救援用連結棒及びこれを用いた救援用車両連結構造
KR101054610B1 (ko) * 2003-05-26 2011-08-04 델러 커플러스 아베 차량 커플러용 머프 커플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610B1 (ko) * 2003-05-26 2011-08-04 델러 커플러스 아베 차량 커플러용 머프 커플링
JP2007083875A (ja) * 2005-09-22 2007-04-05 Mitsubishi Heavy Ind Ltd 高速車両救援用連結棒及びこれを用いた救援用車両連結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193B1 (ko) 2019-07-04 2021-01-11 유진기공산업 주식회사 철도 차량 연결기용 구면 베어링
KR20220028817A (ko) 2020-08-31 2022-03-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견인모터와 마그네틱 감속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일체형 구동장치
KR20230157058A (ko) 2022-05-09 2023-11-16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철도 차량 연결기용 구면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70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694B1 (ko) 철도차량용 견인장치
RU2591837C2 (ru) Энергопоглощающая сцепка
CA2827538C (en) Towing assembly
US9227661B2 (en) Length adjuster and clamping mechanism for a steering mechanism
AU2013334091B9 (en) Coupler torsion spring centering device
KR102050270B1 (ko) 차량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
DE102018106046B3 (de) Schnellladesystem und Verfahren zur elektrischen Verbindung eines Fahrzeugs mit einer Ladestation
CA3039627A1 (en) System for towing an aircraft, comprising an improve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US10906569B2 (en) Rail vehicle having a coupling arranged in the front region thereof
CN204184368U (zh) 用于垂直支撑中间缓冲联接器的联接杆的支撑设备
US11034199B2 (en) Shock absorbing trailer coupler system
US9238474B1 (en) Run-through switch rods
EP3504098B1 (de) Schienenfahrzeugkupplung für die verbindung zweier schienenfahrzeuge
KR20170031999A (ko) 철도차량 비상 신속연결장치
CN105626969A (zh) 一种线束线卡装置
US9522581B2 (en) Drawbar
CN110588698B (zh) 一种转向架的构架与一系弹性装置的连接结构
US9359000B2 (en) Telescopic connecting steering rod
CN106695659B (zh) 一种动力一体机的入舱辅助工具
KR101728884B1 (ko) 동력전달용 구동축 연결장치
US20140145416A1 (en) Towing Assembly
DE102021114310A1 (de) Steckkupplungssystem und Sattelkupplungsanordnung mit Steckkupplungssystem
CN203974447U (zh) 车辆拖钩基座
EP2765066B1 (de) Sattelkupplung
CN104228512A (zh) 一种x型推力杆、后悬架总成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