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981B1 -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 Google Patents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981B1
KR101742981B1 KR1020160069213A KR20160069213A KR101742981B1 KR 101742981 B1 KR101742981 B1 KR 101742981B1 KR 1020160069213 A KR1020160069213 A KR 1020160069213A KR 20160069213 A KR20160069213 A KR 20160069213A KR 101742981 B1 KR101742981 B1 KR 101742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ear
head portion
frame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우근
임화용
이승건
최영민
Original Assignee
대구도시철도공사
최우근
임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도시철도공사, 최우근, 임화용 filed Critical 대구도시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6006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9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9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마모상태를 점검할 철도레일에 올려진 상태로 철도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차대(車臺)와; 상기 차대에 설치되며 차대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철도레일의 헤드부의 상면과 측면의 형상을 센싱하는 마모측정유니트와; 상기 마모측정유니트가 센싱한 정보를 받아 출력함과 아울러 마모측정유니트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마모측정유니트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는, 철도레일에서 마모가 가장 심하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헤드부의 양측부분의 마모를 측정할 수 있어 그만큼 효용성이 뛰어나고, 또한 내장되어 있는 인코더와 거리센서를 이용해 마모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직선구간이던 곡선구간이던 구분없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신뢰성이 높으며, 더 나아가 측정된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마모정도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This system comprises: a chassis capable of traveling along a railway rail while being mounted on a railway rail to be inspected for wear; A wear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undercarriage and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while the vehicle is stationary, and sensing a shape of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of the rail rail;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wear measurement unit and sending a control signal to the wear measurement unit to operate the wear measurement unit.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 railway rail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measure the abrasion of both sides of a head portion where abrasion is most severe and frequently occurs in a railway rail, Since it i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wea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ccurate result without discriminating between the straight line segments and the reliability,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gree of wear in real time by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easured results.

Description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abrasion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차륜의 주행저항을 최대로 줄이기 위한 철도레일은, 강도는 물론 내마모성과 내식성 등을 고려하여 고탄소강으로 제작된다. 특히 곡선구간의 레일은 차륜과 강하게 마찰되므로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담금질 등의 여러 열처리를 추가적으로 수행 한다.Railway rails to secure the vehicle safely and to reduce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wheels to the maximum are made of high carbon steel considering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In particular, since the rail of the curve section is strongly rubbed against the wheel, various heat treatments such as quenching are additionally performed in order to minimize abrasion due to friction.

그러나, 철도차량의 운행시 레일과 차륜과의 마찰은 피할 수 없는 것이고, 또한 차륜을 통해 하중이나 충격이 레일에 지속적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이상 레일의 마모나 절손을 방지할 수 는 없는 일이다.However, friction between the rail and the wheel is inevitable when the railway vehicle is operated, and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rails from being worn or damaged as the load or impact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transmitted to the rail through the wheel.

특히, 레일에서의 차륜과 접하는 헤드부의 상부면이 깨지거나 마모된 경우에는, 차륜이 덜컹거리고 그에 따른 진동은 객실내로 전달되어 승차감을 현저히 떨어뜨림은 물론, 경우에 따라 차량의 제어계통이나 신호계통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도 있다. 이는 다수의 승객을 운송하는 지하철이나 고속전철 등의 경우 대형참사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contacting the wheel on the rail is broken or worn, the wheel rattles an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bin to significantly reduce the ride quality, May cause a malfunction of the device. This can be a cause of large-scale disasters in the case of subways or high-speed trains carrying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이에 따라 철도레일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손상된 부분은 그때그때 보수하도록 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to inspect the railway rail at regular intervals or periodically to make sure that the damaged part is repaired at that time.

한편, 철도레일의 적합성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509469호(레일 마모 측정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마모 측정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의 파상마모를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에 세팅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며 주행방향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모듈과, 상기 레일에 고정되며 광조사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받고 수광점의 위치 변동사항을 감지하는 광감지모듈이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10-1509469 (rail wear measurement apparatus) has been proposed as a device for checking the conformity of a railroad rail. The abrasion measuring device is for detecting abrasion of a rail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light irradiation module which is mounted on a rail and which trave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rradiates light forward in a traveling direction, And a light sensing module for receiv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and sensing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light receiving point.

파상마모는 레일의 상면이 위아래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형태의 마모로서, 가령, 차륜이 파상마모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 위를 주행하는 경우 위아래로 출렁거리게 된다.Wear wear is a type of wear in which the top surface of the rails goes up and down, for example, when the wheels run on rails on which wavy wear is formed.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마모 측정장치는, 레일의 가장 높은 부분(헤드부의 폭방향 중앙부)의 마모 여부만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마모가 주로 발생하는 헤드부의 양측부분을 검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철도레일에서 마모가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부분은 헤드부의 양측부인데, 양측부의 마모를 검지할 수 없다는 것은 그 효용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의미이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wear measurement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inspect both sides of the head portion where abrasion mainly occurs, because it can detect only the wear of the highest portion of the rail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head portion) . As is known in the art,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of wear on railway rails is on both sides of the head, which means that the inability to detect the wear on both sides is very ineffective.

또한, 상기 마모 측정장치는, 광조사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광감지모듈에서 받는 원리를 가지는 것이므로 곡선구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치명적 단점을 갖는다. 즉, 광조사모듈과 광감지모듈이 레일의 직선구간에서 상호 대향한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레일이 휘어있다면 광조사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이 광감지모듈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Further, the abrasion measuring apparatus has a fatal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used in a curved section because it has a principle of receiv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in the light sensing module. That is,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and the light detection module can be used only in a state where they face each other in the straight section of the rail. If the rail is b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can not reach the light detection module.

이에 더하여 종래의 마모 측정장치는, 광감지모듈에 대한 광조사모듈의 거리에 따라 측정값이 일관되지 않다는 문제도 갖는다. 그 이유는, 측정과정 중 광감지모듈과 광조사모듈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ear measur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measurement value is not consistent depending on the distance of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to the light sensing module.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ensing module and th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nges during the measurement proces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철도레일에서 마모가 가장 심하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헤드부의 양측부분의 마모를 측정할 수 있어 그만큼 효용성이 뛰어나고, 또한 내장되어 있는 인코더와 거리센서를 이용해 마모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직선구간이던 곡선구간이던 구분없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신뢰성이 높으며, 더 나아가 측정된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마모정도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lway rail system capable of measuring abrasion of both side portions of a head portion where abrasion is most severe and frequently occu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ccurate result without discrimination between the straight line section and the curved line section, thus providing high reliability. Further,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gree of wear in real time by wirelessly transmitting measured results to provide a convenient rail rail wear measurement device. There is purpose 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는, 마모상태를 점검할 철도레일에 올려진 상태로 철도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차대(車臺)와; 상기 차대에 설치되며 차대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철도레일의 헤드부의 상면과 측면의 형상을 센싱하는 마모측정유니트와; 상기 마모측정유니트가 센싱한 정보를 받아 출력함과 아울러 마모측정유니트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마모측정유니트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railway rail wear, comprising: a chassis capable of traveling along a railway rail while being mounted on a railway rail to be inspected; A wear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undercarriage and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while the vehicle is stationary, and sensing a shape of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of the rail rail;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wear measurement unit and sending a control signal to the wear measurement unit to operate the wear measurement unit.

또한, 상기 차대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고 철도레일의 헤드부상에서 구름운동하는 주행롤러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철도레일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응 배치되며, 그 일측부에는 철도레일의 헤드부의 하부로 진입하여 헤드부의 저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 클램핑롤러가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작동시켜 상기 클램핑롤러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헤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1차조작부와, 상기 클램핑롤러가 헤드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헤드부상의 주행롤러를 하강시켜, 프레임바디가 반작용력에 의해 상부로 들리도록 유도 함으로써, 프레임바디에 지지되어 있는 클램핑롤러가 헤드부의 저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2차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car may include: A driving roller which is movable up and down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frame body and rolls on the head portion of the railway rail, and a driving roller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ame body, A support portion provided with a clamping roller which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railway rail and can b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head rail portion at the one side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which operates the support portion to place the clamping roller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The driving roller on the head portion is lowered and the frame body is guided to be lifted upward by the reaction force in a state where the clamping roller is positioned below the head portion, And a clamping roller for pr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portion.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프레임바디에 지지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1차조작부에 의해 축회전 가능한 수직샤프트와, 상기 수직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수직샤프트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블록형 부재로서, 철도레일을 향하는 면에 상기 클램핑롤러를 구비하고, 회전시 상기 클램핑롤러를 철도레일에 대해 진퇴운동 시키는 종동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1차조작부는; 상기 프레임바디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축회전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와 수직샤프트를 링크시켜 작동로드의 축회전력을 수직샤프트로 전달하여 수직사프트가 축회전 하도록 하는 전동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 vertical shaft which is supported by the frame body and extends vertically and which is rotatable by the primary operating unit; a block member fix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vertical shaft, And a driven block provided with a clamping roller and moving the clamping roller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rail rail in rotation, the primary operating portion comprising: An operating rod extending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ame body and rotating axially by an external force; and an electric link portion linking the operating rod and the vertical shaft to transmit the shaft rotating force of the operating rod to the vertical shaft, .

