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519B1 - 뼈의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 - Google Patents

뼈의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519B1
KR101745519B1 KR1020127009019A KR20127009019A KR101745519B1 KR 101745519 B1 KR101745519 B1 KR 101745519B1 KR 1020127009019 A KR1020127009019 A KR 1020127009019A KR 20127009019 A KR20127009019 A KR 20127009019A KR 101745519 B1 KR101745519 B1 KR 10174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thread forming
implant
bone
form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581A (ko
Inventor
라르스 외르네우스
헨릭 페터손
Original Assignee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filed Critical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7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t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임플란트 및 나사산 형성 공구의 결합체가 개시된다. 나사산 형성 공구가 뼈 내에 나사산을 절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가지는 나선형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 형성부를 가진다. 임플란트는 뼈의 나사산 내에 적어도 부분적인 위치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나사산을 가지는 뼈의 침착면을 포함한다.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의 적어도 부분의 세로축 단면 모양은 임플란트의 나선형 나사산의 적어도 부분의 세로축 단면 모양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Description

뼈의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COMPONENTS FOR THREADING OF BON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수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특히, 본 발명은 임플란트 및 나사산 형성 공구(thread forming tool)의 결합체(combination)에 관한 것이다. 구성요소들은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드릴 및 임플란트 유도 수술에 대한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하한의 임상 적용들에서, 턱뼈 내의 배치와 같이, 임플란트가 배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임플란트 주변의 뼈의 밀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임플란트의 측면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 모두에서, 임플란트가 이의 예상되는 궤적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만약 뼈가 임플란트의 중앙 종축(central longitudinal axis)의 한쪽 면 상에서 더 밀도가 높다면, 비교적 연한(softer) 뼈 쪽으로 빗나가게 될 것이고, 결국 계획된 위치와는 상이한 비-최적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만약 이런 일이 유도 수술(guided surgery) 중에 일어난다면, 수술용 템플릿의 가이드 슬리브에 의해 유도되는 임플란트 마운트(mount)가 가이드 슬리브 내에 끼이게 될 수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임플란트 유형들은 근첨 단부(apical end)보다 치관측 단부(coronal end)에서 더 폭 넓다. 근첨 단부에서 치관측 단부까지의 폭의 증가는 2가지 유형, a) 더 넓은 치관측 플랫폼(platform)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임플란트, 또는 b) 임플란트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 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형(tapered) 임플란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스테퍼형 임플란트들은 때때로 궤적의 예상되는 경로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상기에 흔히 뼈-응축(bone-condensing) 임플란트들(유형 b)에 있어서 사실이며, 여기서 임플란트들의 직경은 뼈 내에 형성된 리세스보다 점진적으로 더 크다. 이러한 벼/응축 임플란트들에 대하여, 임플란트의 특정한 측면적 단면부에서 뼈의 상대적으로 균일한 응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응축의 정도(lever)도 뼈의 특질, 즉 연골 또는 경골인 특질을 따르며, 이는 배치될 때에 임플란트의 길이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배치를 위한 구성요소들의 개선된 결합체가 유리할 것이며, 특히 개선된 정확성, 증가된 유연성, 비용-효율성, 및/또는 환자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본원 청구항들에 따라서 임플란트의 배치를 위한 구성요소들의 결합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에-정의된, 단독적으로 또는 여하한의 결합체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의 하나 이상의 결함, 손상 또는 문제점들을 경감,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을 추구한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에 따라서, 결합체는 나사산 형성 공구 및 임플란트를 포함한다. 나사산 형성 공구는 뼈 내에 나사산을 절단(cutting)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단면(cutting surface)에서 나선형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산 형성부(thread forming section)를 가진다. 임플란트는 뼈 내의 나사산에 적어도 부분적인 위치에 대한 하나 이상의 나선형 나사산을 가지는 뼈의 침착면(bone apposition surface)을 포함한다.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의 적어도 일부분(portion)의 세로축 단면 모양은 실질적으로 임플란트의 나선형 나사산의 적어도 일부분의 세로축 단면 모양과 대응한다.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의 상기 단면 모양의 치수는 실질적으로 임플란트의 나선형 나사산의 상기 단면 모양의 치수와 대응하도록 대응시킬 수 있다.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의 상기 단면 모양의 치수는 임플란트의 나선형 나사산의 상기 단면 모양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나사산 형성부의 치수는 나사산 형성 공구의 중앙 종축(central longitudinal axis)에서부터 이의 나사산의 마루(tip)의 외부면까지의 반경일 수 있다.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치수는 임플란트의 중앙 종축에서부터 이의 나사산의 마루의 외부면까지의 반경일 수 있다.
나사산 형성부의 치수는 나사산 형성 공구의 중앙 종축에서부터 이의 나사산의 골(root)의 외부면까지의 반경일 수 있다.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치수는 임플란트의 중앙 종축에서부터 이의 나사산의 골의 외부면까지의 반경일 수 있다.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의 피치(pitch)는 실질적으로 임플란트의 나선형 나사산의 피치와 동일할 수 있다.
나사산 형성부는 외견상으로 이의 근첨 단부(apical end)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coronal end)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의 근첨 부분(apical portion)은 외견상으로 이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질 수 있다.
