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417B1 - 봉상물의 클램프 - Google Patents

봉상물의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417B1
KR101744417B1 KR1020150159121A KR20150159121A KR101744417B1 KR 101744417 B1 KR101744417 B1 KR 101744417B1 KR 1020150159121 A KR1020150159121 A KR 1020150159121A KR 20150159121 A KR20150159121 A KR 20150159121A KR 101744417 B1 KR101744417 B1 KR 101744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holding
shaped material
clamp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841A (ko
Inventor
다츠미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to KR102015015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4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9/02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two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과제) 차량의 충돌시나 지진 등에 있어서 정해진 일방향은 아니고,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 확실하게 규제가 해제되도록 한 봉상물의 클램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관 등의 봉상물(6)을 패널 등의 피장착부(5)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클램프(4)로서, 봉상물(6)을 헐겁게 삽입 가능한 유지공간(8) 및 피장착부(5)에 장착하는 걸림고정부(14)를 가진 본체 부재(1)와, 적어도 외주측의 일부에 구 형상 부분을 가지고 봉상물(6)을 내주측에 구속한 상태에서 유지공간(8)에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유지부재(3)로 구성되고, 유지부재(3)는 구속한 봉상물(6)에 가해지는 소정의 큰 하중에 의해서 유지공간(8)에 대해서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봉상물의 클램프{CLAMP FOR BAR MATERIAL}
본 발명은 선이나 관 등의 봉상물(棒狀物)을 차량구성재 등의 피장착부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상태에서 봉상물이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끌어 당겨졌을 때에도 피장착부에 대한 봉상물의 위치 규제가 해제되도록 한 봉상물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클램프(유지도구)이며, 동일 도면 (a)는 문헌 1의 도 2의 구조, 동일 도면 (b)는 문헌 1의 도 6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각 클램프(H)는 차량구성재인 피장착부(S)에 장착하여 봉상물(P)을 구속한 사용상태에서, 차량의 충돌 등에 있어서 봉상물(P)이 강하게 끌어 당겨졌을 때에 피장착부(S)에 대한 봉상물(P)의 위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동일 도면 (a)의 구조는 피장착부(S)에 대한 장착수단(12)을 가진 본체 부재 (10)와, 봉상물(P)을 구속하는 수입(收入)ㆍ유지부(50)를 가진 분리유지부재(20)로 이루어진다. 본체 부재(10)와 분리유지부재(20)는 분리유지부재(20)에 설치된 끼워넣음 돌기부(30)를 본체 부재(10)에 설치된 끼워넣음 구멍(40)에 틈새(41) 등을 통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클램프(H)로서 조립된다. 사용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봉상물(P)이 동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면, 끼워넣음 돌기부 (30)가 끼워넣음 구멍(40)으로부터 빠져 나와 분리유지부재(20)가 봉상물(P)과 함께 본체 부재(10)로부터 떨어져서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일 도면 (b)의 구조는 피장착부(S)에 대한 장착수단(12), 및 봉상물(P)을 구속하는 수입ㆍ유지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수입ㆍ유지부(50)는 대향한 한 쌍의 판부(板部, 51)와, 각 판부(51)의 상단에서 유지공간의 경사 하향으로 돌출된 탄성편(52)으로 이루어진다. 봉상물(P)은 탄성편(52)을 판부(51)측으로 변위하면서 유지공간에 삽입되고, 삽입 후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탄성편(52)에 의해 빠짐 방지된다. 탄성편(52)과 판부(51)의 사이에는 봉상물(P)이 동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졌을 때에 탄성편(52)이 판부(51)로부터 파단되도록하는 분리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라도, 사용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봉상물(P)이 동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면, 탄성편(52)이 분리부(60’)를 통하여 판부(51)로부터 떨어져서 봉상물(P)과 함께 당겨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이상의 구조 이외에도, 본체 부재(10)가 피장착부(S)에 대한 장착수단(12)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을 파단하여 당겨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구조(문헌 1의 도 3 및 도 4)도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132145호 공보
