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145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145B1
KR101743145B1 KR1020120014647A KR20120014647A KR101743145B1 KR 101743145 B1 KR101743145 B1 KR 101743145B1 KR 1020120014647 A KR1020120014647 A KR 1020120014647A KR 20120014647 A KR20120014647 A KR 20120014647A KR 101743145 B1 KR101743145 B1 KR 101743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arget position
end position
memory unit
arriv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236A (ko
Inventor
배상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1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가의 피드백 센서 없이도 도어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도어와, 도어를 각 목표위치 중 특정의 목표위치로 회전시키는 도어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각 목표위치에서 특정 목표위치까지의 특정 이동경로에 대한 이동시간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도어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하되,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까지에 대응되는 이동시간을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시간 동안 도어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도어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의 피드백 센서 없이도 도어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각종 도어를 구비하며, 이들 도어들은 도어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도어와 도어액츄에이터의 일례로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템프 도어(Temp Door)와, 템프 도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도어액츄에이터가 있다.
도 1에는, 템프 도어(1)와 도어액츄에이터(3)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템프 도어(1)(이하, "도어"라 칭함)는, 일반적으로 플랫형(Flat Type)으로 구성되며, 공조케이스(5)에 회전축(1a)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1)는, 회전축(1a)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운동하면서 공기통로(7)를 여닫는다. 따라서, 공기통로(7)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도어액츄에이터(3)는, 도어(1)의 회전축(1a)과 연결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3a)와 피드백 센서부(3b)로 구성된다.
모터부(3a)는, 제어부(10)의 "목표위치 전위값"(A1)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도어(1)를 정해진 "목표위치"(B)로 정,역회전시킨다(도 1참조). 따라서, 도어(1)의 개도각을 조절한다.
피드백 센서부(3b)는, 도어(1)의 현재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부(3a)의 현재 회전위치인 "피드백 전위값"(A2)을 출력하고, 출력된 "피드백 전위값"(A2)을 제어부(10)에 입력시킨다.
그리고 "피드백 전위값"(A2)이 입력된 제어부(10)는, "피드백 전위값"(A2)과 "목표위치 전위값"(A1)이 일치되는지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양자의 전위값이 일치되면, 도어(1)의 위치가 "목표위치"(B)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액츄에이터(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그러면, 도어액츄에이터(3)는 작동을 멈춘다. 이로써, 도어(1)는 "목표위치"(B)에서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도어(1)를 "목표위치"(B)로 제어하기 위해서 도어(1)의 현재위치를 센싱해야하는 구조이므로, 도어(1)의 현재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고가(高價)의 피드백 센서부(3b)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사양의 공조장치의 경우, 많은 수의 도어(1)와 도어액츄에이터(3)가 설치되므로, 고가의 피드백 센서부(3b)가 다량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공조장치의 제조원가가 더욱 더 상승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가의 피드백 센서 없이도 도어의 위치를 목표위치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가의 피드백 센서 없이도 도어의 위치를 목표위치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각 목표위치 중 특정의 목표위치로 회전시키는 도어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각 목표위치에서 특정 목표위치까지의 특정 이동경로에 대한 이동시간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도어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하되,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까지에 대응되는 이동시간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도어의 각 목표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각 목표위치 중, 어느 한쪽 끝단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상기 도어의 각 목표위치별로 저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부와; 상기 끝단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각 목표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목표위치 도달시간을 상기 도어의 각 목표위치별로 저장하고 있는 제 2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할 시에, 상기 도어의 현재 목표위치에서 상기 끝단위치까지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상기 끝단위치에서 상기 특정의 목표위치까지 소요되는 목표위치 도달시간을 상기 제 1 및 제 2메모리부에서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끝단위치 도달시간 동안 상기 도어를 끝단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검출된 상기 목표위치 도달시간 동안 상기 도어를 특정의 목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각 목표위치 상호 간을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상기 도어의 각 목표위치별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할 시에, 상기 도어의 현재 목표위치에서 상기 특정의 목표위치까지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도어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를 특정의 목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도어를 "목표위치"로 제어하되, "목표위치"까지의 이동시간을 계수하여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달리 고가의 피드백 센서 없이도 도어의 위치를 목표위치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의 피드백 센서 없이도 도어의 위치를 목표위치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공조장치에 설치되는 도어의 구동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11a와 도 11b는 다른 실시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4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통로(7)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각종 도어(1)를 구비하며, 이들 도어(1)는 도어액츄에이터(3)에 의해 구동된다.