뼈 조직 침착면(bone tissue apposition surface)의 적어도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뼈의 침착면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클 수 있으며,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치관측 부분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뼈 조직 침착면의 치관측 부분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치관측 부분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결합체는 수술용 템플릿(template)을 위한 가이드 슬리브(guide sleeve), 드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는 나사산 형성 공구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면(guide surface)을 가진다. 드릴은 근첨부 및 치관측부 상에 하나 이상의 절단날(cutting edge)을 가진다. 나사산 형성 공구는 가이드 슬리브의 가이드면에 의한 유도를 위하여 가이드부(guide section)를 가진다. 또한, 나사산 형성부는 근첨 부분 및 치관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은 드릴의 절단날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의 위치는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단부에서부터의 오프셋(offset)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위치는 가이드부(guide section)의 근첨 단부로부터의 첫번째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나사산 형성 공구가 가이드 슬리브 내로 삽입될 때에, 첫번째 거리는 상기 위치에서 가이드면의 치관측 단부까지의 두번째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오프셋은 1 mm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mm이상, 예를 들어 2 내지 3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단부는 드릴의 근첨부(apical section)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이는 드릴의 치관측부(coronal section)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두번째 측면에 따라서, 뼈 내의 나사절삭된(threaded) 리세스 내에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방법은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모양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는 리세스 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나사절삭된 리세스 내에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형태들은 독립항들에서 정의되며, 여기서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에 관한 특징들은 첫번째 측면에서 필요한 부분만 약간 수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뼈 내의 임플란트의 위치의 개선된 정확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임플란트가 배치될 때에 임플란트로부터 하중의 상대적으로 균일한 분배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는 예상되는 궤적으로 임플란트의 배치, 즉 예상되는 궤적에서 벗어나지 않는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임프란트는 뼈의 리세스 내로 좀 더 정확하게 중심에 위치시키고, 이에 의해서 임플란트의 나사산들의 외주의 둘레에 있는 뼈의 좀 더 균일한 응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임플란트의 계획된 위치 및/또는 예상된 위치와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각도적(angular) 이탈, 수직적 이탈, 중심에서의 이탈(centering deviation), 및/또한 측면적 이탈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유도된 임플란트 수술 및/또는 경골 적용들에서, 외견상으로 임플란트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쪽으로 가늘어지는 임플란트들과 같은, 뼈-응축(bone-condensing)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포함"이라는 용어는 명기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기 위하여 취해지나, 하나 이상의 여타의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구성요소들 및 이의 그룹들의 추가 또는 존재를 제외하는 것이 아님을 중시해야 한다.
본 발명이 수용할 수 있는 여하한의 실시형태에서의 이러한 및 여타 측면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본원 발명의 하기에 설명되는 실시형태들, 첨부한 도면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참조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며,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1d는 나사산 형성 공구, 가이드 슬리브, 및 드릴을 사용해 뼈 내에 형성되는 리세스의 단면도;
도 2a 내지 2c는 배치 순서의 다양한 단계들에서 뼈 내의 리세스로 배치하기 위한 임플란트에 부착된 임플란트 마운트의 부분적인 단면도;
도 3a 내지 3b는 임플란트 및 나사산 형성 공구의 다양한 크기들에 대한 겹쳐진(overlaid) 단면도;
도 4a 내지 4c는 드릴들의 측면도;
도 4d는 나사산 형성 공구의 배경도; 및
도 5a 내지 5c는 임플란트 및 나사산 형성 공구의 겹쳐진 단면도이다.
목하,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적용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set forth) 실시형태들로 제한하는 것으로 파악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이러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를 완전하고 완벽하게 하며,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첨부한 도면들을 설명하는 실시형태들의 자세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들에서, 같은 숫자들은 같은 요소들을 지칭한다.
하기의 설명은 턱뼈 내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설치하는데 적용가능한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적용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두개골 등의 뼈 내에 어느 곳에나 구강 및 두개골-구강악안면(cranio-maxillofacial) 임플란트 배치와 같이, 여타의 많은 순서들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드릴 및 임플란트 유도 계획 및 치료 구상의 일부로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배치될 때 적어도 초기에 뼈 내에 수동적인 임플란트의 삽입을 제공한다. 수동적인 나사절삭이란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임플란트가 뼈의 응축 없이 여하한의 깊이로, 손에 의해서와 같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임플란트는 뼈와 접촉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응축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임플란트와 뼈 사이의 수동적인 맞춤(fit)이 제공된다. 이는 예상되는 궤적을 좀 더 접근하여 따르는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임플란트가 배치될 때에 좀 더 균일한 압축 상태(compression)가 얻어질 수 있으며, 이는 이 자체가 예상된 궤적을 따르는 임플란트에 기여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을 도시하며, 여기서 임플란트(101)와 나사산 형성 공구(107)의 세로축 단면/부분도들이 겹쳐진다. 나사산 형성 공구(107)는 뼈(102) 내에 나사산을 절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가지는 나선형 나사산(130)을 갖는 나사산 형성부(112)를 포함한다. 임플란트(101)는 뼈(102)의 나사산 내의 적어도 부분적인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나선형 나사산(131)을 가지는 뼈의 침착면(123)을 포함한다. 적어도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130)의 위치에서의 세로축 단면-부분적 모양은 적어도 임플란트(101)의 나선형 나사산(131)의 위치에서의 세로축 단면-부분적 모양과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이는 임플란트가 삽입될 때에 임플란트(101)에서 뼈(102)까지의 하중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배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임플란트(101)가 뼈(102) 내에 배치될 때에 궤적의 좀 더 예상가능한 진로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와 나사산 형성부(112)의 나선형 나사산(130, 131)의 각각의 세로축 단면-부분적 모양은 나사산의 골, 나사산의 마루, 및 나사산의 골 사이에서 나사산의 마루까지 연장되는 나사산 빗면(flank)을 포함하는 나사산 형상(thread profile)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나사산(130, 131)들의 마루는 평탄면(flat face)을 포함한다. 평탄면은 나사산(130, 131)의 축 방향에서 너비가 다양할 수 있다. 더욱이, 나사산(130, 131)의 골은 너비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평탄면(flat surface)을 형성할 수 있다. 나사산의 골의 모양은 나사산의 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할 수 있다. 나사산의 각각의 마루, 골 및/또는 빗면은 골유착(osseointegration)의 촉진에 대한 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나사산 형성부(112)의 나선형 나사산(130)의 단면 모양의 치수는 임플란트(101)의 나선형 나사산(131)의 단면 모양의 치수와 대응하도록 실질적으로 대응시킨다. 여타의 실시형태들에서, 나사산 형성부(112)의 나선형 나사산(130)의 단면 모양의 치수는 임플란트(101)의 나선형 나사산(131)의 단면 모양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작다. 치수가 작으면 작을수록, 뼈의 응축이 더 많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경골(harder bone)에 적용되는 치수들의 차이는 연골(softer bone)에 적용되는 것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내지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절한 최종 위치인 위치에 정렬될 때에, 임플란트(101) 및 나사산 형성부(112)의 치수가 측정된다. 이후에, 임플란트(101)의 치관측 단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 임플란트(101) 및 나사절삭된 부분(threaded section)[112]의 측단면(lateral cross section)에서 치수가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절삭된 부분(112)이 임플란트(101)와 수직적으로 정렬되고, 나사산(130, 131)이 순환적으로 정렬될 때, 즉 나사산들이 일률적으로 겹쳐질 때에, 치수들이 측정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나사산 형성부(112)의 수치는 나사산 형성 공구(107)의 중앙 종축에서 나사산 형성부(112)의 나사산(130)의 마루(132)의 외부면까지의 반경(r1)이다(도 5b). 임플란트(101)의 나사산(131)의 대응하는 치수는 r1을 측정하는 것처럼, 임플란트의 중앙 종축에서부터, 임플란트(101)의 치관측 단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취해진 측단면에 대하여 이의 나사산(131)의 마루(133)의 외부면까지의 반경(r2)이다(도 5c).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나사산 형성부(112)의 치수는 나사산 형성 공구(107)의 중앙 종축에서부터 이의 나사산의 골(134)의 외부면까지의 반경(r3)이다. 임플란트(101)의 나사산(131)의 대응하는 치수는 임플란트(101)의 중앙 종축에서부터 이의 나사산의 골(135)의 외부면까지의 직경(r4)이다(도 5c). 골의 치수들은 상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마루(132, 133)들의 치수처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나사산 형성부(112)의 나선형 나사산(130)의 피치는 임플란트(101)의 나선형 나사산(131)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피치는 나사산을 세로축 단면에서 바라볼 때에 나사산의 봉우리(crest)에서부터 다음의 봉우리까지의 거리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 각각의 나사절삭된 부분(112) 및 임플란트(101)의 나사산(130, 131)들은 단일 또는 다중 리드 나사산들일 수 있다.
