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348B1 -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348B1
KR101744348B1 KR1020160045136A KR20160045136A KR101744348B1 KR 101744348 B1 KR101744348 B1 KR 101744348B1 KR 1020160045136 A KR1020160045136 A KR 1020160045136A KR 20160045136 A KR20160045136 A KR 20160045136A KR 101744348 B1 KR101744348 B1 KR 101744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ilm
windshield
vehicle
wound
hous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04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60J11/025Covers wound on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vehicle parts, e.g. for doors,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는: 차량의 앞유리와 후드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권선된 형태로 보관되며 앞유리의 전방으로 전개되어 서리가 앞유리에 형성됨을 방지하는 차단막 및 차단막에 부착되어 차단막과 함께 전개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FROST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겨울철에 차량의 앞유리에 서리 또는 눈얼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차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철에는 아침에 차량의 앞유리에 서리가 끼는 형상이 발생한다. 또는 하늘에서 내린 눈이 앞유리에 쌓이면서 얼어붙는 경우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차량의 앞유리에 발생된 서리 또는 얼은 눈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앞유리에 얼어붙은 서리 및 눈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였을 때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3992호(2003.03.26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서리/안개 제거용 디프로스트 그릴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겨울철에 차량의 앞유리에 서리 또는 눈얼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는: 차량의 앞유리와 후드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권선된 형태로 보관되며 앞유리의 전방으로 전개되어 서리가 앞유리에 형성됨을 방지하는 차단막 및 차단막에 부착되어 차단막과 함께 전개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히터부재는, 면상발열체와 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막에 부착되어 차단막과 함께 권선되거나 펼쳐지며, 앞유리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차단막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와이어 형상의 형상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상유지부재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된 와이어이며, 차단막의 전개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차단막이 권선된 축부재를 회전시키는 전개구동부 및 전개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날씨정보를 입력받으며 제어부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넷 정보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인터넷 정보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전개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앱을 통해 전달받은 날씨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차량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는, 서리나 눈이 내리는 기상조건일 때 차량의 앞유리를 차단막으로 덮은 후, 차단막에 설치된 히터부재를 가동시켜 차량의 앞유리에 서리나 눈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이 하우징부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이 차량의 앞유리 전방으로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에 히터부재와 형상유지부재와 전개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에서 히터부재와 형상유지부재와 전개안내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이 하우징부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이 차량의 앞유리 전방으로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에 히터부재와 형상유지부재와 전개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에서 히터부재와 형상유지부재와 전개안내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1)는, 하우징부(10), 차단막(20), 히터부재(30), 형상유지부재(40), 전개구동부(50), 제어부(60), 무선단말기(61), 차량온도센서(62), 결빙감지센서(63), 입력부(64), 타이머장치(65), 인터넷 정보수신부(66), 개폐구동부(67), 전개안내부(70) 및 가이드부(8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차량(90)의 앞유리(92)와 후드(94)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수납공간(14)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는, 하우징몸체(12)와 축부재(16)와 커버부재(18)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12)는 차량(90)의 앞유리(92) 하단과 후드(94)의 사이에 위치하며, 차량(90)의 내측에 몸체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하우징몸체(12)의 상측에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차단막(20)과 히터부재(30)와 형상유지부재(40)와 전개안내부(7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4)이 구비된다. 하우징몸체(12)는 차량(9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우징몸체(12)의 내측에는 축부재(1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축부재(16)의 외측에 차단막(20)이 권선되며, 축부재(16)의 회전으로 차단막(20)이 차량(90)의 앞유리(92)를 커버하거나, 축부재(16)의 외측에 권선되며 하우징몸체(12)의 내측에 권선된다.
커버부재(18)는 하우징몸체(12)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된 공간을 개폐한다. 커버부재(18)는 하우징몸체(12)의 상측에 힌지 연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하우징몸체(12)의 상측을 개폐한다.
