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806B1 -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 Google Patents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806B1
KR101745806B1 KR1020150188090A KR20150188090A KR101745806B1 KR 101745806 B1 KR101745806 B1 KR 101745806B1 KR 1020150188090 A KR1020150188090 A KR 1020150188090A KR 20150188090 A KR20150188090 A KR 20150188090A KR 101745806 B1 KR101745806 B1 KR 10174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plate
main body
cosmetics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열
정규천
Original Assignee
정규열
정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열, 정규천 filed Critical 정규열
Priority to KR102015018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도가 높은 화장료의 경우에도 화장료를 토출시키는 망판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밀 화장품 용기(100)의 본체(110) 내부에 수납되는 화장료(120)를 가압 토출함에 있어서, 화장료가 수납되는 본체(110)의 상부에 지지틀(132)이 걸림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의 하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토출공(135)이 형성된 망판(134)과, 상기 지지틀 및 망판 사이에 양단부가 수직 경사지게 연결 지지되어 상기 망판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텐션 지지편(136)으로 구성되는 경질소재의 토출 망체(130); 및 상기 망판의 하부 저면에 일 단부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또 타단 부는 본체의 내부 바닥에 접촉되는 상태로 탄성 받침되어 상기 가압 상태의 망판(134)이 신속하게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 받침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COSMETIC PRESSURIZED DISCHARGE STRUCTURE OF AIRTIGHT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점도가 높은 화장료의 경우에도 토출 망체의 망판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한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의 용기 본체에 수납되는 분말 화장료(Powder)나 액상 화장료는 별도의 화장도구, 예컨대 퍼프나 화장 솔을 이용하여 화장한다. 그리고, 화장료가 수납된 용기 본체의 상부로는 화장료의 과다 토출 및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수단으로서, 신축성 소재의 망체나 경질 소재의 화장료 배출판을 장착하고 이를 통해 적당량의 화장료를 토출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망체의 경우에는 망체의 자체 신축성을 통해 눌렀다 놓으면 자체 복귀되어 지고, 또 경질 소재의 화장료 배출판의 경우에는 그 하부로 스프링으로 받침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자체 신축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와의 화학 반응을 통해 신축성이 점차적으로 약화되는 문제가 있고, 또 화장료 배출판의 경우에는 스프링으로 하부가 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 두께 만큼 화장료 배출판이 눌려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장료가 전량 배출되지 못하고 바닥에 남아있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 출원 발명의 출원인은 경질소재의 이루어지고, 망틀과 망판 및 이들 사이에 수평 또는 수직적으로 연결 지지되는 텐션 지지편을 이용하여 망판이 상하 텐션 작용을 하면서 분말 타입의 화장료나 액상 타입의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하는 화장품 배출커버를, 특허출원 제10-2015-0097647호 및 제10-2015-0152914호로 각각 출원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발명은 텐션 지지편을 통해 망판이 상하 이동 되도록 구성된 것이어서 종래 망체나 화장료 배출판을 스프링으로 받침하여 화장료를 토출시키는 구조에 비하여 화장료의 토출 조작이 매우 편리하고 간편하게 되는 구조적인 이점에도 불구하고, 특히 점도가 높은 액상 화장료를 수납하여 토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텐션 지지편의 텐션력만을 가지고는 화장료의 높은 점도에 의해 망판의 복귀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데 다소 한계가 있는 것이다.
