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149B1 - 문서 파쇄 차량 - Google Patents

문서 파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149B1
KR101743149B1 KR1020150078314A KR20150078314A KR101743149B1 KR 101743149 B1 KR101743149 B1 KR 101743149B1 KR 1020150078314 A KR1020150078314 A KR 1020150078314A KR 20150078314 A KR20150078314 A KR 20150078314A KR 101743149 B1 KR101743149 B1 KR 101743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guide
collection box
vehicl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502A (ko
Inventor
이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Priority to KR102015007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14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2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chains or toothed belts, belts in the form of links; Chains or belts specially adapted to such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 파쇄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정보가 기록된 문서, 대외비 문서등의 보안 문서나 이러한 보안 문서의 내용이 기록된 CD-ROM, DVD-ROM,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등의 전자 기록 매체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를 구비한 문서 파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은 폐기할 문서를 파쇄하는 파쇄기구부, 상기 파쇄기구부를 수용하는 파쇄실, 상기 파쇄기구부에서 파쇄된 문서칩을 적재하는 적재실, 폐기할 문서가 담긴 문서 수거함을 장착하는 거치프레임과 상기 거치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브라켓을 포함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일측방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상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서 파쇄 차량{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본 발명은 문서 파쇄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정보가 기록된 문서, 대외비 문서 등의 보안 문서나 이러한 보안 문서의 내용이 기록된 CD-ROM, DVD-ROM,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전자 기록 매체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를 구비한 문서 파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 기업이나 관공서에서 취급하는 많은 문서들은 외부에 공개되어서는 안되는 보안 문서들이 많다. 이들 보안 문서들은 통상 그 보안 등급에 따라 일정한 보관기간이 정해지고 보관기간이 만료된 문서들은 정해진 절차에 따라 폐기하게 된다.
많은 기업이나 관공서에서는 사무실 내에 자체적으로 파쇄기(세절기)를 구비하여 보안 문서 파쇄 작업을 하기도 하지만, 보관 기간이 만료된 문서가 대량으로 배출될 때는 자체 인력이나 장비로 파쇄 작업을 하기 어려워 보안 문서 파쇄를 전문적으로 하는 외부 업체에 용역을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보안 문서 파쇄 전문 업체들은 문서 파쇄기가 설치된 차량을 이용하여 의뢰 업체의 사업장 현장에서 문서 파쇄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보안 문서를 수거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파쇄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종래 보안 문서 파쇄 전문 업체들이 이용하는 문서 파쇄 차량의 일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79294호는 『차량에 탑재되어 문서를 파쇄하도록 된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에서 배출된 종이칩을 수용하는 적재함을 포함하는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파쇄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파쇄된 종이칩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내측에는 파쇄할 문서를 유도하는 제 2 유도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2 유도부재의 일측단부에는 이동판부재가 구비된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투입구 하부에 평행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일측면에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한쌍의 구동축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이동판부재 일측단에 연결되며 타측단에는 상기 구동축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부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부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설치되는 링크수단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서로 맞물리도록 된 다수의 커터날과 상기 다수의 커터날의 양 측면과 본체케이스 내측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홈부에 설치되어 문서가 커터날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배출구 내부에는 파쇄된 문서를 적재함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동력장치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파쇄된 문서를 적층하는 적재함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는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문서 수거함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승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승강장치는 파쇄할 문서가 담긴 문서 수거함을 들어올리면서 수거함이 옆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파쇄할 문서를 파쇄기로 쏟아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이에 개시된 동력장치는 모터와 기어 체인을 이용해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문서 수거함의 무게가 큰 경우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개시된 동력장치는 승강장치의 양측에 모두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 컨테이너의 공간 활용을 제약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개시된 동력장치와 같이 승강장치의 양측에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모터의 회전속도가 다를 경우 승강동작이 