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604B1 -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 Google Patents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604B1
KR101645604B1 KR1020150001082A KR20150001082A KR101645604B1 KR 101645604 B1 KR101645604 B1 KR 101645604B1 KR 1020150001082 A KR1020150001082 A KR 1020150001082A KR 20150001082 A KR20150001082 A KR 20150001082A KR 101645604 B1 KR101645604 B1 KR 10164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ngaging
unit
restricting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637A (ko
Inventor
박솔
공상윤
Original Assignee
박솔
공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솔, 공상윤 filed Critical 박솔
Priority to KR102015000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6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5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 중공부를 한정하는 삽입 몸체와, 상기 삽입 중공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삽입 몸체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삽입판을 가지는 삽입 유닛;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중공부를 한정하는 걸림 몸체와, 상기 걸림 몸체와 함께 상기 삽입 몸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몸체를 가지는 걸림 유닛; 및 상기 삽입판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걸림 유닛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해제 유닛을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BUCKLE ENABLE TO EASILY RELEASE ENGAGEMENT}
본 발명은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접한 두 개의 이상의 스트랩을 연결하기 위해 버클이 사용된다. 이러한 버클은 두 개 이상의 스트랩을 서로 연결하고 또한 그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구성이다.
버클의 적어도 두 개의 요소 간의 결합, 또는 그 결합의 해제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 요소 들을 조작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그들 간의 결합 시보다는 결합 해제 시에 손가락이 다치는 등의 위험이나 불편이 따르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결합 상태를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결합 해제를 용이하게 하는 버클의 구성이 결합을 위한 버클의 구성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은, 삽입 중공부를 한정하는 삽입 몸체와, 상기 삽입 중공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삽입 몸체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삽입판을 가지는 삽입 유닛;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중공부를 한정하는 걸림 몸체와, 상기 걸림 몸체와 함께 상기 삽입 몸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몸체를 가지는 걸림 유닛; 및 상기 삽입판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걸림 유닛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해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 몸체는, 원형 판재이고, 상기 삽입판의 외주면은,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의 양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원부의 곡률의 크기는, 상기 걸림 중공부의 내주면의 곡률의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판은, 상기 한 쌍의 직선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오목 형성되는 굽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판은, 상기 삽입 몸체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삽입 몸체와 동일한 레벨을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굽힘 라인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누름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리브; 및 상기 결합 리브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몸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 리브가 안착되는 결합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결합 그루브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지지 리브에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누름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자세유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지지 리브의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세유지 돌기는, 상기 한 쌍의 안착홈에 대응하여 상기 누름판의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수용 몸체에 형성되는 후크홈; 및 상기 누름판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홈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에 상기 걸림 몸체 위에 위치하는 누름 제한 위치와 상기 누름판 위에 위치하는 누름 허용 위치 간에 이동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누름판이 상기 삽입판을 누르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누름판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며, 상기 누름 제한 위치에서 상기 걸림 몸체 위에 놓이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제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누름판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정지 돌기; 및 상기 제한판에 상기 정지 돌기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한판이 상기 누름 제한 위치와 상기 누름 허용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정지하게 하는 정지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에 의하면, 사용자는 버클의 결합 상태를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결합 해제를 용이하게 하는 버클의 구성이 버클의 결합을 위한 구성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삽입 유닛(110)을 도 2와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해제 유닛(150)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2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해제 유닛(250)과 제한 유닛(270)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라인(Ⅷ-Ⅷ)을 따라 취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2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은, 삽입 유닛(110), 걸림 유닛(130), 및 해제 유닛(150)을 가질 수 있다.