1. KR 101481545 B1 2. JP 200229152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 발명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망판의 하부에 별도의 탄성 받침부재를 일체로 구비하여 망판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점도가 높은 액상 화장료의 토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와 더불어 탄성 받침부재의 압축 작용에 따른 화장료의 혼합이 가능하게 되고, 또 화장료가 수납되는 본체의 바닥으로는 탄성 받침부재의 압축 작용에 따른 수용공간에 의해 망판이 본체의 바닥에 닿는 상태로 하강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화장료의 전량 토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는, 화장료가 수납되는 기밀 화장품 용기의 본체 상부에 지지틀이 걸림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의 하부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토출공이 형성된 망판과, 상기 지지틀 및 망판 사이에 양단부가 수직 경사지게 연결되어 상기 망판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텐션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경질소재의 토출 망체; 및 상기 망판의 하부 저면에 일 단부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또 타단 부는 본체의 내부 바닥에 접촉되는 상태로 탄성 받침되어 상기 가압 상태의 망판이 신속하게 복귀되도록 돕기 위한 탄성 받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는 상기 탄성 받침부재의 타단 부가 끼워져 받침되고 동시에 탄성 받침부재의 압축시 탄성 받침부재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 받침부재는 압축 스프링 형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망판의 측면으로는 상하 이동시 본체 내주면과 상호 접촉되는 블레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는 망판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이거나, “⊂”형태, “<”형태,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지는 고무링형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망판의 상면으로는 화장료의 과다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통기성 쿠션패드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판의 하부로 탄성 받침부재가 일체로 구비됨으로 인해 점도가 높은 액상 타입의 화장료를 본체의 내부에 수납하여 토출시키더라도 망판의 복귀동작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 탄성 받침부재의 압축 작용에 따라 화장료가 혼합되는 효과를 제공하여 화장료의 품질을 오래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본체의 바닥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을 통해 탄성 받침부재가 수용 압축됨에 따라 망판의 하강이 본체의 바닥부분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장료의 전량 토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망판의 측면으로 마련되는 블레이드가 화장품 용기의 본체 내벽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하 이동됨에 따라 본체의 내벽에 묻어있는 화장료의 제거가 신속 용이하고, 또 화장료의 토출에 따른 압축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 망체의 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a, 도 4b, 도 4c,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구성 예를 보인 발체 단면도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망판이 점차적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망판의 상부로 통기성 쿠션 패드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는, 화장료(120)가 수납되는 기밀 화장품 용기(100)의 본체(110) 내부 상부에 걸림 설치되는 토출 망체(130)와, 상기 토출 망체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기밀 화장품 용기의 본체(110) 내부 바닥과의 사이에 탄성 받침되는 탄성 받침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가압 토출 구조에 따르면, 기밀 화장품 용기(100)의 본체(110) 내부에 수납되는 화장료(120)는, 분말 타입(Powder type) 화장료나, 일정한 점도를 갖는 액상 타입(lqiquid type) 화장료가 매우 바람직하나, 함침 타입의 화장료를 수납하여 토출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토출 망체(130)는, 본체(110)의 상부에 걸림 장착되는 지지틀(132)과, 상기 지지틀의 하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토출공(135)이 형성된 망판(134)과, 상기 지지틀 및 망판 사이에 양단부가 수직 경사지게 연결되어 상기 망판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텐션 지지편(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출 망체(130)는 경질소재, 예컨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토출 망체(130)는 그 용도와 기능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한 제작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스테인리스재의 금속판으로도 제작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질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토출 망체(130)의 망판(134)은 어느 부분을 터치하더라도 전체적으로 가압되어 지게 됨에 따라 화장료의 고른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망판은 종래 실리콘 재질의 신축성 망사와는 달리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화장료와의 접촉에 따른 변형이나 성질 변화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화장료의 안정된 토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망판(134)에 형성되는 토출공(135)은 화장료의 종류나 성상(性狀)에 따라 다양한 형태, 크기,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틀(132)에 대하여 망판(134)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이들 사이를 서로 연결 지지하는 텐션 지지편(136)은 망판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 조작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 및 길이로 하나 이상의 수로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망판은 텐션 지지편의 길이에 따라 상하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것으로서, 이는 사전에 본체(110)의 화장료 수납 공간의 깊이를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계되어 진다.