안정적이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칠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79294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문서 수거함 승강장치에 구동력이 큰 동력장치를 제공하여 무거운 문서 수거함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문서 파쇄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는 동력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량 컨테이너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문서 파쇄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은 폐기할 문서를 파쇄하는 파쇄기구부, 상기 파쇄기구부를 수용하는 파쇄실, 상기 파쇄기구부에서 파쇄된 문서칩을 적재하는 적재실, 폐기할 문서가 담긴 문서 수거함을 장착하는 거치프레임과 상기 거치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브라켓을 포함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일측방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상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장치는 유압 작용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 상단에 설치되는 풀리와, 일단부는 상기 문서 파쇄 차량 내에 고정되는 고정단부를 이루고 타단부는 상기 승강장치에 연결되어 운동하는 이동단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단부와 상기 이동단부 사이는 상기 풀리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롤러체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피스톤 로드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피스톤 로드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하는 가이드홈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은 그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방 안쪽면에서 돌출되어 문서 수거함 바퀴의 전면과 윗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측돌출부와,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문서 수거함의 본체함 상단부 림에 끼워지는 걸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받침판 앞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과 상기 승강브라켓을 결합하는 경첩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문서 파쇄 차량은 상기 승강장치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봉과, 상기 수직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수직가이드봉측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가이드봉에 외주면이 접촉되어 회전하는 둘 이상의 승강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에 따르면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동력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승강장치에 강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력장치에서 발생하는 힘이 롤러체인과 벨트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승강장치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은 구동장치가 승강장치의 일측면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반대편 측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은 구동장치가 승강장치의 일측면에만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종래 두 개의 모터를 사용시 각각의 모터를 균일하게 제어해야 하는 부담을 제거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파쇄 차량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의 승강장치와 동력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의 거치프레임과 승강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의 승강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의 동력장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의 승강장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 문서 파쇄 차량과 함께 사용되는 통상의 문서 수거함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100)은 탑차 형태의 트럭으로 만들어진다. 문서 파쇄 차량(100)은 이동시 운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통상의 운전수단이 구성되는 캐빈(110)과 그 뒤쪽에 커다란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12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120)는 차종 및 톤수에 맞게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톤수가 크면 그에 따라 컨테이너(120)의 용량도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120)는 격벽(121)에 의해 그 내부가 구획된다. 구획된 일 구역중 캐빈(110)에 인접한 구역이 문서 파쇄 작업을 수행하는 파쇄실(122)을 이루고, 차량(100)의 후미에 위치되는 다른 일 구역은 파쇄된 문서칩을 적재하는 공간으로 상용하는 적재실(123)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100)은 개인정보, 대외비 등이 기록된 보안 문서 뿐만 아니라 보안 문서의 내용을 전자적 형태로 저장하는 CD-ROM, DVD-ROM,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등의 여하한 전자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보안 문서나 전자 기록 매체 이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물체를 파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을 통칭하여 “보안 문서”라고 한다.
파쇄실(122) 내부에는 파쇄할 보안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부(131)와 투입된 보안 문서가 아래로 모이도록 안내해주는 가이드(132)가 구성된다. 가이드(132) 아래쪽에는 보안문서를 파쇄하는 파쇄기구부(200)가 구성된다. 가이드(132)는 투입된 보안 문서를 파쇄기구부(200) 쪽으로 안내한다. 파쇄기구부(200)는 투입된 보안문서를 소정의 크기로 세단하여 배출한다. 이하에서는 세단하여 배출된 보안 문서를 문서칩이라 한다.
파쇄기구부(200) 전방에는 파쇄할 보안문서를 파쇄기구부(200) 쪽으로 밀어주는 가압기구부(140)가 구성되다. 가압기구부(140)는 보안 문서들을 밀어주는 가압판(141)과 유압실린더와 같은 동력 수단을 이용하여 가압판(141)을 거동시켜주는 가압구동부(142)를 포함한다.
파쇄기구부(200) 아래에는 파쇄된 문서칩을 적재실(123)로 보내주는 이송기구부(150)가 구성된다. 이송기구부(150)는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멀어지면서 회전하는 날개가 형성된 이송스크류(151)와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2)를 포함한다. 파쇄된 문서칩이 이송스크류(151) 주위에 쌓이면 구동모터(152)가 동작하여 이를 적재실(123) 쪽으로 배출한다.