도어(1)는, 공조케이스(5)에 회전축(1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회전축(1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각각의 목표위치(A, B, C, D, E)로 이동한다. 따라서, 공기통로(7)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도어액츄에이터(3)는, 공조케이스(5)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도어(1)의 회전축(1a)과 연결된다.
이러한 도어액츄에이터(3)는, 제어부(10)의 "목표위치 전위값"(A1)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도어(1)를 특정의 "목표위치"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도어(1)의 개도각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도어위치 파악수단(20)을 구비한다.
도어위치 파악수단(20)은, 도어(1)의 "목표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목표위치 설정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목표위치 설정스위치는, 도어(1)의 여러 목표위치(A, B, C, D, E) 중, 특정한 "목표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운전자 전면 패널부의 콘트롤러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도어(1)의 목표위치를 감지한다. 따라서,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목표위치 설정스위치는, "저항값"을 조절하여 도어(1)의 "목표위치 전위값"(A1)을 조절하는 가변저항스위치로서, 조절된 "저항값"을 통해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메모리부(30)를 구비하며, 메모리부(30)는 제 1메모리부(32)와 제 2메모리부(34)를 포함한다.
제 1메모리부(32)는, 도어(1)의 각 목표위치(A, B, C, D, E) 중, 어느 한쪽 끝부분 위치(A, E)(이하, "끝단위치"라 칭함)에 대한 도어(1)의 "도달시간"(이하, "끝단위치 도달시간"이라 칭함)을 도어(1)의 각 위치(B, C, D)별로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목표위치"(B, C, D)들 중 어느 한 위치에 현재 배치되어 있을 경우, 현재의 위치에서 어느 한쪽 끝단위치(A, E)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 1메모리부(32)에 도어(1)의 각 목표위치(A, B, C, D, E)별로 저장되어 있다.(아래의 표 1참조).
목표위치 → 끝단위치 끝단위치 도달시간(sec)
B → A a
C → A b
D → E c
여기서, 제 1메모리부(32)에는, 도어(1)의 "목표위치"별로 각기 다른 "끝단위치 도달시간"이 다양하게 내장됨은 물론이며, 이러한 도어(1)의 "목표위치"별 "끝단위치 도달시간"은, 여러 번의 시험결과를 통해 얻어진 시험 데이터에 근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메모리부(32)에 저장된 "끝단위치 도달시간"은, "끝단위치"(A, E)에 대한 도어(1)의 실제 "끝단위치 도달시간"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 1메모리부(32)에 저장된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실제 "끝단위치 도달시간"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A, E)로 운동시킬 경우, 상기 도어(1)가 충분한 여유 시간을 두고 "끝단위치"(A, E)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2메모리부(34)는, 도어(1)의 각 목표위치(A, B, C, D, E)에 대한 끝단위치 도어(1)의 "도달시간"(이하, "목표위치 도달시간"이라 칭함)을 도어(1)의 각 목표위치(A, B, C, D, E)별로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끝단위치"(A, E) 중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끝단위치"(A, E)에서 도어(1)의 각 목표위치(A, B, C, D, E)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 2메모리부(34)에 도어(1)의 각 목표위치(A, B, C, D, E)별로 저장되어 있다.(아래의 표 2참조).
끝단위치 → 목표위치 도달시간(sec) 끝단위치 → 목표위치 도달시간(sec)
A → B a E → D e
A →C b E → C f
A → D c E → B g
A → E d E → A h
여기서, 제 2메모리부(34)에는, 도어(1)의 "목표위치"별로 각기 다른 "목표위치 도달시간"이 다양하게 내장됨은 물론이며, 이러한 도어(1)의 "목표위치"별 "목표위치 도달시간"은 여러 번의 시험결과를 통해 얻어진 시험 데이터에 근거한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검출부(40)를 구비한다.