삽입 유닛(110)은 걸림 유닛(130)에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 유닛(13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삽입 유닛(110)은, 삽입 몸체(111)와, 삽입판(116), 그리고 연결 몸체(121)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몸체(111)는 삽입 중공부(IS)를 한정하는 구성이다. 삽입 몸체(111)는 대체로 원형 판재로 형성되고, 삽입 중공부(IS) 역시 대체로 원형일 수 있다. 그 경우, 삽입 몸체(111)는 대체로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판(116)은 삽입 몸체(111)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삽입판은 삽입 중공부(IS)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삽입판(116)의 외주면은, 반원부(116a)와, 직선부(11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선부(116b)는 반원부(116a)의 양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몸체(121)는 삽입 몸체(111)에서 연장되며, 스트랩(strap)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연결 몸체(121)는 스트랩에 의해 감싸지는 연결대(123)를 가질 수 있다.
걸림 유닛(130)은 삽입 유닛(110)의 일부를 수용하여 삽입 유닛(110)과 체결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걸림 유닛(130)은, 걸림 몸체(131), 수용 몸체(136), 그리고 연결 몸체(141)를 가질 수 있다.
걸림 몸체(131)는 걸림 중공부(CS)를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걸림 중공부(CS)는 대체로 삽입판(11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걸림 중공부(CS)의 내주면의 곡률은 반원부(116a)의 곡률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삽입판(116)은 걸림 중공부(CS) 내에서 회전될 수 있어서, 걸림 유닛(130)에 대해 삽입 유닛(110)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 중공부(CS)의 형태에 의해, 걸림 몸체(131)는 대체로 도넛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용 몸체(136)는 걸림 몸체(131)와 함께 삽입 몸체(111)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AS)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수용 몸체(136)는 대체로 걸림 몸체(1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수용 공간(AS)은 걸림 중공부(CS)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 몸체(141)는 걸림 몸체(131) 및 수용 몸체(136)에서 연장되며, 스트랩(strap)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연결 몸체(141)는 스트랩에 의해 감싸지는 연결대(143)를 가질 수 있다.
해제 유닛(150)은 삽입 유닛(110)과 걸림 유닛(130) 간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해제 유닛(150)은, 구체적으로, 누름판(151)을 가질 수 있다. 누름판(151)은 삽입판(116)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걸림 유닛(130)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판재이다.
이상의 삽입 유닛(11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추가로 살펴 본다.
도 3은 도 2의 삽입 유닛(110)을 도 2와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삽입판(116)은 수평부(117a)와, 경사부(117b), 그리고 연결부(117c)를 가질 수 있다.
수평부(117a)의 상면은 누름판(151)을 바라보는 면이다. 이 상면은 삽입 몸체(111)와 대체로 동일한 레벨을 가진다.
경사부(117b)의 상면은 수평부(117a)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수평부(117a)로부터 연장된 부분이다. 경사부(117b)의 하면은 수평부(117a)의 하면과 대체로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연결부(117c)는 삽입 몸체(111)에 대해 삽입판(116)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삽입판(116)의 양 측부가 한 쌍의 직선부(116b)에 의해 정의됨에 의해, 연결부(117c)는 적당히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삽입판(116)에 대해, 굽힘 라인(118)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굽힘 라인(118)은 한 쌍의 직선부(116b)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라인(line)일 수 있다. 굽힘 라인(118)은 수평부(117a)와 경사부(117b)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삽입판(116)은 그의 자유단 측이 눌려지는 경우에, 충분한 길이의 연결부(117c)에 의해 삽입 몸체(111)에 대해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위의 강한 지지에도 불구하고, 삽입판(116)은 굽힘 라인(118)에 의해 하방으로 쉽게 눌려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삽입판(116)이 눌려진 경우, 삽입판(116)은 걸림 중공부(CS)에서 쉽게 이탈하게 한다.
다음으로, 해제 유닛(15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해제 유닛(150)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해제 유닛(150)은, 앞서의 누름판(151)에 더하여, 결합 리브(153), 결합 그루브(154), 지지 리브(156), 자세유지 돌기(157), 안착홈(158), 후크(161), 및 후크홈(162)을 가질 수 있다.