도 5a의 실시형태에서, 나사산 형성부(112)는 외견상으로 이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진다. 유사하게, 임플란트(101)의 나사절삭된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portion)와 같이, 임플란트(101)의 근첨 부분은 외견상으로 이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진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나사산(131)의 마루(133) 및 골(135) 모두 또는 둘 중 하나는 임플란트(101)의 중앙 종축에 비례하여 가늘어진다. 대안적으로, 마루(133)의 적어도 일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임플란트(101)의 나선형 나사산의 축 방향에 있어서 나사산(131)의 골(135)의 적어도 일부분은 임플란트(101)의 중앙 종축에 비례하여 가늘어진다. 도 5a에서, 나사산(131)의 봉우리 또는 마루(133)의 점감(taper)의 수준은 임플란트(101)의 세로축에 따라서 나사산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다수의 마루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136a, 136b)들에 의해 나타낸다. 또한, 나사산(131)의 골(135)의 점감의 수준은 임플란트(101)의 세로축에 따라서 나사산(131)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다수의 골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137a, 137b)들에 의해 나타낸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근첨 단부와 비교하여 임플란트(101)의 치관측 단부에서의 점감의 수준은 마루(133) 및 골(135) 모두에 대하여 덜하다. 또한, 각각의 골 부분은 다수의 추후의 골 부분들의 일반적인 점감보다 더 가늘어 질 수 있다. 이는 개선된 뼈-응축 성질들을 제공하고, 이는 WO 2004103202 및 WO 2008128757에 더 자세하게 설명되며, 본 명세서에서 모든 논쟁점들에 대하여 이의 전문이 참고문헌을 인용참조된다. 나사산 형성부(112)의 나사산(131)은 임플란트(101)의 나사산(131)처럼 동일하게 일반적인 점감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뼈 조직 침착면(123)의 적어도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107)의 나사산 형성부(112)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다. 이는 뼈의 응축이 시작되기 전에 임플란트를 여하한의 길이 이상으로의 수동적인 나사절삭을 제공한다. 수동적인 나사절삭은 하기에 논의되는 오프셋(O)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뼈의 침착면(123)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고,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치관측 부분보다 더 작다. 이는 임플란트를 뼈의 리세스 내로의 수동적인 초기 나사절삭, 및 임플란트(101)의 적어도 근첨 부분에서의 뼈의 응축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서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좀 더 조절된 궤적뿐만 아니라 개선된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뼈 조직 침착면의 치관측 부분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치관측 부분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다. 이는 임플란트(101)의 적어도 치관측 부분에서 뼈의 응축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서 좀 더 조절된 궤적뿐만 아니라 개선된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유도 수술에 대한 순서에 있어서의 뼈 내에 나사절삭(threading)을 제공하는 순서를 도시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실시형태들은 상기에 설명되는 실시형태들과 결합될 수 있다. 나사절삭은 단일 또는 다중 리드 나사산(lead thread)을 가지는 임플란트와 같이, 설치되는 임플란트(1)의 유형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나사산(3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는 예시에서, 뼈(2)는 턱 뼈이다.
가이드 슬리브(5)는 별개의 또는 통합된 구성요소로서 수술용 템플릿(6)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5)는 수술용 템플릿(6)의 내로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분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가이드 슬리브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술용 템플릿(6)에 고정되는 금속의 원통형 슬리브이다. 여타 실시형태들에서, 가이드 슬리브(5)는 분리할 수 있고, 수술용 템플릿(6) 내에 형성된 리세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5)는 가이드면(10) 및 기준면(reference surface)[11]을 가진다. 가이드면은 드릴(4a, 4b, 4c) 및/또는 나사산 형성 공구(7)에 대한 유도를 제공한다. 본 맥락에서의 유도(Guiding)는 각도적 방향, 수직적 방향, 측면적 방향, 및/또는 중심적 방향과 같이, 유도되는 공구의 궤적을 조절하는 것이다. 기준면(11)은 조절되는 하나 이상의 깊이들 또는 수직적 방향들에서부터의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슬리브(5)의 치관측 단부면이 기준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기준면(11)은 임플란트의 계획된 위치에 관하여 고정된 관계(fixed relationship)를 가진다. 따라서, 임플란트(1)의 유형 및 길이를 인지함으로써, 리세스(3)의 깊이가 계산될 수 있고, 올바른 깊이로 뚫어지며, 나사산(3a)이 적절한 깊이에 제공된다. 공구의 여하한의 깊이는 시각적 표지(visual marking)들 또는 기계적 표지들과 같이, 공구상에 표지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지는 공구의 마루(tip)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원주형 밴드(circumferential band)이다. 예를 들어, 기계적 표지는 기준면(11)에 대향하여 지대주(abutment)를 위하여 제공되는 정지 플랜지(stop flange)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 슬리브(5) 및 수술용 템플릿(6)의 디자인은 노벨가이드TM 플래닝(NobelGuideTM planning)으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치료 개념은 상기에 언급되었다.