도2 및 도3를 참조하면, 컨테이너(120)의 한쪽 측편에는 보안 문서가 담긴 문서 수거함(10)을 들어 올려주는 승강장치(300)가 구성된다. 승강장치(300)는 파쇄실(122) 양측면 중 한쪽 측면에 배치된다. 승강장치(300) 옆에는 동력을 발생시켜 승강장치(300)에 상하 운동을 유발하는 동력장치(400)가 배치된다. 동력장치(400)는 승강장치(300)의 일측편, 즉 캐빈(110)에 인접한 컨테이너(120) 내부 최전방에 설치된다.
승강장치(300)는 문서 수거함(10)이 이탈되지 않고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 프레임(310)과 이 거치프레임(31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동력장치(400)로 부터 상하 운동력을 전달받는 승강브라켓(320)을 포함한다.
한편, 문서 수거함(10)은 통상의 쓰레기통이나 분리수거함이 폐문서 수집 용도로 이용된 것이다. 도10를 참조하면 이러한 문서 수거함(10)은 직사각 기둥형태를 가지며 상부에 뚜껑(11)이 있고, 그 아래 통 형태의 본체함(12)이 구성된다. 본체함(12) 아래의 후방 좌우 양측에는 바퀴(13)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문서 수거함(10)을 옮기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함(12) 상단의 둘레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절곡된 림(12a)이 형성되어 있다. 문서 수거함(10)은 통상 120리터 또는 240리터 용량을 가지며, 여기에 폐기할 보안 문서를 담으면 수십내지 1백킬로그램 이상의 무게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거치프레임(3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문서 수거함(10)은 거치프레임(310)에 안착되는데, 거치프레임(310)에는 문서 수거함(10)을 받쳐 줄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판(311)을 갖는다. 받침판(311) 둘레에는 문서 수거함(10) 하부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판(312)과 문서 수거함(10) 하부 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전면판(313)이 구성된다. 전면판(313)과 마주보는 반대편은 문서 수거함(10)을 인입하기 용이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측판(312)의 후방 안쪽에는 문서 수거함(10)의 바퀴(13)를 수용하면서 바퀴(13) 외부 둘레를 감싸주도록 바퀴수용부(314)를 형성하는 내측돌출부(312a)가 구성된다. 내측돌출부(312a)는 후방으로 개방된 기역자 형태('ㄱ')로 만들어진다. 다만 그 형상이 도면상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방으로 개방되면서 바퀴(13)의 전면과 상면을 둘러쌓는 다른 여하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치프레임(310)의 전면 양측 모서리에는 받침판(31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수직바(315)와 수직바(315)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바(316)가 구성된다. 그리고 수직바(315)와 측판(312) 후방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경사바(317)도 구성된다. 경사바(317)는 문서 수거함(10)의 중량에도 불구하고, 거치프레임(310)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수평바(316)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걸이부(318)가 형성된다. 걸이부(318)는 문서 수거함(10)의 본체함(12) 상단 림(12a)의 안쪽에 끼워지도록 걸린 상태에서 문서 수거함(10)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시된 걸이부(318)는 산과 골이 다수 형성된 형태를 가지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림(12a) 안쪽에 끼워져 걸릴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여하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평바(316)의 한쪽 측부에는 수평바(316)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가이드 롤러(319)가 설치된다. 가이드 롤러(319)는 거치프레임(310)이 상하 운동할 때 그 상부를 기울여 줄 수 있도록 운동을 안내하는 요소로써 그 상세한 작용에 대하여는 후술 하도록 한다.