차단막(20)은 하우징부(10)의 내측에 권선된 형태로 보관되며, 차량(90)의 앞유리(92)의 전방으로 전개되어 서리가 앞유리(92)에 형성됨을 방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20)은 휨이 용이하며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따라서 축부재(16)의 외측에 권선되는 동작과, 차량(90)의 앞유리(92)로 전개되어 앞유리(92)의 전방을 커버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부재(30)는 차단막(20)에 부착되어 차단막(20)과 함께 전개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히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재(30)는, 면상발열체와 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면상발열체는 필름에 카본을 도포한 것으로, 탄소가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것을 이용하여 만든 가열체이다. 이러한 면상발열체는 흑연 또는 탄소와 탄소복합재료가 사용되기도 한다. 히터부재(30)는 차단막(20)에 부착되어 차단막(20)과 함께 축부재(16)의 외측에 권선되거나, 차단막(20)과 함께 차량(90)의 앞유리(92) 전방으로 전개된다.
와이어 형상의 형상유지부재(40)는 차단막(20)에 부착되어 차단막(20)과 함께 권선되거나 펼쳐지며, 앞유리(92)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차단막(20)의 형상을 유지시켜준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재(4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된 와이어이며, 차단막(20)의 전개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차단막(20)은 앞유리(92)의 전방에 직사각 형상의 막을 형성하며, 형상유지부재(40)는 앞유리(92)의 전방으로 전개된 차단막(20)의 좌우 양측과 가운데에 위치하며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전개구동부(50)는 하우징부(10)의 측면에 연결되며 차단막(20)이 권선된 축부재(16)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구동부(50)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전개구동부(50)는 모터를 사용하며, 하우징몸체(12)의 측면에 고정된다. 전개구동부(50)의 출력축은 축부재(16)에 연결되므로, 전개구동부(50)의 동작으로 축부재(16)가 회전된다.
제어부(60)는 무선단말기(61)와 타이머장치(65)와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으며, 차량온도센서(62)와 결빙감지센서(63)와 입력부(64)와 인터넷 정보수신부(66)의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어부(60)는 개폐구동부(67)와 전개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는 인터넷 정보수신부(66)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개폐구동부(67)와 전개구동부(50)를 동작시킨다. 인터넷 정보수신부(66)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날씨정보를 입력받으며 제어부(60)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정보수신부(66)를 통해 밤에 눈이 오거나 서리가 내릴 확률이 높으며, 온도가 영하라는 정보를 전달받으면, 제어부(60)는 개폐구동부(67)와 전개구동부(50)를 동작시켜 차량(90)의 앞유리(92)에 차단막(20)을 전개시킨다.
무선단말기(61)는 제어부(60)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앱을 통해 전달받은 날씨정보를 제어부(6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61)는 핸드폰을 사용하며, 핸드폰에 깔린 앱을 통해 서리나 눈이 내리는 날씨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60)로 전달되어 차단막(20)을 전개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무선단말기(61)에 깔린 앱으로 차단막(20)을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으며, 히터부재(3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온도센서(62)는 차량(90)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60)로 전달하므로, 제어부(60)는 차량온도센서(62)의 측정값을 참고하여 차단막(20)을 전개시킬 수 있다.
결빙감지센서(63)는 차량(90)의 외측이나 앞유리(92)와 가까운 차량(90)의 내측에 설치되며, 앞유리(92)에 결빙이 발생함을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결빙감지센서(63)는 앞유리(92)에 광선을 조사하여 앞유리(92)에 결빙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측정하거나, 앞유리(92)의 온도를 광선으로 측정하여 앞유리(92)의 결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입력부(64)는 제어부(6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입력부(64)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제어부(60)로 전달된다. 입력부(64)는 제어부(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입력부(64)를 통해 차단막(20)이 전개되는 조건 및 히터부재(30)의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타이머장치(65)는 제어부(60)와 연결되며, 차닥만이 차량(90)의 앞유리(92)로 전개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경우를 세팅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타이머장치(65)가 10시간으로 세팅된 경우, 차단막(20)이 전개되어 10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차단막(20)이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수납되지 않으면, 타이머장치(65)에 세팅된 시간에 의해 제어부(60)가 동작되어 차단막(20)을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수납시킨다.
