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75B1 - 가방 개폐용 경첩 - Google Patents

가방 개폐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75B1
KR101982975B1 KR1020180067465A KR20180067465A KR101982975B1 KR 101982975 B1 KR101982975 B1 KR 101982975B1 KR 1020180067465 A KR1020180067465 A KR 1020180067465A KR 20180067465 A KR20180067465 A KR 20180067465A KR 101982975 B1 KR101982975 B1 KR 10198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support
bag
concavity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113A (ko
Inventor
강희진
Original Assignee
강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진 filed Critical 강희진
Priority to KR102018006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9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입구 양쪽 테두리에 서로 분리되어 절곡 구비된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과 결합하는 가방 개폐용 경첩은, 상기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 중 제1 가방 입구 프레임과 일측이 결합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일 면에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와; 상기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 중 제2 가방 입구 프레임과 일측이 결합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되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일 면에 제2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 요철과 상기 제2 맞물림 요철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방 개폐용 경첩{HINGE FOR BAG}
본 발명은 가방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 입구를 열고 닫을 때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가방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소지품 보관이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가방을 들고 다니는데, 이때 가방 입구의 개폐의 용이성은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여성용 핸드백의 경우 화장품이나 거울 등을 꺼내기 위해 수시로 열고 닫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의 가방에는 예를 들어 등록 실용신안 20-0173490호와 같은 가방을 열고 닫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결착구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착구는 결착하는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결착구가 가방 입구 중앙 위치에 달리게 되므로 가방의 디자인 구성에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가방 입구 양쪽에 경첩을 구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는데, 종래의 경첩 구조는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기다란 팔 형상의 금속 판재가 대칭적이지 않은 회전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방 입구가 벌어지거나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경첩 구조는 팔 형상의 금속 판재가 외력에 의해 부러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또한 회전부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잔고장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728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잔고장이 없고 가방 입구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경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입구 양쪽 테두리에 서로 분리되어 절곡 구비된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과 결합하는 가방 개폐용 경첩은, 상기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 중 제1 가방 입구 프레임과 일측이 결합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일 면에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와; 상기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 중 제2 가방 입구 프레임과 일측이 결합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되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일 면에 제2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 요철과 상기 제2 맞물림 요철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바디의 제1 결합부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바디의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반대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안착홈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맞물림 요철 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결합부 중앙 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결합부 안착홈의 중앙 통공 및 상기 탄성 부재를 관통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아래 끝단과 결합하여 상기 제2 결합부 안착홈에 안착된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1 결합부는 그 중심축이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그 중심축이 상기 제2 지지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2 맞물림 요철은 상기 제2 결합부의 일 면에 형성된 통공을 직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돌출부로 형성되되, 그 돌출부의 수직방향 단면이 아랫변보다 윗변이 작은 사다리꼴 모양이고, 상기 제1 맞물림 요철은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면에 형성된 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두 쌍의 돌출부로 형성되되, 그 중 제1 돌출부는 수직방향 단면이 삼각형이고, 제2 돌출부는 수직방향 단면이 아랫변보다 윗변이 작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끝단이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맞닿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돌출부의 끝단은 상기 제2 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제1 결합부와 만나는 끝단과 상기 제2 지지대가 상기 제2 결합부와 만나는 끝단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가 180도 이루도록 회동한 경우에 서로 만나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결착구 형태에 비하여 가방을 열고 닫는 게 상당히 간편해지고, 또한 기존의 경첩 형태에 비하여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장 발생으로 인해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한다.
