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730B1 - 제초기용 모어 유닛 - Google Patents

제초기용 모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730B1
KR101744730B1 KR1020160131077A KR20160131077A KR101744730B1 KR 101744730 B1 KR101744730 B1 KR 101744730B1 KR 1020160131077 A KR1020160131077 A KR 1020160131077A KR 20160131077 A KR20160131077 A KR 20160131077A KR 101744730 B1 KR101744730 B1 KR 10174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nsmission
driven gear
deck
lawn mow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웅
Original Assignee
제니스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니스테크(주) filed Critical 제니스테크(주)
Priority to KR102016013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4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커터의 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의 부하를 줄이면서 토크를 높일 수 있고, 아울러 커터의 동축에 잘린 풀이 감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데크; 상기 데크 내의 한쪽에 고정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구동축에 전달하는 원동 기어전동장치; 상기 데크 내에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와 나란하게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각각의 연동축에 전달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의 상부를 덮어씌우듯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축에 각각 고정되고, 예취된 초목을 분산시켜 상기 연동축에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들의 양쪽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커터를 포함하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제초기용 모어 유닛{MOWER UNI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원격조종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조종하거나 차량에 탑승한 체로 운전을 하여 광폭으로 초목을 베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커터의 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의 부하를 줄이면서 토크를 높일 수 있고, 아울러 커터의 동축에 잘린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제초기(예초기)는 목초나 사료작물을 베는데 사용하는 예취용 작업기로서, 경엽의 절단기구에 따라 왕복식, 로터리(rotary)식, 플레일(flail)식으로 분류된다.
왕복식은 절단날이 좌우로 왕복운동 하면서 예취하는 것으로 동력취출장치의 회전을 칼날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받는다.
왕복식 제초기의 주요부는 절단부, 커터바, 나이프바, 나이프클립, 마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단부는 절단칼날, 칼날받침판 가드 등으로 되어 있으며, 절단칼날은 3각형으로서 좌우 두 변에 톱날 형의 날 끝을 갖는다. 칼날 받침판은 양쪽에 톱니모양의 칼날을 가진 고정날이며, 가드는 목초를 절단부로 유도하는 작용을 하고 날 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터바는 가드를 부착하는 평강봉이다. 나이프바는 칼날을 부착하는 가늘고 긴 평강판으로 한쪽 끝에는 나이프헤드라고 하는 구상돌기가 있어 동력전달장치에 연결된다. 나이프클립은 나이프를 칼날받침판으로 밀어붙여 두 칼날 사이의 틈새를 적당하게 유지한다. 마찰판은 나이프클립과 한 쌍을 이루어 커터바에 부착하며, 나이프의 왕복운동으로 인한 커터바의 마모를 방지한다. 또한, 나이프바를 뒤쪽에서 밀어붙여 나이프의 원활한 왕복운동을 돕는다.
로터리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종축에 원판이나 원통을 붙이고 그 주위에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2~4개의 예취날로 경엽을 절단하여 예취하는 형태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플레일식은 회전하는 횡축에 붙어 있는 플레일날에 의하여 목초를 아래에서 위로 때리면서 세절되는 목초를 공기와 함께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형태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짧은 시간에 많은 면적의 초목을 예취할 수 있도록 차량에 탑승하여 운전을 하면서 예취하는 형태의 이른바 승용형 예초기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66663호에 커터가 다단의 관절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바위와 같은 물체에 충돌할 때 굴절되면서 충격을 완화하여 손상 및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로터리식 예초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주행 시 제초기 하우징에 의해 풀이 전방으로 쓰러진 상태로 들어와서 커터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 등의 동력발생수단에 부하가 많이 걸리고,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함은 물론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터와 작업지 지면 사이에는 그 경사도에 해당하는 만큼의 간극을 발생하고, 이러한 간극으로 인해 절단이 균일하지 않고 들쑥날쑥하게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6306호에는 작업자가 원격에서 조종함으로써 피로감을 줄이면서 다양한 지형에서도 안정적인 예취 작업이 가능한 제초기가 개시된 바 있다.
