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520B1 -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 Google Patents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520B1
KR101746520B1 KR1020150146011A KR20150146011A KR101746520B1 KR 101746520 B1 KR101746520 B1 KR 101746520B1 KR 1020150146011 A KR1020150146011 A KR 1020150146011A KR 20150146011 A KR20150146011 A KR 20150146011A KR 101746520 B1 KR101746520 B1 KR 101746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re pin
guide groove
hollow body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917A (ko
Inventor
김동현
김기선
Original Assignee
(주)삼기오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기오토모티브 filed Critical (주)삼기오토모티브
Priority to KR1020150146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5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1Permanent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8Installation of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전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유로의 조성을 위한 중공체를 설치함으로써 단일의 주조공정만으로도 주조품의 살부위 내부에 관통통로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주조품 제작용 금형을 개시하는 것으로, 전술한 금형은 고정금형(10), 상기 고정금형(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금형(20), 상기 고정금형(10)과 상기 가동금형(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코어핀(30), 및 상기 코어핀(30)에 의해 양 끝단부가 고정되어 캐비티(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체(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Mold for producing a casting with penetrating passage}
본 발명은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파이프 형상의 중공체 설치를 매개로 주조공정에서 성형되는 주조품의 살부위 내부에 유로의 조성을 위한 관통통로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주조품 제작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의 케이스와 리어 커버를 비롯하여 오일펌프의 커버류와 같은 제품들은 오일의 유동을 목적으로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의 유로 형성을 위한 관통통로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스와 커버류의 제품들은 주로 주조공정에 의해 제작되므로 살부위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의 형성을 위해서는 주조후 드릴을 이용한 기계적 천공작업과 함께 코어핀에 의한 소재의 관통통로 성형후 확인 가공 등의 기계적 후가공을 반드시 수행해야만 한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부위의 내부에 관통통로를 형성하는 주조품(100)은 주조공정에서 금형의 내부에 코어핀(미도시)의 설치를 통해 1차 통로(110)와, 이 1차 통로(110)에 대해 대략 교차하는 방향으로 2차 통로(120)를 별도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1차 통로(110)와 2차 통로(120)는 각각 유로의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기밀하게 마감되어야 하므로, 플러그(130)와 같은 별도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천공부위를 폐쇄시키는 후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주조공정에서 형성되는 1차 통로(110)와 2차 통로(120)의 경우에도 유로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상태이므로 주조후 기계적 후가공 공정을 통해 반드시 표면 처리를 위한 마감 작업을 실시해야만 한다.
특히, 주조공정을 통해 성형되는 주조품의 경우에는 작업과정에서 제품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이상 수축에 의한 여러 가지 품질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품질 문제는 필드에서 사용시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여 완제품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12-0015394호의 자동변속기용 오일펌프커버의 오일통로 사상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조전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유로의 조성을 위한 중공체를 설치하고 이를 매개로 단일의 주조공정만으로 주조품의 살부위 내부에 관통통로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의 제작을 보다 편리하게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금형, 상기 고정금형과 상기 가동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코어핀, 및 상기 코어핀에 의해 양 끝단부가 고정되어 캐비티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코어핀은 상기 금형에 대해 영구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주몸체부, 및 상기 주몸체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캐비티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보조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몸체부와 상기 보조몸체부 사이에는 상기 중공체의 안착 지지를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단차부는 상기 금형의 두께살 부위로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코어핀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가 가지는 폭은 상기 중공체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보조몸체부는 자유단부를 향해 단면적이 축소되는 구배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금형의 기저면으로부터 캐비티의 내부를 향해 연장 설치되어 상기 중공체를 지지하는 더미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보스는 상기 금형에 대해 영구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더미 보스는 자유단부에 상기 중공체와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를 일체로 구비하거나, 상기 더미 보스는 자유단부에 상기 중공체의 끼움 지지를 위한 개구형 탄성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중공체는 외주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금형에 대해 상기 코어핀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잠금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금형의 관통구멍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삽입을 안내하고 삽입후 이탈을 억제하는 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안내홈은 상기 코어핀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 상기 제1 가이드홈의 종단부에서 상기 코어핀의 회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 상기 제2 가이드홈의 종단부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홈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을 향해 배면이 리턴 스프링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안착홈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걸림돌기는 자유단부에 상기 제2 가이드홈에서 상기 안착홈을 향한 진입방향으로 경사진 빗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자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의 빗면과 마주보는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대응빗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은 살부위의 내부에 유로의 조성을 위한 관통통로를 구비해야 하는 주조품의 제작시 주조후 별도의 기계적 가공공정을 통해 관통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단일의 주조공정에서 관통통로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게 하므로, 기계적 가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의 불량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유로의 형성을 위한 관통통로가 유로의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 전체가 완벽하게 주조품의 살부위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필드에서 사용중 오일이 외부로 누유될 수 있는 문제를 완전하게 배제하여 제품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은 단일의 주조공정만으로 관통통로를 일체로 갖춘 주조품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기존 대비 관통통로의 형성을 위한 후가공 공정의 폐지를 통해 제품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의 제작을 위한 금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A"부위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공체의 지지를 위한 더미 보스의 설치상태에 대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공체의 지지를 위한 더미 보스의 설치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금형에 대한 코어핀의 조립부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코어핀의 조립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주조품에서 관통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은 고정금형(10), 가동금형(20), 코어핀(30), 중공체(40), 및 더미 보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금형(10)은 금형장치의 베이스부(미도시)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가동금형(20)은 상기 고정금형(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금형(10)과 상기 가동금형(20)은 합형시 내부의 캐비티(12)로 주입되는 용융금속을 냉각시켜 일정한 형태의 완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코어핀(30)은 상기 고정금형(10)과 상기 가동금형(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체(40)의 양 끝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핀(30)이 상기 고정금형(10)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상세하게 기술한다.