결합 리브(153)는 누름판(151)에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결합 리브(153)는 누름판(151)의 일 단부 측에서, 그 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합 그루브(154)는 결합 리브(153)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결합 그루브(154)는 수용 몸체(136)에 결합 리브(153)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그루브(groove)이다.
지지 리브(156)는 결합 그루브(154)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누름판(151)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 리브(156)는 수용 공간(AS)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리브(156)의 높이는 걸림 유닛(130)의 높이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자세유지 돌기(157)는 누름판(151)에서 돌출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자세유지 돌기(157)는 결합 리브(153)의 양단부의 전방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안착홈(158)은 자세유지 돌기(157)에 대응하여 지지 리브(156)에 형성되는 오목한 구성이다. 안착홈(158)은 자세유지 돌기(157)에 대응하여, 지지 리브(156)의 양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161)는 누름판(151)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을 위한 돌기이다. 후크(161)는 누름판(151) 중 결합 리브(153)가 형성된 단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홈(162)은 후크(161)에 대응하여 수용 몸체(136)에 형성되는 걸림을 위한 홈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누름판(151)이 수용 몸체(136)에 외팔보로 연결되기 위해서, 먼저 결합 리브(153)가 결합 그루브(15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누름판(151)에 형성된 자세유지 돌기(157)는 안착홈(158)에 안착되기에, 누름판(151)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정 자세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후크(161)가 후크홈(162)에 끼워져 걸리게 되면, 누름판(151)은 걸림 중공부(CS)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161)와 후크홈(162)의 체결은, 결합 리브(153)가 결합 그루브(154)에 삽입되는 중에 달성된다.
이러한 결합에 있어서, 결합 리브(153)와 결합 그루브(154) 사이에는 접착제가 발라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그들을 초음파를 이용해 부분적으로 녹여서 서로 접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결합 리브(153)와 결합 그루브(154) 간의 결합에 있어 후크(161)와 후크홈(162) 간의 결합을 더하게 되면, 위와 같은 본딩이나 초음파의 이용 없이도 누름판(151)이 수용 몸체(136)에 기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의 작동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1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4)을 참조하면, 삽입 유닛(110)은 걸림 유닛(130)의 수용 공간(AS)으로 삽입 방향(I)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삽입 몸체(111)와 삽입판(116)은 수용 공간(AS)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삽입판(116)은 그의 자유단이 도면상 상측으로 편향되어 있기에, 걸림 유닛(130)이 한정하는 걸림 중공부(CS)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삽입 유닛(110)이 걸림 유닛(130)에 대해 삽입 방향(I)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져도, 삽입판(116)의 자유단은 걸림 중공부(CS)를 한정하는 걸림 몸체(131)에 걸리게 된다. 그에 의해, 삽입 유닛(110)이 걸림 유닛(13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삽입 유닛(110)을 걸림 유닛(13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제 유닛(150)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제 유닛(150)의 누름판(151)이 누름 방향(F)으로 눌려지면, 누름판(151) 아래의 삽입판(116)도 눌려진다. 그에 의해, 삽입판(116)이 걸림 중공부(CS)에서 이탈하게 되면, 삽입 유닛(110)이 삽입 방향(I)의 반대로 당겨짐에 따라 그는 걸림 유닛(1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누름판(151)은, 결합 리브(153)가 결합 그루브(154)에 안착된 상태이고, 또한 후크(161)가 후크홈(162)에 걸린 상태여서, 수용 몸체(136)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나아가, 누름판(151)은 지지 리브(156)에 의해 지지되기에, 누름 방향(F)으로 누름판(151)에 가해지는 힘에도 안정적으로 외팔보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다른 형태의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200)에 대해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 중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된 구성은 대응되는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2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200)은, 삽입 유닛(210), 걸림 유닛(230), 해제 유닛(250), 그리고 제한 유닛(270)을 가질 수 있다.