즉,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상판(11)의 양단에 측판(12)이 막음 설치된 제초기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 상판(11)의 일측에 설치된 제초용 모터(20)와, 상기 제초용 모터(20)의 모터축(21)에 상측이 일체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하우징 상판(11)을 관통하여 제초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인입 설치된 주축(30)과, 상기 주축(30)과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 상판(11)을 관통하여 제초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인입 설치된 다수의 종동축(40)과, 상기 주축(30)과 종동축(40)을 상호 연동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50)와, 상기 주축(30) 및 종동축(40)의 하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초날(60)(60a)(60b)(60c)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동력전달부재(50)가 여러 개의 벨트 풀리에 벨트를 걸어서 장력으로 구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종 미끄럼, 잡음, 마모 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초날(60)(60a)(60b)(60c)들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초용 모터(20)에 부하가 많이 걸리고 구동 효율이 떨어져서 용량이 비교적 큰 모터를 사용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다.
또한, 하나의 벨트 풀리와 인접하는 다른 벨트 풀리 간을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이 변동되면 자칫 서로 포개지게 배치되어 있는 제초날(60)(60a)(60b)(60c)들끼리 충돌하면서 파손 및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다.
더구나 제초날(60)(60a)(60b)(60c)들 각각의 종동축(40)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과정에서 잘린 풀이 종동축(40)에 자꾸 감겨서 고장을 일으키거나 원활하게 작동이 되지 않고, 이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풀어서 제거해야만 하는 불편함과 수고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486306 B1(2015.01.20) KR 10-1623846 B1(2016.05.18) KR 10-0529362 B1(2005.11.10) KR 10-2011-0006187 A(2011.01.20) KR 10-2013-0115132 A(2013.10.21) KR 10-2013-0079264 A(2013.07.1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제초기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커터의 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의 부하를 줄이면서 토크를 높임으로써 더욱 강력하고 효율적인 예취가 가능하고, 아울러 커터의 동축에 잘린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작업자의 선택이나 필요 또는 작업조건 등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초목이 잘리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하나의 모터로부터 여러 개의 커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의 부하를 줄이면서 토크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커터의 동축에 잘린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지면으로부터 초목이 잘리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데크; 상기 데크 내의 한쪽에 고정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구동축에 전달하는 원동 기어전동장치; 상기 데크 내에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와 나란하게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각각의 연동축에 전달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의 상부를 덮어씌우듯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축에 각각 고정되고, 예취된 초목을 분산시켜 상기 연동축에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들의 양쪽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커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부하를 줄이면서 회전력(torque)을 높여 하나의 모터로부터 여러 개의 커터에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블레이드들 중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상측에 고정 설치하되, 예취된 초목을 후방으로 모아주도록 픽(pick)이 형성된 집초드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예취된 초목이 후방으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배출되어 예취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 및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들은, 케이싱 내에 상기 구동축과 상기 연동축을 베어링과 조합하여 회전력(torque)을 감속비 만큼 증폭시키는 베벨기어 방식의 치차 감속기(gear reducer)를 각각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들 중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는, 데크의 안쪽에 배치되는 다른 피동 기어전동장치들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안쪽에 배치되는 다른 피동 기어전동장치들은 인접하여 마주하는 상기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를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 및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들의 구동축은, 다수 개의 커플러로 연결하여 형성됨으로써 구동축의 얼라이먼트(alignment)를 용이하게 배열 및 조정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으로,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 및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들의 하측에는, 미끄러지면서 원활한 이동을 안내 및 유도하는 스키드(skid)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은, 제초기의 앞쪽에 장치한 홀더 브래킷과 핀 이음(pin joint)을 위한 브래킷 암이 뒤쪽에 형성된 데크; 상기 데크 내의 한쪽에 장착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구동축에 전달하는 원동 기어전동장치; 상기 데크 내에 다수 개가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와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각각의 연동축에 전달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의 상부를 덮어씌우듯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축에 각각 고정되고, 예취된 초목을 분산시켜 상기 연동축에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들의 