검출부(40)는, 제어부(10)에 내장되는 것으로, 공조장치의 목표위치 설정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서 도어(1)의 "목표위치"가 설정되면(이하, "설정목표위치"라 칭함), 도어위치 파악수단(2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도어(1)의 현재위치에서 끝단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제 1메모리부(32)에서 검출하고, 아울러, 끝단위치에서 상기 "설정목표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목표위치 도달시간"을 제 2메모리부(34)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목표위치 도달시간"을 제어부(10)에 입력시킨다.
한편, 제어부(10)는, 검출부(40)에서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목표위치 도달시간"이 입력되면, 먼저,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근거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를 "현재위치"(D)에서 "끝단위치"(E)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끝단위치 도달시간"동안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E)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어(1)를 "끝단위치"(E)로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부(10)는, "끝단위치"(E)에 도달한 도어(1)를, 상기 "목표위치 도달시간"을 근거로 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위치"(E)에서 "설정목표위치"(B)로 이동시킨다. 특히, 상기 "목표위치 도달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설정목표위치"(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어(1)를 "설정목표위치"(B)로 제어한다. 이로써, 상기 도어(1)가 목표위치 설정스위치에서 설정한 대로 "설정목표위치"(B)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검출부(40)는, 도어(1)의 "현재위치"(D)에 대응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제 1메모리부(32)에서 검출하되, 도어(1)의 현재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끝단위치"(E)에 대한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위치의 도어(1)를 "끝단위치"로 이동시킬 시에, 가능한 한 짧은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는, "끝단위치"에 대한 도어(1)의 이동시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이로써, "목표위치"에 대한 도어(1)의 이동시간도 최소한으로 줄어들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공조장치(1)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도어(1)의 "목표위치"가 설정된다(S103).
그러면, 도어위치 파악수단(20)에서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S105), 파악된 도어(1)의 현재위치를 검출부(40)에 입력시킨다.
검출부(40)는, 입력된 도어(1)의 "현재위치"에 대응한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제 1메모리부(32)에서 검출하고, 아울러 "설정목표위치"에 대응한 "목표위치 도달시간"도 제 2메모리부(34)에서 검출한다(S107).
그리고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목표위치 도달시간"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끝단위치 도달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현재위치"(D)에서 "끝단위치"(E)방향으로 제어한다(S109). 그러면, 도어(1)는 "끝단위치"(E)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끝단위치"(E)에 도달한다(S111).
한편, 도어(1)를 "끝단위치"(E)로 제어한 제어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목표위치 도달시간"동안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E)에서 "목표위치"(B)방향으로 다시 제어한다(S113). 그러면, 도어(1)는 "설정목표위치"(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설정목표위치"(B)에 도달한다(S115). 이로써, 상기 도어(1)는 "설정목표위치"(B)로 제어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예와 마찬가리로,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도어위치 파악수단(50)을 구비한다.
도어위치 파악수단(50)은, 도어(1)의 "목표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목표위치 설정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위치 파악수단(50)은, 사용자가 선택한 도어(1)의 목표위치를 감지하여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메모리부(60)를 구비한다. 메모리부(60)는, 도어(1)의 각 목표위치(A, B, C, D, E) 상호 간에 대한 도어(1)의 "이동시간"을 다양하게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어(1)의 각 목표위치가 "A"위치, "B"위치, "C"위치, "D"위치, "E"위치일 경우, "A"위치, "B"위치, "C"위치, "D"위치, "E"위치 상호 간에 대한 도어(1)의 "이동시간"(이하, "도어이동시간"이라 칭함)이 메모리부(60)에 저장되어 있다.(아래의 표 3참조).
위치 이동시간(sec) 위치 이동시간(sec)
A → B a E → D l
A → C b E → C m
A → D c E → B n
A → E d E → A o
B → C e D → C p
B → D f D → B q
B → E g D → A r
C → D h C → B s
C → E i C → A t
D → E j B → A u
E → D k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검출부(70)를 구비한다.
검출부(70)는, 공조장치의 목표위치 설정스위치에서 도어(1)의 "목표위치"가 설정되면, 도어위치 파악수단(5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도어(1)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 설정스위치에서 설정된 "목표위치" 상호 간에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메모리부(60)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도어이동시간"을 제어부(10)에 입력시킨다.