삽입 유닛(210), 걸림 유닛(230), 및 해제 유닛(250)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들과 대체로 동일하다.
제한 유닛(270)은 해제 유닛(25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누름판(251)에 대한 누름 조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한 유닛(270)은 누름판(25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한판(275)을 가질 수 있다.
제한판(275)은 그의 일 단부 측의 영역으로서, 걸림 몸체(231)에 위치하기도 하는 제한부(275a)를 가질 수 있다. 제한부(275a)가 걸림 몸체(231) 위에 위치하게 되면 제한판(275)은 '누름 제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한부(275a)가 걸림 몸체(231)에서 벗어나 누름판(251) 위에 위치한다면, 제한판(275)은 '누름 허용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한 유닛(270)을 조작하여 그를 누름 제한 위치에 두느냐 누름 허용 위치에 두느냐에 따라, 누름판(251)이 눌려지지 않거나 반대로 눌려질 수 있다. 이는, 누름판(251)에 의한 삽입 유닛(210)과 걸림 유닛(230) 간의 결합의 해제의 가부로 연결된다.
이상의 제한 유닛(270)의 구체적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해제 유닛(250)과 제한 유닛(270)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한 유닛(270)은, 앞서의 제한판(275)에 더하여, 레일(271), 슬라이더(273), 정지 돌기(277), 및 정지 홈(279)을 가질 수 있다.
레일(271)은 누름판(251)에 형성된 개구부(251a)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271)은 제한판(275)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273)는 레일(27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슬라이더(273)는 제한판(275)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73) 역시 제한판(275)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정지 돌기(277)는 누름판(251)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정지 돌기(277)는 개구부(251a)에 위치할 수 있다.
정지 홈(279)은 제한판(275)에 정지 돌기(277)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정지 홈(279)은 제한판(275)이 누름 제한 위치와 누름 허용 위치에 위치할 때, 정지 돌기(277)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200)의 작동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6의 라인(Ⅷ-Ⅷ)을 따라 취한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2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200)에 있어서, 삽입 유닛(210)과 걸림 유닛(230) 간의 결합, 그리고 해제 유닛(250)의 기본적 작동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해제 유닛(250)의 누름판(251)은 제한 유닛(270)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에의 그것과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한 유닛(270)의 제한판(275)의 제한부(275a)가 걸림 몸체(231) 위에 있는 경우는, 누름판(251) 및 제한판(275)은 한 덩어리로서 걸림 몸체(231)에 걸린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누름판(251) 또는 제한판(275)을 누름 방향(F)으로 눌러도, 누름판(251)은 삽입판(216)을 누를 수 없게 된다. 이는 누름판(251)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눌려져서, 삽입 유닛(210)과 걸림 유닛(230)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제한판(275)이 슬라이드 방향(S)으로 후퇴되면, 정지 돌기(277)는 본 도면에서 정지 홈(279)이 아닌 다른 정지 홈(279)에 수용된다. 또한, 제한판(275)의 제한부(275a)는 걸림 몸체(231)에서 이탈되어 누름판(251) 위에만 위치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한판(275)이나 누름판(251)이 누름 방향(F)으로 눌려지게 되면, 누름판(251)은 걸림 몸체(231)에 걸리지 않고 삽입판(216)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200: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110,210: 삽입 유닛
111,211: 삽입 몸체 116,216: 삽입판
130,230: 걸림 유닛 131,231: 걸림 몸체
136,236: 수용 몸체 150,250: 해제 유닛
151,251: 누름판 153,253: 결합 리브
154,254: 결합 그루브 156,256: 지지 리브
157,257: 자세유지 돌기 158,258: 안착홈
161,261: 후크 162,262: 후크홈

Claims (19)

  1. 삽입 중공부를 한정하는 삽입 몸체와, 상기 삽입 중공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삽입 몸체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삽입판을 가지는 삽입 유닛;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중공부를 한정하는 걸림 몸체와, 상기 걸림 몸체와 함께 상기 삽입 몸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몸체를 가지는 걸림 유닛; 및 상기 삽입판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걸림 유닛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해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누름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리브; 및 상기 결합 리브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몸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 리브가 안착되는 결합 그루브를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는, 원형 판재이고,
    상기 삽입판의 외주면은,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의 양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로 이루어지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부의 곡률의 크기는,