상기한 각 구조에서는, 봉상물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이 소정의 크게 되면, 도 8의 (a)의 경우라면 분리유지부재가 본체 부재로부터 빠지고, 도 8의 (b)의 경우라면 탄성편이 판부로부터 분리되어 각각 당겨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그러나, 각 구조에 있어서는, 인장하중의 방향에 의해서는 빠지거나 분리되지 않으며, 그 결과, 봉상물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져 파손되거나 접속 불량 등의 요인이 될 우려도 있다. 또, 각 구조에서는, 도 8의 (a)와 같이 분리유지부재가 본체 부재로부터 빠지거나, 도 8의 (b)와 같이 탄성편이 판부로부터 분리되면, 봉상물에 대한 규제가 완전하게 없어져 당겨진 방향으로 각각 자유롭게 이동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봉상물이 부주의로 처지거나 근처에 있는 부재 등에 닿거나 하여 손상 등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배경으로부터 고안된 것이다. 그 목적은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이나 지진 등에 있어서 봉상물에 정해진 일방향은 아니고,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소정의 하중(인장하중)에 대해서 확실하게 규제가 해제되도록 한 봉상물의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속에서 명백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본 발명은 관(管) 등의 봉상물을 패널 등의 피장착부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클램프로서, 상기 봉상물이 유동(遊動) 가능하게 삽입되는 유지공간 및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되는 걸림고정부를 가진 본체 부재와, 적어도 외주측의 일부에 구(球) 형상 부분을 가지고 상기 봉상물을 내주측에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유지공간에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유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유지부재는 구속한 상기 봉상물에 가해지는 소정의 큰 하중에 의해서 상기 유지공간에 대해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봉상물」로서는, 관이나 선 또는 그것들에 유사한 것이라도 좋다. 「피장착부」는 봉상물을 장착하는 개소 내지는 부재이면 좋으며, 예를 들면 차량구성재, 기기구성재, 건축물 구성재라도 상관없다. 「본체 부재」는 클램프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이며, 봉상물이 전후 내지는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1개 이상의 유지공간과 함께 피장착부에 장착되는 걸림고정부를 가지고 있다. 또, 「유지공간」은 청구항 5의 덮개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1의 수입ㆍ유지부와 같은 직경 방향으로 일부 개구한 구성이 되고, 청구항 5와 같은 덮개부를 가진 경우에는 본체 부재와 덮개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어 직경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 된다.
「유지부재」는 봉상물을 내측으로 구속한 상태에서 유지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이면 좋다. 「일부에 구 형상 부분을 가지고」는 완전한 구 형상이 아니라도 구 형상에 가까운 형상, 예를 들면 럭비 볼과 같은 타원구 등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즉, 구 형상이나 타원구 그것들에 유사한 형상은, 일반적으로 유지공간에 대해서 요동 용이한 형상임과 아울러, 구속하고 있는 봉상물에 가해지는 소정의 큰 하중으로 유지공간으로부터 끼워 맞춤이 해제되기 쉬운 형상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6에서 특정한 바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 상기 유지공간은 상기 유지부재의 구 형상 부분이 끼워지는 원호 부분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지부재가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된 후도 상기 봉상물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나) 상기 유지부재는 분할된 반구(半球)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반구 부재끼리가 상기 봉상물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연결되어 구 형상이 되는 구성이다(청구항 3).
(다) 상기 반구 부재끼리는 구 형상으로 유지하는 걸어맞춤수단과, 상기 봉상물의 표면에 달라붙는 클로(claw)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
(라) 상기 본체 부재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호 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유지부재를 끼워 지지하는 원호부분을 가지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다(청구항 5).