다음은 승강브라켓(3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브라켓(320)은 동력장치(400)로부터 상하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상술한 거치프레임(310)은 이 승강브라켓(320)에 결합되어 함께 상하 운동한다. 거치프레임(310)은 상승 운동할 때 그 상부가 상술한 파쇄기구부(200)쪽으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승강브라켓(3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브라켓(320)은 거치프레임(310)의 전면판(313) 바깥면에 두 개의 경첩(301)에 의해 결합된다. 경첩(310)의 개수나 결합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거치프레임(310)의 크기나 문서 수거함(10)의 크기 중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승강브라켓(320)에는 거치프레임(310)을 향하는 면에 경첩(301)이 체결되는 연결부(321)와 연결부(321) 양측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322)이 구성된다. 연결부(321)는 폭이 좁은 기다란 평판 형태를 가지나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연결부(321)는 그 양단부에서 지지프레임(322)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100)에는 승강브라켓(32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봉(14)이 구성되며, 이 수직가이드봉(14)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운동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330)가 구성된다. 수직가이드봉(14)은 동력장치(400)의 양 옆에 배치되며 컨테이너(120) 안에서 상하 양단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가이드(330)는 평판 형태의 바디(331)와 바디(331)의 양측에서 수직가이드봉(14) 방향으로 안쪽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332)를 포함한다. 절곡부(332) 안쪽에는 다수 개의 승강가이드롤러(333)가 설치된다. 승강가이드롤러(333)는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이 수직가이드봉(14)에 접한다. 다수의 승강가이드롤러(333)는 수직가이드봉(14)의 양측으로 나누어져 배치되며 한 쌍이 서로 같은 높이에서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엇갈려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승강가이드(330)는 이들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바(340)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바(340)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승강가이드(330)의 일측부에서 이들을 서로 결합한다. 이들은 용접, 볼트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연결바(340)의 상단에는 후술할 동력장치(400)의 롤러체인(430)일 단부가 고정되고, 이 롤러체인(430)을 통해 승강 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연결바(340)에서 승강가이드(330)이 결합되지 않은 다른 일면에는 상술한 승강브라켓(320)의 일측면이 결합된다. 이들은 용접, 볼트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술한 승강가이드(330), 연결바(340), 승강브라켓(320), 거치프레임(310)은 모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체인(430)이 연결바(340)를 승강시킬 때 함께 움직이게 된다.
다음은 도3 및 도6을 참조하여 동력장치(400)와 그 주변 구성을 설명한다. 동력장치(400)는 통상의 유압실린더(410)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410)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차량에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유압 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다. 유압실린더(410)의 상단에는 유압의 작용으로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411)가 구성된다. 피스톤 로드(411)의 상단에는 회전운동하는 풀리(420)와 이 풀리(420)의 회전축을 지지해주는 지지부(421)가 구성된다. 또한, 동력장치(400)에는 피스톤 로드(411)의 상하 운동시 승강장치(300)를 상하 거동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체인(430)이 구성된다. 롤러체인(430)은 일단부가 상술한 승강장치(300)의 연결바(340)에 연결되어 이동단부(431)를 이루고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른 일단부는 컨테이너(120) 내에 고정된 고정단부를 이루고 있다. 롤러체인(430) 양단부 사이 중간 부분은 피스톤 로드(411) 상단의 풀리(420)에 걸쳐져 있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411)가 롤러체인(430)의 중간부분을 밀어 올리면 이동단부(431)가 따라 올라가면서 승강장치(300)를 들어올리게 된다. 도시된 롤러체인(430)은 1열로 이루어져 있으나 많은 하중이 걸리는 경우는 2열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동력장치(400)는 종래 선행기술에 언급된 동력장치의 모터보다는 매우 강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터(410)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안 문서가 적재된 문서 수거함(10)의 무게가 수십킬로그램 이상이어도 승강 동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력장치(400)에서는 일반적인 움직도르래의 원리를 응용한 롤러체인(430)과 풀리(420)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유압실린더(410)에서 승강 하중의 절반에 해당하는 힘만 발생시키면 승강 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 승강 하중은 문서 적재함(10)과 승강장치(300)의 무게를 포함하여 롤러체인(430)의 이동단부(431)에 작용하는 하중을 말한다.