상기 망판(134)의 하부로 형성되는 탄성 받침부재(140)는 일 단부가 상기 망판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타단 부가 스프링 형태로 감아지도록 형성되어 지고. 망판(134)과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한번에 사출성형 됨에 따라 제조 생산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 받침부재(140)를 분리형으로 형성하고, 그 일단 부를 망판(134)의 하면에 구멍을 형성한 후 일체로 끼워 고정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조립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탄성 받침부재(140)는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닌 직사각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하여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횟수는 그만큼 많아지는 대신 압축 부피는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하여 망판의 받침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형태로 감겨지는 탄성 받침부재(140)는 압축 스프링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밀 화장품 용기(100)의 본체(110) 내부 바닥으로는 탄성 받침부재(140)의 압축 작용시, 탄성 받침부재(140)가 모두 수용되는 수용공간(112)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질 수 있고 이러한 수용공간을 통해 망판(134)의 가압 작용시, 동시에 압축되는 탄성 받침부재(140) 수용이 가능해 지고 동시에 망판의 하면이 도 6과 같이 본체(110)의 바닥면과 맞닿는 상태로 됨에 따라 화장품의 잔류량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출 망체(130)를 구성하는 망판(134)의 측면으로는 상하 이동시 본체(120)의 내주면과 상호 접촉되는 블레이드(138)가 더 구비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다양한 구성 실시 예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블레이드(138)는 도 4a 내지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망판(134)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138a), “⊂”형태(138b), 또는 “<”형태(138c),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지는 고무 링(138d)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블레이드(138) 구성을 통해 망판(134)의 가압 작용시, 기밀 화장품 용기(100)의 본체(110) 내벽에 묻어있는 화장료가 하부로 쓸려 내려가게 되어 내벽에 잔류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보다 원활한 화장료의 압축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망판(134)의 상면으로는, 도 7과 같이 화장료(120)의 과다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통기성 쿠션패드(150)가 더 구비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통기성 쿠션 패드(150)는 화장료의 흡수 통과가 가능한 스펀지 등 다양한 통기성 소재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망판(134)의 상면에 통기성 쿠션 패드(150)를 더 구비함으로 인해 망판의 토출공(135)을 통해 토출되는 화장료는 일차적으로 흡수되는 과정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짐에 따라 과다 배출이 억제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 114는 본체(110)에 대하여 기밀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는 뚜껑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본체(110)에 수납된 화장료(120)는, 본체에 대하여 뚜껑(114)을 닫으면 기밀상태로 유지 보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장료(120)를 이용하여 화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10)로부터 뚜껑(114)을 개방한 다음 화장도구, 예컨대 퍼프나 화장솔을 이용하여 망판(134)을 누러거나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가압하여 준다, 그러면 망판은 경질 소재의 특성상 지지틀(132)과의 사이에 연결된 텐션 지지편(136)을 수직 하부로 신장시키면서 균등하게 눌려지게 되고 동시에 그 하부에 배치된 탄성 받침부재(140) 역시 압축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망판(134)의 가압 작용, 즉 망판이 하강 이동하는 것에 따라 본체(110) 내부에 수납된 화장료(120)는 강제로 압착 작용을 받으면서 망판(134)에 형성된 토출공(135)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지면서 화장도구(160)에 묻어지게 되고, 화장도구에 묻은 화장료를 이용하여 화장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망판(134)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예컨대 화장도구를 토출 망판으로부터 이격시키면 망판(130)은 텐션 지지(136)의 탄성 복원력 및 탄성 받침부재(140)의 인장력을 통해 신속하게 상승 복귀된다. 그리고 망판의 상승 복귀와 동시에 화장료의 토출 동작 또한 멈추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망판(134)이 텐션 지지편(136)과 아울러 탄성 받침부재(140)를 통해 신속하게 상승 이동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점도가 높은 화장료의 수납 사용도 얼마든지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화장료의 사용 폭 또한 그만큼 확대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10)에 수납되는 화장료가 분말 타입(Powder type)이거나, 액상 타입(liquid type)인 경우에는 탄성 받침부재(140)의 탄성 작용시 서로 접촉하면서 혼합되어 짐에 따라 화장료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분말 타입(Powder type) 의 화장료는 서로 혼합되는 과정에서 굳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또 액상 타입(liquid type)의 경우에는 유수 분리가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화장료의 원래 품질을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장료(120)의 소모로 인해 망판(134)이, 도 6과 같이 본체(110)의 바닥 부분까지 가압 이동하는 경우에도, 탄성 받침부재(140)가 본체의 바닥으로 형성된 수용공간(112)에 수용되는 상태로 압축되어 지고, 또 망판의 하면이 본체(110)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상태까지 가압됨에 따라 화장료를 남김없이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망판(130)으로는 블레이드(138)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하 이동 작용시 본체(110)의 내벽에 묻어 있는 화장료 역시 강제로 밀어 내려지기 때문에 화장료의 전량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기밀 화장품 용기 110: 본체