(마) 상기 본체 부재의 원호 부분과 상기 덮개부의 상기 원호 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탄성 변위 용이하게 하는 슬릿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6).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유지부재가 외주측의 일부에 구 형상 부분을 가지고 봉상물을 내주측으로 구속한 상태에서 본체 부재의 유지공간에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이 사용상태에 있어서, 유지부재는 구속한 봉상물에 가해지는 소정의 큰 하중(인장하중)에 의해서 유지공간에 대해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된다. 이 분리 구조에서는 유지부재가 본체 부재측 유지공간에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봉상물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하중에 대해, 유지부재가 봉상물의 작동에 추종하여 요동해서 부하를 완화하고, 최종적으로는 유지공간으로부터 빠져서 떨어지는 것에 의해 봉상물의 위치 규제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에 비하여 봉상물이 끌어 당겨져 하중의 방향으로 제약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규제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유지부재가 유지공간의 원호 부분에 대해 구 형상 상태로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구속하고 있는 봉상물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하중에 대해서 부하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유지공간에 대한 유지부재의 적확한 요동에 의해서 봉상물의 위치 규제가 완화되고, 그것에 동반하여 상기 부하에 기인한 봉상물의 손상, 접속부나 연결부로부터의 빠짐 등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 유지부재가 본체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빠져도, 봉상물이 본체 부재의 유지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느슨하게 구속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비하여 봉상물이 피장착부측으로 처지거나 근처에 있는 부재나 부품에 닿거나, 봉상물이 연결부로부터 부주의로 빠진다고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유지부재가 분할된 반구 부재의 구성이며, 반구 부재끼리가 봉상물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봉상물에 대한 장착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유지공간(청구항 2에서는 그 원호 부분)에 대해 구 형상의 유지부재가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유지부재의 더욱 적확한 요동에 의해서 봉상물의 위치 규제를 완화하고, 상기 부하에 기인한 봉상물의 손상, 연결부로부터의 빠짐 등을 확실하게 방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반구 부재끼리를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원터치로 연결하는 것도 용이하게 되거나, 클로부가 봉상물의 표면에 달라붙기 때문에 봉상물로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유지부재 단독으로 회전 운동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형태예와 같이 본체 부재의 원호 부분에 대해서 봉상물에 장착한 유지부재를 넣은 후, 덮개부를 회전 운동 조작하여 원호 부분과의 사이에 유지부재를 끼워 지지하기 때문에 본체 부재에 대한 유지부재의 장착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쉽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유지부재가 유지공간에 끼워 맞춘 상태로부터 본체 부재의 원호 부분이나, 덮개부의 대응 부분이 슬릿을 통하여 확개(擴開)변위를 동반하여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된다. 즉, 이 구조에서는 슬릿의 수나 크기 등에 의해 유지공간에 대한 유지부재의 끼워맞춤력 또는 끼워 맞춤 해제의 정도를 설정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발명 형태의 클램프를 나타내며, (a)는 부재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클램프의 본체 부재와 관에 장착한 유지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의 (a)는 반구 부재끼리를 연결한 유지부재를 나타내는 외관도, (b)는 반구 부재와 관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의 (a)는 상기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b)는 상기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본체 부재의 상세 부분을 나타내고,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a)의 A-A선 부분 단면도, (b)는 도 5의 (b)의 B-B선 단면도, (c)는 도 5의 (b)의 C-C선 단면도, (d)는 도 5(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유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반구 부재를 나타내고, (a)는 내측인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하면도, (d)는 우측면도, (e)는 (a)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8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며, (a)는 문헌 1의 도 2의 구조를 나타내고, (b)는 문헌 1의 도 6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형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클램프의 구조를 상세히 서술한 후, 작동을 사용예와 함께 서술한다. 도 1∼도 3은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4는 작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며, 도 5∼도 7은 클램프의 상세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구조)
형태예의 클램프(4)는 베이스부(10)를 형성하고 있는 본체 부재(1)와, 본체 부재(1)에 힌지부(20)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힌지부(20)를 통해서 본체 부재(1)에 겹쳐지는 덮개부(2)와, 본체 부재(1)와 덮개부(2)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2개의 유지공간(7, 8)과, 관(6)을 구속한 상태 혹은 관(6)의 주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지공간(8)에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또한 관(6)에 가해지는 소정의 큰 하중에 의해 유지공간(8)으로부터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 즉 빠지는 유지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부재(1) 및 유지부재(3)는 모두 수지의 사출성형품이지만, 수지 이외로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유지부재(3)를 러버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2)는 본체 부재(1)에 힌지부(20)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했지만, 덮개부를 본체 부재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구성(일례로서 일본국 특개2008-291873호 공보를 참조), 또한,덮개부를 생략하여 유지공간을 본체 부재만으로 형성하는 구성(일례로서 특허문헌 1을 참조)이라도 좋다. 관(6)은 봉상물의 일례이며, 봉이나 선에 대신해도 상관없다.