아울러, 상기 종동블록에는, 종동블록이 회전하여 클램핑롤러가 헤드부의 저면 하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헤드부의 양측면에 접하는 지지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riven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roller contacting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head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driven block rotates and the clamping roller enters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head portion.

또한, 상기 프레임바디에는; 철도레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양단부가 프레임바디에 지지되는 지지샤프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샤프트에는, 그 하단부에 상기 주행롤러를 가지며 상단부가 지지샤프트의 상부로 연장되고, 지지샤프트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운동 가능한 누름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2차조작부는; 상기 누름브라켓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누름브라켓의 상단부를 당겨 주행롤러가 레일 헤드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하는 인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body may further include: The support shaf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extending horizontall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ilway rail and having both ends supported by the frame body. The support shaft has the drive roller at its lower end and the upper end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A pushing bracket capable of pivotally moving as a pivoting shaft is provided, the secondary operating portion including: And a tensioning means for pulling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racke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racket so that the driving roller presses the rail head portion downward.

또한, 상기 프레임바디에는,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 상기 작동로드를 수용하는 수직파이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단부에는, 상기 작동로드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작동로드를 축회전 시키는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rtical pip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nd accommodating the operation rod therei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and is operated by a user, And a lever for pivotally rotating the pivot shaft.

또한, 상기 인장수단은, 상기 누름브라켓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인장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바디에는,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인장와이어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수직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단부에는, 상기 인장와이어에 연결되며 인장와이어를 당겨올리거나 풀어내리는 핸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lling means includes a tension wi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racket, and the frame body is provided with a vertical pipe extending vertically upwards and receiving the tension wire therein,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tension wire and pulling up or pulling down the tension wir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아울러, 상기 마모측정유니트는; 상기 헤드부 측부의 연직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철도레일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각운동하며, 그 자신과 헤드부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거리센서를 각운동 시키는 모터와, 상기 거리센서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각 각도별 헤드부의 마모정도를 파악하도록 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rasion measu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itself and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while being mounted on a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angularly moved about a rotation center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road rail; And an encoder for sens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distance sensor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angle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can grasp the degree of wear of the head by each angle.

또한, 상기 마모측정유니트는; 상기 프레임바디의 측부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거리센서를 지지하는 각운동부재와, 상기 고정블록을 관통하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축회전하여 상기 각운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센서구동샤프트와,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되며 각운동부재의 반대편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상기 인코더를 구비한 인코더브라켓과, 상기 센서구동샤프트와 인코더를 연결하여, 센서구동샤프트의 각운동량을 인코더로 전달하는 커플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rasion measu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xed block mounted on a side of the frame body and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an angular motion member positioned at a side of the fixed block and supporting the distance sensor; An encoder bracket fixed to the fixed block and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each of the motion members, the encoder bracket having the encoder at an extended end thereof, and a sensor driving shaft and an encoder, And a coupling for transmitting the angular momentum of the drive shaft to the encode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는, 철도레일에서 마모가 가장 심하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헤드부의 양측부분의 마모를 측정할 수 있어 그만큼 효용성이 뛰어나고, 또한 내장되어 있는 인코더와 거리센서를 이용해 마모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직선구간이던 곡선구간이던 구분없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신뢰성이 높으며, 더 나아가 측정된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마모정도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The apparatus for measuring a railway rail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measure the abrasion of both sides of a head portion where abrasion is most severe and frequently occurs in a railway rail, Since it i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wea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ccurate result without discriminating between the straight line segments and the reliability,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gree of wear in real time by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easured resul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마모 측정장치를 이용한 마모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마모 측정장치의 일부분을 생략하여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받침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종동블록의 구조 및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종동블록의 클램핑롤러가 레일의 헤드부를 받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4의 왕복로드에 대한 전동로드의 장착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핸들의 조작에 따른 마모 측정장치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마모 측정장치에서의 거리센서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마모 측정장치가 레일에 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에서의 제어부의 제어화면을 예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wear measurement using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shown in FIG.
FIG.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brasion measu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omitted.
FIGS.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bearing unit shown in FIG. 1.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driven block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amping roller of the driven block shown in FIG. 5 is supported on the head portion of the rail.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rod with respect to the reciprocating rod of Fig. 4; Fig.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method of the wear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dle shown in Fig.
1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distance sensor in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wear measu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set on a rail.
1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screen of the control unit in the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15)는, 작업자에 의해, 철도레일(11)에 올려진 상태로 철도레일을 따라 이동하다가, 의심지점(손상이나 마모가 있는 지점)을 발견시 해당 지점에 세팅된 상태로 작동하여, 파손되거나 마모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장치이다.Basically, the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1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igned such that a worker moves along a railway rail while being put on a railway rail 11, and then moves a suspicious point (a point where damage or abrasion) It is a device for detecting the degree of breakage or wear by operating at the point set at the time of discovery.

특히 철도레일 헤드부(11a)의 상면과 측면의 상태를 동시에 파악하여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파손된 부분이나 마모된 부분을 정확히 보수할 수 있게 한다. 본 설명에서의 레일(11)은 통상의 철도레일을 의미한다.In particular, the state of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railway rail head portion 11a are grasped at the same time and informed to the operator in real time, so that the damaged portion or the worn portion can be accurately repaired. The rail 11 in this description means a conventional rail r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15)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마모 측정장치의 일부분을 생략하여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abrasion measu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omitted.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15)는, 철도레일(11)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철도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차대(車臺)(77)와, 상기 차대(77)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력을 발생하는 전원부(27)와, 상기 차대(77)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전원부(27)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작동하여 철도레일(11)의 헤드부(11a)의 상면과 측면의 형상을 감지하는 마모측정유니트(79)와,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가 센싱한 정보를 받아 출력함과 아울러 마모측정유니트(79)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마모측정유니트(79)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도 12의 75)를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1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a railway car 11 (or a railway rail) A power supply unit 27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carriage 77 to generate electric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27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undercarriage 77 and operated by electric power a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27, A wear measuring unit 79 for detecting the shape of the top and side faces of the head 11a of the wear measuring unit 11 and a wear measuring unit 79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wear measuring unit 79, (75 in Fig. 12) for operating the wear measuring unit 79 by sending a signal.

상기 차대(77)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바디(33)와, 상기 프레임바디(33)의 주행방향 선후단부 좌우에 구비되는 받침부(50)와, 프레임바디(33)의 내향면에 구비되며 철도레일의 헤드부(11a)의 양측면에 접하는 고정롤러(57)와, 철도레일(11)의 헤드부(11a)의 상면에서 구름운동하는 주행롤러(도 9의 73)와, 상기 각 받침부의 측부에 위치하며 프레임바디(33)에 고정되는 다리부(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ndercarriage 77 is provided with a frame body 33 for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a receiving portion 50 provid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ame body 33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rame body 33, (73 in Fig. 9) that rol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rail rail 11, and a pair of guide rollers And a leg portion 49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ame body and is fixed to the frame body 33.

상기 프레임바디(33)는 대략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으로서 두 개의 가로대(56)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일측 가로대(56)는 전원부(27) 박스를 수평으로 지지하고, 타측 가로대에는 후술할 지지브라켓(35)이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바디(33)는 후술할 롤러(51c,51e,57,73)을 통해 철도레일에 지지된 상태로 주행 가능하다.The frame body 33 is reinforced by two crossbars 56 as a frame which takes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The one side rail 56 supports the box of the power supply 27 horizontally and the support bracket 35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other side rail. The frame body 33 is capable of traveling while being supported by a railway rail through rollers 51c, 51e, 57 and 7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롤러(57)는 프레임바디(33)의 내측벽에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롤러지지블록(5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어링형 롤러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철도레일(11)의 헤드부(11a)의 양측면에 접하며 마모 측정장치(15)의 주행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The fixing roller 57 is a bearing roller rotatably supported by a roller support block 58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of the frame body 33,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wear measuring device 15 and stably maintains running of the wear measuring device 15. [

상기 다리부(49)는 마모 측정장치(15)를 사용하지 않을 때, 마모 측정장치(15)를 가령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놓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서 프레임바디(33)에 네 개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49)의 사이즈가 모두 동일함은 물론이다. 상기 다리부(49)는 지면에 닿은 상태로 프레임바디(33)나 종동블록(51) 등 다른 구성요소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When the wear measuring device 15 is not used, the leg 49 is applied to the wear measuring device 15 so as to stand upright on the ground, for example, and four pieces are fixed to the frame body 33.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izes of the leg portions 49 are all the same. The leg portion 49 prevents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frame body 33 and the driven block 51 from contacting the groun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한편, 상기 받침부(51)는 후술할 1차조작부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서, 철도레일(11)에 마모 측정장치(15)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철도레일을 따라 이동 중, 마모부분을 발견했을 때 상기 받침부(51)를 조작하여, 해당 지점에서 마모 측정장치(15)를 고정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portion 51 is operated by a primary operating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used for fixing the wear measuring device 15 to the rail rail 11. [ That is, when the abrasion portion is found while moving along the railway rail, the abrasion measuring device 15 is fix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by operating the abrasion portion 51.

