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827B1 -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 Google Patents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827B1
KR101745827B1 KR1020160059536A KR20160059536A KR101745827B1 KR 101745827 B1 KR101745827 B1 KR 101745827B1 KR 1020160059536 A KR1020160059536 A KR 1020160059536A KR 20160059536 A KR20160059536 A KR 20160059536A KR 101745827 B1 KR101745827 B1 KR 10174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s
shoulder
pai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복
Original Assignee
김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복 filed Critical 김성복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안전 벨트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의 겨드랑이를 지나가는 측면 벨트를 어깨 벨트 및 가슴 벨트와 일체로 제작하거나 혹은 상기 측면 벨트를 어깨 벨트와 가슴 벨트 그리고 후방 벨트와 일체로 제작하여 추락시 작업자의 요추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SAFETY BELT FOR INDUSTRY SIDE BELT}
본 발명은 산업용 안전 벨트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의 겨드랑이를 지나가는 측면 벨트를 어깨 벨트 및 가슴 벨트와 일체로 제작하거나 혹은 상기 측면 벨트를 어깨 벨트와 가슴 벨트 그리고 후방 벨트와 일체로 제작하여 추락시 작업자의 요추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는바, 주로 고처에서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작업자의 경우 추락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 등과 같은 고정 지지대에 안전로프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으로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연결고리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산업용 안전벨트는 허리 고정벨트로만 구성된 것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추락 시 작업자의 요추(腰椎)부분에 집중적으로 충격력이 가해져 요추골절 등의 2차 사고를 유발케 함으로써, 이를 보완하고자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력을 몸 전체로 분산시켜 충격력을 감쇠시키는 구성의 산업용 안전벨트가 개발되었던 것이다.
종래의 산업용 안전 벨트(1)는 도 1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어깨에 접하는 어깨 벨트(A)와 작업자의 가슴에 접하는 가슴 벨트(B) 그리고 작업자의 등에 접하는 후방 벨트(C)로 구성되며, 상기 어깨 벨트(A)와 후방 벨트(C)는 고정판(1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산업용 안전 벨트의 경우 실체 추락 시 작업자의 신체에 산업용 안전 벨트가 밀착되지 못하고 이탈되어 추락 시 안전 벨트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작업자의 요추 부분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산업용 안전 벨트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87083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52505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021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겨드랑이를 지나가는 측면 벨트를 어깨 벨트 및 가슴 벨트와 일체로 제작하거나 혹은 상기 측면 벨트를 어깨 벨트와 가슴 벨트 그리고 후방 벨트와 일체로 제작하여 추락 시 안전 벨트가 신체에 밀착되어 작업자의 요추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산업용 안전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 되고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A) 및 한 쌍의 후방 벨트(C)와, 상기 어깨 벨트(A)의 앞면 사이에 구비되는 가슴 벨트(B)와, 사용자의 등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 벨트(A)와 후방 벨트(C)가 고정되는 고정판(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슴 벨트(B) 양 측단에서는 어깨 벨트(A)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면 벨트(110)가 구비되는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측면 벨트(110)는 사용자의 등 방향에 구비되는 고정판(12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20)은 판체 형상의 고정판 본체(121)와,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일 부분이 개방되어 한 쌍의 어깨 벨트(A)가 합지되어 고정되는 어깨 벨트 관통부(123)와,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다른 부분이 개방되어 후방 벨트(C)가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후방 벨트 관통부(124)와,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또 다른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측면 벨트(110)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측면 벨트 관통부(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벨트(110)는 하나의 가슴 벨트(B)에서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판 본체(121)의 후방으로 배치된 후 하나의 측면 벨트 관통부(122)를 통해 고정판 본체(121)의 전방으로 배치되며, 나머지 측면 벨트 관통부(122)를 통해 고정판 본체(121)의 후방으로 배치된 후 나머지 가슴 벨트(B)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면 벨트 관통부(122)는 측면 벨트(110) 보다 크게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면 벨트(110)는 어깨 벨트(A)와 연결되며 가슴 벨트(B) 일 측에서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후방 벨트(C)와 각각 연결된 후 가슴 벨트(B) 타 측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면 벨트(110)는 2가닥으로 분지되고 그 사이에 상기 후방 벨트(C)가 구비되는 측면 벨트 본체(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 벨트(C)의 양 측단의 측면 벨트 본체(111)는 봉제되어 고정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어깨 벨트(A)와 후방 벨트(C)의 하측에 연결되는 허리 벨트(D)가 구비되고, 상기 허리 벨트(D)에는 한 쌍의 고정 링(14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링(140)에는 그네식 보조 벨트(130)가 구비되며, 상기 그네식 보조 벨트(130)는 사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벨트(131)와 상기 보조 벨트(131)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벨트(131)의 양 측단에는 걸림구(133)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걸림구(133) 중 하나의 걸림구(133)가 나머지 걸림구(133)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 링(14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방 벨트(C)에는 완충재(150)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재(150)는 