우선, 본체 부재(1)의 상세 부분을 명백하게 한다. 본체 부재(1)는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하면 중앙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다리부(13)와, 베이스부(10)의 상면측에 설치된 유지공간(7, 8)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 형상의 원호 부분(16, 17)과, 베이스부(10)의 하면 좌우단에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는 착좌용의 돌기 (10a, 10a)와, 각 돌기(10a)의 외단측에 경사 하측에 돌출 설치된 압접용의 플랜지부(11)를 가지고 있다.
이 중, 다리부(13)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이며, 대향측면에 걸림고정부(14)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각 걸림고정부(14)는 ㄷ자형의 슬릿(13a)으로 구획되어 탄성 요동 가능하며,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외측으로 장출(張出)하도록 경사져 있음과 아울러, 선단에 설치된 단차부(14a)를 가지고 있다.
또, 이상의 베이스부(10)는 좌우단 중, 힌지부(20)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개략 ㄴ자형의 판부(10b), 및 반대측에 연결되어 있는 평탄 형상의 판부(10c)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판부(10c)에는 세로벽(18)과 세로벽(19)이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병설(竝設)되어 있다. 이 소정간격은 후술하는 덮개부(2)의 연결편(23)을 받아들여 빠짐 방지하는 걸림고정홈(9)을 구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이 걸림고정홈(9)에 있어서, 세로벽(18과 19)의 상부는 측면에서 보아 역팔자(逆八字) 형상, 즉 양 세로벽의 간격이 위에서 아래로 감에 따라서 좁아지는 유도용 테이퍼부(17, 19a)에 형성되어 있다. 세로벽(18과 19)의 대향면은 도 6의 (c)와 같이 테이퍼부(17, 19a)보다 하측이 판폭의 편측을 제외하여 언더필 (underfill)된 단차부(18, 19b)로 되어 있다. 부호(18c와 19c)는 세로벽(18, 19)의 대향 내면측에 있어서, 판폭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하여 언더필되지 않은 개소, 즉 연결편(23)을 걸림고정홈(9)의 가로 방향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하는 규제부이다. 이 구조에서는 연결편(23)이 걸림고정홈(9)에 세로벽(18, 19)의 탄성 변위를 동반하여 일단 걸어 맞추어지면, 충격 등을 받아도 간단하게 해제되지 않는다.
베이스부(10), 판부(10b), 판부(10c)의 일부에는 입벽(立壁, 15)이 판 폭의 대략 중간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입벽(15)은 베이스부(10)의 좌우 중간이 가장 높은 정상부(15a)로, 당해 정상부(15a)의 양측 즉, 정상부(15a)와 판부(10b)의 수직 부분과의 사이의 대략 중간부와, 정상부(15a)와 세로벽(19) 사이의 중간 부분이 가장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호 부분(16, 17)은 베이스부(10)나 판부(10b, 10c)와 거의 같은 판 폭으로 이루어지고, 입벽(15)의 대응하는 상단측에 유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원호 부분(16)은 개략으로서 정상부(15a)와 세로벽(19)측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원호 부분(17)은 개략으로서 정상부(15a)와 판부(10b)의 수직 부분에 대응하는 입벽 부분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원호 부분(16)과 원호 부분(17)은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원호 부분(16)은 작은 원호 형상의 돌기(16a)를 내면의 일부에 가지며, 단면 원 형상의 관이나 선 등의 봉상물(6)을 그 돌기(16a)를 통하여 받아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것에 대해, 원호 부분(17)은 그와 같은 돌기를 갖고 있지 않고, 판 폭 중간을 가장 깊은 대략 구면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고, 당해 오목 형상을 통하여 대략 구체 즉 유지부재(3)를 받아 유지하는 구성이다. 또, 원호 부분(16)은 베이스부(10)와의 사이에 개재된 세로 립(16b)에 의해 보강 지지되어 요동 변위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원호 부분(17)은 그와 같은 보강용의 세로 립으로 지지되어 있지 않고, 반대로, 요동 변위하기 쉽게하기 위해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슬릿(17a)이 설치되어 있다. 슬릿(17a)은 원호 부분(17)의 대략 중간의 양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판 폭 방향으로 입벽(15)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2)는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20)에 연결되어 원호 부분(16, 17) 위에 겹쳐지는 대략 ㄴ자형의 메인부(21)와, 메인부(21)의 수평부 선단측에 설치되어 세로벽(18, 19) 위에 겹쳐지는 선단부(22)로 이루어진다. 선단부(22)는 양측에서 판 중간 부근까지 언더필된 언더필부(22a)와, 내면에 돌출 설치되어 걸림고정홈(9)에 걸어 맞춤 가능한 연결편(23)을 가지고 있다. 언더필부(22a)는 본체 부재(1)의 경량화를 도모하거나, 선단부(22)에 적당한 탄성을 부여하고 있다. 연결편(23)은 도 5와 같이 선단 양측에 설치된 클로부(23a, 23a)와, 각 클로부(23a)에 있어서 판 폭 방향이 다른 측의 단부의 일부를 결여한 릴리프부 (23b, 23c)를 가지고 있다.