나사산 형성 공구(7)는 뼈 내에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 형성부(12)를 가진다. 또한, 나사산 형성 공구(7)는 가이드 슬리브(5)의 가이드면(10)에 의한 유도를 위하여 가이드부(8)를 포함한다. 나사산 형성부(12)는 근첨 부분(13), 및 치관측 부분(14)를 포함한다. 근첨 부분(13)과 치관측 부분(14)의 정확한 경계는 전체의 나사산 형성부(12)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설치되는 임플란트의 유형 및/또는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부분(13)의 최대 직경은 드릴(4a, 4b, 4c)의 절단날(15a, 15b, 15c)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다. 리세스(3)를 뚫을 경우, 리세스(3)의 최대 직경은 드릴(4a, 4b, 4c)의 절단날(15a, 15b, 15c)의 최대 직경과 대응할 것이다. 따라서,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부분(13)의 최대 직경은 드릴(4a, 4b, 4c)의 절단날(15a, 15b, 15c)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기 때문에,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부분은 뼈(2)의 응축 없이 리세스(3) 내부에 받아들여질 것이다. 받아들여지는 근첨 부분(13)의 길이를 어느 정도로 하는가는 근첨 부분(13) 및 리세스(3)의 정확한 배열에 따라 결정된다. 여하한 거리를 가진 후에, 나사산 형성부(12)가 리세스(3)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므로 나사산 형성부(12)가 뼈에 접촉하기 시작하며, 이로써 뼈(2) 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3a)이 형성되기 전에 리세스(3) 내에 나사산 형성부(12)가 들어옴으로써, 나사산 형성부(12)의, 중심적 조절, 측면적 조절, 수직적 조절 및/또는 각도적 조절과 같은 위치 조절이 제공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리세스(3)는 복수의 테이퍼형 부분들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 부분들과 보조를 맞추게 된다. 여타의 실시형태들에서, 리세스(3)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 테이퍼형, 또는 이의 결합이며, 이는 대응되는 모양의 드릴(4a, 4b, 4c) 또는 복수의 드릴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부분(13)의 최대 직경의 포지션(16)이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단부의 최하부(apical end)[17]로부터 오프셋(O)에 위치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또한, 포지션(16)은 가이드부(8)의 근첨 단부의 최상부(apical end)[18]로부터 제 1 거리(d1)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거리(d1)는 실질적으로 제 2 거리(d2)와 동일하고, 이는 나사산 형성 공구(7)가 가이드 슬리브(5) 내로 삽입될 때에 포지션(16)에서부터 가이드면(10)의 치관측 단부(19)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이드면(10)의 치관측 단부(19)는 기준면(11)과 같은 높이로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나사산 형성부(threaded section)[12]가 뼈와 맞물리고 뼈(2) 내에 나사산(3a)을 생성시키기 시작하기 전에, 가이드 슬리브(5)에 의한 가이드부(8)로의 유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나사산(3a)의 개선된 위치의 정확성은 나사산 형성 공구(7)의 개선된 각도적 조절, 수직적 조절, 중심적 조절 및/또는 측면적 조절과 같은 것들, 그리고 이로 인한 뼈(2) 내에 나사산(3a)의 공간에 대한 본질적으로 개선된 위치의 정확성을 위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오프셋(O)은 1 mm 이상이다. 여타의 실시형태들에서, 오프셋은 2 mm 이상이거나, 심지어 3 mm 이상이다. 오프셋(O)은 2 내지 3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오프셋(O)의 길이는 뼈(2) 내에 제공되는 나사산(3a)의 수치 및 모양 및/또는 설치되는 임플란트의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나사산 형성부(12)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단부의 최하부(17)는 드릴(4a, 4b, 4c)의 근첨부(20a, 20b, 20c)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다. 실질적으로 원통형 드릴 이외의 실시형태에서, 드릴의 근첨부(20a, 20b, 20c)는 층계형(stepped) 드릴 또는 테이퍼형 드릴과 같은, 드릴(4a, 4b, 4c)의 치관측부(21)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는 나사산 형성부(12)의 전체 길이에 따라서 리세스 내에 나사산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여타의 실시형태들에서,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단부의 최하부(17)는 드릴(4a, 4b, 4c)의 근첨부(20a, 20b, 20c)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고, 여기서 나사산 형성 공구(7)의 근첨 단부의 최하부(17)는 이의 최종 길이에 삽입될 때 위치되며, 이는 도 1c에 도시된다. 이는 예를 들어, 나사산 절단 마루(thread cutting tip)가 이의 최고 깊이로 삽입되는 동안 나사산들을 제공하는 나사산 절단 마루를 임플란트(1)가 가진다면, 이것이 삽입될 때에 임플란트의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리세스(3)의 치관측 부분 내에 제공되는 나사산(3a)은 임플란트(1)의 위치를 조절한다.
나사산 형성 공구(7)의 가이드부(8)의 직경은 대략 10 내지 200 ㎛, 예를 들어 30 내지 100 ㎛와 같이, 가이드 슬리브의 가이드면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다. 이는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공구(7)의 궤적의 조절을 제공한다.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부분(13)은 외견상으로 근첨 단부(12)에서 나사산 형성부의 치관측 단부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질 수 있다.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전체 나사산 형성부가 외견상으로 이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쪽으로 가늘어진다. 여기서, 단면도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나사산 형성부(12)의 나사산의 마루(21) 및 골(root)[22] 모두가 가늘어 진다, 즉 나사산이 점진적으로 근첨 단부에서 치관측 단부쪽으로의 직경에 대하여 늘어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점진적인 증가는 방해받을 수 있고, 대신에 마루(21), 골(22) 및/또는 이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 나사산을 가지는 부분(section)이 제공된다.