양쪽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커터; 상기 블레이드들 중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들의 상측에 장착하되, 예취된 초목을 모아서 후방으로 배출하도록 픽(pick)이 형성된 집초드럼;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 및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들의 하측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반경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원활한 이동을 안내 및 유도하도록 단면의 형상이 호형으로 형성된 스키드; 한쪽이 제초기에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반대쪽이 상기 홀더 브래킷에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왕복 직선 운동으로 상기 홀더 브래킷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 및 한쪽이 제초기에 결합되고, 반대쪽이 상기 홀더 브래킷에 결합되어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브래킷은, 앞쪽이 상기 브래킷 암의 앞쪽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뒤쪽이 제초기와 핀 이음으로 연결되며, 상기 홀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암을 연결하는 핀을 중심으로 제초기에 대한 상기 데크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볼팅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암에 일정한 각도에서 서로 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부하를 줄이면서 회전력(torque)을 높여 하나의 모터로부터 여러 개의 커터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훨씬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고, 블레이드가 돌 등에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지면과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작업자의 선택이나 필요 또는 작업조건 등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초목이 잘리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기어전동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모터로부터 여러 개의 커터에 회전방향을 달리하는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함으로써 부하를 줄이면서 토크를 높일 수 있어 커터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극대화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가 피동 기어전동장치의 상부를 덮어씌우듯이 형성되어 틈새를 최소화한 상태로 차단하면서 그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예취된 초목 등을 자연스럽게 분산시킴은 물론이고 커터의 동축에 잘린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여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은, 홀더 브래킷과 브래킷 암 간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부하를 줄이면서 회전력(torque)을 높여 하나의 모터로부터 여러 개의 커터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과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작업자의 선택이나 필요 또는 작업조건 등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초목이 잘리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스키드의 단면 형상이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블레이드의 회전반경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지면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원활하고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고, 블레이드가 돌 등에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의 국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 중 원동 기어전동장치를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 중 피동 기어전동장치를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국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의 국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국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은 크게 데크(1), 모터(2), 원동 기어전동장치(3), 피동 기어전동장치(4) 블레이드(5), 커터(6), 집초드럼(7) 및 스키드(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크(1)는 모어 유닛을 제초기 차량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모터(2), 원동 기어전동장치(3), 피동 기어전동장치(4) 블레이드(5), 커터(6), 집초드럼(7) 및 스키드(8)를 감싸서 보호하면서 수납 및 지지하는 커버형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크(1)는 커터(6) 등을 보호하면서 그에 의해 예취된 초목 등이 블레이드(5)의 원심력에 의해 비산됨 없이 후방으로 안정적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데크(1)는 내부의 유지보수와 점검 등이 용이하도록 전방부와 후방부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여 그 전방부가 상방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모터(2)는 스위치 개폐에 따라 회전력을 원동 기어전동장치(3)에 전달하도록 그 전동축(2a)이 원동 기어전동장치(3)의 구동축(3a)과 맞물림 상태로 데크(1) 내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2)로는 작동이 확실하고 자동 원격조작이 가능하며 속도의 조정과 정지·역전 등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전동기나 엔진 등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펌프로 발생시킨 고압을 전동축에 주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전동축(2a)은 원동 기어전동장치(3)의 구동축(3a)과 직접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하지 않고, 모터(2)의 회전축과 피동축을 체인 커플링(2b)으로 축 이음 한 것을 채용함으로써 원동 기어전동장치(3)의 구동축(3a)과의 기어치합 시 등 조립 과정에서 유격의 조정이 한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원동 기어전동장치(3)는 모터(2)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그 구동축(3a)에 전달하도록 모터(2)의 전동축(2a)과 맞물림 상태로 데크(1) 내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피동 기어전동장치(4)는 구동축(3a)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연동축(4a)에 전달하도록 그 연동축(4a)이 구동축(3a)과 맞물림 상태로 다수 개가 데크(1) 내에 원동 기어전동장치(3)와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장착되어 있다.