이러한 받침부(51)는, 모두 네 개가 설치되며 모두 동일한 사이즈와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받침부(51)는 철도레일(11)을 사이에 두고 두 개씩 대향 배치된다. All of these support portions 51 are provided, and all have the same size and structure. These receiving portions 51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rail 11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받침부(51)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The receiving portion 51 is shown in Figs. 6 and 7. Fig.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받침부(50)는, 블록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향면 즉 철도레일을 향하는 면에 돌출부(51a)를 갖는 종동블록(51)과, 상기 돌출부(5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클램핑롤러(51c) 및 지지롤러(51e)와, 상기 종동블록(51)의 상부에 고정되며 수직 상부로 연장된 수직샤프트(51f)를 포함한다.6 and 7, the pedestal 50 includes a driven block 51 having a block shape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51a on an inward surface thereof, that is, a surface facing a railway rail, A clamping roller 51c and a support roller 51e provided rotatably on the projection 51a and a vertical shaft 51f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n block 51 and extending vertically upward.

상기 수직샤프트(51f)는 1차조작부를 통해 토오크를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축부재이다. 상기 수직샤프트(51f)가 축회전함에 따라 종동블록(51)이 화살표 a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은 물론이다.The vertical shaft 51f is a shaft member which receives torque through the primary operating portion and rotates in an axial direction. As the vertical shaft 51f rotates, the driven block 51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r vice versa.

아울러 상기 프레임바디(33)에는 상기 수직샤프트(51f)를 상향 통과시키는 샤프트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구멍(33a)은 수직샤프트(51f)를 축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상태로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In addition, the frame body 33 is formed with a shaft hole 33a through which the vertical shaft 51f passes upward. The shaft hole (33a) supports the vertical shaft (51f) so as not to shak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in a state of axially rotatably accommodating.

상기 돌출부(51a)는 클램핑롤러(51c)와 지지롤러(51e)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특히 하향경사면(51b)과 수평면(51d)을 제공한다. 상기 하향경사면(51b)에는 클램핑롤러(51c)가 설치되고, 수평면(51d)에는 지지롤러(51e)가 올라간다.The projecting portion 51a is a portion on which the clamping roller 51c and the support roller 51e are provided and particularly provide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51b and a horizontal surface 51d. A clamping roller 51c is provided on the downward inclined face 51b and a supporting roller 51e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face 51d.

상기 수평면(51d)은 지면에 대해 수평한 평면으로서 상기 지지롤러(51e)를 지지하되, 지지롤러(51e)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롤러(51e)는, 종동블록(51)이 철도레일에 마주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부(11a)의 측면에 접한다.The horizontal surface 51d supports the support roller 51e as a plane horizontal to the paper, and supports the rotation axis of the support roller 51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The support roller 51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as shown in Fig. 11, with the driven block 51 facing the railway rail.

또한, 상기 하향경사면(51b)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철도레일(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이다. 상기 하향경사면(51b)에서 출발한 가상의 법선의 연장방향은 헤드부(11a)의 하부를 지난다. 상기 법선이 클램핑롤러(51c)의 회전축과 평행함은 물론이다.The downward inclined surface 51b is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ailway rail 11 as it goes dow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maginary normal line starting from the downward inclined face 51b passes under the head portion 11a.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ormal line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clamping roller 51c.

상기 클램핑롤러(51c)는 돌출부(51a)가 철도레일측으로 근접함에 따라, 헤드부(11a)의 하부로 진입하여 헤드부의 저면(11b)에 접하는 롤러이다. The clamping roller 51c is a roller that enters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1a and contacts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as the projecting portion 51a approaches the railway rail side.

결국, 종동블록(51)의 돌출부(51a)을 철도레일의 헤드부(11a) 측으로 근접시킴에 의해, 클램핑롤러(51c)는 헤드부(11a)의 저면(11b)에 접하고, 지지롤러(51e)는 헤드부(11a)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이를테면 록킹구조가 구현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마모 측정장치(15)를 철도레일(11)로부터 분리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The clamping roller 51c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and the support roller 51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by bringing the projecting portion 51a of the driven block 51 close to the head portion 11a side of the rail rail.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head portion 11a, for example, a locking structure is realiz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wear measuring device 15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rail rail 11 in this state.

상기 상태에서 수직샤프트(51f)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저면(11b)으로부터 분리되고, 지지롤러(51e)도 헤드부(11a)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말하자면 언록킹상태가 된다. 언록킹상태에서는 마모측정장치(15)를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다.The clamping roller 51c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and the support roller 51e is also separat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by rotating the vertical shaft 51f in the above- Spaced, that is to say, in the unlocked state. In the unlocking state, the wear measuring device 15 can be lifted up to the upper part.

한편, 상기 차대(77)에 포함되는 주행롤러(7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부(11a)의 상부 중앙에 놓여진 상태로 철도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며 구름운동한다.9, the traveling roller 73 included in the undercarriage 77 trave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way 11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head portion 11a, do.

도 9를 참조로, 상기 주행롤러(73)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9,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traveling roller 73 will be described below.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바디(33)에는 두 개의 지지샤프트(6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샤프트(67)는 철도레일(1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환봉으로서, 그 양단부가 프레임바디(33)에 지지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9, the frame body 33 is provided with two support shafts 67. The support shaft 67 is a round bar extending horizontall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way rail 11 and is axially rotatable with its both ends supported by the frame body 33.

아울러 상기 각 지지샤프트(67)에는 누름브라켓(68)이 고정된다. 상기 누름브라켓(68)은 그 중앙부가 지지샤프트(67)에 대해 용접 결합된 부재로서, 둔각의 사이각을 가지는 V자형 부재이다. 지지샤프트(67)가 축회전하면 누름브라켓(68)이 지지샤프트(67)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운동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pushing bracket 68 is fixed to each of the support shafts 67. The pressing bracket 68 is a V-shaped member having an obtuse angle between the center of the pressing bracket 68 and the supporting shaft 67. When the support shaft 67 rotates, the pushing bracket 68 rotates around the support shaft 67 as a rotation axis.

또한, 상기 각 누름브라켓(68)의 하단부에 상기 주행롤러(73)가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주행롤러(73)는 누름브라켓(68)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헤드부(11a)의 상면 중앙에 올려지며 마모 측정장치(15)의 주행에 따라 구름운동한다.In addition, the traveling roller 73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ressing brackets 68 so as to be able to roll. The running roller 73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racket 68 and is rai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and rolls as the abrasion measuring device 15 travels.

상기 각 누름브라켓(68)이 상단부에는 싱크로로드(70)가 연결핀(69)을 통해 링크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일측 누름브라켓(68)에만 연결핀(69)이 적용되어 있지만, 양측 누름브라켓(68)에 연결핀(69)이 모두 끼워짐은 당연하다.The upper end of each of the pressing brackets 68 is linked with a synchro rod 70 through a connecting pin 69. Although the connecting pin 69 is applied to only the one-side pressing bracket 68 in the drawing, it is natural that the connecting pin 69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oth-side pressing bracket 68. [

상기 싱크로로드(70)는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직선형부재로서 철도레일(11)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연결핀(69)을 통해 각 누름브라켓(68)과 링크된다.The synchro rod 70 is a straight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rail rail 11 and is linked to each pushing bracket 68 through the connecting pin 69.

상기 싱크로로드(70)의 일단부는 관통플레이트(56a)의 가이드구멍(56b)에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관통플레이트(56a)는 일측 가로대(56)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판상부재로서, 가이드구멍(56b)을 통해 상기 싱크로로드(70)의 일단부를 수용한다.One end of the synchro rod 70 is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6b of the through plate 56a. The through plate 56a is a plate-like me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ross bar 56 and accommodates one end of the synchro rod 70 through a guide hole 56b.