업소버(AB)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안전 벨트가 작업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 벨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산업용 안전 벨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벨트에 그네식 보조 벨트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그네식 보조 벨트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벨트와 업소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 벨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산업용 안전 벨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산업용 안전 벨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안전 벨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고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A) 및 한 쌍의 후방 벨트(C)와, 상기 어깨 벨트(A)의 앞면 사이에 구비되는 가슴 벨트(B)와, 사용자의 등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 벨트(A)와 후방 벨트(C)가 고정되는 고정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슴 벨트(B) 양 측단에서는 어깨 벨트(A)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면 벨트(11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측면 벨트(110)는 가슴 벨트(B)의 좌우 양 측단에서 출발하며 어깨 벨트(A)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 벨트(110)는 2개로 분기된 측면 벨트 본체(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벨트 본체(111)사이에 어깨 벨트(A)가 삽입되어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벨트(110)가 가슴 벨트(B)와 어깨 벨트(A)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벨트(100)가 작업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벨트(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2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벨트(C)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측면 벨트(110)가 고정판(120)에 고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를 위한 고정판(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의 고정판 본체(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 본체(121)에 어깨 벨트 관통부(123), 측면 벨트 관통부(122) 그리고 후방 벨트 관통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어깨 벨트 관통부(123)는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일 부분(도 1에서 고정판 본체의 상부)이 개방되어 한 쌍의 어깨 벨트(A)가 합지된 후 관통되어 고정된다.
상기 후방 벨트 관통부(124)의 경우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다른 일 부분(도 1에서 하부 양측)에 개방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후방 벨트(C)가 관통되어 고정된다.
상기 측면 벨트 관통부(122) 역시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일 부분(도 1에서 중앙부 양측)에 개방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측면 벨트(120)가 관통된다.
이때, 상기 측면 벨트(110)는 하나의 가슴 벨트(B)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면상 좌측의 가슴 벨트(110)에서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판 본체(121)의 후방(방향1)으로 배치된 후 하나의 측면 벨트 관통부(122)를 통해 고정판 본체(121)의 전방(방향2)으로 배치되며, 나머지 측면 벨트 관통부(122)를 통해 고정판 본체(121)의 후방(방향1)으로 배치된 후 나머지 가슴 벨트(B)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면상 우측의 가슴 벨트에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판(120)과 측면 벨트(110)의 구성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안전 벨트가 작업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벨트 관통부(122)는 측면 벨트(110)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측면 벨트(110)가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보다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 벨트(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벨트(A)와 연결되며 가슴 벨트(B) 일 측에서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후방 벨트(C)와 각각 연결된 후 가슴 벨트(B) 타 측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의 경우 측면 벨트(110)는 고정판(120)에 고정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벨트(C)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 벨트(110)는 2가닥으로 분지되고 그 사이에 상기 후방 벨트(C)가 구비되는 측면 벨트 본체(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 벨트(C)의 양 측단의 측면 벨트 본체(111)는 봉제되어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 벨트(A)와 후방 벨트(C)의 하측에 연결되는 허리 벨트(D)가 구비되고, 상기 허리 벨트(D)에는 한 쌍의 고정 링(14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링(140)에는 그네식 보조 벨트(13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그네식 보조 벨트(130)에 의해 추락 시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그네식 보조 벨트(130)는 사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벨트(131)와 상기 보조 벨트(131)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132)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보조 벨트(131)의 양 측단에는 걸림구(133)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허리 벨트(D)에 구비된 고정 링(140)에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보조 벨트(131)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구(133) 중 하나의 걸림구(133-1, 이하 제1걸림구라고 함)가 나머지 걸림구(133-2, 이하 제2걸림구라고 함)를 관통하여 상기 보조 벨트(131)가 고리 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구(133)는 허리 벨트(D)에 구비된 고정 링(14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그네식 보조 벨트(130)를 허리 벨트(D)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네식 보조 벨트(130)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걸림구(133)와 고정 링(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걸림구(133)와 고정 링(140)이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벨트(C)에는 완충재(150)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재(150)는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벨트가 연결되는 업소버(AB)에 연결되어 추락시 충격은 완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측면 벨트 111 : 벨트 본체