즉, 피동 기어전동장치(4)들의 연동축(4a)은 원동 기어전동장치(3)의 구동축(3a)과 각각 서로 교차하면서 맞물려 동시에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원동 기어전동장치(3) 및 피동 기어전동장치(4)들은, 케이싱 내에 구동축(3a)과 연동축(4a)을 베어링과 조합하여 회전력(torque)을 감속비 만큼 증폭시키는 직선베벨기어 방식의 치차 감속기(gear reducer)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원동 기어전동장치(3) 및 피동 기어전동장치(4)들의 구동축(3a)은 다수 개의 커플러(3b)로 연결 형성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조립 시에 구동축(3a)의 얼라이먼트(alignment)를 용이하게 배열 및 조정하고, 모터(2)의 회전력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커플러(3b)로는 조커플링(jaw coupling)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기어전동장치(4)들 중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4)는 데크(1)의 안쪽에 배치되는 다른 피동 기어전동장치(4)들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그 각각의 연동축(4a)이 구동축(3a)과 맞물리게 설치되어 있고, 나머지 안쪽에 배치되는 다른 피동 기어전동장치(4)들은 인접하여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4)를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그 각각의 연동축(4a)이 구동축(3a)과 맞물게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상에서 볼 때 원동 기어전동장치(3)가 데크(1)의 오른쪽 가장자리 안쪽에 배치되고, 피동 기어전동장치(4)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동 기어전동장치(3)의 왼쪽으로 나란하게 4개가 배치될 경우, 모터(2)의 전동축(2a)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베벨기어로 맞물린 원동 기어전동장치(3)의 구동축(3a)은 상방에서 전방을 향해 회전하게 되고, 원동 기어전동장치(3)와 가장 인접하는, 즉 좌측에서 4번째 및 좌측에서 2번째에 배치되어 구동축(3a)과 각각 베벨기어로 맞물린 피동 기어전동장치(4)의 연동축(4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원동 기어전동장치(3)와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즉 좌측에서 1번째 및 좌측에서 3번째에 배치되어 구동축(3a)과 각각 베벨기어로 맞물린 피동 기어전동장치(4)의 연동축(4a)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하를 줄이면서 토크를 높여 동력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취된 초목을 더욱 효과적으로 후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5)는 커터(6)에 의해 예취된 초목을 분산시켜 피동 기어전동장치의 연동축(4a)에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동 기어전동장치(4)의 상부를 덮어씌우듯이 형성되어 그 연동축(4a)에 마운팅 브래킷 등으로 각각 떨림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블레이드(5)는 피동 기어전동장치(4) 및 연동축(4a)과의 틈새를 최소화한 상태로 차단하면서 그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커터(6)에 의해 예취된 초목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분산시키면서 커터(6)의 동축, 즉 연동축(4a)에 잘린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5)는 평면상에서 볼 때 마치 장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인접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4)에 고정된 다른 블레이드(5)와 번갈아서 서로 수직한 방향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배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블레이드(5)들은 서로 간의 배열 및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그 각각의 커터(6)들이 회전 시 서로 부딪히거나 인접하는 다른 블레이드(5)를 향해 예취된 초목을 보내지 않게 회전하도록 회전 방향과 속도 및 간격 등이 정밀하고 안전하게 설정(setting)되어 있다.
커터(6)는 회전력으로 초목을 예취하기 위해 블레이드(5)들의 양쪽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즉, 커터(6)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금속판재의 선단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칼날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블레이드(5)의 길이 방향 양단에 블레이드(5)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그 끝 부분이 핀 이음(pin joint)으로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커터(6)는 블레이드(5)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그 블레이드(5)에 대하여 자유 회전함으로써 회전 시 돌 등과 같은 단단한 물체에 부딪혀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터(6)는 인접하는 다른 커터(6)들과 회전반경이 서로 부딪힘 없이 겹치면서 예취에 따른 사각지대를 방지함으로써 예취에 따른 능률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집초드럼(7)은 예취된 초목을 모아서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외주연에 다수 개의 픽(pick)이 형성된 체로 블레이드(5)들 중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블레이드(5)들의 상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즉, 집초드럼(7)에 의해 예취된 초목이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모어 유닛의 가운데 쪽으로 모여져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스키드(8)는 초목을 예취 시 등에 미끄러지면서 모어 유닛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 및 유도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동 기어전동장치(3) 및 피동 기어전동장치(4)들의 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즉, 스키드(8)는 커터(6) 등이 지면과 닿지 않고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초목 등을 원활하게 예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사지 등에서도 모어 유닛과 제초기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이동 및 주행을 안내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은 원동 기어전동장치(3)와 피동 기어전동장치(4)를 이용하여 하나의 모터(2)로부터 여러 개의 커터(6)에 방향을 달리하는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함으로써 종래의 벨트풀리 방식과 달리 부하를 줄이면서 토크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각각의 블레이드(5)에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벨트 슬립으로 인한 커터(6)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블레이드(5)가 피동 기어전동장치(4)의 상부를 덮어씌워서 그 틈새를 최소화하여 연동축(4a)의 노출을 차단한 상태로 그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예취된 초목을 자연스럽게 분산시킴은 물론 연동축(4a)에 잘린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내구성의 향상으로 고장이나 유지보수의 불편함과 수고로움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은 크게 데크(1), 브래킷 암(1a), 모터(2), 원동 기어전동장치(3), 피동 기어전동장치(4) 블레이드(5), 커터(6), 집초드럼(7), 스키드(8), 홀더 브래킷(9), 액추에이터(9a), 스프링(9b) 및 