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576B1 -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576B1
KR101746576B1 KR1020150177824A KR20150177824A KR101746576B1 KR 101746576 B1 KR101746576 B1 KR 101746576B1 KR 1020150177824 A KR1020150177824 A KR 1020150177824A KR 20150177824 A KR20150177824 A KR 20150177824A KR 101746576 B1 KR101746576 B1 KR 10174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re
bracket
vehicle
main brack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김승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3/00Cast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2D1/00 - B22D2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티엠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브라켓의 상부에 이너코어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천공되는 절개홈 및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에서 절개홈에 삽입되어 이너코어의 측면으로 진입하는 이탈방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이너코어는 이탈방지브라켓에 걸려서 메인브라켓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너코어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선회 주행 시 NVH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STRUCTURE OF TRANSMISSION MOUNT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트랜스미션에 장착되는 티엠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의 상부에 이탈방지부를 삽입하여 이너코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파워트레인의 좌우 방향 변위를 제어할 수 있어 NVH 성능이 향상되는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적용되는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저진동, 저소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 및 충격 즉, NVH(Noise, Vibration & Harshness) 성능을 분석하여 승차감을 극대화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차량의 주행시 특정 RPM 영역에서 발생하는 엔진 진동은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차체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며, 엔진의 폭발 성분이 차량의 실내에 미치는 영향은 지배적이다.
차량의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은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클러치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 축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트랜스미션은 그 자신의 기계적인 구동뿐만 아니라, 엔진의 구동에 의한 영향으로 인하여 많은 진동과 소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차체에 트랜스미션을 장착함에 있어서, 차체로 엔진 및 트랜스미션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최소화하여 차량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티엠마운트(트랜스미션 마운트)를 이용하여 트랜스미션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게 된다.
보통 수백 kg에 달하는 트랜스미션을 포함한 파워트레인이 3 내지 4개의 마운트에 의해 지지되므로 각 마운트들은 내구 및 충돌 성능에서의 강건성이 요구된다. 특히, 차량의 충돌 시, 파워트레인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렇게 큰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티엠마운트의 브라켓, 인슐레이터 및 이너코어는 파손되지 않고 트랜스미션을 지지하여야 한다.
파워트레인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대쉬패널(dash panel) 및 페달(pedal) 류들의 변형으로 이어지므로, 승객의 무릎 및 발목 상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미도시)에 연결되는 브라켓(3)의 내부에는 이너코어(1) 및 이를 둘러싸는 인슐레이터(2)가 압입되고, 상기 이너코어(1)는 차량의 트랜스미션(미도시)과 연결된다.
이때, 차량의 충돌 하중이 가해지면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너코어(1)가 트랜스미션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너코어(1)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브라켓(3)의 측부(3a)가 이너코어(1)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너코어를 막아주게 된다.
즉, 종래 티엠마운트의 이너코어 이탈 방지구조는 단순히 이너코어(1)가 브라켓(3)의 측부(3a)에 부딪히면서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충돌면(브라켓의 측부)에는 보강재 등을 추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 티엠마운트 구조는 이너코어의 이탈 방지를 위해 브라켓 측부의 두께를 과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생산원가 및 차체중량 증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티엠마운트 구조에서 상기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소재를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주물을 식히는 과정에서 브라켓 내에 기포가 발생하여 품질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라켓의 파괴 강도가 저하되어 작은 충격에도 브라켓이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브라켓으로 삽입된 이탈방지브라켓이 이너코어의 측부로 진입하여 이너코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선회 주행 시 파워트레인의 좌우 방향 변위를 엔진마운트뿐만 아니라 티엠마운트에서도 제어할 수 있으므로 NVH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너코어 및 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에 이너코어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천공되는 절개홈; 및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에서 절개홈에 삽입되어 이너코어의 측면으로 진입하는 이탈방지브라켓; 을 포함하며,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이너코어는 이탈방지브라켓에 걸려서 메인브라켓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는,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2개의 다리부; 및 상기 이너코어의 양 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에서 상기 삽입부의 폭은 다리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이너코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는,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끝단이 차체와 결합되는 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에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조립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조립핀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며, 다수의 조립핀은 조립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은, 내부에 이너코어 및 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가 배치되는 메인브라켓이 압출 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브라켓 제조단계;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에 