아울러, 상기 싱크로로드(70)의 타단부는 와이어가이드브라켓(71)에 지지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브라켓(71)은 지지브라켓(35)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상기 싱크로로드(70)의 타단부를 통과시켜 싱크로로드(70)의 길이방향 운동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와이어가이드브라켓(71)에 싱크로로드(70)의 타단부를 통과시키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The other end of the synchro rod 70 is supported by a wire guide bracket 71. The wire guide bracket 71 is a member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35 and guide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ynchro rod 70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synchro rod 70.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hole (not shown) for passing the other end of the synchro rod 70 is formed in the wire guide bracket 71 for this purpose.

결국 상기 싱크로로드(70)는 그 양단부가 관통플레이트(56a) 및 와이어가이드브라켓(71)에 지지된 상태로 화살표 c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As a result, the synchro rod 70 can be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and the opposite direction with the both end portions thereof supported by the through plate 56a and the wire guide bracket 71.

또한 상기 싱크로로드(70)의 도면상 우측단부의 근접부에는 걸림턱(7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70a)과 와이어가이드브라켓(71)의 사이에 로드지지스프링(72)이 끼워진다. 상기 로드지지스프링(72)은 와이어가이드브라켓(71)에 지지된 상태로 싱크로로드(70)를 화살표 c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A hook 70a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right end of the synchro rod 70 in the figure and a rod support spring 72 is inserted between the hook 70a and the wire guide bracket 71 Loses. The rod support spring 72 elastically supports the synchro rod 7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c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wire guide bracket 71.

한편, 상기 싱크로로드(7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누름브라켓(68)이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에 따라 주행롤러(73)가 헤드부(11a)의 상면을 하향 가압한다. 상기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저면(11b)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싱크로로드(70)를 당기면, 누름브라켓(68)이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하며 레일을 밟고 일어서게 된다. 이에 따라, 마모 측정장치(15)가, 누름브라켓(68)의 회동력에 대한 반작용력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ynchro rod 7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the pressing bracket 68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and accordingly the traveling roller 73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downward. When the clamping roller 51c pulls the synchro rod 70 in a state in which the clamping roller 51c is not caught by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the pushing bracket 68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d and stands on the rail. Thus, the abrasion measuring device 15 is lifted up to the upper portion by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turning force of the pressing bracket 68.

이와달리, 상기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저면(11b)에 이미 걸려 있는 상태에서 싱크로로드(70)를 화살표 c방향으로 당기면, 클램핑롤러(51c)는 헤드부의 저면(11b)에 더욱 강하게 밀착하고, 주행롤러(73)도 헤드부의 상면을 내리 누르는 형국이 되어, 철도레일(11)에 대한 마모 측정장치(15)의 안적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When the clamping roller 51c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while the clamping roller 51c is already hooked on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the clamping roller 51c is moved to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And the running roller 73 also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downward to fix the abrasion measuring device 15 to the rail rail 11 smoothly.

상기 싱크로로드(7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는 것이 2차조작부이다. 상기 2차조작부는, 헤드부(11a)상의 주행롤러(73)를 하강시켜, 프레임바디(33)가 반작용력에 의해 상부로 들리도록 유도함으로써, 프레임바디(33)에 지지되어 있는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저면(11b)을 가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operating portion serves to pull the synchro rod 70 in the direction of arrow c. The secondary operating portion descends the traveling roller 73 on the head portion 11a to guide the frame body 33 to be lifted up by the reaction force so that the clamping roller 51c serve to press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상기 2차조작부는 일측 누름브라켓(68)에 고정된 인장와이어(55)를 포함한다. 상기 인장와이어(55)는 일단부가 누름브라켓(68)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가이드브라켓(71)의 와이어구멍(71a)을 통과해 후술할 수직파이프(21)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향 연장된 후 핸드(25)에 감긴 부재이다.The secondary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tension wire 55 fixed to the one-side pressing bracket 68. The tension wire 55 passes through the wire hole 71a of the wire guide bracket 71 with one end fixed to the pushing bracket 68 and enters the vertical pipe 21 to be described later to be extended upward And is a member wound on the hand 25.

상기 누름브라켓(68)에 인장와이어(55)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누름브라켓(68)의 상단부 일측면에는 와이어관통너트(68a)가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관통너트(68a)는 인장와이어(55)가 통과하는 관통공(68b)을 갖는 너트로서, 누름브라켓(68)에 용접 결합한다.In order to fix the tension wire 55 to the pressing bracket 68, a wire through nut 68a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racket 68. [ The wire penetrating nut 68a is a nut having a through hole 68b through which the tension wire 55 passes and is welded to the pressing bracket 68. [

아울러 상기 와이어관통너트(68a)에는 고정너트(68c)가 결합한다. 상기 관통공(68b)에 인장와이어(55)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와이어관통너트(68a)에 고정너트(68c)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누름브라켓(68)에 대한 인장와이어(55)의 결합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fixing nut 68c is coupled to the wire through nut 68a. The tension wire 55 is engaged with the pushing bracket 68 by screwing the fixing nut 68c to the wire penetration nut 68a with the tension wire 55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68b .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한쪽 가로대(56)의 상부에 지지브라켓(35)이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35)은 수직파이프(21)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수직파이프(21)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bracket 35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one of the crossbars 56. The supporting bracket 35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21 to support the vertical pipe 21 vertically.

상기 수직파이프(21)는 일정직경을 갖는 중공파이프로서, 그 하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35)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단 연장부에 정션블록(23)을 갖는다. 상기 정션블록(23)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블록형 부재로서 측부에 핸들(25)과 레버(26)를 갖는다.The vertical pipe 21 is a hollow pi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has a lower end vertically extended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35 and a junction block 23 at an upper end extension. The junction block 23 has a handle 25 and a lever 26 on its side as a block-shaped member whose interior is empty.

상기 핸들(25)은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로서, 정션블록(23)에 지지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다. 특히 상기 핸들(25)은 정션블록(23)의 내부에서 인장와이어(55)와 만난다. 상기 인장와이어(55)의 상단부는 정션블록(23) 내부에서 핸들(25)에 감겨있다. The handle 25 is a handle gripped by an operator and is rotatable about an axi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junction block 23. In particular, the handle 25 meets the tension wire 55 inside the junction block 23.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wire 55 is wound around the handle 25 inside the junction block 23.

따라서 핸들(25)을 한쪽 방향으로 감으면 인장와이어(55)가 감겨 올라와 상기 싱크로로드(7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당긴다. 핸들(25)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장와이어(55)가 핸들(25)로부터 풀려 싱크로로드(7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handle 25 is wound in one direction, the tension wire 55 is wound up and pulls the synchro rod 70 in the direction of arrow c. When the handle 25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ension wire 55 is released from the handle 25 and the synchro rod 70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상기 레버(26)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손잡이로서, 화살표 e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정션블록(23)에는 레버가이드슬릿(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가이드슬릿(23a)은 레버(26)의 회동운동을 가이드한다.The lever 26 is a handle operated by an operator and is rotatab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an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is end, the junction block 23 has a lever guide slit 23a formed therein. The lever guide slit 23a guides the pivotal movement of the lever 26.

상기 레버(26)는 정션블록(23)의 내부에서 작동로드(53)의 상단부와 링크된다. 상기 레버(26)를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작동로드(53)가 수직파이프(21) 내부에 축회전 함은 물론이다.The lever 26 is link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53 inside the junction block 23. Needless to say, the operating rod 53 is axially rotated in the vertical pipe 21 as the lever 26 is rotated left and right.

상기 작동로드(53)는 수직파이프(2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그 하단부에 회동로드(59)를 갖는다. 상기 회동로드(59)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후술할 전동링크부(81)의 일부로서, 작동로드(53)의 축회전에 따라 회동운동하는 부재이다. 상기 작동로드(53)와 전동링크부(81)가 위에서 언급한 1차조작부이다. 상기 1차조작부는 각각의 종동블록(51)을 도 6의 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operating rod 53 is a vertically extending rod member accommodated in the vertical pipe 21 and has a pivoting rod 59 at its lower end. The tilting rod 59 is a part of the electric link portion 81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nd is a member that pivot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of the operation rod 53. [ The operating rod 53 and the electric link portion 81 are the above-mentioned primary operating portions. The primary operating portion serves to simultaneously rotate each of the driven blocks 51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6 and the opposite direction thereof.