관통구멍(9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과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브래킷 암(1a)은 제초기의 앞쪽에 장치한 홀더 브래킷(9)과 핀 이음(pin joint)을 위해 데크(1)의 뒤쪽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스키드(8)는 초목을 예취 시 등에 미끄러지면서 모어 유닛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 및 유도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단면의 형상이 지면을 향해 볼록한 호형으로 이루어져 원동 기어전동장치(3) 및 피동 기어전동장치(4)들의 하측에 블레이드(5)의 회전반경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스키드(8)는 지면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원활하고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블레이드(5)의 가장자리 부분이 돌 등에 부딪히거나 그로 인해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홀더 브래킷(9)은 앞쪽이 브래킷 암(1a)의 앞쪽과 핀(P2)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뒤쪽이 제초기와 핀(P3)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9a)는 왕복 직선 운동으로 홀더 브래킷(9)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그 길이 방향의 한쪽이 제초기에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반대쪽이 홀더 브래킷(9)에 핀(P1)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액추에이터(9a)는 유압실린더와 실린더 로드(피스톤 또는 플런저)로 구성되어 컨트롤러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및 후진 또는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프링(9b)은 홀더 브래킷(9)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여 제초기에 대하여 원래의 위치 및 틸딩 각도로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하기 위해 그 길이 방향의 한쪽이 제초기에 결합되어 있고, 반대쪽이 홀더 브래킷(9)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9b)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면 길이가 늘어나고, 그 힘을 해제하면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는 즉,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하여 원래의 위치나 상태로 신속하게 복귀시키는 인장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비틀림 스프링과 같이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관통구멍(9c)은 홀더 브래킷(9)과 브래킷 암(1a)을 연결하는 핀(P2)을 중심으로 제초기에 대한 데크(1)의 경사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한 나사 이음, 즉 볼팅으로 구속하기 위해 그 핀(P2)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회전각도에서 서로 통하도록 홀더 브래킷(9)과 브래킷 암(1a)에 다단으로 다수 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통구멍(9c)들의 배열 간격은 홀더 브래킷(9)과 브래킷 암(1a)을 연결하는 핀(P2)을 중심으로 약 5도 정도의 회전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초기용 모어 유닛은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부하를 줄이면서 회전력(torque)을 높여 하나의 모터로부터 여러 개의 커터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스키드(8)의 단면 형상이 곡선형 또는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스키드(8)가 블레이드(5)의 회전반경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이 평평하지 않더라도 훨씬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고, 블레이드(5)가 돌 등에 부딪히거나 그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초작업 과정에서 지면으로부터 초목이 잘리는 높이를 조절 및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홀더 브래킷(9)과 브래킷 암(1a)의 관통구멍(9c)에 삽입된 볼트 및 이와 나사 결합된 너트를 풀어서 해체한 후, 액추에이터(9a)를 전후 작동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드(8)가 지면에 닿은 상태를 이루어서 데크(1)가 일정한 각도로 수월하고 자연스럽게 기울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홀더 브래킷(9)과 브래킷 암(1a)의 서로 통하는 다른 관통구멍(9c)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조임으로써 커터(6)와 지면과의 간극을 줄이는 상태로 경사각을 새롭게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선택이나 필요 또는 작업조건 등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초목이 잘리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적합한 길이로 예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 데크 1a: 브래킷 암
2: 모터 2a: 전동축
2b: 체인 커플링 3: 원동 기어전동장치
3a: 구동축 3b: 커플러
4: 피동 기어전동장치 4a: 연동축
5: 블레이드 6: 커터
7: 집초드럼 8: 스키드
9: 홀더 브래킷 9a: 액추에이터
9b: 스프링 9c: 관통구멍

Claims (2)

  1. 삭제
  2. 제초기의 앞쪽에 장치한 홀더 브래킷과 핀 이음(pin joint)을 위한 브래킷 암이 뒤쪽에 형성된 데크;
    상기 데크 내의 한쪽에 장착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구동축에 전달하는 원동 기어전동장치;
    상기 데크 내에 다수 개가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와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각각의 연동축에 전달하는 피동 기어전동장치;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의 상부를 덮어씌우듯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축에 각각 고정되고, 예취된 초목을 분산시켜 상기 연동축에 초목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들의 양쪽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커터;
    상기 블레이드들 중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들의 상측에 장착하되, 예취된 초목을 모아서 후방으로 배출하도록 픽(pick)이 형성된 집초드럼;
    상기 원동 기어전동장치 및 상기 피동 기어전동장치들의 하측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반경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원활한 이동을 안내 및 유도하도록 단면의 형상이 호형으로 형성된 스키드;
    한쪽이 제초기에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반대쪽이 상기 홀더 브래킷에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왕복 직선 운동으로 상기 홀더 브래킷의 각도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 및
    한쪽이 제초기에 결합되고, 반대쪽이 상기 홀더 브래킷에 결합되어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브래킷은, 앞쪽이 상기 브래킷 암의 앞쪽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뒤쪽이 제초기와 핀 이음으로 연결되며,
    상기 홀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암을 연결하는 핀을 중심으로 제초기에 대한 상기 데크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볼팅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암에 일정한 각도에서 서로 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된 제초기용 모어 유닛.