도 2a 내지 2c는 임플란트(1) 및 임플란트(1)를 위치시키는 순서를 도시한다. 임플란트(1)는 뼈 조직 침착면(23), 즉 임플란트(1)가 이의 최종 위치에 놓이게 될 때에 뼈(2)에 침착되는 면을 가진다. 뼈 조직 침착면(23)의 적어도 근첨 부분(24)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7)의 나사산 형성부(12)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다. 이는 뼈(2) 내에 나사산(3a) 내로 수동적인 임프란트(1)의 나사절삭을 제공한다. 수동적인 나사절삭이란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임플란트가 뼈의 응축 없이 실질적으로 여하한의 깊이로, 손에 의해서와 같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뼈(2) 내에 나사산(3a)과 뼈 조직 침착면(23)의 근첨 부분(24) 사이의 수동적 맞춤(fit)이다.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5)라기 보다는 나사산(3a)이 하기에 좀 더 자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를 유도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리드(lead) 및/또는 피치와 같은 나사산의 유형, 나사산의 굵기(coarse), 리드의 개수 등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의 충분한 회전으로 임플란트가 나사로 고정되기에 충분하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뼈 조직 침착면(23)의 근첨 부분(24)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7)의 나사산 형성부(12)의 근첨 부분(13)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다. 이는 임플란트가 적어도 근첨 부분(24)에서 뼈를 응축시키는 것과 같이, 임플란트의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는 도 3b에 도시되며, 여기서 나사산 형성 공구(7) 및 임플란트(1)의 단면도가 겹쳐진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나사산 형성 공구(7)의 세로 방향에서 측정된 나사산 형성부(12)의 나사산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임플란트(1)의 세로 방향에서 측정된 임플란트(1)의 나사산의 길이에 대응한다. 따라서, 리세스(3)는 실질적으로 이의 최고 깊이로 나사절삭된다. 여타 실시형태들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공구(7)의 세로 방향에서 측정된 나사산 형성부(12)의 나사산의 길이는 임플란트(1)의 세로 방향에서 측정된 임플란트(1)의 나사산의 길이보다, 적어도 1 내지 3 mm와 같이, 더 짧다. 따라서, 리세스(3)는 부분적으로만 이의 최고 깊이로 나사절삭된다. 이후의 실시형태는 임플란트가 뼈를 응축시키거나 및/또는 심지어 근첨 단부(24)에서 뼈 내에 이의 자신의 나사산을 절단하는 것과 같이, 임플란트(1)의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뼈 조직 침착면(23)의 치관측 부분(25)의 최대 직경은 나사산 형성 공구(7)의 나사산 형성부(12)의 치관측 부분(14)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다. 이는 피질골(cortical bone)과의 개선된 접촉을 제공하기 위하는 것과 같이, 또한 뼈 조직 침착면의 치관측 영역에서 뼈의 응축을 제공한다.
임플란트 마운트(9)의 실시형태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다. 한쪽 끝에서, 임플란트 마운트(9)는 공구 맞물림 헤드(tool engaging head)[27]을 가지는 생크(shank)[26]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공구 맞물림 헤드(27)는 6각형 모양을 가진다. 또한, 임플란트 마운트는 임플란트의 적절한 깊이를 나타내는 심도계(28)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심도계는 플랜지와 같은 촉각 표시계(tactile indicator)이며, 이는 임플란트가 이의 최종 또는 계획된 깊이에 도달했을 때에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촉각 피드백은, 예를 들어 플랜지가 가이드 슬리브(5)의 기준면(11)에 접했을 때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심도계(28)는 생크(26) 내에 시각적 표지 예를 들어, 원주형 밴드와 같은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생크(26)와 가이드 슬리브(5)의 가이드면(10) 사이에 간극이 제공된다. 가이드면(10)은 임플란트 마운트로의 여하한 유도를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에, 측면적 유도, 중심적 유도, 및/또는 각도적 유도와 같은, 뼈(2) 내에 절단된 나사산(3a)에 의해 유도가 제공된다. 이는 임플란트 마운트(9)가 가이드 슬리브(5) 내에 끼이는 것, 및/또는 전체의 수술용 템플릿(6)이 이의 정확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개선된 위치적 정확성은 실제로 설치되는 임플란트(1)뿐만 아니라 동일한 수술용 템플릿(6)을 사용하여 설치되는 여하한의 추가적인 임플란트들을 위하여 제공된다.
드릴의 근첨부 및 치관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 테이퍼형, 또는 원통형 및 테이프형(taped)과 같은, 원통형이다.
도 4a 내지 4c는 뼈(2) 내에 리세스(3)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드릴(4a, 4b, 4c)들을 도시한다. 각각의 드릴(4a, 4b, 4c)은 뼈(2) 내에서 리세스(3)를 절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단날(15a, 15b, 15c)을 가진다.
도 4a의 실시형태의 드릴(4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진다, 즉 이의 절단날(15a)이 실질적으로 절단날(15a)의 근첨 부분에서 원뿔대(truncated cone) 또는 테이퍼형 콘(tapered cone) 및 가장자리(edge)의 치관측 부분에서 원형의 원통형을 형성한다. 테이퍼된 부분은 드릴(4a)의 축 방향에서 측정된 절단날(15a)의 총 길이의 20 내지 80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도 4b의 실시형태의 드릴(4b)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원통형 드릴(4b)의 절단날(15b)은 일정한 바깥 직경을 가지는 나선형이다.
도 4c의 실시형태의 드릴(4c)은 층계형 드릴이고, 여기서 절단날(15c)의 외부 직경은 드릴(4c)의 축 방향에 따라 다양하다. 가장자리는 이와 같이 나선형이다. 근첨 부분(20c)에서의 드릴(4c)의 중앙 종축(longitudinal central axis)에 관하여 절단날의 직경은 드릴의 치관측 부분의 직경보다 더 작다.
도 4d는 나사산 형성 공구(7)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나사산 형성 공구(7)의 나사산(130)은 나선형이고, 나사산 형성부의 외주의 둘레에 나사산(130)의 각각의 회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절단면(15d)에 의해 가로막힌다. 리세스(138)는 나사산 형성부의 첨단(tip)에서 시작하는 나사산(130) 내에서 형성되고, 가이드부(guiding section)에서 끝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배치될 때 적어도 초기에 뼈 내에 수동적인 임플란트의 삽입을 제공한다. 수동적인 나사절삭이란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임플란트가 뼈의 응축 없이 여하한의 깊이로, 손에 의해서와 같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임플란트는 뼈와 접촉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응축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임플란트와 뼈 사이의 수동적인 맞춤(fit)이 제공된다. 이는 예상되는 궤적을 좀 더 접근하여 따르는 임플란트를 제공하며, 즉 임플란트(1)가 배치될 때에 뼈(2)의 좀 더 균일한 응축 및/또는 뼈에 의해 유도된다.
