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599B1 -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 Google Patents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599B1
KR101396599B1 KR1020120117493A KR20120117493A KR101396599B1 KR 101396599 B1 KR101396599 B1 KR 101396599B1 KR 1020120117493 A KR1020120117493 A KR 1020120117493A KR 20120117493 A KR20120117493 A KR 20120117493A KR 101396599 B1 KR101396599 B1 KR 101396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pe
casing
fasten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509A (ko
Inventor
최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to KR102012011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5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벨트연결구(11)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플레이트(10); 바닥플레이트(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면에 안전로프(30)의 양단이 인출되는 로프인출홈(22)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CASING FOR SHOCK ABSORBER OF SAFETY BELT}
본 발명은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사고시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각종 안전용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용구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특히 고소작업시 사용되는 안전용구는 작업자의 생명과 직결되므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보조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와 관련된 안전용구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안전밴드를 내장하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도 그 중 하나이다.
종래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은‘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은 전·후면에 로프인출홈(1)이 형성되고, 양측에 제1 결합부재(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개방형의 커버(3); 커버(3)와 대응되며, 외부면에 제1 결합부재(2)와 대응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4)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플레이트(5)로 구성된다.
제2 결합부재(4)는 제1 결합부재(2)를 관통하여 걸림 지지되며, 안전로프(6)는 커버(3)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인출홈(1)을 통해 양단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은 단순히 안전로프(6)를 내장하고 있을 뿐 어디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의 움직임 또는 바람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불규칙하게 유동됨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에 불편함을 줄 뿐 아니라 작업의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어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케이싱이 유동되면서 구조물 등과의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자의 추락시 안전로프(6)와 연결되어 있는 죔줄이 구조물 등에 걸려 케이싱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케이싱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결국,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기능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KR 10-1101854 B1 2011. 12. 2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움직임이나 외부환경 등에 의한 유동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은 바닥플레이트;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면에 안전로프의 양단이 인출되는 로프인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에 벨트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은 바닥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벨트연결구를 통해 안전대의 벨트 부위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작업자의 움직임이나 바람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한 유동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성은 물론이고 작업집중력을 향상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의 유동이 방지되어 외부 구조물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싱이 벨트연결구에 의해 작업자의 벨트에 안정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추락사고시 죔줄이 구조물 등에 간섭될 염려가 전혀 없어 그 기능성 및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바닥플레이트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바닥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바닥플레이트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은 추락사고 발생시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직사각형의 바닥플레이트(10) 및 바닥플레이트(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플레이트(10)는 커버(20)와의 결합을 통해 안전로프(30, 도 8 참조)를 내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닥플레이트(10)는 내구성 및 경량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닥플레이트(10)는 플레이트부(12); 플레이트부(12)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체결부(14); 플레이트체결부(14)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15)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부(12)는 작업자의 허리 라인에 맞도록 그 판면이 만곡진 형상, 즉 활이나 원호 형상을 가짐으로써 벨트(40)에 연결시 작업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저면에는 벨트(40)에의 연결을 위한 벨트연결구(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연결구(11)는 그 단면이‘ㄱ’형상을 가지며, 벨트(40)에의 연결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이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12)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벨트연결구(11)의 개수 및 배치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벨트연결구(11)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2)의 길이방향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는 연결고리(11a); 연결고리(11a)에 관통 삽입되며, 일단에 연결고리(11a)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11b)가 형성되어 있는 벨트지지대(11c)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벨트지지대(11c)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고리(11a) 사이에 위치하는 벨트(4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하며, 걸림부(11b)는 그 단면이‘ㄷ’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고리(11a)에 억지 끼움된다.
플레이트체결부(14)는 플레이트부(12)의 판면에 대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선단에는 걸림턱(13)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체결부(14)는 플레이트부(12)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며, 그 개수 및 배치형태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보강부(15)는 커버(20)에 삽입되어 커버(20)와의 결합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강부(15)는 플레이트부(12)의 양측에 플레이트체결부(14)와 엇갈리게 배치된다.
커버(20)는 바닥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물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로프수용부(21) 및 로프수용부(21)에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체결부(24)로 이루어진다.
로프수용부(21)는 일정의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커버체결부(24)는 로프수용부(21)의 하측 외부면 둘레에 돌출 형성되며, 양측에 바닥플레이트(10)의 플레이트체결부(14)가 체결되는 체결홀(23)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대(24a); 연결대(24a)로부터 하향 절곡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에 안전로프(30, 도 8 참조)의 양단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로프인출홈(22)이 구비되어 있는 노출방지밴드(24b)로 이루어진다.
특히 노출방지밴드(24b)는 바닥플레이트(10)의 플레이트체결부(1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조립 또는 취급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외관을 개선시켜 심미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
한편, 바닥플레이트(10)의 보강부(15)는 로프수용부(21) 및 노출방지밴드(24b) 사이에 삽입되며, 이러한 보강부(15)에 의해 플레이트체결부(14)의 결합상태에 일부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바닥플레이트(10) 및 커버(2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결합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20)의 내부에 안전로프(30)를 양단이 외부에 인출되도록 수용한 상태에서 바닥플레이트(10)의 플레이트체결부(14) 및 커버(20)의 체결홀(2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플레이트체결부(14)가 체결홀(23)에 체결되도록 바닥플레이트(10) 또는 커버(20)에 일정의 외력을 가함으로써 케이싱의 모든 결합과정이 최종적으로 완료된다.
이때, 보강부(15)는 로프수용부(21) 및 커버체결부(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삽입되어, 바닥플레이트(10) 및 커버(20)의 체결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은 바닥플레이트(10) 및 바닥플레이트(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플레이트(10)는 벨트연결구(11)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2); 플레이트부(12)의 길이방향 양단에 돌출 형성되며, 선단에 걸림턱(16)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딩돌기부(1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2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통형의 로프수용부(21); 로프수용부(21)의 하측 외부면에 형성되며, 로프인출홈(22) 및 슬라이딩돌기부(17)가 체결되는 레일홈(23a)이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결부(24)로 이루어진다.
커버체결부(24)의 레일홈(23a) 일단에는 슬라이딩돌기부(17)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2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바닥플레이트(10) 및 커버(20) 결합구조를 제외한 다른 기술적 구성 은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 바닥플레이트 11: 벨트연결구
12: 플레이트부 13: 걸림턱
14: 플레이트체결부 15: 보강부
20: 커버 21: 로프수용부
22: 로프인출홈 23: 체결홀
24: 커버체결부 24a: 연결대
24b: 노출방지밴드