KR1020160131077A 2016-10-11 2016-10-11 제초기용 모어 유닛 KR10174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077A KR101744730B1 (ko) 2016-10-11 2016-10-11 제초기용 모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077A KR101744730B1 (ko) 2016-10-11 2016-10-11 제초기용 모어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730B1 true KR101744730B1 (ko) 2017-06-09

Family

ID=5921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077A KR101744730B1 (ko) 2016-10-11 2016-10-11 제초기용 모어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9840A (zh) * 2019-01-08 2019-05-10 东北农业大学 多轴式玉米秸秆粉碎还田机构
CN115316113A (zh) * 2022-09-16 2022-11-11 常州戴雅托普机械有限公司 一种切割旋转一体式割灌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517A (ja) * 2005-07-20 2007-02-01 Iseki & Co Ltd モーア
KR200466126Y1 (ko) * 2012-06-29 2013-04-03 박정규 예취기용 디스크장치
KR101486306B1 (ko) 2014-10-13 2015-01-27 제니스테크(주) 제초 성능이 향상된 제초기
KR101486298B1 (ko) * 2014-10-13 2015-01-27 제니스테크(주) 원격조정 경사지 제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517A (ja) * 2005-07-20 2007-02-01 Iseki & Co Ltd モーア
KR200466126Y1 (ko) * 2012-06-29 2013-04-03 박정규 예취기용 디스크장치
KR101486306B1 (ko) 2014-10-13 2015-01-27 제니스테크(주) 제초 성능이 향상된 제초기
KR101486298B1 (ko) * 2014-10-13 2015-01-27 제니스테크(주) 원격조정 경사지 제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9840A (zh) * 2019-01-08 2019-05-10 东北农业大学 多轴式玉米秸秆粉碎还田机构
CN115316113A (zh) * 2022-09-16 2022-11-11 常州戴雅托普机械有限公司 一种切割旋转一体式割灌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0678A1 (en) Auger stripper arrangement for corn head
KR101744730B1 (ko) 제초기용 모어 유닛
US5353881A (en) Counter-rotating twin shaft system for gardening machines
US5845474A (en) Retrofit chain sickle cutter
CN109168574B (zh) 联合收割机
EA001949B1 (ru) Машина для уборки и измельчения кукурузы и других стеблевидных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US20110154793A1 (en) Forage chopper header for harvesting both standing and down crop material
JP2019141003A (ja) 自走式草刈機
CN111432627A (zh) 用于收割机械的辊和辊组、收割机械以及割台
JP7045678B2 (ja) 草刈剪定機
JP2010104332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1939980B1 (ko) 굴삭기용 예초기
JP6918336B2 (ja) 草刈り機
US2782586A (en) Auxiliary cutter attachment for lawn mowers
US20030230065A1 (en) Clutch engagable, in-line, lawn trimmer attachment
KR20160026115A (ko) 굴삭기용 제초기
KR100940390B1 (ko) 농기계용 제초장치
JP6459862B2 (ja) 作物拾い上げ収穫機
US7231756B2 (en) Device for mowing plants
KR20210019348A (ko) 초목 제거 파쇄 장치
EP4104664A1 (en) A belt-type cutting system for cutting crops in a field
RU2134948C1 (ru) Косилка роторная
CN219124813U (zh) 一种剔草装置、玉米收获机用割台及玉米收获机
CN216218821U (zh) 一种atv前置割草机
JP3409395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