또한, 상기 코어핀(30)은 상기 고정금형(10)에 압입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는 주몸체부(32), 및 상기 주몸체부(32)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캐비티(1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보조몸체부(34)를 포함하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몸체부(32)와 상기 보조몸체부(34)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중공체(40)의 안정적인 안착 지지를 위해 단차부(36)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코어핀(30)의 단차부(36)는 상기 고정금형(10)의 기저면(14)으로부터 금형의 두께살 부위를 향해 내측으로 삽입되는 위치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공체(40)의 양 끝단에 위치한 자유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안착홈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어핀(30)의 단차부(36)는 상기 코어핀(30)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36)가 가지는 폭은 상기 중공체(40)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체(40)의 양 끝단부는 상기 고정금형(10)의 기저면(14)으로부터 금형의 살부위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상기 단차부(36)가 가지는 폭이 상기 중공체(40)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주조시 금형의 내부로 주입되는 용탕이 상기 중공체(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중공체(40)를 이용한 유로의 형성을 위한 관통통로의 성형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어핀(30)의 보조몸체부(34)는 상기 금형의 캐비티(12)를 향한 자유단부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의 구배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핀(30)에 대해 상기 중공체(40)를 고정 설치하는 일련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특히 상기 중공체(40)를 상기 코어핀(30)에 결합하는 일련의 작업이 로봇아암에 의한 자동 공정으로 이루어질 경우 조립위치를 정확하게 맞추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공체(40)는 상기 코어핀(30)에 의해 양 끝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캐비티(12)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주조품의 살부위 내부에서 유로의 형성을 위한 목적으로 주로 파이프와 같은 물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중공체(40)는 금형의 내부로 주입되는 용융금속에 따라 재질이 다르게 선정되지만, 변속기의 케이스와 리어 커버를 비롯하여 오일펌프의 커버류와 같은 제품들이 주로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제작되므로, 상기 중공체(40)는 주조품의 소재보다 용융점이 높은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한다. 특히, 상기 중공체(40)는 오일의 누유를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이음매가 없는 관부재(seamless pipe)로 채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체(40)는 주조시 상기 캐비티(12)의 내부로 주입되는 용탕과의 융착성 향상을 위해 외주 표면에 요철부(미도시)가 별도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요철부는 널링(knurling)과 같은 기계적 가공에 의해 균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미 보스(50)는 상기 고정금형(10)의 기저면(14)으로부터 상기 금형의 캐비티(12)의 내부를 향해 연장 설치되어 상기 중공체(40)를 지지하는 일종의 돌출 구조물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더미 보스(50)는 상기 고정금형(10)의 기저면(14)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고정금형(10)의 기저면(14)에 형성되는 삽입홈(미도시)에 끼워져 고정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금형(10)의 기저면(14)에 상기 중공체(40)의 지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코어핀(30)을 매개로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더미 보스(50)는 상기 코어핀(30)과 동일하게 상기 고정금형(10)에 대해 용접에 의한 영구 고정방식이나 착탈 가능한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보스(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12)를 향한 자유단부에 상기 중공체(4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돌출부(52)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52)는 상기 중공체(40)의 외부와 용접에 의한 결합을 통해 상기 중공체(4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주조시 상기 캐비티(12)의 내부로 주입되는 용탕에 의해 상기 중공체(40)의 위치가 정상적인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더미 보스(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12)를 향한 자유단부에 상기 중공체(40)의 끼움 지지를 위한 개구형 탄성편(54)을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개구형 탄성편(54)은 상기 중공체(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조시 상기 캐비티(12)의 내부로 주입되는 용탕에 의해 상기 중공체(40)의 위치가 정상적인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4에 있어, 상기 더미 보스(50)는 상기 고정금형(10)의 기저면(14)에 대해 상기 코어핀(30)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상기 중공체(40)의 양단부 사이의 연장선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기저면(14)에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체(40)의 양단부와 상기 더미 보스(50)의 설치부위는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캐비티(12) 내에서 상기 중공체(40)는 상기 더미 보스(50)를 매개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주조시 용융금속의 내부에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더미 보스(50)는 상기 중공체(40)가 2개소에 한정하여 입/출구용 개구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캐비티(12)의 내부에서 상기 중공체(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공체(40)가 3개소 이상의 입/출구용 개구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12)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핀(30)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더미 