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476B1 -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476B1
KR101746476B1 KR1020160064662A KR20160064662A KR101746476B1 KR 101746476 B1 KR101746476 B1 KR 101746476B1 KR 1020160064662 A KR1020160064662 A KR 1020160064662A KR 20160064662 A KR20160064662 A KR 20160064662A KR 101746476 B1 KR101746476 B1 KR 10174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valve
spool valve
pressur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6006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5Pressure control for supplying lubricant; Circuit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6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main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 시스템의 냉각 및 윤활을 도모함으로써 유압 작동부의 원활한 동작을 구현하고, 클러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유압 작동부에 스풀밸브 일체형의 멤스밸브를 적용함으로써 유압회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크기를 축소하며 중량을 저감할 수 있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을 개시한다.
전술한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유압펌프(12)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매개로 유압회로를 냉각하고 윤활하는 냉각 및 윤활부, 및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매개로 클러치(40)의 작동을 조절하는 유압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및 윤활부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연결되는 스풀밸브(16), 및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스풀밸브(16)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고 온/오프 제어에 따라 상기 스풀밸브(16)에 파일럿압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밸브(18)를 구비하며, 상기 유압 작동부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스풀밸브(16)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고 온/오프 제어되는 멤스밸브(20), 및 상기 멤스밸브(20)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는 클러치(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Hydraulic system for AWD apparatus}
본 발명은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 시스템의 냉각 및 윤활을 도모하고, 클러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유압 작동부에 스풀밸브 일체형의 멤스밸브를 적용하여 유압회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개특허 제10-2014-0028081호는 차량 구동장치의 유압제어를 위한 유압회로를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028081호의 도 4를 참조로 하면, 유압 회로(71)는 오일 팬(80)에 배치한 흡입구(70a)로부터 흡입되어 전동 오일펌프(70)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저압 유로 전환 밸브(73)와 브레이크 유로 전환 밸브(74)를 통해 유압 브레이크(60A, 60B)의 제1 작동실(S1)에 급유 가능하게 구성되며, 저압 유로 전환 밸브(73)를 통해 전동기(2A, 2B) 및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12B) 등의 윤활ㅇ냉각부(91)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감속기 케이스(11)에는 전동 오일펌프(70)로부터 토출되며, 전동기(2A, 2B) 및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12B) 등의 윤활ㅇ냉각부(91)에 공급된 오일이 저류된다. 오일에는, 유성 캐리어(23A, 23B)의 하부와 전동기(2A, 2B)의 하부가 잠겨 있다. 전동 오일펌프(70)는 위치 센서리스ㅇ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를 포함하는 전동기(90)로 고압 모드와 저압 모드 중 적어도 2개의 모드로 운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PID 제어로 제어되며, 또한 각각의 모드에 있어서 유압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 유로(77)의 오일 온도 및 유압을 검출하는 센서(9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저압 유로 전환 밸브(73)는 라인 유로(75)를 구성하는 전동 오일펌프(70)측의 제1 라인 유로(75a)와, 라인 유로(75)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유로 전환 밸브(74)측의 제2 라인 유로(75b)와, 윤활ㅇ냉각부(91)에 연통하는 제1저압 유로(76a)와, 윤활ㅇ냉각부(91)에 연통하는 제2 저압 유로(76b)에 접속된다. 또한, 저압 유로 전환 밸브(73)는 제1 라인 유로(75a)와 제2 라인 유로(75b)를 항상 연통시키며 라인 유로(75)를 제1 저압 유로(76a) 또는 제2 저압 유로(76b)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체(73a)와, 밸브체(73a)를 라인 유로(75)와 제1 저압 유로(76a)를 연통하는 방향(도 4에 있어서 우측)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73b)과, 밸브체(73a)를 라인 유로(75)의 유압에 의해 라인 유로(75)와 제2 저압 유로(76b)를 연통하는 방향(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박하는 오일실(73c)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밸브체(73a)는 스프링(73b)에 의해 라인 유로(75)와 제1 저압 유로(76a)를 연통하는 방향(도 4에 있어서 우측)으로 편향되며, 도면 중 우단의 오일실(73c)에 입력되는 라인 유로(75)의 유압에 의해 라인 유로(75)와 제2 저압 유로(76b)를 연통하는 방향(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박된다.