피스톤 로드(411) 양측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440)가 구성된다. 가이드바(440)에는 그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44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441) 내에는 피스톤 로드(411) 상부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축(422)상에서 회전하는 가이드홈롤러(450)가 구성된다. 피스톤 로드(441)는 상하 운동 할 때 승강 하중의 작용에 의해 측방향으로 큰 힘을 받게 되므로, 이러한 환경에서 상술한 가이드바(440), 가이드홈(441), 가이드홈롤러(450) 구성은 피스톤 로드(441)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작용을 한다.
다음은 도7 내지 도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에 있어서 승강 장치(300)의 승강 동작에 따라 문서 수거함(10)의 보안 문서를 문서 투입부(131)로 투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승강장치(300)는 상술한 거치프레임(310), 승강브라켓(320), 승강가이드(330), 연결바(340)등 일체로 승강하는 구성부분을 말한다. 도7은 거치프레임(310)이 가장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문서 수거함(10)이 거치프레임(310) 내부로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파쇄실(122) 내에는 거치프레임(310)이 상승될 때 그 상부가 투입부(131)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울임봉(15)이 설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거치프레임(310) 상단의 가이드롤러(319)가 기울임봉(15) 안쪽에 걸리게 된다. 가이드 롤러(319)는 기울임봉(15)을 따라 운동하면서 거치프레임(310)의 상단을 투입부(131) 쪽으로 기울이는 작용을 한다.
동력장치(400)를 구동하여 거치프레임(310)을 들어올려주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가 투입부(131) 방향으로 서서히 기울어지면서 상승하게 되고, 거치프레임(310)이 최상단에 도달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가 아래로 뒤집어져 문서 수거함(10)의 뚜껑(11)이 개방되고, 내부에 있던 파쇄할 보안 문서가 투입부(131)로 쏟아진다. 한편, 이때 문서 수거함(10)의 바퀴(13)는 내측돌출부(312a)에 걸려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문서들만 쏟아지고 문서 수거함(10)은 거치프레임(3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측돌출부(312a) 구조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종래 특허에 개시된 걸림편에 비하여 문서수거함(1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거치프레임(310)이 뒤집어진 상태에서도 문서 수거함(10)이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해 준다. 종래 특허의 걸림편은 바퀴의 중심축을 걸림편에 끼워 맞춰야 하는 형태였으나, 본 발명의 내측돌출부(312a)는 바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끼워 맞춤등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문서 파쇄 차량(100)에 있어서 차량의 이동중에는 도9과 같이 거치프레임(310)을 최상단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컨테이너(120)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25, 도2 참조)를 닫아 승강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문서수거함
100 문서 파쇄 차량
110 캐빈
120 컨테이너
150 이송기구부
200 파쇄기구부
300 승강장치
310 거치프레임
320 승강브라켓
330 승강가이드
340 연결바
400 동력장치
410 유압실린더
420 풀리
430 롤러체인
440 가이드바
450 가이드홀롤러

Claims (7)

  1. 차량의 운전 수단이 구비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후방에서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캐빈에 인접한 전방에 형성되며 문서를 파쇄하는 파쇄기구부가 수용되는 파쇄실과, 상기 파쇄실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파쇄기구부에서 파쇄된 문서칩을 적재하는 적재실로 구획되고,
    상기 파쇄실의 한쪽 측편에 설치되어 파쇄할 문서가 담기는 문서 수거함을 들어올려주며, 문서 수거함이 들어올려질때 그 상부가 아래로 뒤집혀 담긴 문서가 상기 파쇄기구부로 쏟아지도록 승강하는 승강장치와,
    상기 파쇄실 내부에서 상기 캐빈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문서 수거함이 상승하면서 기울어질 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승강장치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문서 수거함을 거치하는 거치프레임과, 문서 수거함이 들어올려지면서 기울어질 때 그 회전 중심이 문서 수거함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거치프레임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파쇄실 내부에서 상기 캐빈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이 승강할 때 상기 거치프레임의 기울어짐을 가이드하는 기울임봉과,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기울임봉의 안쪽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유압 작용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 상단에 설치되는 풀리와,
    일단부는 상기 문서 파쇄 차량 내에 고정되는 고정단부를 이루고 타단부는 상기 승강장치에 연결되어 운동하는 이동단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단부와 상기 이동단부 사이는 상기 풀리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롤러체인을 포함하는 문서 파쇄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피스톤 로드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피스톤 로드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하는 가이드홈롤러를 더 포함하는 문서 파쇄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그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방 안쪽면에서 돌출되어 문서 수거함 바퀴의 전면과 윗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측돌출부와,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문서 수거함의 본체함 상단부 림에 끼워지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받침판 앞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과 상기 승강브라켓을 결합하는 경첩을 더 포함하는 문서 파쇄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파쇄 차량은 상기 승강장치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봉과,
    상기 수직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문서 파쇄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수직가이드봉측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가이드봉에 외주면이 접촉되어 회전하는 둘 이상의 승강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 차량.
