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448B1 -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 Google Patents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448B1
KR101746448B1 KR1020150102326A KR20150102326A KR101746448B1 KR 101746448 B1 KR101746448 B1 KR 101746448B1 KR 1020150102326 A KR1020150102326 A KR 1020150102326A KR 20150102326 A KR20150102326 A KR 20150102326A KR 101746448 B1 KR101746448 B1 KR 10174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esent
liquid phase
headlamp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555A (ko
Inventor
정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4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4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763
    • F21S48/13
    • F21S48/14
    • F21W2101/10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헤드램프에 적용되는 실드부가 유동 가능한 액상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원심력을 이용해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를 구현하는 헤드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광원을 포함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전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에는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빛을 차단하는 액상이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DYNAMIC BENDING LIGHT USING LIQUID}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헤드램프에 적용되는 실드부가 내부 공간에 유동 가능한 액상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원심력을 이용해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를 구현하는 헤드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 주행방향의 도로나 사물을 잘 인지하고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조명장치(또는 등화장치)가 구비된다.
그 중 전조등이라고도 불리는 헤드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 약 100m 거리에 있는 도로와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헤드램프의 규격은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우측통행(좌측운전) 또는 좌측통행(우측운전) 여부에 따라서 헤드램프 빔의 조사 방향이 다르게 설정된다.
특히 이러한 헤드램프에는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북미 'TSP+(Top Safety Pick+)'의 만족을 위해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Dynamic Bending Light: DBL) 기능의 적용이 필요한데,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란 스티어링 휠의 움직임에 따라 헤드램프가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를 위해 스위블링 액츄에이터와 AFLS ECU(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Electronic Control Unit)의 적용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스위블링 액츄에이터와 AFLS ECU는 그 비용이 상당하고, 차지하는 중량도 적지 않아 차량 생산에 있어서 원가와 중량의 상승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스위블링 액츄에이터와 AFLS ECU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지 않고도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를 구현할 수 있는 헤드램프 구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위블링 액츄에이터 및 AFLS ECU를 적용하지 않고도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헤드램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의 구현을 위해 스위블링 액츄에이터와 AFLS ECU 등의 구성을 제거함으로써 차량의 원가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헤드램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을 포함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전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에는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빛을 차단하는 액상이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상은 상기 공간의 30% 내지 80% 사이 범위의 부피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상은 상기 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상은 차량의 좌회전 시 원심력으로 인해 차량 진행 방향의 우측 방향으로 쏠리고, 우회전 시 원심력으로 인해 차량 진행 방향의 좌측 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 헤드램프의 실드부가 그 내부 공간에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액상을 가져 차량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액상이 좌·우로 유동함으로써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위블링 액츄에이터 및 AFLS ECU 대신 유동 가능한 상기 액상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원가와 중량을 상당히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헤드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측면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심력에 의한 액상 이동과 그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헤드램프(10)에 스위블링 액츄에이터 및 AFLS ECU를 적용하지 않고도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원(110)을 포함하는 리플렉터(100) 및 상기 리플렉터의 전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실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공간에는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빛을 차단하는 액상(210)이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해,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헤드램프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측면분해도가 도시된다.
헤드램프(10)란 야간에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해 전방을 조명하는 램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전에는 주로 원형으로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각진 형태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주로 차체의 디자인에 맞춰 상당히 다양한 모양과 구조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볼 때 우측 전방에 장착된 헤드램프(10)를 나타낸 것으로, 실드부(200)에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액상(210)이 채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헤드램프(1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장착된 부위 둘레로 디자인적인 요소인 데코레이션 링(11)이 장착되어 있으나, 헤드램프 자체 및 데코레이션 링의 형태는 다른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레이션 링은 필요에 따라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헤드램프(10)는 스티어링 휠의 움직임에 따라 그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램프가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종래에는 스위블링 액츄에이터와 AFLS ECU가 이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를 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광원(110)이 장착되어 있는 리플렉터(100)와, 상기 리플렉터의 전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액상(210)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실드부(200), 그리고 상기 실드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렌즈(300)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렌즈(300)는 실드부(200)의 바깥 쪽 면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본 도면에서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여기서 상기 실드부(200) 내부 공간에는 광원(110)으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액상(210)이 존재하는데, 상기 액상은 상기 공간의 30% 내지 80% 사이 범위의 부피를 차지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 내에서 차량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액상(210)은 차량의 좌회전 시 원심력으로 인해 차량 진행 방향의 우측 방향으로 쏠리고, 우회전 시 원심력으로 인해 차량 진행 방향의 좌측 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 3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심력에 의한 액상 이동과 그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
도 3의 (a)는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으로의 주행 또는 정지 상태의 액상(210)을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광원(110)으로부터의 빛이 좌·우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상기 액상이 존재하지 않는 정면 방향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b)는 차량의 좌회전 시 액상(210)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액상은 우측 방향으로 쏠리게 되고, 따라서 광원(110)으로부터의 빛이 좌측 방향으로 더 많이 조사됨에 따라 기존 노면 배광 뿐만 아니라 좌측 방향으로 추가적인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c)는 차량의 우회전 시 액상(210) 상태를 나타내는데,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차량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액상은 좌측 방향으로 쏠리게 되고, 결국 광원(110)으로부터의 빛이 우측 방향으로 더 많이 조사된다.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존 노면 배광 뿐만 아니라 우측 방향으로 추가적인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헤드램프(10)의 실드부(200)가 그 내부 공간에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액상(210)을 가짐으로써 차량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액상이 좌·우로 유동하여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의 구현을 위해 종래에 적용되던 스위블링 액츄에이터와 AFLS ECU를 제거함으로써 차량의 원가와 중량을 비약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SWIVEL 액츄에이터, AFLS ECU, HEIGHT 센서(프론트), HEIGHT 센서(리어) 및 SLM을 기존의 구성에서 삭제할 수 있고, L/D와 SI-ECU를 새로운 구성으로 추가하게 됨에 따라 차량 1대당 약 128,300원의 비용이 절감되고, 621g의 중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헤드램프
11: 데코레이션 링
100: 리플렉터
110: 광원
200: 실드부
210: 액상
300: 렌즈

