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558B1 -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558B1
KR101746558B1 KR1020160059678A KR20160059678A KR101746558B1 KR 101746558 B1 KR101746558 B1 KR 101746558B1 KR 1020160059678 A KR1020160059678 A KR 1020160059678A KR 20160059678 A KR20160059678 A KR 20160059678A KR 101746558 B1 KR101746558 B1 KR 101746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afer
unit
resistance
resis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강상우
김용규
권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558B1/ko
Priority to PCT/KR2017/005058 priority patent/WO201720026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1Semiconductor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1)는, 웨이퍼(10) 상에 복수개의 전극배선(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전극부(20); 웨이퍼(10) 상에서 전극부(20)와 다른 층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복수개의 단위저항(31)이 연결배선(32)에 의해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저항부(30); 전극부(20)와 저항부(30) 사이에 설치되는 층간절연층(50); 및 전극배선(21) 각각의 일단이 단위저항(31)들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층간절연층(50)의 비아홀에 설치되는 도전플러그(5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전극부(20)를 통하여 저항부(30)에서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웨이퍼(10)의 온도 균일도를 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부(20)와 저항부(30)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저항부(30)의 단위저항(31)과 연결배선(32)을 전극부(2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웨이퍼(10)의 전면적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10)의 전면적에 대해서 온도 균일도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ed resistive type multi-point temperature measuring wafer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웨이퍼의 전면적에 대해 온도 균일도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웨이퍼는 서셉터 상에 올려 놓인 상태에서 서셉터로 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다. 이 때 서셉터에서 웨이퍼로 열이 전도되는 과정에서 열 손실이 발생되므로 서셉터와 웨이퍼 사이에 온도 차이가 나게 된다. 예컨대, 서셉터의 온도를 1000℃로 세팅하더라도 웨이퍼의 실제 온도는 이 보다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웨이퍼의 실제 온도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웨이퍼 내에서의 온도 균일성이 떨어지면 부분별로 공정조건이 달라지는 결과가 되어 공정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웨이퍼 전면적에 대한 온도 균일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일환으로 여러 가지 테스트 웨이퍼(더미 웨이퍼)가 제안되었다. 일본 특개 제2000-31231호(2000.1.28.공개)에 개시된 웨이퍼 온도측정 장치나, 미국 특허 제7,540,188호(2009.6.2.등록)에 개시된 공정조건 측정장치가 바로 이러한 예들이다.
상기 일본 특개 제2000-31231호(2000.1.28.공개)에 개시된 웨이퍼 온도측정 장치는 열전대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웨이퍼의 오목부에 설치된 측온저항체로부터 소선과 리드선들이 외부 인출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웨이퍼 내에 측온저항체를 많이 설치할 경우 소선과 리드선들이 너무 복잡하게 얽히게 되므로, 측온저항체를 여러 군데에 많이 설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웨이퍼의 전면적에 대해 온도 균일도를 세밀하게 파악하는 데에 취약하다.
일본 특개 제2000-31231호(2000.1.28.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이퍼의 전면적에 대해 온도 균일도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는,
웨이퍼 상에 복수개의 전극배선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전극부;
상기 웨이퍼 상에서 상기 전극부와 다른 층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복수개의 단위저항이 연결배선에 의해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저항부;
상기 전극부와 저항부 사이에 설치되는 층간절연층; 및
상기 전극배선 각각의 일단이 상기 단위저항들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층간절연층의 비아홀에 설치되는 도전플러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전극부를 통하여 상기 저항부에서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상기 웨이퍼의 온도 균일도를 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전극부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부는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항부는 선폭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으로 구분되는 금속배선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선폭이 좁은 부분이 상기 단위저항의 역할을 하고 선폭이 넓은 부분이 상기 연결배선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극배선들 각각의 타단을 취합하는 전압측정단자가 상기 웨이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제조방법은,
웨이퍼 상에 복수개의 전극배선으로 이루어지는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부 상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배선들 각각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층간절연층에 복수개의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배선들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상기 비아홀에 도전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선폭이 좁은 부분이 단위저항 역할을 하고 선폭이 넓은 부분이 연결배선 역할을 하도록 선폭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으로 구분되면서 상기 단위저항의 양단이 상기 도전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배선을 상기 층간절연층 상에 형성하여 저항부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극부와 저항부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저항부의 단위저항과 연결배선을 상기 전극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웨이퍼의 전면적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 전면적에 대해서 온도 균일도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1)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1)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1)를 설명하기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1)는 웨이퍼(10) 상에 전극부(20)와 저항부(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전극부(20)는 복수개의 전극배선(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저항부(30)는 복수개의 단위저항(31)이 연결배선(32)에 의해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각 전극배선(21)의 일단은 단위저항(31)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전압측정단자(40)에 취합된다.