임플란트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까지의 임플란트(101)의 길이는 8 내지 18 mm와 같이, 6 내지 20 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최대 직경은 2.5 내지 5.0 mm와 같이, 1.8 내지 5.5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길이 및 직경은 임플란트(1)의 치수와 동등하거나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직경 및 길이는 임플란트의 치수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뼈 내에 나사절삭된 리세스에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방법의 실시형태는 뼈 내에 리세스를 뚫는 단계,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모양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는 리세스 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나사절삭된 리세스 내에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뼈(2) 내에 나사산(3a)을 형성하는 방법의 실시형태는 수술 부위에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 슬리브를 가지는 수술용 템플릿을 위치시키는 단계, 가이드 슬리브를 통하여 드릴을 삽입시키는 단계, 드릴이 가이드 슬리브에 의해 유도되는 동안에 뼈 내에 리세스를 뚫는 단계, 나사산 형성 공구를 가이드 슬리브 내로 삽입시키는 단계,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가 리세스 내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전에 가이드 슬리브의 가이드면을 가지는 나사산 형성 공구의 가이드부를 유도하는 단계, 및 나사산 형성 공구의 가이드부가 가이드면에 의해 유도되는 동안에 뼈 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들을 참고로 하여 상기에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에 설명된 것 이외의 여타의 실시형태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동일하게 있을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것을 이외에 상이한 방법의 단계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이한 특징들 및 단계들은 설명된 것들 이외의 여타의 결합체들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5)

  1. 나사산 형성 공구 및 임플란트의 결합체(combination)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성 공구는 뼈 내에 나사산을 절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가지는 나선형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 형성부를 가지고;
    상기 임플란트는 뼈 내의 나사산에 적어도 부분적인 위치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나선형 나사산을 가지는 뼈의 침착면(bone apposition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의 적어도 일부분의 세로축 단면 모양은 상기 임플란트의 나선형 나사산의 적어도 일부분의 세로축 단면 모양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의 상기 단면 모양의 치수가 상기 임플란트의 나선형 나사산의 상기 단면 모양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작으며,
    상기 나사산 형성부가 외견상으로(outwardly) 이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지며, 상기 임플란트의 근첨 부분이 외견상으로 이의 근첨 단부에서 이의 치관측 단부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늘어지고,
    상기 뼈의 침착면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이 상기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치관측 부분보다 더 작은 결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치수가 나사산 형성 공구의 중앙 종축(central longitudinal axis)에서 이의 나사산의 마루(tip)의 외부면까지의 반경이며, 상기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상기 치수가 상기 임플란트의 중앙 종축에서 이의 나사산의 a마루의 외부면까지의 반경인 결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치수가 나사산 형성 공구의 중앙 종축에서 이의 나사산의 골의 외부면까지의 반경이며, 상기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상기 치수가 상기 임플란트의 중앙 종축에서 이의 나사산의 골의 외부면까지의 반경인 결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나선형 나사산의 피치(pitch)가 상기 임플란트의 나선형 나사산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뼈의 침착면의 적어도 근첨 부분에서의 최대 직경이 상기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결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뼈의 침착면의 치관측 부분의 최대 직경이 상기 나사산 형성 공구의 나사산 형성부의 치관측 부분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큰 결합체.
  7. 제 1항에 있어서,
    수술용 템플릿용 가이드 슬리브 및 드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가 나사산 형성 공구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면을 가지고;
    상기 드릴이 근첨부 및 치관측부 상에 하나 이상의 절단날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 형성 공구가 가이드 슬리브의 가이드면에 의한 유도를 위한 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부분의 최대 직경이 상기 드릴의 절단날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결합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부분의 상기 최대 직경의 위치가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단부에서부터의 오프셋(offset) 및 상기 가이드부의 근첨 단부로부터의 제 1 거리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나사산 형성 공구가 가이드 슬리브 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위치에서 가이드면의 치관측 단부까지의 제 2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합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이 1 mm 이상인 결합체.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성부의 근첨 단부는 상기 드릴의 치관측부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은 상기 드릴의 근첨부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큰 결합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7009019A 2009-09-07 2010-09-06 뼈의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 KR101745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011435.6 2009-09-07
EP09011435.6A EP2292176B1 (en) 2009-09-07 2009-09-07 Implantation set
PCT/EP2010/005449 WO2011026644A2 (en) 2009-09-07 2010-09-06 Components for threading of b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581A KR20120070581A (ko) 2012-06-29
KR101745519B1 true KR101745519B1 (ko) 2017-06-09

Family

ID=4165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019A KR101745519B1 (ko) 2009-09-07 2010-09-06 뼈의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59299B2 (ko)
EP (1) EP2292176B1 (ko)
JP (1) JP5883385B2 (ko)
KR (1) KR101745519B1 (ko)
CN (1) CN102481180B (ko)
AU (1) AU2010291502B2 (ko)
BR (1) BR112012005076B1 (ko)
ES (1) ES2710179T3 (ko)
WO (1) WO2011026644A2 (ko)
ZA (1) ZA2012013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49684C (en) 2009-01-16 2016-04-26 Carbofix Orthopedics Ltd. Composite material bone implant
EP2292175B1 (en) 2009-09-07 2016-08-17 Nobel Biocare Services AG Components for guided threading of bone
US10154867B2 (en) 2010-06-07 2018-12-18 Carbofix In Orthopedics Llc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bone screw
US9370388B2 (en) 2010-06-07 2016-06-21 Carbofix Orthopedics Ltd. Composite material bone implant
EP2510900A1 (en)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EP3391850B1 (en) * 2011-04-14 2020-02-19 Dentsply IH AB Fixture element
EP2510898A1 (en)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EP2510899A1 (en)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EP2510901A1 (en) *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Set of fixtures
US9526549B2 (en) 2012-01-16 2016-12-27 Carbofix Orthopedics Ltd. Bone screw with insert
GB2509135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An abutment with conical metal adapter
GB2509136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 with metal adapter
GB2509138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 with screw fixation
CN105263312A (zh) 2013-04-05 2016-01-20 美国陶氏益农公司 用于在植物基因组内整合外源序列的方法和组合物
BR102014027438B1 (pt) 2013-11-04 2022-09-27 Dow Agrosciences Llc Molécula de ácido nucleico recombinante e método de produção de uma célula vegetal transgênica
US9909131B2 (en) 2013-11-04 2018-03-06 Dow Agrosciences Llc Optimal soybean loci
MX360318B (es) 2013-11-04 2018-10-29 Dow Agrosciences Llc Óptimos loci de maíz.