한편, 메인부(21)에는 좌우 대략 중간에서, 또한 판 폭의 대략 중간에 돌출된 대략 사다리꼴의 입벽(25)과, 대략 ㄴ자형의 코너부에서 판 폭의 대략 중간에 돌출된 삼각형의 입벽(25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입벽(25)과 선단 부분(22)의 사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공간(7)을 원호 부분(16)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원호 부분(26)이 설치되어 있다. 입벽(25)과 입벽(25a)의 사이에는 유지공간(8)을 원호 부분(17)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원호 부분(27)이 설치되어 있다. 원호 부분(26, 27)은 메인부(21)나 선단 부분(22)과 거의 같은 판 폭으로 이루어지고, 입벽(25)이나 입벽(25a)의 대응하는 상단측 및 메인부(21)의 내면측에 유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원호 부분(26)은 개략으로서 입벽(25)의 정상부측과 선단 부분(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원호 부분(27)은 개략으로서 입벽(25)의 정상부측과 입벽 (25a)의 대응 부분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원호 부분(26)과 원호 부분(27)은 원호 부분(16, 17)과 마찬가지로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원호 부분(26)은 작은 원호 형상의 돌기(26a)를 내면의 일부에 가지며, 단면 원 형상의 관이나 선 등의 봉상물(6)을 그 돌기(26a)를 통하여 받아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것에 대해, 원호 부분(27)은 그와 같은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고, 판 폭 중간을 가장 깊은 대략 구면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고, 당해 오목 형상을 통하여 대략 구체 즉 유지부재(3)를 받아 유지하는 구성이다. 또, 원호 부분(26)은 요동 변위하기 어렵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원호 부분(27)은 요동 변위하기 쉽게 하기 위해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슬릿(27a)이 설치되어 있다. 슬릿(27a)은 원호 부분(27)의 대략 중간의 양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판 폭 방향으로 입벽(25)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유지부재(3)의 상세 부분을 명백하게 한다. 유지부재(3)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걸어 맞추어서 대략 구 형상이 되는 반구 부재 (30, 30)로 이루어진다. 즉, 각 반구 부재(30)는 대상형(對象形)이며, 관(6)을 내측에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대략 구 형상이 된다. 각 반구 부재(30)에는 대략 구 형상으로 유지하는 걸어맞춤수단으로서 오목부(32)와 한 쌍의 단차(35), 및 오목부(32)에 걸어 맞추는 클로편(34)과 각 단차(35)에 걸어 맞추는 규제편(3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32)와 단차(35)는 반구 부재(30)를 구획하고 있는 원호면의 다른 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클로편(34)은 단차(35와 35)와의 사이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대측 반구 부재(30)의 오목부(32)에 걸어 맞추어진다. 규제편(33)은 단면이 대략 삼각형이며, 오목부(32)를 구획하고 있는 개소의 양측에 한 쌍으로 돌출되어 있다.
더불어서, 각 반구 부재(3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클로부(36)가 점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클로부(36)는 볼록 형상이며, 관(6)의 외주면에 달라붙거나, 관(6)의 외주면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한다. 각 반구 부재(30)의 외주면에는 도 7의 (b)와 같이 복수의 오목 형상 언더필부(31)가 설치되고, 언더필부(31)끼리의 사이에 남은 립 형상 부분(30a)이 배치되어 있다.
