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79B1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79B1
KR101743579B1 KR1020150159719A KR20150159719A KR101743579B1 KR 101743579 B1 KR101743579 B1 KR 101743579B1 KR 1020150159719 A KR1020150159719 A KR 1020150159719A KR 20150159719 A KR20150159719 A KR 20150159719A KR 101743579 B1 KR101743579 B1 KR 10174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rain
value
sensor unit
strain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776A (ko
Inventor
류준형
황현철
곽재호
오용국
이수형
김재원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9/00Railway vehicle profile gauges; Detecting or indicating overheating of components; Apparatus on locomotives or cars to indicate bad track sections; General design of track recording vehicles
    • B61K9/02Profile gauges, e.g. loading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61H13/30Transmitting mechanisms adjust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 of vehicle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8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train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하중 연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되어 압력에 따라 전기저항 값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한 상기 전기저항 값의 변위값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응하중 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응하중 값을 상기 열차의 추진제어장치 또는 제동장치에 전달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위량으로부터 열차의 하중 변화를 산출하여 응하중 값을 연산할 수 있어, 열차의 구조 상 공기 스프링을 구비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가 직접 하중을 선택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응하중 값을 산출하여 추진제어장치나 제동장치에서 응하중 값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LOAD-COMPENSATING CALCULATION MODULE USING A STRAIN GAUGE AND CALCULATION METHOD FOR CALCULATING LOAD-COMPENSATING THEREOF}
본 발명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철도차량의 경우 대차와 차체 사이의 롤링이나 피칭에 의한 승차감을 완충하고, 승객 탑승 또는 화물 적재에 따른 단차별 중량변화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공기 스프링이 적용되어 있다.
공기 스프링은 압력 변화를 응하중 값으로서 추진제어장치와 제동장치 등에 전달하여, 응하중 값을 전달받은 추진제어장치 및 제동장치가 응하중 값을 기반으로 출력토크를 제어하거나 전체 제동력을 산정한다.
그러나, 저상대차를 이용하는 차량처럼 공기 스프링을 설치할 공간이 확보되지 않거나 공기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는 화차의 경우 공기 스프링의 중량 변화 계측에 따른 응하중 값 산정이 어려우므로, 추진제어장치나 제동장치의 응하중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 스프링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의 응하중 산출이 필요한 실정이며,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하는 구성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37939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에 설치하여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위량으로부터 열차의 하중 변화를 계측함으로써 공기 스프링이 구비되지 않은 차량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용이하게 응하중을 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은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되어 압력에 따라 전기저항 값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한 상기 전기저항 값의 변위값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응하중 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응하중 값을 상기 열차의 추진제어장치 또는 제동장치에 전달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단축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에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3축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전기저항 값을 상기 연산부로 각각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되는 위치 또는 그 재질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하는 전기저항 값은 부착된 위치 및 재질에 따라 구분되어 상기 연산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되는 위치 또는 그 재질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하는 전기저항 값은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연산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를 데이터로 구비하는 데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는 상기 열차의 정하중시험 실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열차가 공차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열차가 운행중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라 전기신호 변위를 산정하며, 상기 열차가 만차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최대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열차의 차체 하중변화에 따른 상대적 응하중 변화 데이터를 산출함으로써 응하중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한 상기 전기저항 값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브릿지 회로인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방법은 (a)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인 센서부가 상기 열차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전기저항 값을 출력하는 단계, (b) 연산부가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센서부의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의 변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전기신호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응하중 값을 산출하여 상기 열차의 추진제어장치 또는 제동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의 상관관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의 상관관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b-1) 상기 열차가 공차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가 출력한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b-2) 상기 열차가 운행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 변위값을 산정하는 단계, (b-3) 상기 열차가 만차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최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b-4) 상기 열차의 차체 하중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응하중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여 응하중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위량으로부터 열차의 하중 변화를 산출하여 응하중 값을 연산할 수 있어, 열차의 구조 상 공기 스프링을 구비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가 직접 하중을 선택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응하중 값을 산출하여 추진제어장치나 제동장치에서 응하중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벙법 중 응하중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을 설명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은 센서부(10), 변환부(20), 연산부(30) 및 데이터부(40)를 포함한다.
센서부(1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로서,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부분에 부착된다.
센서부(10)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부분에 부착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예로써,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중 어느 한 스트레인 게이지가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부분 중 차체의 한 지점에 부착되는 경우, 나머지 스트레인 게이지도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부분 중 차체의 구조적으로 대칭인 한 지점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이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되는 위치 또는 그 재질이 동일하지 않음에 따라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위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어, 상이한 위치 및 재질에 따라 발생하는 변위 차이를 보상해주어야 함에 따른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설치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재질에 설치함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의 설치 위치를 동일한 조건으로 형성한다.