이너코어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개홈을 천공하고 양 측부에 볼트홀을 형성하는 메인브라켓 가공단계; 및 주물 공법에 의해 형성된 이탈방지브라켓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어 이너코어의 측면으로 진입되는 이탈방지브라켓 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에서 상기 이너코어는, 알루미늄 소재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형성되며, 이너코어의 양 측면에는 이탈방지브라켓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함몰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은 상기 이탈방지브라켓 삽입단계 후,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조립핀이 조립핀의 위치에 대응하여 메인브라켓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에 삽입되는 1차 조립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은 상기 1차 조립단계 후,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체결부 및 메인브라켓의 양 측부에 형성된 볼트홀과 차체를 볼팅 결합하는 2차 조립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이너코어 및 인슐레이터가 압입된 메인브라켓의 상부에 절개홈을 형성하고, 절개홈을 통해 이탈방지브라켓이 이너코어의 측부로 진입하도록 하여 차량의 충돌 시 이너코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브라켓 측부의 두께를 과도하게 확보할 필요성이 없고, 보강재 등을 추가로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의 생산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브라켓을 메인브라켓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탈방지브라켓의 체결부를 다시 한번 차체와 결합하여 이너코어가 이탈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파워트레인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승객의 상해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종래 티엠마운트의 브라켓이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메인브라켓은 압출 공법에 의해 제작되므로 기포에 의해 파괴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삽입부의 폭을 다리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이너코어가 좌우로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므로 차량의 선회 주행 시 파워트레인의 좌우 방향 변위를 양방향(엔진마운트와 티엠마운트)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NVH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브라켓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너코어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브라켓과 이너코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도 7a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에서 메인브라켓의 가공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는, 이너코어(10) 및 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20)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절개홈(32)이 형성되는 메인브라켓(30) 및 상기 절개홈(32)에 삽입되어 이너코어(10)의 측면으로 진입하는 이탈방지브라켓(40)을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이너코어(10)는 차량의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의 측부에 연결되어 트랜스미션을 지지하며, 상기 인슐레이터(20)는 이너코어(10)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트랜스미션의 진동을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개홈(32)은 브라켓의 상부에 길게 형성되는데, 절개홈(32)의 형성 방향은 이너코어(10)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이다. 즉, 도 2에서처럼 상기 이너코어(10)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면, 상기 절개홈(32)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이너코어(10)는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하는데,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이탈방지브라켓(40)이 이너코어(10)의 경로를 막아 이너코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브라켓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너코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브라켓(40)은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2개의 다리부(42)를 구비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42)는 메인브라켓(30)의 절개홈(32)에 삽입된다.
상기 이탈방지브라켓(40)의 일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에는 그 끝단이 차체(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와 볼팅 결합되는 체결부(44)가 연장되어 차량의 충돌 시 이너코어(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라켓(40)의 측면 방향 이탈 강도를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브라켓(30)은 양 측부에 볼트홀(36)이 형성되어 차체(예를 들어 사이드멤버)와 볼팅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4 개의 조립홀(34)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브라켓(40)은 그 하부면에 4개의 조립핀(46)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조립핀(46)을 조립홀(34) 상에 맞춘 상태에서 이탈방지브라켓(40)을 메인브라켓(30)에 삽입하여 1차적으로 조립하고, 그 다음 이탈방지브라켓(40)에 형성된 체결부(44), 메인브라켓(30)에 형성된 2개의 볼트홀(36)을 차체와 볼팅 결합하여 완전히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코어(10)는 전체적으로 종래와 유사하게 형성되나, 양 측면에 이탈방지브라켓(40)의 다리부(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2)가 함몰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이너코어(10)의 삽입부(12)는 이너코어의 이탈 시 이탈방지브라켓(40)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이너코어(10)가 더 이상 이탈되는 것을 막아 파워트레인의 후방 밀림을 잡아 주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브라켓과 이너코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브라켓(40)의 다리부(42)는 이너코어(10)의 삽입부(12)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이너코어(10)는 이러한 다리부(4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의 폭(A)은 다리부의 폭(B)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이너코어(10)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의 선후 주행 등의 경우 발생하는 파워트레인(또는 트랜스미션)의 좌우 방향 변위 시, 종래에는 엔진마운트만이 진동을 제어하는 것과 달리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20)도 진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NVH(Noise, Vibration & Harshness) 특성 튜닝을 용이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에서 메인브라켓의 가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은 내부에 이너코어(10) 및 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20)가 배치되는 메인브라켓(30)을 압출 공법에 의해 형성하는 메인브라켓 제조단계로부터 시작한다.