한편, 제어부(10)는, 검출부(70)에서 "도어이동시간"이 입력되면, 입력된 "도어이동시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도어(1)를 "설정목표위치"로 이동시킨다.
특히, "도어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현재위치"에서 "설정목표위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어(1)를 "설정목표위치"로 제어한다. 이로써, 상기 도어(1)가 "설정목표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도어위치 보정수단(80)을 구비한다.
도어위치 보정수단(80)은, "도어이동시간"을 근거로 도어(1)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제어할 시에 발생되는 도어(1)의 "이동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도어(1)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1)의 "이동오차"가 누적될 경우, 누적된 "이동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위치 보정수단(80)은,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와, 시동스위치(84)와, 시동스위치(74)의 시동신호(S1)에 따라 상기 도어(1)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는, 상기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끝단위치"(A, E)에 대한 도어(1)의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도어(1)의 각 위치(A, B, C, D, E)별로 저장하고 있다.
시동스위치(84)는, 차량의 시동을 감지하여 시동신호(S1)를 출력한다.
제어부(10)는, 시동스위치(84)의 시동신호(S1)가 입력될 경우, 도어위치 파악수단(5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도어(1)의 "현재위치"에서 "끝단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에서 검출하고, 아울러, "끝단위치"와 도어(1)의 "현재위치" 상호 간에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메모리부(60)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검출된 "끝단위치 도달시간"동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를 "현재위치"(C)에서 "끝단위치"(E)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E)로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부(10)는, "끝단위치"(E)에 도달한 도어(1)를, 검출된 "도어이동시간"동안 "끝단위치"(E)에서 "현재위치"(C) 방향으로 다시 복귀시킨다. 따라서, 도어(1)의 "현재위치"(C)를 재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위치 보정수단(80)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을 켤(ON)때마다, 도어(1)의 위치를 "끝단위치"(E)로 이동시킨 다음,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조이므로, 도어(1)의 위치를 재설정한다. 따라서, 도어(1)의 위치를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최초 제어값대로 초기화시킨다.
이로써, 목표위치(A, B, C, D, E) 상호 간의 "이동시간"을 근거로 하여 도어(1)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제어할 시에 발생되는 도어(1)의 "누적이동오차"를 보정한다. 그 결과, 도어(1)의 개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도어위치 보정수단(80)은, 도어(1)의 "목표위치" 설정횟수에 따라 도어(1)의 "이동오차"를 주기적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즉, 도어위치 보정수단(80)은, 도어(1)의 "목표위치" 설정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설정횟수"를 초과할 때마다, 예를 들면, 5회를 초과할 때마다 도어(1)의 "이동오차"를 보정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위치 보정수단(80)의 제어부(10)는, 도어(1)의 "목표위치" 설정횟수가 "기준설정횟수"를 초과하면, 즉, 5회를 초과하여 6회째에 진입하면, 파악된 도어(1)의 현재위치에 대응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에서 검출한다. 아울러 "끝단위치"와 목표위치 설정스위치에서 설정된 "목표위치" 상호 간에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메모리부(60)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검출된 "끝단위치 도달시간"동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를 "현재위치"(C)에서 "끝단위치"(E)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E)로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부(10)는, 검출된 "도어이동시간"동안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E)에서 "설정목표위치"(B)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어(1)를 "설정목표위치"(B)로 제어한다.
이로써, 도어(1)의 "설정목표위치"(B)가 "끝단위치"(E)를 기준으로 제어되게 한다. 그 결과, 도어(1)의 위치가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최초 제어값대로 초기화된다. 이에 따라, "도어이동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도어(1)의 위치를 제어할 시에 발생되는 도어(1)의 "누적이동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실시예의 작동예를 도 8 내지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8과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1).
판단 결과, 차량의 시동이 온(ON)되었으면, 공조장치가 온(ON)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203).
판단 결과, 공조장치가 온(ON)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는, 도어위치 파악수단(5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S205).
그리고 파악된 도어(1)의 "현재위치"에 대응한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에서 검출하고, 아울러, "끝단위치"와 도어(1)의 "현재위치" 상호 간에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메모리부(60)에서 검출한다(S207).