도 4 및 도 5는 상기 받침부(5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클램핑롤러(51c)와 지지롤러(51e)가 철도레일(1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도 5는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저면(11b)에 접한 이른바 록킹상태이다. FIGS.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receiving unit 50.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amping roller 51c and the supporting roller 51e are spaced apart from the rail rail 11. [ 5 is a so-called locked state in which the clamping roller 51c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작동로드(53)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회동로드(59)의 자유단부에 전동로드(60)의 일단부가 링크핀(63)으로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one end of the electric rod 60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pivoting rod 59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rod 53 by a link pin 63. As shown in Fig.

상기 전동로드(60)는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직선형 부재로서, 타단부는 왕복로드(62)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왕복로드(62)는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직선형부재로서 레일의 연직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로 길이방향 왕복운동 한다. 아울러 상기 왕복로드(62)는 인장스프링(65)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The electric rod 60 is a line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reciprocating rod 6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ciprocating rod 62 is a linear member having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and reciprocates longitudinally while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rail. 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rod 6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ension spring 65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상기 인장스프링(65)은, 왕복로드(62)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스프링홀더(62d)와, 프레임바디(33)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스프링홀더(33b)를 연결하며 왕복로드(62)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것이다.The tension spring 65 connects the spring holder 62d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ciprocating rod 62 and the other spring holder 33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body 33, As shown in Fig.

상기 왕복로드(62)와 전동로드(60)는, 가동핀(60a)과 지지스프링(64)등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왕복로드(62)에 대한 전동로드(60)의 연결구조를 도 8에 자세히 도시하였다.The reciprocating rod 62 and the electric rod 60 are connected to the movable pin 60a via a support spring 64 or the like.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rod 60 with respect to the reciprocating rod 62 is shown in detail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왕복로드(62)에 사각구멍(62a)이 관통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사각구멍(62a)은 지지스프링(64)을 수용하는 구멍으로서 그 내부에 스프링지지돌기(62c)를 갖는다. 스프링지지돌기(62c)는 지지스프링(64)의 내부에 끼워져 지지스프링(64)이 이탈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a square hole 62a is formed in the reciprocating rod 62. The rectangular hole 62a has an opening for receiving the support spring 64 and has a spring support projection 62c therein.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s 62c are fitted into the support springs 64 to prevent the support springs 64 from escaping.

또한, 상기 전동로드(60)의 타단부에는 가동핀(60a)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동핀(60a)은 하부로 개방된 암나사구멍을 갖는 부재로서 사각구멍(62a)과 와셔(60c)를 하향 통과한 후 고정볼트(60d)와 결합한다. 상기 가동핀(60a)에도 지지스프링(64)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지지돌기(60b)가 마련되어 있다.Further, a movable pin 60a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d 60. The movable pin 60a is a member having a female screw hole which is opened downward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quare hole 62a and the washer 60c downward and then engages with the fixing bolt 60d. The movable pin 60a is also provided with a spring support protrusion 60b for preventing the support spring 64 from disengaging.

상기 지지스프링(64)은 왕복로드(62)를 화살표 g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왕복로드(62)가 화살표 g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는 의미는, 상기 클램핑롤러(51c)와 지지롤러(51e)가 헤드부(11a)에 탄성적으로 밀착 한다는 뜻이다. The support spring 64 elastically supports the reciprocating rod 62 in the direction of arrow g. The fact that the reciprocating rod 62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g means that the clamping roller 51c and the support roller 51e elastical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ead portion 11a.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왕복로드(62)의 양단부에는 두 개씩의 종동블록구동로드(61)가 링크핀(63)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각 종동블록구동로드(61)는 왕복로드(62)와 수직샤프트(51f)를 링크시키는 부재이다. 상기 종동블록구동로드(61)는 수직샤프트(51f)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4, two driven block driving rods 61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eciprocating rod 62 via link pins 63. As shown in FIG. Each driven block driving rod 61 is a member that links the reciprocating rod 62 and the vertical shaft 51f. The driven block driving rod 61 is fixed to the vertical shaft 51f by welding or the like.

도 4에 도시한 언록킹상태에서, 상기 레버(26)를 통해 회동로드(59)를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동로드(60)가 종동하여 마침내 왕복로드(62)와 전동로드(60)와 회동로드(59)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왕복로드(62)가 화살표 g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한 것이다. 4, when the pivoting rod 59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through the lever 26, as shown in Fig. 5, the electric rod 60 is driven and finally the reciprocating rod 62, the electric rod 60, and the pivoting rod 59 ar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The reciprocating rod 62 has moved as far as possib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g.

참고로, 상기 회동로드(59)는 전동로드(60)와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더 이상 같은 방향(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버가이드슬릿(23a)의 길이가 적절히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 가로대(56)에 별도의 스토퍼를 적용할 수 도 있다.For reference, the tilting rod 59 does not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in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rod 59 is kept in line with the electric rod 6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ength of the lever guide slit 23a is properly designed. A separate stopper may be applied to the cross bar 56 as the case may be.

여하튼, 전동로드(62)가 화살표 g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양측의 종동블록구동로드(61)는 모두 화살표 m방향으로 동시 회동하며 각 종동블록(51)을 움직여, 클램핑롤러(51c)와 지지롤러(51e)가 철도레일의 헤드부(11a)에 접하도록 한다. 록킹상태가 된 것이다. Anyway, as the electric rod 62 moves linear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g, both the driven block driving rods 61 on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m and move the driven blocks 51 to move the clamping roller 51c So that the support roller 51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d portion 11a of the railway rail. It is in a locked state.

상기 회동로드(59)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종동블록(5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돌출부(51a)가 헤드부(11a)로부터 멀어져 록킹상태가 해제된다.When the tilting rod 59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driven block 5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projecting portion 51a moves away from the head portion 11a to release the locked state.

한편, 상기 전원부(27)는, 프레임바디(33)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력을 발생하여 마모측정유니트(79)를 구동한다. 상기 전원부(27)로서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unit 27 generates electric power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body 33 to drive the wear measuring unit 79. A rechargeable battery may be used as the power supply unit 27.

또한 상기 전원부(27)의 측부에는 송수신부(29)와 스위치부(31)가 위치한다. 상기 송수신부(29)는 제어부(7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 마모측정유니트(79)로 전달하거나, 마모측정유니트(79)에서 감지한 내용을 제어부(75)로 무선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수신부(29)와 제어부(75)는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접속한다.Further,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9 and a switch unit 31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ower supply unit 27. The transceiver unit 29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75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or wirelessly transmits the content detected by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to the control unit 75.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9 and the control unit 75 are connected via a Bluetooth system.

또한 스위치부(31)는 전원부(27)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이다. 스위치부(31)를 온 시켜야 전원부(27)의 전력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스위치부(31)의 스위칭방식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The switch unit 31 is a switch for turning the power supply unit 27 on and off. The switch unit 31 must be turned on so that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7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The switching manner of the switch unit 31 may be varied.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는 프레임바디(33)의 좌우측편에 하나씩 설치된 상태로 철도레일 헤드부(11a)의 표면상태를 스캐닝하고 그 내용을 제어부로 전송한다. 양측 마모측정유니트(79)의 구조는 동일하다.The abrasion measuring unit 79 scans the surface state of the rail rail head portion 11a and transfers the contents to the control unit in a state where the abrasion measuring units 79 are install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body 33 one by one. The structure of the both side wear measurement unit 79 is the same.

도 10에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를 별도로 도시하였다.The abrasion measuring unit 79 is shown separately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는, 프레임바디(33)의 측부에 고정되고 그 내부로 수평의 센서구동샤프트(43b)를 통과시키는 고정블록(37)과, 상기 센서구동샤프트(43b)의 도면상 우측에 고정되는 종동풀리(43a)와, 벨트(46)를 통해 종동풀리(43a)와 연결되며 종동풀리(43a)를 축회전 시키는 구동풀리(40a)와, 상기 구동풀리(40a)를 회전시키는 모터(40)와, 상기 종동풀리(43a)에 고정되며 종동풀리(43a)와 함께 회전운동 하는 커플링(43)과, 상기 커플링(43)에 이어지며 커플링의 회전각도를 체크하는 인코더(41)를 포함한다.10, the abrasion measuring unit 79 includes a fixing block 37 fixed to the side of the frame body 33 and passing a horizontal sensor driving shaft 43b therethrough, A drive pulley 40a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43a through the belt 46 and rotating the driven pulley 43a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pulley 43a, A coupling 43 which is fixed to the driven pulley 43a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en pulley 43a and a coupling 43 which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43 and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en pulley 43a, And an encoder 41 for checking the rotation angle.