특히 두 단계에 걸친 반자동식 열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물건을 쉽게 꺼낼 수 있는 1차 개방 상태가 신속히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필요시에는 최대 개방 상태(즉, 2차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개폐용 경첩의 결합 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 바디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 바디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결합된 후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가방 개폐용 경첩이 가방 입구 프레임에 삽입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가방 개폐용 경첩이 가방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개폐용 경첩(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가방 입구에는 복수 개의 프레임(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가방 개폐용 경첩(1) 이러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 개폐용 경첩(1)은, 서로 분해될 수 있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100)는 제1 지지대(110)와 제1 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지지대(110)는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 중 제1 가방 입구 프레임과 일측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지지대(110)는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가 단면이 원인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 지지대(110)의 끝단들은 원통형상이 아닐 수 있고, 특히 제1 결합부(120)와 만나는 끝단은 제1 결합부(120)의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지지대(110)가 제1 결합부(120)와 만나는 끝단과 후술하는 제2 바디(100)의 제2 지지대(210)가 제2 바디(200)의 제2 결합부(220)와 만나는 끝단은,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210)가 180도 이루도록 회동한 경우에 서로 만나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한편, 제1 결합부(120)는 제1 지지대(110)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제1 지지대(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법선벡터로 갖는 일 면에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20)는 그 중심축이 제1 지지대(110)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되, 그 원통형상의 위/아래 면 중, 한쪽 면(예를 들어 윗면)은 원형 평면을 이루고, 다른 쪽 면(예를 들어 아랫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맞물림 요철은 예를 들어 소정 개수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바디(100)의 제1 결합부(120)의 중앙에는 통공(12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결합부(120)의 돌출부의 끝단은 제1 지지대(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축의 높이와 제1 결합부(120) 돌출부 끝단의 높이가 갖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3은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결합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제1 바디(100)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3(a)은 평면도에 해당하고 도 3(b)는 저면도에 해당한다.
도 2와 도 3(a)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20)의 상면은 중앙에 통공(121)이 형성된 원형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2와 도 3(b)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20)의 하면은 중앙 통공(12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두 쌍의 돌출부(122, 123)(제1 맞물림 요철)로 형성되되, 그 중 제1 돌출부(122)는 수직방향 단면이 삼각형이고, 제2 돌출부(123)는 수직방향 단면이 아랫변보다 윗변이 작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요철의 형태를 '산'과 '마루'로 구분할 경우, 도 3(b)를 살펴보면 제1 돌출부 각각의 산(122)과 그 양쪽 옆의 마루(124)는 중앙 통공(121)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제2 돌출부 각각의 산(123)과 그 양쪽 옆의 마루(124) 역시 중앙 통공(121)을 중심으로 대칭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제2 돌출부의 산(123)은 제1 돌출부의 산(122)보다는 더 큰 평면 면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제1 돌출부의 산(123)을 기준으로 양쪽 옆으로 경사지면서 마루(124)까지 이어져 있어서, 그 수직 단면이 윗변이 아랫변보다 작은 사다리꼴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200)는 제2 지지대(210)와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2 지지대(210)는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 중 제2 가방 입구 프레임과 일측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지지대(210)는 제1 지지대(110)와 마찬가지로 몸체가 단면이 원인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2 지지대(210)의 끝단들은 원통형상이 아닐 수 있고, 특히 제2 결합부(220)와 만나는 끝단은 제2 결합부(220)의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지지대(210)가 제2 결합부(220)와 만나는 끝단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220)가 결합된 후 회동되는 경우 제1 지지대(110) 중심축과 제2 지지대(210) 중심축 간의 각도가 180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110) 중심축과 제2 지지대(210) 중심축이 180도가 되는 경우에는 제1 지지대(110)의 끝단(제1 결합부(120)와 만나는 끝단 한쪽)과 제2 지지대(210) 끝단(제2 결합부(220)와 만나는 끝단 한쪽)간에 접촉이 발생하여 더 이상의 회동을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 결합부(220)는 제2 지지대(210)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제2 지지대(2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일 면(구체적으로는 제1 결합부(120)의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에 제2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220)는 그 중심축이 제2 지지대(210)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되, 그 원통형상의 위/아래 면 중, 한쪽 면(예를 들어 아랫면)은 원형 평면을 이루고, 다른 쪽 면(예를 들어 윗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맞물림 요철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맞물림 요철은 예를 들어 소정 개수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바디(200)의 제2 결합부(220)의 중앙에는 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2 결합부(220)의 돌출부의 끝단은 제2 지지대(2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대(2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축의 높이와 제2 결합부(220) 돌출부 끝단의 높이가 갖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4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결합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제2 바디(200)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4(a)는 평면도에 해당하고 도 4(b)는 저면도에 해당한다.