    상기 걸림 중공부의 내주면의 곡률의 크기 이하인,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상기 한 쌍의 직선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오목 형성되는 굽힘 라인을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상기 삽입 몸체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삽입 몸체와 동일한 레벨을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굽힘 라인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결합 그루브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지지 리브에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누름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자세유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지지 리브의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세유지 돌기는,
    상기 한 쌍의 안착홈에 대응하여 상기 누름판의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수용 몸체에 형성되는 후크홈; 및
    상기 누름판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홈에 걸리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에 상기 걸림 몸체 위에 위치하는 누름 제한 위치와 상기 누름판 위에 위치하는 누름 허용 위치 간에 이동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누름판이 상기 삽입판을 누르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누름판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며, 상기 누름 제한 위치에서 상기 걸림 몸체 위에 놓이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제한판을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누름판에 외팔보로 연결되는 정지 돌기; 및
    상기 제한판에 상기 정지 돌기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한판이 상기 누름 제한 위치와 상기 누름 허용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정지하게 하는 정지 홈을 더 포함하는,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001082A 2015-01-06 2015-01-06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KR10164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82A KR101645604B1 (ko) 2015-01-06 2015-01-06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82A KR101645604B1 (ko) 2015-01-06 2015-01-06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37A KR20160084637A (ko) 2016-07-14
KR101645604B1 true KR101645604B1 (ko) 2016-08-08

Family

ID=5649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82A KR101645604B1 (ko) 2015-01-06 2015-01-06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984B1 (ko) 2016-07-05 2018-05-04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CN108703789A (zh) * 2018-08-03 2018-10-26 六安市人民医院 一种定时脱离卡扣及包含该卡扣的安全止血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7725A (en) 1993-08-30 1996-07-23 Ykk Corporation Releasable catch for holding together two complementary parts of a flexible article
JP3072829B2 (ja) * 1994-12-27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液晶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733Y2 (ko) * 1987-09-30 1993-10-15
JPH0634665B2 (ja) * 1989-08-11 1994-05-11 光正 佐藤 定水位給排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開放型定水位水循環装置
JPH0728427U (ja) * 1993-04-08 1995-05-30 三岩 徐 鞄等のベルト用錠掛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7725A (en) 1993-08-30 1996-07-23 Ykk Corporation Releasable catch for holding together two complementary parts of a flexible article
JP3072829B2 (ja) * 1994-12-27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液晶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37A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966B2 (en) Hanger device
JP5544019B2 (ja) カムロックバックル
JP4502213B2 (ja) バックル
US10194715B2 (en) Shoelace binding device
US8281464B2 (en) Buckle
US20150093182A1 (en) Fixing device for adjusting a telescoping arrangement
US9113680B2 (en) Buckle
KR102082439B1 (ko) 이중 잠금 버클 조립체
CN114667080B (zh) 磁性带扣
CN103763986A (zh) 抽屉
US9936771B2 (en) Buckle
KR101645604B1 (ko)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TWI603688B (zh) buckle
US9822914B2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US9700108B2 (en) Coupler
KR101374503B1 (ko) 마포걸레용 홀더
US20160374436A1 (en)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KR101069091B1 (ko) 버클
JP6462510B2 (ja) バックル
US20130091671A1 (en) Front Release Buckle
KR200467918Y1 (ko) 착탈이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바퀴
US8464406B2 (en)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JP2009056302A (ja) バックル
US20190383036A1 (en) Device for fastening a finishing strip
KR101720833B1 (ko) 바지걸이용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