(작동)
이상의 클램프(4)를 이용하여 관(6)을 패널이나 차량구성재 등의 피장착부 (5)의 정해진 개소에 구속 유지하는 사용예를 도 1과 도 3에 의해 개략 설명한다. 이 예는 차량의 연료이송계를 구성하여 연료를 엔진측으로 이송하는 관(6)을 패널 등의 피장착부(5)를 따라 배관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며, 통상, 피장착부(5)에 복수의 클램프(4)가 장착되고, 관(6) 및 다른 봉상물(6A)이 그들 복수의 클램프(4)에 대해 유지된다.
여기서, 관(6)은 용도예로서 일단이 연료저류부측에 접속됨과 아울러, 타단이 엔진측에 접속된다. 그리고 관(6)은 통상시라면 클램프(4)에 안정 유지되어 있다. 또, 관(6)은 예를 들면 피장착부(5)가 충돌이나 지진 등으로 변형되었을 때에, 다양한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관을 손상하거나 관접속부가 빠진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한다. 그래서, 이 구조에서는 관(6)이 소정의 큰 하중을 받았을 때에, 클램프 (4)에 유지되어 있는 관(6)에 대한 위치 규제가 느슨해져 충격 변형의 영향을 완화 흡수하거나, 위치 규제가 해제되어 충격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봉상물(6A)의 쪽은 관(6)과 같은 대책은 요구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하면 관 (6)의 유지 구조를 유추 적용 가능하다.
(가) 우선, 본체 부재(1)가 피장착부의 장착구멍(5a)에 장착된다. 이 조작에서는, 본체 부재(1)를 파지하여 다리부(13)가 도 1이나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장착부(5)에 설치된 장착구멍(5a)에 대해서 삽입된다. 그러면, 걸림고정부(14)는 탄성 직경 축소하면서 장착구멍(5a)을 통과하고, 통과와 동시에 탄성 복귀하여 단차부(14a)가 장착구멍(5a)의 구멍 가장자리에 걸어 맞추어진다. 그에 따라, 본체 부재(1)는 피장착부(5)의 소정 개소에 고정된다. 이 고정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부(10)는 피장착부(5)에 대해 각 돌기(10a)가 상면에 맞닿고, 또한, 각 플랜지부(11)가 상면에 압접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장착된다.
(나) 한편, 관(6)에는 유지부재(3)가 장착된다. 이 조작에서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구 부재(30)끼리가 예를 들면 관(6)의 상하로부터 가까워진 후, 서로의 클로편(34)이 상대측의 오목부(32)에 각각 걸어 맞추어지고, 동시에, 서로의 한 쌍의 규제편(33)이 상대측의 대응하는 단차(35)에 걸어 맞추어진다. 그러면, 반구 부재(30)끼리는 연결되어 대략 구 형상의 유지부재(3)가 된다. 즉, 이 구조에서는, 반구 부재(30)끼리가 관(6)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관 (6)에 대한 장착 조작을 원터치로 실행할 수 있다. 또, 관(6)으로의 유지부재(3)의 장착 상태에서는 복수의 클로부(36)가 관(6)의 표면에 달라붙기 때문에, 예를 들면 관(6)이 각도를 가지고 끌어 당겨지면 유지부재(3)도 동일 방향으로 기울거나, 유지부재(3)가 관(6)과 함께 작동된다.
(다) 다음에, 피장착부(5)에 고정된 본체 부재(1)에 대해 관(6)이 장착된 유지부재(3)를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조작에서는 관(6)이 본체 부재측의 원호 부분(17)에 대해 유지부재(3)를 얹은 상태로 배치되고, 또, 다른 봉상물 (6A)이 본체 부재측의 원호 부분(16)의 돌기(16a)에 대해 얹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그 후는, 덮개부(2)가 힌지부(20)를 지점으로 하여 본체 부재(1)의 상측으로 회전 운동 조작된다. 그러면, 덮개부(2)는 연결편(23)이 걸림고정홈(9)에 탄성 삽입되어 빠짐 방지된 사용상태로 전환된다. 즉, 연결편(23)은 걸림고정홈(9)에 대해서 밀어 넣어지면, 각 클로부(23a)가 테이퍼부(17, 19a)로부터 단차부(18, 19b)에 탄성 압입(押入)되는 것에 의해 걸어 맞춤 빠짐 방지된다. 이 빠짐 방지 상태에서는 도 6의 (d)와 같이 릴리프부(23b)가 규제부(19c)에 걸어 맞추고, 릴리프부(23c)가 규제부(18c)에 걸어 맞추어 연결편(23)이 가로 방향으로 작동하여 부주의로 걸어맞춤이 해제되지 않게 된다.