112: 수용공간 120: 화장료
130: 토출 망체 132: 지지틀
134: 망판 135: 토출공
136: 텐션 지지편 138: 블레이드
140: 탄성 받침부재 150: 통기성 쿠션 패드

Claims (6)

  1. 기밀 화장품 용기(100)의 본체(110) 내부에 수납되는 화장료(120)를 가압 토출함에 있어서,
    화장료가 수납되는 본체(110)의 상부에 지지틀(132)이 걸림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의 하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토출공(135)이 형성된 망판(134)과, 상기 지지틀 및 망판 사이에 양단부가 수직 경사지게 연결 지지되어 상기 망판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텐션 지지편(136)으로 구성되는 경질소재의 토출 망체(130); 및
    상기 망판의 하부 저면에 일 단부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또 타단 부는 본체의 내부 바닥에 접촉되는 상태로 탄성 받침되어 가압 상태의 망판(134)이 신속하게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 받침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바닥으로는 상기 탄성 받침부재(140)의 타단 부가 끼워져 받침되고 동시에 탄성 받침부재의 압축시 탄성 받침부재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공간(112)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받침부재(140)는 압축 스프링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판(134)의 측면으로는 상하 이동시 본체(110) 내벽과 상호 접촉되는 블레이드(138)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38)는 망판(134)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이거나, “⊂”형태, “<”형태,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지는 고무링 형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망판(134)의 상면으로는 화장료(120)의 과다 배출을 흡수 억제하기 위한 통기성 쿠션 패드(150)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KR1020150188090A 2015-12-29 2015-12-29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KR10174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090A KR101745806B1 (ko) 2015-12-29 2015-12-29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090A KR101745806B1 (ko) 2015-12-29 2015-12-29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806B1 true KR101745806B1 (ko) 2017-06-20

Family

ID=5928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090A KR101745806B1 (ko) 2015-12-29 2015-12-29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8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988B2 (ja) 1997-06-06 2007-06-06 株式会社コーセー 粉末化粧料用容器
WO2011068369A2 (ko) 2009-12-02 2011-06-09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파우더 용기
JP4707252B2 (ja) 2001-04-12 2011-06-22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網付きパウダーコンパクト容器
JP2011212320A (ja) 2010-03-31 2011-10-27 Naris Cosmetics Co Ltd 化粧料容器
KR101581847B1 (ko) 2015-07-09 2015-12-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988B2 (ja) 1997-06-06 2007-06-06 株式会社コーセー 粉末化粧料用容器
JP4707252B2 (ja) 2001-04-12 2011-06-22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網付きパウダーコンパクト容器
WO2011068369A2 (ko) 2009-12-02 2011-06-09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파우더 용기
JP2011212320A (ja) 2010-03-31 2011-10-27 Naris Cosmetics Co Ltd 化粧料容器
KR101581847B1 (ko) 2015-07-09 2015-12-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198B2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KR101527694B1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KR101715549B1 (ko) 화장품
KR101584402B1 (ko) 화장품 용기
KR20160108745A (ko) 탄성체 및 이중망을 구비한 에어 푸시 바운스 화장품 용기
KR101619128B1 (ko) 화장품 용기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101631416B1 (ko) 화장품 용기
JPH07289353A (ja) 粉末状メイクアップ化粧品等の物質の収容ユニット
US20170238671A1 (en) Device comprising a screen comprising a celluar material
JP2011212320A (ja) 化粧料容器
KR101745806B1 (ko)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KR20160116388A (ko)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101404766B1 (ko) 화장품 캡슐용기
KR200459833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170077338A (ko) 기밀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KR102124572B1 (ko)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60085060A (ko)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36002B1 (ko)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KR20170050871A (ko) 화장품 리필용기용 배출커버
KR20130005050U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102324949B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JP5947124B2 (ja) 化粧料容器
KR20160031701A (ko) 스크린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631415B1 (ko) 다공성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