도 2와 도 4(a)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220)의 상면에는 중앙 통공(221)을 중심으로 직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돌출부(제2 맞물림 요철)가 형성되되, 그 돌출부의 수직방향 단면이 아랫변보다 윗변이 작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고, 도 2와 도 4(b)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220)의 하면은 위쪽 방향으로 안착홈(225)이 형성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통공(221)은 그 안착홈(225) 중앙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제2 결합부(220) 상면의 요철의 형태를 '산'과 '마루'로 구분할 경우, 도 4(a)를 살펴보면 돌출부의 산(222)과 그 양쪽 옆의 마루(223)는 중앙 통공(221)을 중심으로 대칭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돌출부의 산(222)은 제1 결합부(120)의 제2 돌출부의 산(123)보다는 작지만 제1 결합부(120)의 제1 돌출부의 산(122)보다는 큰 평면 면적을 갖고 있고, 돌출부의 산(222)을 기준으로 양쪽 옆으로 경사지면서 마루(223)까지 이어져 있어서, 그 수직 단면이 윗변이 아랫변보다 작은 사다리꼴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구성되는 경우 제1 바디(100)의 제1 맞물림 요철(122, 123, 124)과 제2 바디(200)의 제2 맞물림 요철(222,223)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동(바람직하게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구체적으로는 제1 바디(100)의 제1 결합부(120)와 제2 바디(200)의 제2 결합부(220)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결합되면서도 반자동 개폐 동작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탄성 부재(320), 연결 부재(310), 이탈 방지부(330)가 바로 그것이다.
탄성 부재(320)는 상술한 제2 맞물림 요철 안착홈(225)에 안착되면서 제1 결합부(120)의 제1 맞물림 요철과 제2 결합부(220)의 제2 맞물림 요철이 서로 끼워 들어맞은 상태에서 회동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부재(310)는 제1 결합부(120) 중앙 통공(121)으로 삽입되고 제2 결합부(220) 안착홈(225)의 중앙 통공(221) 및 상기 탄성 부재(320)를 관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탈 방지부(330)는 이러한 연결 부재(310)의 아래 끝단과 결합하여 제2 결합부(220) 안착홈(225)에 안착된 탄성 부재(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을 제2 결합부(220)의 안착홈(225)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20)의 중앙 통공(12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 부분(311)이 있는 연결 부재(310)를 제1 결합부(120) 중앙 통공(121)을 통해 삽입한 후, 제2 결합부(220)의 중앙 통공(221) 및 그 안착홈(225)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320) 중앙을 통과하고, 이탈 방지부(330)(일 예로 와셔와 같은 형상의 부재) 내의 통공을 다시 관통한 후에, 그 연결 부재(310)의 아래 끝단(312)을 망치 등을 이용하여 이탈 방지부(330) 중앙 통공의 직경보다 더 크게 뭉개지도록 하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연결 부재(310)와 이탈 방지부(330)의 결합은 리벳 또는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 스프링의 작용으로 제1 바디(100)의 제1 지지대(110)와와 제2 바디(200)의 지지대는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질 때마다 특정 지점에서 자동으로 넘어가도록 하는 반자동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5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a)는 제1 바디(100)의 제1 지지대(110)와 제2 바디(200)의 제2 지지대(210)가 서로 최 근접 위치로 다가와 마주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중앙 통공(121,221)을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하면서, 제1 바디(100)의 제1 지지대(110)와 제2 바디(200)의 제2 지지대(210)가 상대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5(c)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중앙 통공(121,221)을 축을 중심으로 더 회동하면서, 제1 바디(100)의 제1 지지대(110)와 제2 바디(200)의 제2 지지대(210)가 최대(180도)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의 상태에서 도 5(c) 상태까지 변화되는 과정에서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의 상태에서는 제2 결합부(220)에 형성된 요철의 산(222)이 제1 결합부(120)에 형성된 요철의 마루(124)와 맞닿아 있으면서, 제1 결합부(120)에 형성된 요철의 산(122, 123)이 제2 결합부(220)에 형성된 요철의 마루(223)와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1 바디(100)의 제1 지지대(110)와 제2 바디(200)의 제2 지지대(210)를 펼침에 따라 제2 결합부(220) 요철의 산(222)은 제1 결합부(120)에 형성된 제2 돌출부의 산(123)을 지난 후 다시 제1 결합부(120)의 마루(124)와 맞닿게 된다.