센서부(10)인 적어도 한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는 얇은 필름 위에 전기 저항기를 배합한 것으로, 물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를 측정하며, 인장방향의 변형을 받을 때 합금선의 길이가 증가하여 단면적이 감소되고, 전기저항이 증가한다.
따라서, 센서부(10)인 스트레인 게이지는 외부의 힘에 따라 전기저항 값을 출력하며,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부분에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각각 전기저항 값을 출력한다.
한 예에서, 센서부(10)는 단축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3축(3-axis) 스트레인 게이지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면, 변환부(20)는 센서부(10)와 연결되어 센서부(10)에서 출력한 전기저항 값을 전달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부(20)는 센서부(10)가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일 때, 각각의 스트레인 게이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전기저항 값을 각각 전달받아 전기신호로 각각 변환한다.
이때, 변환부(20)는 브릿지 회로이다.
연산부(30)는 변환부(20)로부터 변환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센서부(10)의 변위량, 즉, 전기저항 변화량을 계측한다.
한 예에서, 변환부(2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는 필터를 통과하여 연산부(30)로 전달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연산부(30)는 필터를 통과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증가분을 계측하여 응하중을 산정한다. 즉, 압력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에 따른 전기신호 값과 압력이 발생했을 때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에 따른 전기신호 값의 차이인 변화량을 계측하는 제1 연산을 수행한다.
연산부(30)가 전기신호 값의 차이인 변화량을 계측함에 있어서,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부분 중에서도 서로 다른 위치 또는 서로 다른 재질에 부착된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전기신호 변화량을 각각 계측하여 이를 해당 스트레인 게이지의 설치 위치 및 재질에 따라 구분하여 데이터부(40)에 저장한다.
좀더 자세하게는, 연산부(30)는 시분할(time division) 방식으로 각각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전기신호 변화량을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부(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때, 연산부(30)는 제1 연산의 수행으로부터 계측된 센서부(10)의 전기신호 변화량을 이용하여 응하중을 산출하는 제2 연산을 수행한다.
센서부(10)의 전기신호 변화량을 이용하여 응하중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연산부(30)는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 이때, 연산부(30)는 데이터부(40)에 이미 저장된 정하중시험 실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산부(30)의 제1 연산 수행결과인 센서부(10)의 전기신호 변화량과 정하중시험 실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하중을 산출하는 제2 연산을 수행하고, 제2 연산 수행 결과인 응하중 산출 값을 추진제어장치 또는 제동장치에 전달한다.
또는, 연산부(30)는 제2 연산 수행 결과인 응하중 산출 값을 데이터부(40)에 저장하여, 추진제어장치 또는 제동장치에서 데이터부(40)에 접근하여 응하중 값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부(40)가 정하중시험 실시 데이터를 구비하지 않거나, 열차 노후로 인해 데이터부(40)에 저장된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가 변동된 경우, 연산부(30)는 차체의 하중변화 데이터를 새로 생성하여 응하중 값을 산출하는 제2 연산을 수행한다.
예로써, 연산부(30)는 열차가 공차인 상태에서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열차가 운행 중인 상태에서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 값을 각각 측정하여 센서부(10)의 부착 위치에 따라 전기신호 변화값의 범위를 산정하며, 열차가 만차인 상태에서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최대값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연산부(30)는 열차가 운행 중인 상태에서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 값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전기신호 변화값의 범위를 산정함에 있어서, 연산부(30)는 열차 운행 중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열차가 정차했을 때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을 전달받는다.
이처럼, 연산부(30)가 열차의 공차 상태, 운행 중 상태 및 만차 상태에서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 값으로부터 응하중 기준 값, 전기신호 변화값의 범위, 그리고 응하중 최대값을 각각 산출하여 차체의 하중변화 데이터를 생성함에 따라, 열차의 차체 하중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응하중 변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연산부(30)는 열차의 차체 하중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응하중 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하중 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이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센서부(10)인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값으로부터 열차의 하부 프레임 변위를 계측할 수 있고, 이를 열차의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에 이용하여 응하중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열차의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데이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하중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응하중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먼저, 센서부(10)가 전기저항을 출력(S10)하고 변환부(20)가 출력 전기저항을 전기신호로 변환(S20)한다.
그런 다음, 연산부(30)가 변환부(20)에서 출력되고 필터부를 거친 전기신호의 변화량인 변위량, 즉, 전기신호의 증가분을 산정(S30)하는 제1 연산을 수행하고, 전기신호의 변위량으로부터 응하중 값을 산출(S40)하는 제2 연산을 수행한다.
이때, 연산부(30)가 응하중 값을 산출하는 제2 연산은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의 상관관계 정보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단계를 수행하는데, 도 3을 참고로 하면, 데이터부(40)에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의 상관관계 정보가 존재 여부를 판단(Q40)하여 해당 내용이 데이터부(40)에 존재하는 경우(YES 화살표), 연산부(30)는 상위 단계(S30)에서 산정된 전기신호의 변위량을 이용하여 응하중 값을 산출한다(S41).