그리고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도어이동시간"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0)는, 검출된 "끝단위치 도달시간" 동안, 도어(1)를 "끝단위치"(E) 방향으로 제어한다(S209). 그러면, 도어(1)는 "끝단위치"(E)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끝단위치"(E)에 도달한다(S211).
한편, "끝단위치"(E)로 도어(1)를 제어한 제어부(10)는, 검출된 "도어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현재위치"방향으로 다시 제어한다(S213). 그러면, 도어(1)는 "현재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현재위치"로 복귀한다(S215).
이렇게, 차량의 시동 시에, "끝단위치"로 이동한 다음, "현재위치"로 다시 복귀한 도어(1)는,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최초 제어값대로 재설정된다. 따라서, 도어(1)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제어할 시에 발생되는 도어(1)의 "누적이동오차"가 보정된다.
한편,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의 "목표위치"를 설정하면(S217), 제어부(10)는, 도어(1)의 "목표위치" 설정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설정횟수"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19). 예를 들면, 5회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준설정횟수"를 초과하지 않았으면(S219-1), 도어위치 파악수단(5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S221), 파악된 도어(1)의 현재위치를 검출부(70)에 입력시킨다.
검출부(70)는, 입력된 도어(1)의 "현재위치"와, 도어(1)의 "설정목표위치" 상호 간에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메모리부(60)에서 검출한다(S223).
그리고 "도어이동시간"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0)는, 검출된 "도어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설정목표위치"로 이동시킨다(S225). 그러면, 도어(1)는 "설정목표위치"로 이동한다(S227).
한편, 상기 S219 단계에서, 도어(1)의 "목표위치" 설정횟수가 "기준설정횟수"를 초과하였으면(S219-2), 제어부(10)는, 도어위치 파악수단(5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도어(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S229).
그리고 파악된 도어(1)의 "현재위치"에 대응한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에서 검출하고, 아울러, "끝단위치"와 "설정목표위치" 상호 간에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메모리부(60)에서 검출한다(S231).
그리고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도어이동시간"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0)는, 검출된 "끝단위치 도달시간"동안,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E) 방향으로 제어한다(S233). 그러면, 도어(1)는 "끝단위치"(E)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끝단위치"(E)로 이동한다(S235).
한편, "끝단위치"(E)로 도어(1)를 제어한 제어부(10)는, 검출된 "도어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설정목표위치" 방향으로 다시 제어한다(S237). 그러면, 도어(1)는 "설정목표위치" 방향으로 이동한다(S239).
이렇게, 도어(1)의 "목표위치" 설정횟수가 "기준설정횟수"를 초과할 시에, "끝단위치"로 이동한 다음, "설정목표위치"로 제어되는 도어(1)는,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최초 제어값대로 초기화된다. 따라서, 도어(1)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제어할 시에 발생되는 도어(1)의 "누적이동오차"가 보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목표위치까지의 도어이동시간을 미리 설정한 다음, 설정된 도어이동시간을 근거로하여 도어(1)를 목표위치로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달리 고가의 피드백 센서 없이도 도어(1)의 위치를 목표위치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피드백 센서 없이도 도어의 위치를 목표위치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도어(Door) 3: 도어액츄에이터(Door Actuator)
10: 제어부 20: 도어위치 파악수단
30: 메모리부 32: 제 1메모리부
34: 제 2메모리부 40: 검출부
50: 도어위치 파악수단 60: 메모리부
70: 검출부 80: 도어위치 보정수단
82: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 84: 시동스위치

Claims (7)

  1. 공기통로(7)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도어(1)와, 상기 도어(1)를 각 목표위치 중 특정의 목표위치로 회전시키는 도어액츄에이터(3)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에서 특정 목표위치까지의 특정 이동경로에 대한 이동시간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30, 60)와;
    상기 도어(1)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하되,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까지에 대응되는 이동시간을 상기 메모리부(30, 60)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액츄에이터(3)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에서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 중, 어느 한쪽 끝단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별로 저장하고 있는 제 1메모리부(32)와;
    상기 끝단위치에서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목표위치 도달시간을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별로 저장하고 있는 제 2메모리부(3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도어(1)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할 시에, 상기 도어(1)의 현재 목표위치에서 상기 끝단위치까지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상기 끝단위치에서 상기 특정의 목표위치까지 소요되는 목표위치 도달시간을 상기 제 1 및 제 2메모리부(32, 34)에서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끝단위치 도달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검출된 상기 목표위치 도달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특정의 목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액츄에이터(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도어(1)의 현재 목표위치에서 상기 끝단위치까지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검출하되, 상기 도어(1)의 현재 목표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끝단위치에 대한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60)는,