KR1020150078314A 2015-06-03 2015-06-03 문서 파쇄 차량 KR10174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314A KR101743149B1 (ko) 2015-06-03 2015-06-03 문서 파쇄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314A KR101743149B1 (ko) 2015-06-03 2015-06-03 문서 파쇄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02A KR20160142502A (ko) 2016-12-13
KR101743149B1 true KR101743149B1 (ko) 2017-06-02

Family

ID=5757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314A KR101743149B1 (ko) 2015-06-03 2015-06-03 문서 파쇄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559A (ko) * 2020-09-18 2022-03-25 이영식 포트 충전용 상토 리프트 분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7370B (zh) * 2017-05-12 2019-05-17 于海峰 一种用于建筑材料检测可移动实验室
KR102126463B1 (ko) * 2019-08-05 2020-06-25 (주)유이엔티 스팀과 고주파를 이용한 의료폐기물 처리장치
CN110884919A (zh) * 2019-12-24 2020-03-17 哈工大机器人(岳阳)军民融合研究院 物料破碎装置
CN112791814A (zh) * 2021-02-05 2021-05-14 北辰先进循环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移动式木材破碎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77B1 (ko) * 2008-01-29 2010-05-06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294B1 (ko) 2012-10-04 2013-07-05 김영숙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77B1 (ko) * 2008-01-29 2010-05-06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559A (ko) * 2020-09-18 2022-03-25 이영식 포트 충전용 상토 리프트 분쇄기
KR102499256B1 (ko) * 2020-09-18 2023-02-10 이영식 포트 충전용 상토 리프트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02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149B1 (ko) 문서 파쇄 차량
US5542617A (en) Mobile paper shredder
RU2468868C2 (ru) Контейнер-измельчитель для селективного сбора твердых городских отходов и различные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е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для каждого из разных типов отходов, включая контейнер-измельчитель для домашн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9381798B2 (en) Battery system and motor vehicle
US7886660B1 (en) System and trash receptacle for collecting and compacting trash
JP2015157683A (ja) 搬送台車
CN110342275B (zh) 一种非均质有机固废加料装置
KR101279294B1 (ko)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
CN212245357U (zh) 一种循环上料系统
EP3423382B1 (en) System for processing confidential material
US20050051650A1 (en) Paper shredding vehicle
EP2386504B1 (en) A multi-compartment refuse storage container
US6962300B2 (en) Stationary cone over tub
KR102457464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회전형 적재함
CN211920189U (zh) 一种垃圾桶提升装置
CN210455367U (zh) 一种便于调节滑斗速度的爬坡输送装置
JP4641810B2 (ja) シュレッダコンテナ
JP3192155U (ja) 破砕機及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
CA2130297C (en) Mobile paper shredder
JP2003040402A (ja) ごみ収集車
CN218453653U (zh) 一种垃圾转运箱用上料机构及垃圾压缩装置
EP1302420A2 (en) Device for receiving material from a lorry and discharging the material for further handling
CN216879744U (zh) 一种自卸料箱及树枝粉碎车
JPH09192528A (ja) 廃棄物の移動式破砕装置
CN216596385U (zh) 一种可自由叠放柱形货品的自动供货装置及其自动售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