보스(50)의 사용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코어핀(30)은 상기 고정금형(10)과 상기 가동금형(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용접에 의한 영구 고정방식 또는 나사 체결이나 금형의 기저면(14)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착탈 가능한 구조의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핀(30)은 상기 고정금형(10)에 형성된 관통구멍(10a)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로서, 잠금기구를 매개로 고정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코어핀(30)의 주몸체부(32)에 대해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0a), 및 상기 걸림돌기(30a)의 삽입을 안내함과 더불어 삽입후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고정금형(10)의 관통구멍(10a) 내주면에 형성되는 안내홈(1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안내홈(1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금형(10)에 대한 상기 코어핀(3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10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16a), 상기 제1 가이드홈(16a)의 종단부에서 상기 고정금형(10)에 대한 상기 코어핀(30)의 회전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10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16b), 및 상기 제2 가이드홈(16b)의 종단부에서 상기 걸림돌기(30a)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10a)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 가이드홈(16a)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용 안착홈(16c)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상기 안내홈(16)을 따라 상기 코어핀(30)의 걸림돌기(30a)가 조립되는 과정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홈(16a)은 상기 고정금형(10)의 관통구멍(10a)에 대한 상기 코어핀(30)의 조립을 위한 삽입방향에 해당하는 고정금형(10)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2 가이드홈(16b)은 상기 제1 가이드홈(16a)의 종단부에서 제1 가이드홈(16a)과 교차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금형(10)의 관통구멍(10a)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용 안착홈(16c)은 상기 제2 가이드홈(16b)의 종단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홈(16a)과 평행한 방향이면서 상기 제1 가이드홈(16a)의 입구를 향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홈(16)에는 상기 걸림돌기(30a)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16c)을 향해 가압되는 지지돌기(18)가 구비되는 바, 상기 지지돌기(18)는 배면이 리턴 스프링(19)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홈(16)은 상기 고정용 안착홈(16c)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19)을 수용하는 수용홈(16d)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30a)는 자유단부에 상기 제2 가이드홈(16b)에서 상기 안착홈(16c)을 향한 진입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경사진 형태의 빗면(30b)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18)는 자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30a)의 빗면(30b)과 마주보는 대응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경사진 형태의 대응빗면(18a)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잠금기구는 상기 고정금형(10)의 관통구멍(10a) 내주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상기 안내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6)과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돌기(3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홈(16)과 상기 걸림돌기(30a)는 각각 상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금형은 주조품의 살부위 내부에 유로의 형성을 위한 관통통로가 구비되어야 하는 제품의 제작시, 주조공정 중에 상기 캐비티(12) 내에서 주입되는 용탕과 함께 일체화되는 상기 중공체(40)를 매개로 유로용 관통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주조후 별도의 기계적 가공공정을 통해 관통통로를 형성하지 않고도 단일의 주조공정에서 관통통로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주조후 이루어지는 기계적 가공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불량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고, 특히 유로의 형성을 위한 관통통로가 유로의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 전체를 완벽하게 주조품의 살부위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필드에서 사용중 오일이 외부로 누유될 수 있는 문제를 완전하게 배제하고 제품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주조공정만으로 관통통로를 일체로 갖춘 주조품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기존 대비 관통통로의 형성을 위한 후가공 공정의 폐지를 통해 제품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고정금형(10)에 대해 상기 코어핀(30)이 잠금기구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금형을 이용한 주조품의 반복적인 생산시 상기 고정금형(10)과 상기 코어핀(30) 사이의 틈새로 용융금속이 고착될 경우, 상기 코어핀(30)의 분리를 통해 고착된 고형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어핀(30)의 노화에 따른 문제의 발생시 새로운 코어핀(30)만의 교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금형(10)의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고정금형 12-캐비티
14-기저면 16-안내홈
16a-제1 가이드홈 16b-제2 가이드홈
16c-안착홈 16d-수용홈
18-지지돌기 19-리턴 스프링
20-가동금형 30-코어핀
30a-걸림돌기 32-주몸체부
34-보조몸체부 36-단차부
40-중공체 50-더미 보스
52-돌출부 54-개구형 탄성편

Claims (15)

  1.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금형;
    상기 고정금형과 상기 가동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코어핀;