DE102014004132B4 (de) * 2014-03-24 2016-01-28 Gernot Teichmann Werkzeug zur Einbringung einer helikalen Kavität in einen Knochen
DE102014019720B4 (de) * 2014-03-24 2016-06-09 Gernot Teichmann Werkzeug zur Einbringung einer helikalen Kavität in einen Knochen
DE102015100946B4 (de) * 2015-01-22 2021-01-07 Expi-Dent Gmbh Dentalinstrument zur Präparation von Zähnen, insbesondere Zahnwurzelkanälen und Stift zum Einsatz in ein vorgesehenes Bohrloch, insbesondere ein mit einem erfindungsgemäßen Dentalinstrument erzeugtes Bohrloch
US10136902B2 (en) * 2015-07-31 2018-11-27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US10617458B2 (en) 2015-12-23 2020-04-14 Carbofix In Orthopedics Llc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bone screw
JP6701342B2 (ja) 2016-01-29 2020-05-27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歯科用ツール
CN105748169A (zh) * 2016-04-22 2016-07-13 吴大怡 针孔骨挤扩器
GB201708665D0 (en) 2017-05-31 2017-07-12 Tropic Biosciences Uk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extractability of solids from coffee beans
US20200109408A1 (en) 2017-05-31 2020-04-09 Tropic Biosciences UK Limited Methods of selecting cells comprising genome editing events
GB201708662D0 (en) 2017-05-31 2017-07-12 Tropic Biosciences Uk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shelf-life of banana
AU2018336126A1 (en) 2017-09-19 2020-04-30 Tropic Biosciences UK Limited Modifying the specificity of non-coding RNA molecules for silencing gene expression in eukaryotic cells
KR101841747B1 (ko) 2017-12-22 2018-03-23 왕제원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GB201807192D0 (en) 2018-05-01 2018-06-13 Tropic Biosciences Uk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caffeine content in coffee beans
WO2019234754A1 (en) 2018-06-07 2019-12-12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ro) (Volcani Center) Nucleic acid constru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2384063A (zh) 2018-06-07 2021-02-19 以色列国家农业部、农村发展农业研究组织·沃尔卡尼中心 再生及转殖大麻的方法
WO2020074647A1 (en) * 2018-10-11 2020-04-16 Straumann Holding Ag Dental implant thread
GB201903520D0 (en) 2019-03-14 2019-05-01 Tropic Biosciences Uk Ltd Modifying the specificity of non-coding rna molecules for silencing genes in eukaryotic cells
GB201903521D0 (en) 2019-03-14 2019-05-01 Tropic Biosciences Uk Ltd No title
GB201903519D0 (en) 2019-03-14 2019-05-01 Tropic Biosciences Uk Ltd Introducing silencing activity to dysfunctional rna molecules and modifying their specificity against a gene of interest
US11497609B2 (en) 2019-04-26 2022-11-15 Warsaw Orthopedic, Inc. Retention system and method
GB202103256D0 (en) 2021-03-09 2021-04-21 Tropic Biosciences Uk Ltd Method for silencing genes
AU2022303086A1 (en) 2021-07-02 2024-01-18 Tropic Biosciences UK Limited Delay or prevention of browning in banana fruit
GB202109586D0 (en) 2021-07-02 2021-08-18 Tropic Biosciences Uk Ltd Method for editing banana genes
GB202112866D0 (en) 2021-09-09 2021-10-27 Tropic Biosciences Uk Ltd Resistance to fusarium wilt in a banana
GB202112865D0 (en) 2021-09-09 2021-10-27 Tropic Biosciences Uk Ltd Resistance to black sigatoka disease in banana
GB202305021D0 (en) 2023-04-04 2023-05-17 Tropic Biosciences Uk Ltd Methods for generating breaks in a geno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4564A1 (de) 1977-10-04 1979-04-05 Schmidt Rimpler Reimar Dr Werkzeugkombination zur einsetzung von zahnimplataten
US5643269A (en) 1990-08-24 1997-07-01 Haerle; Anton Externally threaded bodies for use as taps or screws
US20040260291A1 (en) 2003-06-20 2004-12-23 Jensen David G. Bone plates with intraoperatively tapped aperture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873A (en) * 1987-10-13 1989-08-08 Hall Surgical Division Of Zimmer, Inc. Oral implant
IT1237496B (it) * 1989-10-26 1993-06-08 Giuseppe Vrespa Dispositivo a vite per l'ancoraggio di protesi alle ossa, metodo per l'applicazione di tale dispositivo e relativa attrezzatura
AU672596B2 (en) * 1992-02-14 1996-10-10 Smith & Nephew, Inc. Polymeric screws and coatings for surgical uses
ES2141217T3 (es) 1993-02-10 2000-03-16 Sulzer Spine Tech Inc Juego de herramientas quirurgicas para estabilizacion de la columna vertebral.