모터를 사용하는 개폐구동부(67)는 커버부재(18)의 회전축(72)에 연결되며, 제어부(6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커버부재(18)를 회전시킨다.
전개안내부(70)는 차단막(20)에 연결되며,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전개되어 차량(90)의 앞유리(92) 전방을 커버하는 차단막(20)이 앞유리(92) 전방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차단막(20)의 전개를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안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안내부(70)는 회전축(72)과 안내부재(74)를 포함한다.
회전축(72)은 별도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프링장치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회전축(72)은 축부재(16)에 권선된 차단막(20)과 이격되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측의 외측에 권선된 안내부재(74)는 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차량(90)의 앞유리(92) 전방에 전개된 차단막(20)의 내측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74)는 "V"자 형상을 형성하며, 차단막(2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므로, 차단막(20)이 바람등에 의해 앞유리(9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가이드부(80)는 하우징몸체(12)의 내측에 설치되며, 축부재(16)에 권선된 차단막(20)이 하우징몸체(12)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80)는 가이드판(82)과 지지부재(88)를 포함한다.
가이드판(82)은 차단막(20)의 하부를 지지하며, 하우징몸체(12)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차단막(20)이 앞유리(92)의 전방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차단막(20)의 전개동작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82)은 직선가이드부재(84)와 곡선가이드부재(86)를 포함한다. 직선가이드부재(84)는 축부재(16)의 상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몸체(12)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차단막(20)의 하부를 지지한다.
직선가이드부재(84)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곡선가이드부재(86)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축부재(16)에 권선된 차단막(20)의 상단이 직선가이드부재(84)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직선가이드부재(84)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곡선가이드부재(86)의 안내로 차단막(20)이 직선가이드부재(84)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판(82)은 하우징몸체(12)의 내측에 고정된 지지부재(88)에 의해 지지되며, 차단막(20)의 이동경로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60)는 무선단말기(61)와 차량온도센서(62)와 결빙감지센서(63)와 입력부(64)와 타이머장치(65)와 인터넷 정보수신부(66)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으며, 눈이 내리거나 서리가 내리는 상황이 되면 개폐구동부(67)와 전개구동부(50)를 동작시킨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20)이 하우징부(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어부(60)의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20)이 앞유리(92)의 전방으로 전개된다. 개폐구동부(67)의 동작으로 커버부재(18)가 회전되어 하우징몸체(12)의 상측을 개방시키며, 전개구동부(50)가 동작되어 차단막(20)을 상측으로 전개시킨다.
차단막(20)에는 형상유지부재(40)와 전개안내부(70)의 안내부재(74)가 연결되므로 차량(90)의 앞유리(92) 전방에 차단막(20)이 안정적으로 전개된다.
안내부재(74)는 차단막(20)을 앞유리(92)를 향한 방향으로 당기므로 차단막(20)이 외측으로 꺾이는 현상을 방지하며, 형상유지부재(40)는 차단막(20)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상측으로 펼쳐지며 전개됨을 안내한다.