웨이퍼(10)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면 제백효과(Zeebeck effect)에 의해 저항부(30)에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배선(21)들이 취합되는 전압측정단자(40)를 통하여 각 포인트(P1, P2, Pn)에서의 전위차를 측정하면 어느 부분에서 온도 불균일 발생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웨이퍼(10)의 전면적에 대해서 온도 불균일을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포인트(P1, P2, Pn)의 숫자가 많아야 하는데, 전극부(20)와 저항부(30)가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하게 되면 전극배선(21)의 설치를 위해서 직렬저항(31)과 연결배선(32)의 설치공간이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전극부(20)와 저항부(30)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저항부(30)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0)는 웨이퍼(10) 상에 복수개의 전극배선선(21)이 병렬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저항부(30)는 층간절연층(50)에 의해 전극부(20)와 다른 층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복수개의 단위저항(31)이 연결배선(32)에 의해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저항부(30)는 선폭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으로 구분되는 금속배선으로 이루어진다. 선폭이 좁은 부분이 단위저항(31)의 역할을 하고 선폭이 넓은 부분이 연결배선(32)의 역할을 한다. 단위저항(31)의 저항이 더 한층 높도록 단위저항(31)은 연결배선(32)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배선이라 함은 순수한 금속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리사이드와 같이 반도체 분야에서 배선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모두 지칭하는 의미이다.
전극배선(21)들의 일단은 층간절연층(50)의 비아홀에 설치되는 도전플러그(55)에 의해서 단위저항(31)들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항부(30)는 전극부(20)의 밑에 위치하는 것보다는 위에 위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반도체 소자 제조공정에서 실제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웨이퍼(10)의 표면이므로 웨이퍼(10) 표면에서의 온도 및 균일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웨이퍼(10)의 온도는 서셉터의 가열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공정챔버 내부 분위기 온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정챔버 내부의 온도가 반영되도록 저항부(30)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저항부(30)를 이루는 금속배선이 고온에서 산화 등으로 퇴화되지 않도록 저항부(30) 상에 보호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금속배선이 퇴화(degradation)되면 정확한 전위차 측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1)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10) 상에 금속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복수개의 전극배선(21)으로 이루어지는 전극부(20)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3b에서와 같이 전극부(20) 상에 층간절연층(50)을 형성하고, 전극배선(21)들 각각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층간절연층(50)에 비아홀을 형성한 후에 전극배선(21)들과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상기 비아홀에 도전플러그(55)를 형성시킨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절연층(50) 상에 금속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함으로써 선폭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으로 구분되는 금속배선으로 이루어지는 저항부(3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부(20)와 저항부(30)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저항부(30)의 단위저항(31)과 연결배선(32)을 전극부(2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웨이퍼(10)의 전면적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10)의 전면적에 대해서 온도 균일도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1: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10: 웨이퍼 20: 전극부
21: 전극배선 30: 저항부
31: 단위저항 32: 연결배선부
40: 전압측정단자

Claims (6)

  1. 웨이퍼 상에 복수개의 전극배선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전극부;
    상기 웨이퍼 상에서 상기 전극부와 다른 층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복수개의 단위저항이 연결배선에 의해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저항부;
    상기 전극부와 저항부 사이에 설치되는 층간절연층; 및
    상기 전극배선 각각의 일단이 상기 단위저항들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층간절연층의 비아홀에 설치되는 도전플러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전극부를 통하여 상기 저항부에서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상기 웨이퍼의 온도 균일도를 간파하고,
    상기 저항부가 선폭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으로 구분되는 금속배선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선폭이 좁은 부분이 상기 단위저항의 역할을 하고 선폭이 넓은 부분이 상기 연결배선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웨이퍼 상에 복수개의 전극배선으로 이루어지는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부 상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배선들 각각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층간절연층에 복수개의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배선들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상기 비아홀에 도전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선폭이 좁은 부분이 단위저항 역할을 하고 선폭이 넓은 부분이 연결배선 역할을 하도록 선폭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으로 구분되면서 상기 단위저항의 양단이 상기 도전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배선을 상기 층간절연층 상에 형성하여 저항부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제조방법.