종래 티엠마운트의 (메인)브라켓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소재를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주물을 식히는 과정에서 브라켓 내에 기포가 발생하여 품질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라켓의 파괴 강도가 저하되어 작은 충격에도 브라켓이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다이캐스팅(die casting)이란 다이 주조라고도 하는데 필요한 주조형상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기계가공된 강제(鋼製)의 금형(金型)에 용융금속(熔融金屬)을 주입하여 금형과 똑같은 주물을 얻는 정밀주조법이다. 치수가 정확하므로 다듬질할 필요가 거의 없는 장점 외에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브라켓(30)을 압출 공법에 의해 형성한 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브라켓(30)의 상부에 이너코어(10)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개홈(32)을 천공하고 양 측부에 볼트홀(36)을 형성하여 메인브라켓을 가공한다(메인브라켓 가공단계).
여기에서 압출(extrusion)이란 압출 금속에 대한 소성 가공법의 하나로 금속 덩어리를 컨테이너(container)에 넣고 램(ram)으로 가압해서 다이스 구멍으로 압출해서 다이 구멍의 단면형상을 갖는 제품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고온하에서 하는 것을 열간(熱間)압출가공이라 하고, 실온(室溫)에서 하는 것을 냉간(冷間)압출가공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브라켓(30)은 압출 공법에 의해 형성되므로 종래 다이캐스팅에 비해 원가가 절감되고 주물의 기포 발생 등에 의한 품질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 다음, 스틸(steel) 소재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브라켓(40)을 주물 공법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형성하고, 이를 메인브라켓(30)의 절개홈(32)에 삽입하여 이너코어의 이탈을 방지한다(이탈방지브라켓 삽입단계).
여기에서 주물 공법이란 융해된 금속을 주형(鑄型) 속에 넣고 응고시켜서 원하는 모양의 금속제품으로 만드는 일 또는 그 제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뜨거운 쇳물을 견딜 수 있는 금속덩어리로 만든 주형에 중력·압력·원심력 등을 이용해 금속을 주입시켜 만들며, 사용하는 금속이나 주형의 종류, 용해된 금속의 유입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코어(10)는 양 측면에 이탈방지브라켓(40)이 삽입되는 삽입부(12)가 함몰 가공되며, 알루미늄 소재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엠마운트 제조방법은 상기 이탈방지브라켓 삽입단계 후, 상기 이탈방지브라켓(40)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조립핀(46)이 조립핀의 위치에 대응하여 메인브라켓(3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34)에 삽입되는 1차 조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브라켓(40)에는 4개의 조립핀(46)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브라켓(30)에는 4개의 조립홀(34)이 형성되는데, 작업자는 이러한 조립핀(46)과 조립홀(34)을 맞추어 이탈방지브라켓(40)과 메인브라켓(30)을 기본 조립한다.