또한, 브레이크 유로 전환 밸브(74)는 라인 유로(75)를 구성하는 제2 라인 유로(75b)와, 유압 브레이크(60A, 60B)에 접속되는 브레이크 유로(77)와, 하이포지션 드레인(78)을 통해 저류부(79)에 접속된다. 브레이크 유로 전환 밸브(74)는 제2 라인 유로(75b)와 브레이크 유로(77)를 연통ㅇ차단시키는 밸브체(74a)와, 밸브체(74a)를 제2 라인 유로(75b)와 브레이크 유로(77)를 차단하는 방향(도 4에 있어서 우측)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74b)과, 밸브체(74a)를 라인 유로(75)의 유압에 의해 제2 라인 유로(75b)와 브레이크 유로(77)를 연통하는 방향(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박하는 오일실(74c)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밸브체(74a)는 스프링(74b)에 의해 제2 라인 유로(75b)와 브레이크 유로(77)를 차단하는 방향(도 4에 있어서 우측)으로 편향되며, 오일실(74c)에 입력되는 라인 유로(75)의 유압에 의해 제2 라인 유로(75b)와 브레이크 유로(77)를 연통하는 방향(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박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구동장치의 유압회로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압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량이 많기 때문에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유압 시스템의 전체 부피와 중량의 증가로 인해 차량측 탑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8081호의 차량용 구동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 시스템의 냉각 및 윤활을 도모함으로써 유압 작동부의 원활한 동작을 구현하고, 클러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유압 작동부에 스풀밸브 일체형의 멤스밸브를 적용함으로써 유압회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크기를 축소하며 중량을 저감할 수 있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매개로 유압회로를 냉각하고 윤활하는 냉각 및 윤활부, 및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매개로 클러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유압 작동부를 구비하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및 윤활부는 상기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스풀밸브, 및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스풀밸브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고 온/오프 제어에 따라 상기 스풀밸브에 파일럿압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작동부는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스풀밸브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고 온/오프 제어되는 멤스밸브, 및 상기 멤스밸브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는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풀밸브와 연결되어 작동압이 과다할 경우, 상기 스풀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오일팬으로 리턴하는 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멤스밸브는 일체형 스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는 온/오프 제어되는 상기 멤스밸브로부터 파일럿압을 제공받아 상기 클러치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는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멤스밸브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압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기 위한 제1압력센서, 상기 냉각 및 윤활부로 제공되는 작동압을 검출하기 위한 제2압력센서, 및 상기 클러치로 제공되는 작동압을 검출하기 위한 제3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 시스템에 대한 냉각과 윤활을 도모함으로써 유압 작동부의 원활한 동작을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클러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유압 작동부에 스풀밸브 일체형의 멤스밸브를 적용함으로써 유압회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축소하며 중량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유압펌프로부터 냉각 및 윤활부로 제공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에는 릴리프밸브의 동작을 매개로 오일팬으로 드레인시킬 수 있으므로 유압회로를 보호하는 안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대한 유압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시스템은 상시사륜 구동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유압 시스템의 냉각하고 윤활하는 냉각 및 윤활부, 및 상시사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클러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유압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제어유니트(10), 유압펌프(12), 밸브바디(14), 스풀밸브(16), 솔레노이드밸브(18), 멤스밸브(MEMS VALVE; 20), 압력센서(30), 및 클러치(40; 도 3을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니트(10)는 외부신호에 기반하여 유압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유압펌프(12)는 상기 제어유니트(1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작동유를 적정의 압력 상태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바디(14)는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냉각 및 윤활부와 유압 작동부에 적절하게 공급하는 유압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스풀밸브(16)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 및 상기 멤스밸브(20)가 각각 적소의 위치에 설치되는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14)는 냉각 및 윤활부로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1접속포트(14a), 및 유압 작동부로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2접속포트(14b)를 각각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포트(14b)는 클러치의 수량에 부합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매개로 시스템 전체를 냉각하고 윤활하는 냉각 및 윤활부, 및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매개로 상기 클러치(40)의 작동을 조절하는 유압 작동부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있어, 상기 냉각 및 윤활부는 상기 유압펌프(12), 상기 스풀밸브(16),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펌프(12)는 상기 제어유니트(1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전동모터(12a)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오일팬(50) 내에 저장된 작동유를 적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풀밸브(16)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 및 윤활부와 교통하는 공급포트(16a)와 상기 오일팬(50)과 교통하는 드레인포트(16b) 중 어느 하나의 경로와 교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스풀밸브(16)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압에 의해 내부의 포트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풀밸브(16)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압이 없을 경우 상기 드레인포트(16b)로의 경로 절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리턴스프링(16c)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스풀밸브(16)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유니트(10)의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풀밸브(16)의 