이때 제2 결합부(220) 요철의 산(222)이 제1 결합부(120)에 형성된 제2 돌출부의 산(123)을 지나는 경우에는 제2 결합부(220)의 안착홈(225)에 안착되어 있던 탄성 스프링이 늘어나 있는 상태이고, 따라서 제2 결합부(220) 요철의 산(222)이 제1 결합부(120)에 형성된 제2 돌출부의 산(123)을 지난 후 다시 제1 결합부(120)의 마루(124)로 향하는 시점에는 이러한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넘어가 도 5(b)의 상태가 된다. 즉, 반자동화 기능이 동작하는 것이다.
이후, 추가적인 외력에 의해 제1 바디(100)의 제1 지지대(110)와 제2 바디(200)의 제2 지지대(210)가 더 펼쳐짐에 따라, 제2 결합부(220) 요철의 산(222)은 제1 결합부(120)에 형성된 제1 돌출부의 산(122)을 지난 후 다시 제1 결합부(120)의 마루(124)와 맞닿게 된다.
이때 앞선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220) 요철의 산(222)이 제1 결합부(120)에 형성된 제1 돌출부의 산(122)을 지나는 경우에는 제2 결합부(220)의 안착홈(225)에 안착되어 있던 탄성 스프링이 늘어나 있는 상태이고, 따라서 제2 결합부(220) 요철의 산(222)이 제1 결합부(120)에 형성된 제1 돌출부의 산(122)을 지난 후 다시 제1 결합부(120)의 마루(124)로 향하는 시점에는 이러한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넘어가 도 5(c)의 상태가 된다.
그런데 여기서 도 5(a)에서 도 5(b)까지 가는 과정과 도 5(b)에서 도 5(c)까지 가는 과정은 약간 상이하다.
즉, 도 5(a)에서 도 5(b)까지 가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220) 요철의 산(222)이 제1 결합부(120)의 제2 돌출부의 산(123)을 지나가게 되고, 도 5(b)에서 도 5(c)까지 가는 과정은 제2 결합부(220) 요철의 산(222)이 제1 결합부(120)의 제1 돌출부의 산(122)을 지나가게 되는데, 여기서 제2 돌출부의 산(123)은 제1 돌출부의 산(122)과 달리 소정의 평면 면적이 존재하므로 결과적으로 도 5(a)에서 도 5(b)까지 변화할 때 벌어지는 각도는 도 5(b)에서 도 5(c)까지 변화할 때 벌어지는 각도보다 더 크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방을 입구를 벌릴 때 처음 힘을 가할 때는 상당한 각도로 벌어지게 하고, 추가적인 힘을 주면 조금 더 벌어지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 개폐용 경첩(1) 두 개가 가방 입구 양쪽 테두리에 서로 분리되어 절곡 구비되는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방 개폐용 경첩(1)들은 각각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은 제1 바디(100)의 제1 지지대(110)와 제2 바디(200)의 제2 지지대(210)의 끝단을 제1 프레임(1100) 및 제2 프레임(1200)에 삽입한 후, 나사(1102, 1202)를 이용하여 제1 지지대(110) 및 제2 지지대(210)에 형성된 나사 구멍(111, 211)과 제1 프레임(1100) 및 제2 프레임(1200)에 형성된 나사 구멍(1101, 1102)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이 가방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은 가방의 측면에서 입구가 벌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도 7이 도 5(b)의 경첩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8이 도 5(c)의 경첩 상태의 상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방 입구를 개방하기 위해 외력을 가하는 경우 반자동식으로 도 7의 상태(1차 개방 상태)가 되고, 그 이후에 추가적인 외력을 가하면 도 8과 같은 상태(2차 개방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7의 상태는 90도를 훨씬 초과하여 벌어진 것이므로, 사용자가 1차 개방상태만으로도 필요한 물건들 대부분을 가방에서 꺼내거나 찾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추가적인 힘을 가해 도 8의 2차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특히 도 8의 상태에서는 제1 바디(100)의 제1 지지대(110) 끝단과 제2 바디(200)의 제2 지지대(210) 끝단이 만나도록 함으로써, 180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가방 개폐용 경첩 100 : 제1 바디
200 : 제2 바디 110 : 제1 지지대
120 : 제1 결합부 210 : 제2 지지대
220 : 제2 결합부 310 : 연결부재
320 : 탄성부재 330 : 이탈 방지부

Claims (5)

  1. 가방 입구 양쪽 테두리에 서로 분리되어 절곡 구비된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과 결합하는 가방 개폐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 중 제1 가방 입구 프레임과 일측이 결합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일 면에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와;
    상기 두 개의 가방 입구 프레임 중 제2 가방 입구 프레임과 일측이 결합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되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일 면에 제2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 요철과 상기 제2 맞물림 요철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제1 결합부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바디의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맞물림 요철이 형성된 반대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안착홈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맞물림 요철 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결합부 중앙 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결합부 안착홈의 중앙 통공 및 상기 탄성 부재를 관통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아래 끝단과 결합하여 상기 제2 결합부 안착홈에 안착된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1 결합부는 그 중심축이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그 중심축이 상기 제2 지지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2 맞물림 요철은 상기 제2 결합부의 일 면에 형성된 통공을 직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돌출부로 형성되되, 그 돌출부의 수직방향 단면이 아랫변보다 윗변이 작은 사다리꼴 모양이고,