112 : 보호 커버 120 : 고정판
121 : 고정판 본체 122 : 측면 벨트 관통부
123 : 어깨 벨트 관통부 124 : 후방 벨트 관통부
130 : 그네식 보조 벨트 131 : 보조 벨트
132 : 연결 벨트 133 : 걸림구
140 : 고정 링

Claims (7)

  1.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고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A) 및 한 쌍의 후방 벨트(C)와, 상기 어깨 벨트(A)의 앞면 사이에 구비되는 가슴 벨트(B)와, 사용자의 등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 벨트(A)와 후방 벨트(C)가 고정되는 고정판(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슴 벨트(B) 양 측단에서는 어깨 벨트(A)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면 벨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어깨 벨트(A)와 후방 벨트(C)의 하측에 연결되는 허리 벨트(D)가 구비되고,
    상기 허리 벨트(D)에는 한 쌍의 고정 링(14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링(140)에는 그네식 보조 벨트(130)가 구비되며,
    상기 그네식 보조 벨트(130)는 사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벨트(131)와 상기 보조 벨트(131)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벨트(131)의 양 측단에는 걸림구(133)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걸림구(133) 중 하나의 걸림구(133)가 나머지 걸림구(133)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 링(140)에 설치되는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벨트(110)는 사용자의 등 방향에 구비되는 고정판(12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20)은 판체 형상의 고정판 본체(121)와,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일 부분이 개방되어 한 쌍의 어깨 벨트(A)가 합지되어 고정되는 어깨 벨트 관통부(123)와,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다른 부분이 개방되어 후방 벨트(C)가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후방 벨트 관통부(124)와, 상기 고정판 본체(121)의 또 다른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측면 벨트(110)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측면 벨트 관통부(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벨트(110)는 하나의 가슴 벨트(B)에서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판 본체(121)의 후방으로 배치된 후 하나의 측면 벨트 관통부(122)를 통해 고정판 본체(121)의 전방으로 배치되며, 나머지 측면 벨트 관통부(122)를 통해 고정판 본체(121)의 후방으로 배치된 후 나머지 가슴 벨트(B)에 연결되는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벨트 관통부(122)는 측면 벨트(110) 보다 크게 형성된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벨트(110)는 어깨 벨트(A)와 연결되며 가슴 벨트(B) 일 측에서 사용자의 겨드랑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후방 벨트(C)와 각각 연결된 후 가슴 벨트(B) 타 측에 연결되는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벨트(110)는 2가닥으로 분지되고 그 사이에 상기 후방 벨트(C)가 구비되는 측면 벨트 본체(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 벨트(C)의 양 측단의 측면 벨트 본체(111)는 봉제되어 고정된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벨트(C)에는 완충재(150)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재(150)는 업소버(AB)에 연결되는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KR1020160059536A 2016-04-22 2016-05-16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KR101745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06 2016-04-22
KR20160049306 2016-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827B1 true KR101745827B1 (ko) 2017-06-15

Family

ID=5921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36A KR101745827B1 (ko) 2016-04-22 2016-05-16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228A1 (fr) * 2022-02-01 2023-08-04 Zedel Harnais d’encordement à dispositif d’accroch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061Y1 (ko) * 2001-09-04 2001-11-27 정하동 안전조끼가 구비된 그네식 안전벨트
JP2009066259A (ja) 2007-09-14 2009-04-02 Prop:Kk ハーネス型安全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061Y1 (ko) * 2001-09-04 2001-11-27 정하동 안전조끼가 구비된 그네식 안전벨트
JP2009066259A (ja) 2007-09-14 2009-04-02 Prop:Kk ハーネス型安全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228A1 (fr) * 2022-02-01 2023-08-04 Zedel Harnais d’encordement à dispositif d’accroch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5029B2 (en) Fall arrest harness
CN111225719B (zh) 带有枢转髋部连接的保护带
US7131703B1 (en) Portable restraining child safety vest for vehicles
JP2009066259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US20160278454A1 (en) Safety Harness Assembly
KR101745827B1 (ko)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US3043625A (en) Safety belt
EP2724752B1 (en) Fall arrest harness
AU2016225951A1 (en) Seatbelt for pregnant women
KR102196469B1 (ko) 안전 보호구 조끼
KR20200028393A (ko) 안전 하니스 장치
KR101424597B1 (ko) 그네식 안전벨트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KR200426409Y1 (ko) 안전벨트용 구명 로프 어셈블리
KR200461050Y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2018171192A (ja) 安全帯
CN109011254A (zh) 具有侧面带的工业用安全带
JP2022034433A (ja) ハーネス型安全帯用パッド
KR101396599B1 (ko)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KR200446000Y1 (ko)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20190027971A (ko) 자동차용 임산부 안전벨트
KR20200114257A (ko) 안전조끼
KR200423872Y1 (ko) 안전 작업복
CN219071895U (zh) 一种建筑施工安全带
CN214260411U (zh) 一种高空作业安全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