상기 인코더(41)는 인코더지지브라켓(39)을 통해 고정블록(37)에 고정된다. 상기 인코더지지브라켓(39)은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서 상기 고정블록(37)에 고정된 상태로 수평 연장된 후 하부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며, 하부로 절곡된 부분에 인코더(41)가 고정되는 것이다.The encoder 41 is fixed to the fixed block 37 via an encoder support bracket 39. [ The encoder support bracket 39 is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horizontally extended after it is fixed to the fixed block 37. The encoder support bracket 39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coder 41 is fixed .

상기 인코더(41)는 커플링(43)과 직결되어 커플링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상기 커플링(43)은 그 자리에서 몇 바퀴씩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각도 θ의 범위내에서 양방향으로 반복 회전하는 것이다.The encoder 4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upling 43 to sense the rotation angle of the coupling. The coupling 43 is not rotated several times on the spot but is repeatedly rotated in both directions within the range of the angle? Shown in Fig.

또한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에는, 고정블록(37)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종동풀리(43a)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센서구동샤프트(43b)에 연결되는 각운동부재(45)와, 상기 각운동부재(45)에 고정되는 거리센서(47)가 더 포함된다. 상기 거리센서(47)는 헤드부(11a)의 상면 및 측면과 자기 자신과의 거리를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75)로 보낸다.The abrasion measuring unit 79 is provided with an angular motion member 45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en pulley 43a with the fixed block 37 therebetween and is connected to the sensor drive shaft 43b, And further includes a distance sensor 47 fixed to the member 45. The distance sensor 47 senses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and itself, and send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75.

상기 거리센서(4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부(11a) 측부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며 각도 θ의 범위내에서 각운동하며 헤드부(11a)의 모양을 스캐닝한다. 통상의 거리센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거리센서(47)는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레이저빔의 광착점(레이저빔의 도달한 지점)과 그 자신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원리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distance sensor 47 is located at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head portion 11a and scans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11a by angular motion within the range of the angle?. Like the ordinary distance sensor, the distance sensor 47 has a principle of irradiating a laser beam and sen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spot (the point where the laser beam reaches) of the laser beam and itself.

특히 두 개의 거리센서(47)는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일측 거리센서가 하향 회동하는 동안 타측 거리센서는 상향 회동한다. 일측거리센서가 상향 회동할 때 타측 거리센서는 하향 회동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two distance sensors 47 do not rise and fall at the same time, but the other distance sensor rotates upward while the one distance sensor rotates downward. When the one side distance sensor rotates upward, the other distance sensor rotates downward.

말하자면,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도면상 좌측 거리센서에 의한 광착점이, 헤드부(11a) 상부의 중앙부(T포인트)로부터 시작하여 좌측 측면인 S2포인트로 이동하는 동안, 우측 거리센서에 의한 광착점은, 우측 측면인 S1포인트로부터 출발하여 상향 회동하여 T포인트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두 개의 광착점이 T포인트에서 겹치지 않게 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while the light spot by the left distance sensor moves from the center portion (T point) on the top of the head portion 11a to the S2 point on the left side, The starting point starts from the right side S1 point and moves upward to the T point.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two optical spot points do not overlap at the T point.

여하튼 상기 구성을 갖는 마모측정유니트(79)는, 제어부(75)의 제어신호에 따른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각운동부재(45)와 거리센서(47)가 양방향으로 각운동하고 그동안 거리센서(47)가 헤드부(11a)의 상면 및 측면의 형상을 스캐닝하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Anyway,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of the motion members 45 and the distance sensor 47 is angularly moved in both directions by driving of the motor 4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5, The distance sensor 47 performs an operation of scanning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head portion 11a.

한편, 상기 프레임바디(33)의 상부에는 커버(17)가 씌워진다. 상기 커버(17)는 전원부(17)와 마모측정유니트(79) 등을 커버하며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리부(49)에 볼트(18) 결합된다. 즉 상기 다리부(49)의 상부에 커버(17) 양측의 고정부(17a)를 대응시킨 후 볼트(18)를 이용해 고정시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cover 17 is put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body 33. The cover 17 covers and protects the power supply unit 17 and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and is connected to the leg 49 with a bolt 18. That is, the fixing portions 17a on both sides of the cover 17 are made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49, and then the bolts 18 are used to fix the fixing portions 17a.

도 11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마모 측정장치(15)가 철도레일(11) 상부에 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wear measurement device 15 shown in FIG. 1 is set on an upper part of a railway rail 11.

도면을 참조하면, 철도레일(11)의 헤드부(11a) 양측면에 고정롤러(57)와 지지롤러(51e)가 밀착되어 있고, 저면(11b)에는 클램핑롤러(51c)가 받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a)의 상면 중앙에는 주행롤러(73)가 위치하고 있다.The fixing roller 57 and the supporting roller 51e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head 11a of the rail rail 11 and the clamping roller 51c is supported by the bottom 11b. . A traveling roller 7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상기 주행롤러(73)는 상기 핸들(25)을 회전시켜 인장와이어(55)를 인장시킴으로써 헤드부(11a)를 하향 가압하고 있다. 상기 주행롤러(73)가 헤드부(11a)를 가압함에 따라, 저면(11b)에 걸려 있는 클램핑롤러(51c)는 반작용력에 의해 상부로 당겨 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저면(11b)을 더욱 강하게 가압한다. The traveling roller 73 presses the head portion 11a downward by rotating the handle 25 to tension the tension wire 55. [ As the driving roller 73 presses the head portion 11a, the clamping roller 51c hooked on the bottom surface 11b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pulling up by the reaction force, Press strongly.

이와같이 다수의 롤러가 헤드부(11a)의 상하좌우면을 둘러싼 상태로 헤드부(11a)를 죄어 고정하므로, 철도레일(11)에 대한 마모 측정장치(15)의 고정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plurality of rollers fix the head portion 11a by clamp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ead portion 11a so that the fixing of the wear measuring device 15 to the rail rail 11 can be firmly maintained .

상기와 같이 마모 측정장치(15)의 세팅이 완료되었다면, 작업자가 제어부(75)를 이용해 송수신부(2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송수신부(29)는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를 구동한다.When the setting of the abrasion measuring apparatus 15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9 using the control unit 75. The transceiver unit 29 drives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양측 마모측정유니트(79)의 거리센서(47)는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반대방향으로 각운동하면서 헤드부(11a)의 상면 및 측면의 형상을 스캐닝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75)로 전송한다.The distance sensor 47 of the both side wear measurement unit 79 scans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head portion 11a while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75.

상기 과정을 통해 헤드부(11a)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면, 핸들(25)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장와이어(55)에 가하던 인장력을 해제하고, 레버(26)도 반대방향으로 전환하여 종동블록(51)을 철도레일(11)로부터 이격시킨다.If the information on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11a i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handle 25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eleas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wire 55, and the lever 26 is also switched So that the follower block 51 is separated from the rail rail 11.

그 후 마모 측정장치(15)를 다른 마모 의심지점으로 이동시켜 상기 과정을 반복하거나 측정장치(15)를 철수시킨다.Thereafter, the abrasion measuring device 15 is moved to another suspected point of abrasion an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or the measuring device 15 is withdraw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1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15)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작업자가 측정장치(15)를 운반하여 철도레일(11)의 상부에 세팅한다. 즉 주행롤러(73)를 헤드부(11a)에 올리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종동블록(51)은 벌어져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In order to use the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1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or once carries the measuring apparatus 15 and sets it on the rail rail 11. That is, raising the running roller 73 on the head portion 11a. At this time, the driven block 51 must be in the open state.

상기와 같이 측정장치(15)를 레일(11) 위에 세웠다면, 레버(26)를 회동시켜 양측의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저면(11b)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핸들(25)을 돌려 주행롤러(73)를 하향 가압한다. 이 과정을 통해 철도레일(11)에 대한 측정장치(15)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필요시 측정장치(15)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measuring device 15 is placed on the rail 11 as described above, the lever 26 is rotated so that the clamping rollers 51c are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25) to press the traveling roller (73) downward. Through this process, the measuring apparatus 15 is fixed to the railway rail 11, and the measuring apparatus 15 can be pushed and moved as necessary.

상기 세팅과정이 완료된 후 스위치부(31)를 눌러 전원부(27)의 전력이 모터(40)와 거리센서(47)와 인코더(41)에 공급되도록 한다.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27 is supplied to the motor 40, the distance sensor 47 and the encoder 41 by pressing the switch 31 after the setting process is completed.

이어서 제어부(75)를 통해 모터(40)와 거리센서(47)와 인코더(41)를 작동시켜, 거리센서(47)가 각운동하면서 자기 자신과 헤드부(11a) 표면과의 각 포인트에서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한다. 거리센서(47)와 헤드부(11a) 표면과의 거리가 기준치보다 멀다면 마모가 있는 것이고, 기준치와 같다면 마모가 없는 것이다.Then, the motor 40, the distance sensor 47 and the encoder 41 are operated via the control unit 75 so that the distance sensor 47 is moved in its own motion and at each point between the surface of the head unit 11a and itself Measure the distanc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sensor 47 and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re is wear. If the distance is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re is no wear.