(라) 이상의 사용상태에서는 봉상물(6A)이 원호 부분[16, 의 볼록부(16a)]과 원호 부분[26, 의 볼록부(26a)]의 사이에 요동 불가능하게 끼워 지지되고, 또한, 도 1의 (b)와 같이 관(6)이 유지부재(3)를 통하여 원호 부분(17)과 원호 부분(27)의 사이에 요동 가능하게 끼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각 반구 부재(30)의 외주면에는 도 7의 (b)나 (c)와 같이 복수의 오목 형상의 언더필부(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언더필부(31)끼리의 사이에 남은 립 형상 부분(30a)이 접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에서는 도 1과 같이 유지부재(3)가 관(6)을 내측에 구속함과 아울러, 유지공간(8)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본체 부재의 원호 부분(17) 및 그것에 대응하는 덮개부의 원호 부분(27)에 대해 립 형상 부분(30a)을 통하여 접촉, 즉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유지부재(3)의 요동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마) 도 4는 이상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피장착부(5) 등이 충격에 의해 변형되고, 그것에 기인하여 관(6)이 다양한 방향으로 끌어 당겨졌을 때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관(6)의 유지 상태에서는 대략 구 형상의 유지부재(3)가 관(6)을 내주측에 구속한 상태에서 유지공간(8)에 가능하게 요동, 즉 모든 각도에 요동되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로 인해, 관(6)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하중[예를 들면 도 4의 (b)와 같이 관(6)과 동일 방향의 하중(F)]에 대해, 우선, 유지부재(3)가 관(6)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작동에 추종하여 요동되는 것에 의해 부하를 완화한다. 하중(F)이 소정값보다 커지면, 유지부재(3)가 유지공간 (8) 즉 원호 부분(17, 27)이 슬릿(17a, 27a)을 통하여 확개 변위함으로써 빠져서 분리되는 것에 의해 관(6)의 위치 규제가 해제된다.
(바) 환언하면(자), 이 구조에서는 유지부재(3)가 유지공간(8)을 구획하고 있는 원호 부분(17, 27)에 대해 대략 구 형상 상태로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구속하고 있는 관(6)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하중(F)에 대해서 부하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유지공간(8) 내지는 원호 부분(17, 27)에 대한 유지부재(3)의 적확한 요동에 의해서 관(6)의 위치 규제가 적확하게 완화되고, 그것에 동반하여 하중(F)에 기인한 관(6)의 손상, 접속부나 연결부로부터의 빠짐 등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사) 더불어서, 이 구조에서는 유지부재(3)가 본체 부재(1)로부터 분리 즉 빠져도, 관(6)이 유지공간(8)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느슨하게 구속된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종래와 같이 관(6)이 피장착부 위를 이동하여 근처에 있는 부재나 부품에 닿아서 손상하거나, 관(6)이 클램프(4)로부터 크게 떨어져서 접속부나 연결부로부터 부주의로 빠진다고 하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된 요건을 제외하여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그 예를 들면, 본체 부재가 특허문헌 1과 같이 덮개부를 생략하여 유지공간을 단독으로 형성하고 있는 구성, 유지공간 및 그것에 끼워 맞추는 유지부재를 복수 설치하는 구성 등이다.