이 단계(S41)에서, 연산부(30)는 데이터부(40)에 저장된 정하중시험 실시 데이터를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의 상관관계 정보로서 활용하여 산정된 전기신호의 변위량을 이용하여 응하중 값을 산출한다.
그러나 이때,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의 상관관계 정보가 데이터부(4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NO 화살표), 연산부(30)는 열차가 공차 상태일 때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신호를 응하중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S421), 열차가 운행 상태일 때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에 따라 전기신호 변위값을 산정하며(S422), 열차가 만차 상태일 때의 센서부(10)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최대 값으로 설정하여(S423) 열차의 차체 하중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응하중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에 따라 응하중 값을 산출한다(S42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센서부 20 : 변환부
30 : 연산부 40 : 데이터부

Claims (13)

  1.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되어 압력에 따라 전기저항 값을 출력하는 센서부, 그리고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한 상기 전기저항 값의 변위값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응하중 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응하중 값을 상기 열차의 추진제어장치 또는 제동장치에 전달하고, 정하중시험 실시 데이터가 구비되지 않거나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가 변동된 경우 상기 열차가 공차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열차가 운행중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라 전기신호 변위를 산정하며, 상기 열차가 만차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최대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열차의 차체 하중변화에 따른 상대적 응하중 변화 데이터를 산출함으로써 응하중 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단축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3축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전기저항 값을 상기 연산부로 각각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되는 위치 또는 그 재질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하는 전기저항 값은 부착된 위치 및 재질에 따라 구분되어 상기 연산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되는 위치 또는 그 재질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하는 전기저항 값은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연산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를 데이터로 구비하는 데이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과의 상관관계는 상기 열차의 정하중시험 실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한 상기 전기저항 값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브릿지 회로인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11. (a) 열차의 차체 하부면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인 센서부가 상기 열차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전기저항 값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b)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의 상관관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수행되는 단계로서, 연산부가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센서부의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의 변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전기신호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열차의 응하중 값을 산출하여 상기 열차의 추진제어장치 또는 제동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열차의 차체 하부 프레임 변위와 하중조건의 상관관계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정하중시험 실시 데이터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b-1) 상기 열차가 공차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가 출력한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b-2) 상기 열차가 운행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 변위값을 산정하는 단계,
    (b-3) 상기 열차가 만차 상태일 때의 상기 센서부의 출력 전기저항 값에 따른 전기신호를 응하중 최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b-4) 상기 열차의 차체 하중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응하중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여 응하중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59719A 2015-11-13 2015-11-13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 KR10174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19A KR101743579B1 (ko) 2015-11-13 2015-11-13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19A KR101743579B1 (ko) 2015-11-13 2015-11-13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776A KR20170056776A (ko) 2017-05-24
KR101743579B1 true KR101743579B1 (ko) 2017-06-07

Family

ID=5905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19A KR101743579B1 (ko) 2015-11-13 2015-11-13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089A (ja) * 2002-04-18 2003-11-06 Tokyo Sokki Kenkyusho Co Ltd ひずみゲー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089A (ja) * 2002-04-18 2003-11-06 Tokyo Sokki Kenkyusho Co Ltd ひずみゲ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776A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0620B (zh) 一种中长索的变边界索力识别方法
KR101166321B1 (ko)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차량 중량과 타이어의 압력을 표시하는 방법
CN109305049B (zh) 一种车辆起步控制方法及装置
JP6741744B2 (ja) 加速度センサを備えるwimセンサ、並びにwimセンサを使用してたわみ及び存在を測定する方法
JP2020046204A5 (ko)
RU276648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угловой скорости ос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80122425A (ko) 부품의 순간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 측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자동차
KR101743579B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하중 연산 모듈 및 응하중 연산 방법
JP4713863B2 (ja) タイヤセンサユニット、タイヤ状態検出装置及びタイヤ
JP4833196B2 (ja) センサ異常判定装置及びセンサ異常判定方法
US7359818B2 (en) Sensor apparatus,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nd offset correction method
JPWO2015155956A1 (ja) 歪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荷重検出装置
JP4033119B2 (ja) 材料の試験方法、材料試験機
CN215114807U (zh) 一种吊耳称重传感器
JP2000095075A (ja) 踏力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レーキ装置の性能評価装置
US20100300190A1 (en) Monocoque of vehicle capable of detecting strain
RU11164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механических напряжений
US9697866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itch and roll torques
JP4844472B2 (ja) 電気慣性制御応答の評価方法
JP2007198741A (ja) 軌条車両の過荷重検出方法及び装置
KR101104330B1 (ko) 차량 하중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674416B1 (ko)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US20230392973A1 (en) Intelligent digital load cell transducer
RU2395062C1 (ru) Способ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процесса загруз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вес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3240505A (ja) ひずみ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