Claims (6)

  1. 안전로프(30)의 양단이 외부에 인출된 상태로 내장되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에 있어서,
    바닥플레이트(10);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전로프(30)의 양단이 인출되는 로프인출홈(22)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10)에 벨트연결구(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0)는 상기 벨트연결구(11)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2);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선단에 걸림턱(13)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체결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20)는 하부개방형의 로프수용부(21); 상기 로프수용부(21)의 하측 외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프인출홈(22)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체결부(14)가 체결되는 체결홀(23)이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결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결부(24)는 상기 로프수용부(21)의 하측 외부면 둘레에 돌출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체결홀(23)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대(24a); 상기 연결대(24a)로부터 하향 절곡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에 상기 로프인출홈(22)이 구비되어 있는 노출방지밴드(2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0)는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양측에 상기 플레이트체결부(14)와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기 로프수용부(21) 및 상기 노출방지밴드(24b) 사이에 삽입되는 플레이트형의 보강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2)는 판면이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연결구(11)는 단면이‘ㄱ’형상을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KR1020120117493A 2012-10-22 2012-10-22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KR101396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93A KR101396599B1 (ko) 2012-10-22 2012-10-22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93A KR101396599B1 (ko) 2012-10-22 2012-10-22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09A KR20140051509A (ko) 2014-05-02
KR101396599B1 true KR101396599B1 (ko) 2014-05-16

Family

ID=5088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493A KR101396599B1 (ko) 2012-10-22 2012-10-22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5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669A1 (en) * 2015-11-02 2017-05-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aled handle with integrated shock absorber
IT202100018293A1 (it) * 2021-07-12 2023-01-12 Oberalp S P A Set da ferr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410A (en) * 1991-05-28 1992-12-29 Db Industries, Inc. Shock absorber safety system for work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223725Y1 (ko) * 2000-12-08 2001-05-15 주식회사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덮개
KR100625004B1 (ko) * 2006-01-19 2006-09-18 주식회사 패션라인 안전벨트가 결합된 안전상의
KR200426409Y1 (ko) * 2006-06-22 2006-09-19 윤영선 안전벨트용 구명 로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410A (en) * 1991-05-28 1992-12-29 Db Industries, Inc. Shock absorber safety system for work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223725Y1 (ko) * 2000-12-08 2001-05-15 주식회사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덮개
KR100625004B1 (ko) * 2006-01-19 2006-09-18 주식회사 패션라인 안전벨트가 결합된 안전상의
KR200426409Y1 (ko) * 2006-06-22 2006-09-19 윤영선 안전벨트용 구명 로프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669A1 (en) * 2015-11-02 2017-05-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aled handle with integrated shock absorber
IT202100018293A1 (it) * 2021-07-12 2023-01-12 Oberalp S P A Set da ferr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09A (ko) 201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9179B (zh) 连接器
US20140060966A1 (en) D-Ring with Rescue Attachment and Lanyard Attachments Integrated
CN107810032B (zh) D形环保持器组件
EP3228361B1 (en) Safety hook
JP2013227084A (ja) 取り外し可能なエラストマー製結束バンド
KR101396599B1 (ko) 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케이싱
US6718601B1 (en) Tie back snap
GB2541458A (en) Fall protection
JP5052471B2 (ja) 安全帯及びその部品セット
EP4102102A1 (en) Landyard for a tool
JP2012075672A (ja) ハーネス型安全帯用の胴ベルトホルダ
AU2006207863B2 (en) Fall notifying apparatus
US11628320B2 (en) Fall arrest connector
WO2014113500A1 (en) Instant control system using a fixed stud latching system
JP5872915B2 (ja) ランヤード保持具
AU2008300969A1 (en) Harness for personal safety
KR20110005916U (ko) 산업용 안전그네 및 충격흡수장치
JP6494993B2 (ja) 安全帯用並列2連巻取り式ランヤードおよびそれに用いる連結金具
ITMI20131543A1 (it) Moschettone con leva a filo per arrampicata
KR101745827B1 (ko) 측면 벨트가 구비된 산업용 안전 벨트
KR101316471B1 (ko) 웨빙가이드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220080285A (ko) 스마트 안전대
CN205360302U (zh) 一种改进的安全带
CN208463098U (zh) 一种安全带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