Claims (4)

  1. 광원을 포함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전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실드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에는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빛을 차단하는 액상이 들어있고,
    상기 액상은 상기 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은 상기 공간의 30% 내지 80% 사이 범위의 부피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은 차량의 좌회전 시 원심력으로 인해 차량 진행 방향의 우측 방향으로 쏠리고, 우회전 시 원심력으로 인해 차량 진행 방향의 좌측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KR1020150102326A 2015-07-20 2015-07-20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74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26A KR101746448B1 (ko) 2015-07-20 2015-07-20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26A KR101746448B1 (ko) 2015-07-20 2015-07-20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55A KR20170010555A (ko) 2017-02-01
KR101746448B1 true KR101746448B1 (ko) 2017-06-13

Family

ID=5810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3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6448B1 (ko) 2015-07-20 2015-07-20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4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9709A (ja) 2000-02-18 2001-08-24 Stanley Electric Co Ltd ランプ光照射装置並びに車両用前照灯
JP2011233305A (ja) * 2010-04-26 2011-11-1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2013101815A (ja) 2011-11-08 2013-05-23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9709A (ja) 2000-02-18 2001-08-24 Stanley Electric Co Ltd ランプ光照射装置並びに車両用前照灯
JP2011233305A (ja) * 2010-04-26 2011-11-1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2013101815A (ja) 2011-11-08 2013-05-23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55A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613B2 (ja) 配光可変車両用灯具
US8912722B2 (en) Sub headlight unit and sub headlight system for use in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and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US9527431B2 (en) Vehicle exterior mirror with adaptively activated forward lighting unit
EP2669116B1 (en) Sub headlight unit and sub headlight system for use in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and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ub headlight unit for use in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JP6246810B2 (ja) アダプティブ・ライティング(配光可変照明)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10030835B2 (en) Headlamp control system
US10883692B2 (en) Lamp unit and vehicular headlamp
US875785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headlamp
JP6258906B2 (ja) 車両用車線変更警告灯具
EP2952386A1 (en) A vehicle light control device
RU2674367C2 (ru) Узел фары с осветителями статического отклонения
JP2014162244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6172545A5 (ko)
WO2015170403A1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101628290B1 (ko) 차량용 헤드램프
CN103672666B (zh) 一种车辆照明前照灯
KR101746448B1 (ko) 액상을 이용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JP2015110414A (ja) 夜霧の灯
KR102394952B1 (ko)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JP2014113964A (ja) 灯具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CN105351848A (zh) 一种集成于led汽车透镜内部的转向辅助灯
US20140241000A1 (en) Vehicular Lamp
US20200025349A1 (en) Dynamic bending light module
KR20130088266A (ko) 자동차용 안개등
SE1451036A1 (sv) Cornering ligh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