이 때 거리센서(47)의 센싱 각도는 인코더(51)에 의해 체크된다. 즉 현재 거리센서(47)가 수직선에 대해 몇 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센싱하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nsing angle of the distance sensor 47 is checked by the encoder 51. That is,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current distance sensor 47 senses with a certain degree of inclination relative to the vertical line.

거리센서(47)와 인코더(41)를 통해 파악된, 거리센서(47)의 각 각도별 거리정보는 송수신부(29)를 통해 제어부(75)로 전달된다.Distance information for each angle of the distance sensor 47, which is grasp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47 and the encoder 4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5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9.

제어부(75)는 거리센서(47)와 인코더(41)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측정윤곽선(도 13의 Z)을 출력한다. 이는 제어부(75)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된다. 작업자는 기준윤곽선(A)와 측정윤곽선(Z)을 비교하여 마모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수작업 여부를 결정한다.The control unit 75 outputs a measurement contour (Z in Fig. 13)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tance sensor 47 and the encoder 41. [ This is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75 itself. The operator compares the reference contour line (A) with the measured contour line (Z) to determine the degree of wear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pair work is to be perform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에서의 제어부(75)의 제어화면을 예로서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screen of the controller 75 in the railway rail wear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75)로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테블릿피씨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제어부(75)의 화면을 참조하면, 기준윤곽선(A)과 측정윤곽선(Z)이 함께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s the control unit 75, a portable tablet PC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can be used. Referring to the screen of the control unit 75 shown in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reference contour A and the measurement contour Z are displayed together.

상기 기준윤곽선(A)은 철도레일의 헤드부의 원래 단면형상을 나타낸 곡선이다. 또한 측정윤곽선(Z)은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가 측정한 단면형상을 표시한다. The reference contour A is a curve showing the orig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ead portion of the railway rail. The measurement contour line (Z) represents the cross-sectional shape measured by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이와같이, 기준윤곽선(A)에 대한 측정윤곽선(Z)의 모양이 제어부(75)의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또한 도식적으로 표시되므로, 작업자는 작업결과를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절한 보수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shape of the measurement contour Z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ontour A is displayed graphically in real time through the monitor of the controller 75, the operator can understand the operation result very easily, It is possible to erect i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레일 11a:헤드부 11b:저면
15:마모측정장치 17:커버 17a:고정부
18:볼트 21:수직파이프 23:정션블록
23a:레버가이드슬릿 25:핸들 26:레버
27:전원부 29:송수신부 31:스위치부
33:프레임바디 33a:샤프트구멍 33b:스프링홀더
35:지지브라켓 37:고정블록 39:인코더지지브라켓
40:모터 40a:구동풀리 41:인코더
43:커플링 43a:종동풀리 43b:센서구동샤프트
45:각운동부재 46:벨트 47:거리센서
49:다리부 50:받침부 51:종동블록
51a:돌출부 51b:하향경사면 51c:클램핑롤러
51d:수평면 51e:지지롤러 51f:수직샤프트
53:작동로드 55:인장와이어 56:가로대
56a:관통플레이트 56b:가이드구멍 57:고정롤러
58:롤러지지블록 59:회동로드 60:전동로드
60a:가동핀 60b:스프링지지돌기 60c:와셔
60d:고정볼트 61:종동블록구동로드 62:왕복로드
62a:사각구멍 62c:스프링지지돌기 62d:스프링홀더
63:링크핀 64:지지스프링 65:인장스프링
67:지지샤프트 68:누름브라켓 68a:와이어관통너트
68b:관통공 68c:고정너트 69:연결핀
70:싱크로로드 70a:걸림턱 71:와이어가이드브라켓
71a:와이어구멍 72:로드지지스프링 73:주행롤러
75:제어부 77:차대 79:마모측정유니트
81:전동링크부
11: rail 11a: head portion 11b: bottom surface
15: abrasion measuring device 17: cover 17a:
18: bolt 21: vertical pipe 23: junction block
23a: Lever guide slit 25: Handle 26: Lever
27: power supply unit 29: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1: switch unit
33: frame body 33a: shaft hole 33b: spring holder
35: Support bracket 37: Fixing block 39: Encoder support bracket
40: motor 40a: drive pulley 41: encoder
43: coupling 43a: driven pulley 43b: sensor drive shaft
45: angular motion member 46: belt 47: distance sensor
49: leg portion 50: receiving portion 51: driven block
51a: projecting portion 51b: downward inclined surface 51c: clamping roller
51d: horizontal plane 51e: support roller 51f: vertical shaft
53: working rod 55: tension wire 56:
56a: through plate 56b: guide hole 57: fixing roller
58: roller support block 59: tilt rod 60:
60a: movable pin 60b: spring supporting projection 60c: washer
60d: fixing bolt 61: driven block driving rod 62: reciprocating rod
62a: square hole 62c: spring support projection 62d: spring holder
63: link pin 64: support spring 65: tension spring
67: support shaft 68: pressing bracket 68a: wire penetration nut
68b: through hole 68c: fixing nut 69: connecting pin
70: Synchro rod 70a: Retaining jaw 71: Wire guide bracket
71a: wire hole 72: rod support spring 73: running roller
75: control unit 77: chassis 79: abrasion measuring unit
81: Electric link portion

Claims (9)