    상기 제1 맞물림 요철은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면에 형성된 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두 쌍의 돌출부로 형성되되, 그 중 제1 돌출부는 수직방향 단면이 삼각형이고, 제2 돌출부는 수직방향 단면이 아랫변보다 윗변이 작은 사다리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개폐용 경첩.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끝단이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맞닿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돌출부의 끝단은 상기 제2 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개폐용 경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제1 결합부와 만나는 끝단과 상기 제2 지지대가 상기 제2 결합부와 만나는 끝단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가 180도 이루도록 회동한 경우에 서로 만나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개폐용 경첩.
KR1020180067465A 2018-06-12 2018-06-12 가방 개폐용 경첩 KR10198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465A KR101982975B1 (ko) 2018-06-12 2018-06-12 가방 개폐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465A KR101982975B1 (ko) 2018-06-12 2018-06-12 가방 개폐용 경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097 Division 201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113A KR20190040113A (ko) 2019-04-17
KR101982975B1 true KR101982975B1 (ko) 2019-05-28

Family

ID=6628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465A KR101982975B1 (ko) 2018-06-12 2018-06-12 가방 개폐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269B1 (ko) 2021-10-15 2022-04-08 박정환 가방 개폐용 경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93Y1 (ko) * 2002-02-28 2002-05-16 이태형 의자의 다단식 등받이 절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165B1 (ko) * 2004-10-22 2006-12-19 배헌종 힌지구조
KR100715804B1 (ko) * 2005-02-14 2007-05-10 주식회사 나인앤나인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KR20130007281U (ko) 2012-06-13 2013-12-23 아리통상 주식회사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반자동 개폐구를 포함하는 가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93Y1 (ko) * 2002-02-28 2002-05-16 이태형 의자의 다단식 등받이 절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269B1 (ko) 2021-10-15 2022-04-08 박정환 가방 개폐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113A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9234B1 (en) Elastic hinge for a notebook computer
US7591046B2 (en) Sprung hinge for supporting a closure element
US5175891A (en) Device for fixing a toilet seat and a toilet lid
US20130212793A1 (en) Combined adult and child toilet seat assembly
US2874401A (en) Luggage hinge
KR101982975B1 (ko) 가방 개폐용 경첩
KR20180108729A (ko) 힌지기구 및 가구
KR200445152Y1 (ko) 가구용 힌지
JP4005024B2 (ja) ヒンジ
US10584524B2 (en) Domestic refrigerator having a closing cam which has a coupling projection with a recess
US5860521A (en) Golf bag frame
WO2024067370A1 (zh) 一种挂钩
RU2443839C2 (ru)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US2842278A (en) Lid stay assembly
KR20070007051A (ko) 스프링을 가진 가구용 힌지
EP1970512B1 (en) Improved closure device for ovens and the like
KR200450830Y1 (ko) 사물함 경첩
US2810599A (en) Spring lock for a handbag or the like
KR100544412B1 (ko) 슬림화 소형화가 가능한 전면개폐식 액자의 조립구조.
US11071375B2 (en) Folding hinge
JP4003925B2 (ja) 容器の蝶番構造
KR200313887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경첩
KR200460413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0836926B1 (ko) 자동차의 쿼터 스위빌 글라스 개폐장치
KR20090003053U (ko) 창고용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