SE507337C2 (sv) 1994-02-14 1998-05-18 Nobel Biocare Ab Anordning vid djupmarkeringssystem vid implantatshål i käkben
FR2735008A1 (fr) * 1995-06-07 1996-12-13 Jbs Sa Ensemble pour preparation d'arthrodese intervertebrale
SE506596C2 (sv) 1996-05-17 1998-01-19 Nobel Biocare Ab Självgängande förankringselement för iskruvning i tandben
US6569188B2 (en) * 1996-08-05 2003-05-27 Arthrex, Inc. Hex drive bioabsorbable tissue anchor
US6120506A (en) 1997-03-06 2000-09-19 Sulzer Spine-Tech Inc. Lordotic spinal implant
US6086595A (en) 1997-08-29 2000-07-11 Sulzer Spine-Te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pinal stabilization
SE514142C2 (sv) 1999-03-09 2001-01-08 Nobel Biocare Ab Självgängande implantat
US6283966B1 (en) 1999-07-07 2001-09-04 Sulzer Spine-Tech Inc. Spinal surgery tools and positioning method
SE522958C2 (sv) 2000-12-29 2004-03-16 Nobel Biocare Ab Förfarande, arrangemang (anordning) och program vid eller för protetisk installation
US6929647B2 (en) 2001-02-21 2005-08-16 Howmedica Osteonics Corp.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implant insertion
US6540753B2 (en) 2001-03-23 2003-04-01 Howmedica Osteonics Corp. Instrumentation for implant insertion
US6863529B2 (en) 2001-05-18 2005-03-08 Biohorizons Implant Systems, Inc. Dental drill system and method of use
SE520765C2 (sv) 2001-12-28 2003-08-19 Nobel Biocare Ab Anordning och arrangemang för att medelst mall ta upp hål till implantat i ben, företrädesvis käkben
FR2836372B1 (fr) 2002-02-28 2004-06-04 Obl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place d'implants dentaires
JP4420423B2 (ja) 2002-09-26 2010-02-24 株式会社ジーシー セルフタップ付き歯科用スクリュー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用ドリルセット
SE526665C2 (sv) 2002-12-30 2005-10-25 Nobel Biocare Ab Anordning vid dentalt fastskruvningsarrangemang
SE526666C2 (sv) 2002-12-30 2005-10-25 Nobel Biocare Ab Anordning och arrangemang för fixturinstallation
IL156033A0 (en)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US7241144B2 (en) 2003-07-30 2007-07-10 Bio-Lok International, Inc. Method of bone expansion and compression for receiving a dental implant using threaded expanders
US7967826B2 (en) * 2003-10-21 2011-06-28 Theken Spine, Llc Connector transfer tool for internal structure stabilization systems
SE526223C2 (sv) 2003-12-10 2005-08-02 Nobel Biocare Ab System och anordning vid framställning och isättning av tandbrouppbyggnad
SE526908C2 (sv) 2003-12-22 2005-11-15 Nobel Biocare Ab Arrangemang för lägesorientering av brygga eller bro till dentala implantat
ES2350879T3 (es) 2004-02-05 2011-01-27 Bti, I+D, S.L. Procedimiento y herramientas de fresado a un régimen de bajas revoluciones sin irrigación y con extracción y recolección de partículas de tejido.
SE527503C2 (sv) 2004-08-05 2006-03-21 Nobel Biocare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tt underlätta applicering till rätt läge av tand- eller tandrestmall
SE527504C2 (sv) 2004-08-05 2006-03-21 Nobel Biocare Ab Styranordning samverkbar med ett antal i tandmall anordnade hylsor
US7621916B2 (en) * 2004-11-18 2009-11-24 Depuy Spine, Inc. Cervical bone preparation tool and implant guide systems
ITBO20050545A1 (it) 2005-09-06 2007-03-07 Federico Franchini Serie di strumenti chirurgici per implantologia dentale
DE202005014850U1 (de) * 2005-09-20 2007-02-01 Karl Leibinger Medizintechnik Gmbh & Co. Kg System zur Fixierung von Knochensegmenten oder -fragmenten
AU2007248943B2 (en) 2006-05-04 2013-05-23 Nobel Biocare Services Ag A device for securing a dental implant in bone tissue, a method for making a surgical template and a method of securing a dental implant in bone tissue
JP5374382B2 (ja) 2007-01-10 2013-12-25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歯科用計画および生産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DE102008003403B4 (de) * 2007-01-26 2019-06-13 Friadent Gmbh Anordnung mit einem Instrument zur Vorbereitung oder Durchführung der Insertion eines Implantats
US7806693B2 (en) 2007-04-23 2010-10-0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US8343189B2 (en) * 2007-09-25 2013-01-01 Zyga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et joint stabilization
KR100940040B1 (ko) * 2007-11-26 2010-02-04 김수홍 임플란트 시술용 탭드릴
US8740912B2 (en) 2008-02-27 2014-06-03 Ilion Medical Llc Tools for performing less invasive orthopedic joint procedures
EP2254068B1 (en) 2009-05-18 2020-08-19 Nobel Biocare Services AG Method and system providing improved data matching for virtual planning
EP2292175B1 (en) 2009-09-07 2016-08-17 Nobel Biocare Services AG Components for guided threading of b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4564A1 (de) 1977-10-04 1979-04-05 Schmidt Rimpler Reimar Dr Werkzeugkombination zur einsetzung von zahnimplataten
US5643269A (en) 1990-08-24 1997-07-01 Haerle; Anton Externally threaded bodies for use as taps or screws
US20040260291A1 (en) 2003-06-20 2004-12-23 Jensen David G. Bone plates with intraoperatively tapped aper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201362B (en) 2013-05-29
CN102481180A (zh) 2012-05-30
WO2011026644A3 (en) 2011-05-05
KR20120070581A (ko) 2012-06-29
BR112012005076B1 (pt) 2019-12-10
AU2010291502A1 (en) 2012-03-29
EP2292176A1 (en) 2011-03-09
EP2292176B1 (en) 2019-01-09
US20120191097A1 (en) 2012-07-26
JP2013503664A (ja) 2013-02-04
BR112012005076A2 (pt) 2017-06-06
AU2010291502B2 (en) 2015-09-03
JP5883385B2 (ja) 2016-03-15
CN102481180B (zh) 2016-09-28
ES2710179T3 (es) 2019-04-23
WO2011026644A2 (en) 2011-03-10
US9259299B2 (en)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519B1 (ko) 뼈의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
KR101745508B1 (ko) 뼈의 유도된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
EP3107482B1 (en) Dental implant
US20060115345A1 (en) Orthodpedic or dental device
US20150018890A1 (en) Screw implant with replacement head for height adjustment and simplified storage
US11185393B2 (en) Dental implant for implantation facilitation and stabilization
WO2011063958A1 (en) A directional precision implant
KR101731542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US10307225B2 (en) Dental implant with progressive thread
EP2497441B1 (en) Dental Implant System
EP3117795A1 (en) Dental implant with progressive thread
KR20150122353A (ko) 골성장분말/생의학적필러를 회전식으로 밀어주는 구조를 지닌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