마모상태를 점검할 철도레일에 올려진 상태로 철도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차대(車臺)(77)와;
상기 차대(77)에 설치되며 차대(77)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원부(27)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철도레일(11)의 헤드부(11a)의 상면과 측면의 형상을 센싱하는 마모측정유니트(79)와;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가 센싱한 정보를 받아 출력함과 아울러 마모측정유니트(79)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마모측정유니트(79)를 작동시키는 제어부(75)를 포함하되,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는;
상기 헤드부(11a) 측부의 연직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철도레일(1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각운동하며, 그 자신과 헤드부(11a)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47)와,
상기 전원부(27)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거리센서(47)를 각운동 시키는 모터(40)와,
상기 거리센서(47)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5)로 전달하여, 제어부(75)로 하여금 각 각도별 헤드부(11a)의 마모정도를 파악하도록 하는 인코더(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
A chassis (77) capable of traveling along a railway rail while being mounted on a railway rail to be inspected for wear;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7 while the undercarriage 77 is stopped in the state where the undercarriage 77 is stopped so that the wear and tear of the top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railroad rail 11 A measurement unit 79;
And a control unit (75)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and sending a control signal to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to operate the wear measurement unit (79)
The abrasion measuring unit (79) comprises:
A distance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itself and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while being installed on a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head portion 11a and being angularly moved about a rotation center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road rail 11, A sensor 47,
A motor 40 that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7 and angularly moves the distance sensor 47,
And an encoder 41 for detec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distance sensor 47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angle to the controller 75 so that the controller 75 can grasp the degree of wear of the head 11a at each angle Features railway rail wear measur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77)는;
프레임바디(33)와,
상기 프레임바디(33)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고 철도레일(11)의 헤드부(11a)상에서 구름운동하는 주행롤러(73)와,
상기 프레임바디(33)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철도레일(11)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응 배치되며, 그 일측부에는 철도레일(11)의 헤드부(11a)의 하부로 진입하여 헤드부(11a)의 저면(11b)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 클램핑롤러(51c)가 구비된 받침부(50)와,
상기 받침부(50)를 작동시켜 상기 클램핑롤러(51c)가 상기 헤드부(11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헤드부(11a)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1차조작부와,
상기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헤드부(11a)상의 주행롤러(73)를 하강시켜, 프레임바디(33)가 반작용력에 의해 상부로 들리도록 유도함으로써, 프레임바디(33)에 지지되어 있는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저면(11b)을 가압하도록 하는 2차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carriage (77) comprises:
A frame body 33,
A traveling roller 73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ame body 33 and rolls on the head portion 11a of the rail rail 11,
And is disposed on the frame body 33 so as to be movable in position and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with the rail 1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nters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railway rail 11 at one side thereof, (50) having a clamping roller (51c) which can be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base (11a)
A primary operating section for actuating the receiving section 50 so that the clamping roller 51c is positioned below the head section 11a or spaced from the head section 11a,
The driving roller 73 on the head portion 11a is lowered and the frame body 33 is guided to be lifted up by the reaction force in a state where the clamping roller 51c is positioned below the head portion 11a , And a clamping roller (51c) supported by the frame body (33) presses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art (11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프레임바디(33)에 지지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1차조작부에 의해 축회전 가능한 수직샤프트(51f)와,
상기 수직샤프트(51f)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수직샤프트(51f)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블록형 부재로서, 철도레일(11)을 향하는 면에 상기 클램핑롤러(51c)를 구비하고, 회전시 상기 클램핑롤러(51c)를 철도레일(11)에 대해 진퇴운동 시키는 종동블록(51)을 포함하며,
상기 1차조작부는;
상기 프레임바디(33)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축회전하는 작동로드(53)와,
상기 작동로드(53)와 수직샤프트(51f)를 링크시켜 작동로드(53)의 축회전력을 수직샤프트(51f)로 전달하여 수직사프트(51f)가 축회전하도록 하는 전동링크부(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vertical shaft 51f which is supported by the frame body 33 and extends vertically and is rotatable about an axis by the primary operating portion,
The clamping roller 51c is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railway rail 11 and the clamping roller 51c is fix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haft 51f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vertical shaft 51f, (51) for moving the rail (51c) relative to the rail rail (11)
Wherein the primary operating portion comprises:
An operating rod 53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rame body 33 and axially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an electric link portion 81 for linking the operation rod 53 and the vertical shaft 51f to transmit the axial rotation force of the operation rod 53 to the vertical shaft 51f to rotate the vertical shaft 51f Wherein the rail rai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il rail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블록(51)에는,
종동블록(51)이 회전하여 클램핑롤러(51c)가 헤드부(11a)의 저면(11b) 하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헤드부(11a)의 양측면에 접하는 지지롤러(51e)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driven block 51,
A supporting roller 51e contacting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head portion 11a is further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en block 51 rotates and the clamping roller 51c enters under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head portion 11a A rail rail wear measuring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디(33)에는;
철도레일(1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양단부가 프레임바디(33)에 지지되는 지지샤프트(67)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샤프트(67)에는, 그 하단부에 상기 주행롤러(73)를 가지며 상단부가 지지샤프트(67)의 상부로 연장되고, 지지샤프트(67)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운동 가능한 누름브라켓(68)이 설치되며,
상기 2차조작부는;
상기 누름브라켓(68)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누름브라켓(68)의 상단부를 당겨 주행롤러(73)가 레일 헤드부(11a)를 하향 가압하도록 하는 인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ame body (33)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shaft (67) horizontally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ilway rail (11) and having both ends supported by the frame body (33)
The support shaft 67 is provided with a pushing bracket 68 which has the traveling roller 73 at its lower end and whose upper end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67 and which is rotatable about the support shaft 67, Lt; / RTI >
Wherein the secondary operating portion comprises:
And a tensioning means for pulling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racket (68)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racket (68) so that the running roller (73) presses the rail head portion (11a) downward. Measur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디(33)에는,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 상기 작동로드(53)를 수용하는 수직파이프(2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단부에는, 상기 작동로드(53)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작동로드(53)를 축회전 시키는 레버(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rame body 33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rtical pipe 21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nd accommodating the operation rod 53 therein,
Characterized in th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21) is provided with a lever (26) which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53) and which is operated by a user to rotate the operating rod (53)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은, 상기 누름브라켓(68)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인장와이어(55)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바디(33)에는,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인장와이어(55)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수직파이프(21)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단부에는, 상기 인장와이어(55)에 연결되며 인장와이어(55)를 당겨올리거나 풀어내리는 핸들(2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ensioning means includes a tension wire 55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racket 68,
The frame body 33 is provided with a vertical pipe 21 extending vertically upwards and receiving the tension wire 55 therein,
Wherein a handle (25) connected to the tension wire (55) and pulling up or pulling the tension wire (5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21).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측정유니트(79)는;
상기 프레임바디(33)의 측부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블록(37)과,
상기 고정블록(37)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거리센서(47)를 지지하는 각운동부재(45)와,
상기 고정블록(37)을 관통하며 모터(40)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축회전하여 상기 각운동부재(45)를 작동시키는 센서구동샤프트(43b)와,
상기 고정블록(37)에 고정되며 각운동부재(45)의 반대편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상기 인코더(41)를 구비한 인코더브라켓(39)과,상기 센서구동샤프트(43b)와 인코더(41)를 연결하여, 센서구동샤프트(43b)의 각운동량을 인코더(41)로 전달하는 커플링(4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마모 측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rasion measuring unit (79) comprises:
A fixing block 37 fixed to the side of the frame body 33 and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An angular motion member 45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xed block 37 and supporting the distance sensor 47,
A sensor drive shaft 43b which passes through the fixed block 37 and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40 to rotate the shaft to operate the respective motion members 45,
An encoder bracket 39 fixed to the fixed block 37 and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each of the motion members 45 and having the encoder 41 at an extended end thereof and an encoder bracket 39 fixed to the sensor driving shaft 43b and the encoder 41 And a coupling (43) for transmitting the angular momentum of the sensor drive shaft (43b) to the encoder (41).
KR1020160069213A 2016-06-03 2016-06-03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KR1017429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13A KR101742981B1 (en) 2016-06-03 2016-06-03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13A KR101742981B1 (en) 2016-06-03 2016-06-03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981B1 true KR101742981B1 (en) 2017-06-14

Family

ID=5921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13A KR101742981B1 (en) 2016-06-03 2016-06-03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98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2372A (en) * 2021-02-06 2021-06-15 吴佳俊 Rotary type abrasion drawing and measuring device for train rail
CN114384074A (en) * 2021-12-10 2022-04-22 苏州西热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Catalyst abrasion judgment method
KR20220126040A (en) * 2021-03-08 2022-09-15 김봉택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KR20220159723A (en) 2021-05-26 2022-12-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of rail acoustic roughness using the laser scanning
WO2023042957A1 (en) * 2021-09-14 2023-03-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ail managem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319A (en) 2002-01-10 2003-07-25 Mitsubishi Heavy Ind Ltd Sectional shape of rail measuring device
JP2009276270A (en) * 2008-05-16 2009-11-26 Central Japan Railway Co Rail head face shape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319A (en) 2002-01-10 2003-07-25 Mitsubishi Heavy Ind Ltd Sectional shape of rail measuring device
JP2009276270A (en) * 2008-05-16 2009-11-26 Central Japan Railway Co Rail head face shape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2372A (en) * 2021-02-06 2021-06-15 吴佳俊 Rotary type abrasion drawing and measuring device for train rail
CN112962372B (en) * 2021-02-06 2024-04-05 柳州科路测量仪器有限责任公司 Rotary abrasion drawing and measuring device for train rail
KR20220126040A (en) * 2021-03-08 2022-09-15 김봉택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KR102554403B1 (en) 2021-03-08 2023-07-11 김봉택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KR20220159723A (en) 2021-05-26 2022-12-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of rail acoustic roughness using the laser scanning
WO2023042957A1 (en) * 2021-09-14 2023-03-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ail management device
CN114384074A (en) * 2021-12-10 2022-04-22 苏州西热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Catalyst abrasion judg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981B1 (en)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JP3768642B2 (en) Ultrasonic device for detecting and / or measuring internal defects in rails
KR101898586B1 (en) A portable phased array ultrasound rail inspection device
JP7086078B2 (en)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rbital shape
US10656120B2 (en) Movable detector and methods for inspecting elongated tube-like objects in equipment
US43122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 inspection
JP2008107291A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latform of railroad
JP2014062781A (en) Ultrasonic flaw detector
JP2011002320A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crack of welded section
CN105352532B (en) A kind of wheel for wheel set maintenance is to axle center automatic positioning equipment
EP0195055A4 (en) Railhead profile measuring apparatus.
KR200408111Y1 (en) An automatic excursion apparatus of roll surface
KR101682549B1 (en) Jig for ultrasonic inspection of curved panel
CN101598627B (en) Horizontal type level collision testing machine
CN114184681B (en) 3D scanning device for turnout
JP2001033401A (en) Device for probing lining of concrete structure
JP5150316B2 (en) Support stand for X-ray analyzer
CN111307950A (en) Rail bottom section flaw detection undercarriage for welding joint welding seam of welding rail foundation ground steel rail
CN111283096A (en) Intelligent monitoring integrated equipment for sheet metal part riveting line
KR100876176B1 (en) Cold-rolled coil outer binding state inspection device
CN220626271U (en) Ultrasonic phased array integrated automatic flaw detection equipment
JPWO2010084576A1 (en)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CN201130019Y (en) Train scanning system
KR102234574B1 (en) Emergency stop apparatus for belt conveyor
CN212008432U (en) Rail bottom section flaw detection undercarriage for welding joint welding seam of welding rail foundation ground steel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