KR1020160059678A 2016-05-16 2016-05-16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78A KR101746558B1 (ko) 2016-05-16 2016-05-16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7/005058 WO2017200267A1 (ko) 2016-05-16 2017-05-16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78A KR101746558B1 (ko) 2016-05-16 2016-05-16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617A Division KR101820675B1 (ko) 2017-04-06 2017-04-06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558B1 true KR101746558B1 (ko) 2017-06-14

Family

ID=5921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78A KR101746558B1 (ko) 2016-05-16 2016-05-16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5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26B1 (ko) * 2006-02-03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열유속 센서 어레이
JP2011216540A (ja) * 2010-03-31 2011-10-27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及び抵抗測定方法
JP2012230022A (ja) 2011-04-27 2012-11-22 Tokyo Electron Ltd 温度校正装置及び温度校正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26B1 (ko) * 2006-02-03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열유속 센서 어레이
JP2011216540A (ja) * 2010-03-31 2011-10-27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及び抵抗測定方法
JP2012230022A (ja) 2011-04-27 2012-11-22 Tokyo Electron Ltd 温度校正装置及び温度校正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1222B (zh) 具有監控鏈與測試導線之積體電路測試結構
US7510323B2 (en) Multi-layered thermal sensor for integrated circuits and other layered structures
ES2543902T3 (es) Un calentador alargado para un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calentado eléctricamente
KR102268086B1 (ko) 모니터 패널 teg 테스트 어셈블리 및 그 형성방법과 테스트방법
US20070009240A1 (en) Semiconductor test device
JP7173755B2 (ja) シャント抵抗器の実装構造
CN102082107B (zh) 芯片测温方法
KR101820675B1 (ko)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6652443B2 (ja) 多層配線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ーブカード
KR101746560B1 (ko) 다층 저항-열전식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558B1 (ko) 다층 저항식 다점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TWI526132B (zh) Correction film structure
CN102621468A (zh) 电阻温度系数的检测结构及检测方法
JP3853260B2 (ja) 評価用素子を含む半導体装置及び該評価用素子を用いた故障解析方法
JP2011174876A (ja) ダイアフラム部を有する基板を備えたセンサ装置、及び同センサ装置を複数備えたセンサ装置アレイ
US7119545B2 (en) Capacitive monitors for detecting metal extrusion during electromigration
US7119571B2 (en) Test structure design for reliability test
KR102119757B1 (ko) 다층 저항-열전식 온도측정 웨이퍼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5461B1 (ko) 열전효과를 이용하는 온-웨이퍼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995639B2 (en) Sensor element, thermometer as well as method for determining a temperature
JP4912056B2 (ja) プローバ用チャック
JP537025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50043610A1 (en) Stress detection system on small areas and method thereof
JP2009528539A (ja) 熱電対を有する回路の蓋部
JP2005223227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