    상기 도어(1)가 상기 각 목표위치 상호 간을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별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도어(1)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제어할 시에, 상기 도어(1)의 현재 목표위치에서 상기 특정의 목표위치까지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상기 메모리부(60)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도어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특정의 목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액츄에이터(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이동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액츄에이터(3)를 반복적으로 제어할 시에 발생되는 상기 도어(1)의 이동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도어위치 보정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위치 보정수단(80)은,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에서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 중, 어느 한쪽 끝단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을 상기 도어(1)의 각 목표위치별로 저장하고 있는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와;
    차량의 시동을 감지하여 시동신호(S1)를 출력하는 시동스위치(84)와;
    상기 시동스위치(84)의 시동신호(S1)가 입력될 시에, 상기 도어(1)의 현재 목표위치에서 상기 끝단위치까지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상기 끝단위치에서 상기 도어(1)의 현재 목표위치까지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상기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와 상기 메모리부(60)에서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끝단위치 도달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검출된 상기 도어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현재의 목표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액츄에이터(3)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도어(1)를 현재의 목표위치에서 특정의 목표위치로 설정하는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설정횟수를 초과할 시에, 상기 도어(1)의 현재 목표위치에서 상기 끝단위치까지 소요되는 끝단위치 도달시간과, 상기 끝단위치에서 상기 특정 목표위치 상호 간에 소요되는 도어이동시간을 상기 끝단위치 도달시간 메모리부(82)와 상기 메모리부(60)에서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끝단위치 도달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끝단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검출된 상기 도어이동시간 동안 상기 도어(1)를 특정의 목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액츄에이터(3)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20014647A 2012-02-14 2012-02-14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43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647A KR101743145B1 (ko) 2012-02-14 2012-02-14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647A KR101743145B1 (ko) 2012-02-14 2012-02-1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236A KR20130093236A (ko) 2013-08-22
KR101743145B1 true KR101743145B1 (ko) 2017-06-02

Family

ID=4921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647A KR101743145B1 (ko) 2012-02-14 2012-02-1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092A (ko) * 2020-12-08 202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vac시스템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66B1 (ko) 2005-12-14 2007-03-1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액츄에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66B1 (ko) 2005-12-14 2007-03-1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액츄에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236A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7572A1 (en) Automated climate control system
KR20170040633A (ko) 주차지원 시스템 및 그의 주차완료기준 설정방법
US11447043B2 (en) Seat operation range setting system
US8471401B2 (en) Switch device for vehicle
JP2003081016A (ja) バックミラーの視角を自動調整する制御装置と方法
KR101610528B1 (ko) 차량용 모터 구동 장치
KR1017431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242007B2 (en) Driving apparatus of side mirror, vehicle having the side mirr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054048A1 (en) Vehicle control system
EP4410641A1 (en) Electric empennag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KR1020393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220212521A1 (en) Device for manipulating an actuator,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throttle or closure flap, of an air vent, an air vent comprising such a device as well as a method for manipulating an actuator,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throttle or closure flap, of an air vent
KR1013090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7885743B2 (en) Electric mirror control device and electric mirror control method
US10442317B2 (en) Virtual limit correction device of power seat for vehicle, and correction method therefor
KR10135089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제어장치
WO2019208678A1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19236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86243B1 (ko)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500906Y2 (ja) ミックスドアの制御装置
JP2003003740A (ja)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方法
KR1022119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127938A (zh) 车辆的安全预警方法、系统及车辆
WO2016178414A1 (ja) 車両用視認制御装置
JP2010033515A (ja) 位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