    상기 코어핀에 의해 양 끝단부가 고정되어 캐비티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체; 및
    상기 금형에 대해 상기 코어핀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금형의 관통구멍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삽입을 안내하고 삽입후 이탈을 억제하는 안내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코어핀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 상기 제1 가이드홈의 종단부에서 상기 코어핀의 회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 상기 제2 가이드홈의 종단부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홈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은,
    상기 금형에 대해 영구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주몸체부; 및
    상기 주몸체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캐비티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보조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몸체부와 상기 보조몸체부 사이에는 상기 중공체의 안착 지지를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금형의 두께살 부위로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코어핀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가 가지는 폭은 상기 중공체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부는 자유단부를 향해 단면적이 축소되는 구배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기저면으로부터 캐비티의 내부를 향해 연장 설치되어 상기 중공체를 지지하는 더미 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더미 보스는 상기 금형에 대해 영구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더미 보스는 자유단부에 상기 중공체와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더미 보스는 자유단부에 상기 중공체의 끼움 지지를 위한 개구형 탄성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는 외주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을 향해 배면이 리턴 스프링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안착홈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자유단부에 상기 제2 가이드홈에서 상기 안착홈을 향한 진입방향으로 경사진 빗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자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의 빗면과 마주보는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대응빗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KR1020150146011A 2015-10-20 2015-10-20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KR10174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011A KR101746520B1 (ko) 2015-10-20 2015-10-20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011A KR101746520B1 (ko) 2015-10-20 2015-10-20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917A KR20170045917A (ko) 2017-04-28
KR101746520B1 true KR101746520B1 (ko) 2017-06-14

Family

ID=5870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011A KR101746520B1 (ko) 2015-10-20 2015-10-20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5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1552A (ja) * 2005-07-20 2007-02-01 Ryobi Ltd ダイカスト金型及びダイカスト法
JP2008110356A (ja) * 2006-10-30 2008-05-15 Hanano Shoji Kk 金型の鋳ばり防止構造
JP2013013914A (ja) * 2011-07-04 2013-01-24 Toyota Motor Corp 鋳造装置、および鋳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1552A (ja) * 2005-07-20 2007-02-01 Ryobi Ltd ダイカスト金型及びダイカスト法
JP2008110356A (ja) * 2006-10-30 2008-05-15 Hanano Shoji Kk 金型の鋳ばり防止構造
JP2013013914A (ja) * 2011-07-04 2013-01-24 Toyota Motor Corp 鋳造装置、および鋳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917A (ko) 201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520B1 (ko) 관통통로를 갖춘 주조품 제작용 금형
WO2016042836A1 (ja) 鋳抜きピンおよび鋳抜きピン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る鋳造装置
JP4892536B2 (ja) 減圧鋳造システム
KR101055831B1 (ko) 실린더 헤드 주조용 금형장치
JP2018051690A (ja) リングケース
JP5307635B2 (ja) カセット式先抜き型射出成形用金型
JP2008155266A (ja) 金型構造
KR20170045918A (ko) 인서트형 중공체를 갖춘 주조품과 그 제조방법
JP2006347032A (ja) オイルシールリングの成形用金型、オイルシールリングの成形方法
KR20090084269A (ko) 금형조립체 및 형상코어의 교체방법
JP2008008273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2010201435A (ja) ライナ付きシリンダ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10982774B2 (en)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rol valve
JP2005262472A (ja) 射出成形金型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金型、並びにプラスチック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
WO2009096219A1 (ja) 金型加工方法、射出成形用金型、及び光学素子
JP2007111894A (ja) ディスク基板成形金型装置
EP3764138A1 (en) Optical fiber ferrule assembly,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ber ferrule assembly
JP2020082598A (ja) 射出成形金型
US11060617B2 (en)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rol valve
JP2012045597A (ja) パンチ金型
JP6128602B2 (ja) 仮固定用治具及び密封装置
KR20070021351A (ko) 다이케스팅 금형 냉각장치
JP2008030249A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H0857908A (ja) 光ディスク基盤用成形型
CN116963892A (zh) 注塑喷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