히터부재(30)로 전기가 공급되면, 히터부재(30)는 열을 발생시켜 앞유리(92)에 서리나 눈이 적층됨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리나 눈이 내리는 기상조건일 때 차량(90)의 앞유리(92)를 차단막(20)으로 덮은 후, 차단막(20)에 설치된 히터부재(30)를 가동시켜 차량(90)의 앞유리(92)에 서리나 눈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10: 하우징부 12: 하우징몸체
14: 수납공간 16: 축부재
18: 커버부재 20: 차단막
30: 히터부재 40: 형상유지부재
50: 전개구동부 60: 제어부
61: 무선단말기 62: 차량온도센서
63: 결빙감지센서 64: 입력부
65: 타이머장치 66: 인터넷 정보수신부
67: 개폐구동부 70: 전개안내부
72: 회전축 74: 안내부재
80: 가이드부 82: 가이드판
84: 직선가이드부재 86: 곡선가이드부재
88: 지지부재 90: 차량
92: 앞유리 94: 후드

Claims (8)

  1. 차량의 앞유리와 후드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권선된 형태로 보관되며, 상기 앞유리의 전방으로 전개되어 서리가 상기 앞유리에 형성됨을 방지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에 부착되어 상기 차단막과 함께 전개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부재는, 면상발열체와 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단막에 부착되어 상기 차단막과 함께 권선되거나 펼쳐지며, 상기 앞유리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상기 차단막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와이어 형상의 형상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된 와이어이며, 상기 차단막의 전개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막이 권선된 축부재를 회전시키는 전개구동부; 및
    상기 전개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차단막이 상기 앞유리의 전방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의 전개를 안내하는 전개안내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에 권선된 상기 차단막이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개안내부는, 상기 축부재에 권선된 상기 차단막과 이격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권선된 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앞유리의 전방에 전개된 상기 차단막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며, "V"자 형상을 형성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날씨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부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넷 정보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정보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개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앱을 통해 전달받은 날씨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차량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KR1020160045136A 2016-04-12 2016-04-12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KR10174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36A KR101744348B1 (ko) 2016-04-12 2016-04-12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36A KR101744348B1 (ko) 2016-04-12 2016-04-12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348B1 true KR101744348B1 (ko) 2017-06-20

Family

ID=5928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136A KR101744348B1 (ko) 2016-04-12 2016-04-12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4140A1 (en) * 2019-01-17 2020-07-22 Devon Loren Barrett Vehicular window accessory
KR20210007969A (ko) * 2018-05-09 2021-01-2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자동차 글레이징 안개 제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98Y1 (ko) * 2004-03-17 2004-06-22 임용빈 차량용 자동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98Y1 (ko) * 2004-03-17 2004-06-22 임용빈 차량용 자동덮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969A (ko) * 2018-05-09 2021-01-2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자동차 글레이징 안개 제거기
KR102649643B1 (ko) * 2018-05-09 2024-03-2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자동차 글레이징 안개 제거기
EP3684140A1 (en) * 2019-01-17 2020-07-22 Devon Loren Barrett Vehicular window access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1193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被覆装置
KR101744348B1 (ko)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JP5949490B2 (ja) 車両用センサ搭載構造及びシステム連携方法
US20170370123A1 (en)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CN207859968U (zh) 用于电驱动车辆的充电设备
KR101295906B1 (ko) 차량 유리의 습기 또는 성에 제거 장치
CA2231844A1 (en) De-icing of satellite antenna with cover
CA2657052C (en) Vehicle de-icing apparatus
JP6653545B2 (ja) ゲート装置
KR101867474B1 (ko) 차량용 외기 온도센서
KR102492856B1 (ko) 라이다센서용 크리너 장치
KR200483008Y1 (ko) 자동차용 서리 방지장치
KR101736063B1 (ko) 차량용 차광장치
US114072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shield heating using carbon nanotube heating pad
US20190283712A1 (en) Vehicle warming system
CN109484305A (zh) 用于处理水分积聚的车辆镜组件
KR102389137B1 (ko) 차량 유리창의 제상장치
KR101764031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그릴의 에어셔터 결빙 방지장치
KR20180088967A (ko) 서리 방지용 블랙박스 케이스
JP3168632U (ja) 駐車車両のヒーター付き退出阻止装置
US9315153B2 (en) Vehicle door with side mirror system
EP4216018A1 (e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with heatable window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KR200219544Y1 (ko) 자동차 유리창 성에 방지덮개
US20210206351A1 (en) System and method to defrost a windshield
JP2004361374A (ja) 屋根積雪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