그 후, 더 정확한 위치 맞춤 및 이탈방지브라켓(40)과 메인브라켓(30)의 이탈 방지는 차량 조립 상태에서 메인브라켓(30)의 양 측부에 형성된 볼트홀(36)과 차체(사이드멤버)를 볼팅 체결하고, 이탈방지브라켓(4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체결부(44)와 차체(측면 구조물)를 볼팅 체결하여 달성된다(2차 조립단계).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는 이너코어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선회 주행 시 NVH 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이너코어
12 : 삽입부
20 : 인슐레이터
30 : 메인브라켓
32 : 절개홈
34 : 조립홀
36 : 볼트홀
40 : 이탈방지브라켓
42 : 다리부
44 : 체결부
46 : 조립핀

Claims (9)

  1. 이너코어 및 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에 이너코어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천공되는 절개홈;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에서 절개홈에 삽입되어 이너코어의 측면으로 진입하는 이탈방지브라켓;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2개의 다리부; 및
    상기 이너코어의 양 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이너코어는 이탈방지브라켓에 걸려서 메인브라켓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폭은 다리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이너코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끝단이 차체와 결합되는 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조립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조립핀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며,
    다수의 조립핀은 조립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6. 내부에 이너코어 및 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가 배치되는 메인브라켓이 압출 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브라켓 제조단계;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부에 이너코어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개홈을 천공하고 양 측부에 볼트홀을 형성하는 메인브라켓 가공단계; 및
    주물 공법에 의해 형성된 이탈방지브라켓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어 이너코어의 측면으로 진입되는 이탈방지브라켓 삽입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코어는, 알루미늄 소재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형성되며, 이너코어의 양 측면에는 이탈방지브라켓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함몰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 삽입단계 후,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조립핀이 조립핀의 위치에 대응하여 메인브라켓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에 삽입되는 1차 조립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조립단계 후,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체결부 및 메인브라켓의 양 측부에 형성된 볼트홀과 차체를 볼팅 결합하는 2차 조립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티엠마운트 제조방법.
KR1020150177824A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824A KR101746576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824A KR101746576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576B1 true KR101746576B1 (ko) 2017-06-13

Family

ID=5921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824A KR101746576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5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81B1 (ko) 2017-07-21 2018-07-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KR20190026204A (ko) 2017-09-04 2019-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KR20190026316A (ko) 2017-09-05 2019-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CN113928104A (zh) * 2021-09-08 2022-01-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提升碰撞性能的悬置支架、动力总成结构及汽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544A (ja) 2004-08-31 2006-07-06 Tokai Rubber Ind Ltd エンジンマウン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544A (ja) 2004-08-31 2006-07-06 Tokai Rubber Ind Ltd エンジンマウン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81B1 (ko) 2017-07-21 2018-07-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KR20190026204A (ko) 2017-09-04 2019-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KR20190026316A (ko) 2017-09-05 2019-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CN113928104A (zh) * 2021-09-08 2022-01-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提升碰撞性能的悬置支架、动力总成结构及汽车
CN113928104B (zh) * 2021-09-08 2024-03-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提升碰撞性能的悬置支架、动力总成结构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576B1 (ko)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4637715B2 (ja) 車両用支持構造体の製造方法
CN103348161B (zh) 扭矩杆
US20180172135A1 (en) Low porosity solid electrolyte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203012B2 (en) Unit mou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CN109831920B (zh) 防振装置
JP6187393B2 (ja) 車両用バンパ
KR20160022560A (ko) 허니콤 구조의 하이브리드 이너코어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CN109642636B (zh) 扭矩杆
US20080110295A1 (en) Transmission case
KR102397177B1 (ko)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CN109866826B (zh) 车辆的车身安装托架
JP6257389B2 (ja) 筒型防振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10808793B2 (en) Hydraulic transmission mou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44646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캡슐구조
EP3466558A1 (en) Device for lightening the weight of vehicle components
KR101867581B1 (ko)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JP4211485B2 (ja) 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
KR102263204B1 (ko) 동력 전달 장치
JP7416004B2 (ja) 車両駆動装置、車両駆動装置のモータケーシ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3128B1 (ko)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US11572027B2 (en) Bumper reinforcement
JP6731314B2 (ja) ブラケット付き防振装置
KR101836730B1 (ko)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멤버
JP6699475B2 (ja) 車載電動機器、および車載電気機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