포트 절환용 파일럿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는 상기 스풀밸브(16)와 교통하여 파일럿압을 제공하는 공급포트(18a), 상기 오일팬(50)과 교통하는 드레인포트(18b), 상기 제어유니트(10)로부터 온/오프 제어신호가 없을 경우 상기 드레인포트(18b)로의 경로 절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리턴스프링(18c), 및 상기 제어유니트(10)로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솔레노이드(18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있어, 상기 냉각 및 윤활부는 상기 스풀밸브(16)와 연결되어 작동압이 과다할 경우, 상기 스풀밸브(16)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상기 오일팬(50)으로 리턴하는 릴리프밸브(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릴리프밸브(19)는 상기 스풀밸브(16)를 통해 상기 냉각 및 윤활부로 제공되는 작동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오일팬(50)으로 드레인시킴으로써 유압회로의 이상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있어, 상기 유압 작동부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스풀밸브(16) 사이의 연결경로로부터 분지되게 연결되고 온/오프 제어되는 멤스밸브(20), 및 상기 멤스밸브(20)의 작동에 따라 체결 또는 해방의 상태로 동작의 절환이 이루어지는 클러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멤스밸브(20)는 스풀밸브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멤스밸브(20)는 일체형 스풀밸브(22)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는 상기 제어유니트(1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상기 멤스밸브(20)로부터 파일럿압을 제공받아 상기 클러치(40)의 체결 또는 해방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멤스밸브(20)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스풀밸브(16)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유니트(10)의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의 포트 절환용 파일럿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멤스밸브(20)는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와 교통하여 파일럿압을 제공하는 공급포트(20a), 상기 오일팬(50)과 교통하는 드레인포트(20b), 상기 제어유니트(10)로부터 온/오프 제어신호가 없을 경우 상기 드레인포트(20b)로의 경로 절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리턴스프링(20c), 및 상기 제어유니트(10)로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솔레노이드(2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멤스밸브(20)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클러치(40)와 교통하는 공급포트(22a)와 상기 오일팬(50)과 교통하는 드레인포트(22b) 중 어느 하나의 경로와 교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는 상기 멤스밸브(20)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압에 의해 내부의 포트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는 상기 멤스밸브(20)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압이 없을 경우 상기 드레인포트(22b)로의 경로 절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리턴스프링(22c)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멤스밸브(20)와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는 각각 상기 클러치(40)의 수량에 부합하는 수량으로 구비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클러치(40)가 좌/우측 차륜의 구동 제어를 위해 복수개의 수량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멤스밸브(20)와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도 상기 클러치(40)의 수량에 맞춰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유압회로의 전반에 걸쳐 작동압의 검출을 위한 압력센서(3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압력센서(30)는 상기 유압펌프(12)의 토출압을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1압력센서(32), 상기 냉각 및 윤활부로 제공되는 작동압을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34), 및 상기 클러치(40)로 제공되는 작동압을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3압력센서(36)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3압력센서(36)는 상기 클러치(40)의 수량과 부합하여 각각의 유압경로에 개별적으로 설치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도 3에 도시된 클러치(40)는 항시 체결형(NC; Normal Closed)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먼저, 유압 시스템에 대한 냉각과 윤활을 구현할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와 상기 멤스밸브(20)는 각각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송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의 공급포트(18a)로부터 상기 스풀밸브(16)로 파일럿압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스풀밸브(16)의 공급포트(16a)를 경유하여 냉각 및 윤활부로 공급되어 유압 시스템의 전체에 대한 냉각과 윤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상기 냉각 및 윤활부로 제공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할 경우에는 상기 릴리프밸브(19)의 작동을 통해 상기 오일팬(50)으로 드레인되므로 유압회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멤스밸브(20)의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멤스밸브(20)로부터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로 공급되는 파일럿압이 차단되므로, 상기 클러치(40)에는 작동유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송출되는 작동유는 전적으로 냉각 및 윤활부에 한정하여 공급됨으로써 유압회로에 대한 원활한 냉각과 윤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0)의 작동을 해제시킬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와 상기 복수의 멤스밸브(20) 중 해당되는 멤스밸브(20)는 각각 온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의 공급포트(18a)로부터 상기 스풀밸브(16)로 제공되는 파일럿압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송출되는 작동유는 더 이상 냉각 및 윤활부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상기 멤스밸브(20)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멤스밸브(20)의 공급포트(20a)로부터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로 파일럿압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송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의 공급포트(22a)를 경유하여 상기 클러치(40)로 공급되어 상시사륜의 구동제어는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40)의 작동시킬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는 온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상기 복수의 멤스밸브(20) 중 해당되는 멤스밸브(20)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의 공급포트(18a)로부터 상기 스풀밸브(16)로 제공되는 파일럿압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송출되는 작동유는 더 이상 냉각 및 윤활부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상기 