1: 본체 부재 2: 덮개부
3: 유지부재 4: 클램프
5: 피장착부 5a: 장착구멍
6: 관(봉상물) 7: 유지공간
8: 유지공간 9: 걸림고정홈
10: 베이스부 14: 걸림고정부
17: 원호 부분 17a: 슬릿
20: 힌지부 23: 연결편
27: 원호 부분 27a: 슬릿
30: 반구 부재 36: 클로부
32: 오목한 곳(걸어맞춤수단) 33: 규제편(걸어맞춤수단)
34: 클로편(걸어맞춤수단) 35: 단차(걸어맞춤수단)

Claims (6)

  1. 관 등의 봉상물(6)을 패널 등의 피장착부(5)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클램프(4)로서,
    상기 봉상물(6)이 유동(遊動) 가능하게 삽입되는 유지공간(8) 및 상기 피장착부(5)에 장착되는 걸림고정부(14)를 가진 본체 부재(1)와, 적어도 외주측의 일부에 구(球) 형상 부분을 가지며 상기 봉상물(6)을 내주측에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유지공간(8)에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유지부재(3)로 구성되며, 상기 유지부재(3)는 구속한 상기 봉상물(6)에 가해지는 소정의 큰 하중에 의해서 상기 유지공간(8)에 대해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되고,
    상기 유지공간(8)은 상기 유지부재(3)의 구 형상 부분이 끼워지는 원호 부분(17)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지부재(3)가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된 후에도 상기 봉상물(6)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의 클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3)는 분할된 반구(半球) 부재(30, 30)로 구성되고, 상기 반구 부재(30, 30)끼리가 상기 봉상물(6)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연결되어 구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의 클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구 부재(30, 30)끼리는 구 형상으로 유지하는 걸어맞춤수단(32, 33, 34, 35)과, 상기 봉상물(6)의 표면에 달라붙는 클로(claw)부(3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의 클램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1)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호 부분(17)과의 사이에 상기 유지부재(3)를 끼워 지지하는 원호부분(27)을 가지는 덮개부(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의 클램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1)의 원호 부분(17)과 상기 덮개부(2)의 상기 원호 부분(27)이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탄성 변위 용이하게 하는 슬릿(17a, 27a)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의 클램프.
KR1020150159121A 2015-11-12 2015-11-12 봉상물의 클램프 KR10174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21A KR101744417B1 (ko) 2015-11-12 2015-11-12 봉상물의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21A KR101744417B1 (ko) 2015-11-12 2015-11-12 봉상물의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41A KR20170055841A (ko) 2017-05-22
KR101744417B1 true KR101744417B1 (ko) 2017-06-07

Family

ID=5904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121A KR101744417B1 (ko) 2015-11-12 2015-11-12 봉상물의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6367B (zh) * 2020-03-04 2024-07-2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式管路夹紧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446A (ja) * 2002-05-29 2003-12-03 Yazaki Corp スライドドア給電用のハーネス固定具とそれを用いた給電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446A (ja) * 2002-05-29 2003-12-03 Yazaki Corp スライドドア給電用のハーネス固定具とそれを用いた給電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41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332E1 (en) Vacuum sealing cap
US9494258B2 (en) Tube-retaining clip assembly
KR101310675B1 (ko) 사이드 릴리스 버클 조립체
US10842247B2 (en) Dismountable hammock stand
US11019883B2 (en) Fastening devices and methods
JP6147210B2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KR20170003275U (ko) 벨트 조정 및 고정 후크
JP5885372B1 (ja) コネクタ
KR101744417B1 (ko) 봉상물의 클램프
JP6246106B2 (ja) 棒状物のクランプ
JP6826592B2 (ja) 容器
US20210244135A1 (en) Fastening devices and methods
KR101982975B1 (ko) 가방 개폐용 경첩
WO2015171214A1 (en) Web-connecting assembly having a release button
KR20190077222A (ko)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KR101645604B1 (ko)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KR920020091A (ko) 제1부재를 제2부재상의 소기의 위치에 보유시키는 고정장치
KR101657904B1 (ko) 흔들림방지용 손잡이
JP6188277B2 (ja) 挟持具
JP4793825B2 (ja) 把手付きボトル
AU2003210194A1 (en) Self-wringing mop
US1086568A (en) Fastening device.
JP6901103B2 (ja) ボトル連結具
KR102127298B1 (ko) 낚시 릴의 커버 어셈블리 개폐용 클릭 사운드 발생장치
US4216935A (en) Hanger for displaying hose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