멤스밸브(2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멤스밸브(20)의 공급포트(20a)로부터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로 제공되는 파일럿압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송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의 드레인포트(22b)를 경유하여 상기 오일팬(50)으로 리턴되고, 이를 통해 상기 클러치(40)는 체결상태로 전환되므로 상시사륜의 구동제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 시스템에 대한 냉각과 윤활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유압 작동부의 원활한 동작을 구현하게 되고, 상기 클러치(40)의 작동 제어를 위한 유압 작동부에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를 갖춘 멤스밸브(20)를 적용함으로써 유압회로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축소하고 중량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냉각 및 윤활부로 제공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상기 릴리프밸브(19)의 동작을 매개로 작동유를 상기 오일팬(50)으로 드레인시킬 수 있으므로 유압회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유압회로의 전반에 걸쳐 작동압의 검출을 위한 압력센서(30)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2)의 토출압을 기반으로 펌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냉각 및 윤활부로 제공되는 작동압의 검출을 통해 적정의 냉각과 윤활이 실시되고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클러치(40)로 제공되는 작동압의 검출을 통해 상시사륜 구동제어가 원활하게 수행되고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제어유니트 12-유압펌프
14-밸브바디 16-스풀밸브
18-솔레노이드밸브 19-릴리프밸브
20-멤스밸브 22-일체형 스풀밸브
30-압력센서 32-제1압력센서
34-제2압력센서 36-제3압력센서
40-클러치 50-오일팬

Claims (5)

  1. 유압펌프(12)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매개로 유압회로를 냉각하고 윤활하는 냉각 및 윤활부, 및 상기 유압펌프(12)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매개로 클러치(40)의 작동을 조절하는 유압 작동부를 구비하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및 윤활부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연결되는 스풀밸브(16), 및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스풀밸브(16)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고 온/오프 제어에 따라 상기 스풀밸브(16)에 파일럿압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밸브(18)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작동부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스풀밸브(16) 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고 온/오프 제어되는 멤스밸브(20), 및 상기 멤스밸브(20)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는 클러치(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풀밸브(16)와 연결되어 작동압이 과다할 경우, 상기 스풀밸브(16)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를 오일팬(50)으로 리턴하는 릴리프밸브(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스밸브(20)는 일체형 스풀밸브(22)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는 온/오프 제어되는 상기 멤스밸브(20)로부터 파일럿압을 제공받아 상기 클러치(40)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스풀밸브(22)는 상기 유압펌프(12)와 상기 멤스밸브(20)사이에서 분지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12)의 토출압을 검출하기 위한 제1압력센서(32), 상기 냉각 및 윤활부로 제공되는 작동압을 검출하기 위한 제2압력센서(34), 및 상기 클러치(40)로 제공되는 작동압을 검출하기 위한 제3압력센서(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KR1020160064662A 2016-05-26 2016-05-26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KR10174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662A KR101746476B1 (ko) 2016-05-26 2016-05-26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662A KR101746476B1 (ko) 2016-05-26 2016-05-26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476B1 true KR101746476B1 (ko) 2017-06-14

Family

ID=5921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662A KR101746476B1 (ko) 2016-05-26 2016-05-26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9656A (zh) * 2019-07-12 2019-11-19 王昱生 一种压力改变装置的油液循环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277B2 (ja) 1993-12-27 2001-0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油圧供給装置
JP2006308077A (ja) 2005-03-31 2006-11-09 Honda Motor Co Ltd 油圧回路の制御装置
JP5487313B2 (ja) 2010-08-24 2014-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の液体流路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277B2 (ja) 1993-12-27 2001-0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油圧供給装置
JP2006308077A (ja) 2005-03-31 2006-11-09 Honda Motor Co Ltd 油圧回路の制御装置
JP5487313B2 (ja) 2010-08-24 2014-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の液体流路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9656A (zh) * 2019-07-12 2019-11-19 王昱生 一种压力改变装置的油液循环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908B2 (en) Hydraulic system for providing pressures and volumetric flows in a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300439B1 (ko) 트윈 클러치 변속기용 유압 공급 시스템
CA2664457C (en) System for selectively routing transmission fluid to a torque converter
US7740119B2 (en) Hydraulic control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JP5471231B2 (ja) 車両用オイル供給装置
JP6514522B2 (ja) アンロード弁および油圧ショベルの油圧駆動システム
US20070240776A1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device
US6658842B2 (en) Hydraulic system
KR101857112B1 (ko)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US6453585B1 (en) Hydraulic drive device of working machine
KR101746476B1 (ko) 상시사륜 구동장치의 유압 시스템
KR20180121958A (ko) 유체압 제어 장치
US7258212B2 (en) Oil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019065960A (ja) 車両用伝動装置の油圧制御装置
KR102580339B1 (ko) 안티 캐비테이션 유압 회로
KR101491267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유압 제어 장치
KR20190050701A (ko) 4-위치 주 압력 조절기를 갖는 유압 제어 시스템
JP7189746B2 (ja) 車両
AU2016334652B2 (en) Bulldozer
JP5728181B2 (ja) 油圧クラッチ
JP6397295B2 (ja) 油圧回路装置
JP2011196475A (ja) 油圧回路
JP2005090573A (ja) Hst走行駆動装置
JP3854561B2 (ja) 車両走行用流体圧回路
US6010427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power shift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