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403B1 -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 Google Patents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403B1
KR102554403B1 KR1020210030119A KR20210030119A KR102554403B1 KR 102554403 B1 KR102554403 B1 KR 102554403B1 KR 1020210030119 A KR1020210030119 A KR 1020210030119A KR 20210030119 A KR20210030119 A KR 20210030119A KR 102554403 B1 KR102554403 B1 KR 10255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ing
rail
modu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6040A (en
Inventor
김봉택
이행섭
이병인
유인창
임재천
Original Assignee
김봉택
이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택, 이행섭 filed Critical 김봉택
Priority to KR1020210030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403B1/en
Publication of KR2022012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0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06Details, e.g. in the structure or functioning of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13Arrangements for scanning
    • G01N27/902Arrangements for scanning by moving th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by analysing electrical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센서를 레일에 정위치시키기 위한 와전류 센싱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와전류 센싱장치는 레일 상에서 멀티채널을 구현하여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되, 센싱모듈은 레일의 상면에 대응하여 센싱공간을 형성하는 센싱바디와, 센싱공간에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종횡으로 배열되어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다수의 단위센서와, 단위센서가 개별적으로 정위치되도록 센싱공간에 결합되는 장착바디와, 장착바디에 단위센서를 개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바디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dy current sensing device for positioning a plurality of unit sensors on a rail and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To this end,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includes a sensing module that measures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by implementing multi-channels on the rail, the sensing module includes a sensing body forming a sens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nd the length of the rail in the sensing space A plurality of unit sensors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ong the direction to measure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a mounting body coupled to the sensing space so that the unit sensors are individually positioned, and a detachable unit sensor individual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contains the body

Description

와전류 센싱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Eddy curr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it

본 발명은 와전류 센싱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단위센서를 레일에 정위치시키기 위한 와전류 센싱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nd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ddy current sensing device for positioning a plurality of unit sensors on a rail and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will be.

일반적으로, 와전류(eddy current) 검사는 금속의 크랙(crack) 판별 등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 전도도 변화(임피던스 변화)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기술이다. 기술의 원리는 와전류 장비에서 생성된 교류전류를 센서코일에 인가하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이 생성된다. 이때 센서에 금속체가 근접해 있을 경우 자기장을 받은 금속에 자기장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와류 형태의 전류가 생성되게 된다. 이것이 와전류이며, 크랙 발생시 흐르는 와전류의 크기와 모양이 변하게 되어 크랙 유무 검사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을 철도 레일의 결함검사에 적용할 수 있다.In general, eddy current inspection is a technique widely used for determining cracks in metal, and is a non-destructive inspection technique for electrically detecting a change in conductivity (change in impedance). The principle of the technology is that when the alternating current generated by the eddy current equipment is applied to the sensor coil, a magnetic field is created as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At this time, when a metal body is close to the sensor, a current in the form of a vortex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metal receiving the magnetic field. This is an eddy current, and when a crack occurs, the size and shape of the flowing eddy current change, so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rack can be inspected. The above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defect inspection of railway rails.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일결함검사장비는 와전류센서 사용하여 레일헤드('검사면' 표기)부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와전류센서로 레일의 넓은 헤드부분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여러 차례에 걸쳐 센서의 위치를 이동하여 같은 레일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여러 차례검사를 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일결함검사장비는 검사 대상레일에 대한 크랙 깊이와 길이가 가능하지만, 크랙의 폭 등 검사 대상레일에 대한 입체적인 결함형상 분석 및 평가를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일결함검사장비는 와전류센서를 검사위치에 따라 위치이동 후 검사하므로 이동 후 검사한 데이터 각각을 서로 레일 동일선상으로 일치시킬 수 없는 문제도 있다.Rail defect insp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an eddy current sensor to perform an inspection on a rail head (marked 'inspection surface'). In order to inspect the wide head of the rail with an eddy current sensor, it is necessary to move the position of the sensor several times and inspect the same rail several times repeatedly. Rail defect insp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measure the depth and length of cracks on the rail to be inspected, but cannot analyze and evaluate the three-dimensional defect shape on the rail to be inspected, such as the width of the crack. In addition, since the rail defect insp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moves the eddy current sensor according to the inspection position and inspects 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ch of the inspected data after moving cannot be matched to each other on the same line of the rail.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와전류센서는 하나의 원통형 코일 구조를 가진 절대형코일형 센서와 두개의 원통형 코일이 인접한 차동코일형 센서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와전류센서는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와전류센서와 검사체(레일) 사이의 거리변화(Lift Off)에 민감하며, 축방향 결함에 취약하다. 4개의 와전류센서와 검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른 출력값을 보정(교정)하기 위해, 종래의 레일결함검사장비는 3~5개의 인공결함에 대하여 0.1~0.2mm의 시트지 여러 장을 이용하여 0.5~1.0mm의 와전류센서와 검사면과의 거리변화(Lift-off)를 준 후 여러 번 반복적으로 신호를 측정하여 교정용 전달함수를 도출한다. 그러나 교정용 신호 측정도중 1번이라도 잘못 측정되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레일간 용접부 및 이종재질레일 신호의 편차가 발생하여 일괄된 검사가 어렵다.In addition, the eddy curr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identify an absolute coil type sensor having a single cylindrical coil structure and a differential coil type sensor in which two cylindrical coils are adjacent. The eddy curr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manufacture, but is sensitive to a change in distance (lift off) between the eddy current sensor and the test object (rail), and is vulnerable to defects in the axial direction. In order to calibrate (calibrate)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 eddy current sensors and the test object, the conventional rail defect inspection equipment uses several sheets of 0.1 to 0.2 mm sheet paper for 3 to 5 artificial defects and 0.5 to 1.0 After setting the distance change (lift-off) between the eddy current sensor and the inspection surface in mm, the signal is repeatedly measured several times to derive the transfer function for calibration. However, if even one wrong measurement is made during the measurement of the signal for calibration, it is difficult to start over from the beginning.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comprehensive inspection due to deviations in welds between rails and signals of rail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8105호 (발명의 명칭 : 멀티 채널 와전류센서를 이용한 레일 결함 검출 장치, 센서 교정 방법 및 결합 검출 방법,, 2019. 08. 07.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08105 (title of invention: Rail defect detection device using multi-channel eddy current sensor, sensor calibration method and coupling detection method, 2019. 08. 07. Announc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단위센서를 레일에 정위치시키기 위한 와전류 센싱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to provide an eddy current sensing device for positioning a plurality of unit sensors on a rail and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센싱장치는 레일 상에서 멀티채널을 구현하여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레일의 상면에 대응하여 센싱공간을 형성하는 센싱바디; 상기 센싱공간에서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종횡으로 배열되어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다수의 단위센서; 상기 단위센서가 개별적으로 정위치되도록 상기 센싱공간에 결합되는 장착바디; 및 상기 장착바디에 상기 단위센서를 개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바디;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module that measures eddy currents of the rail by implementing multi-channels on a rail, wherein the sensing module, a sensing body forming a sens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 plurality of unit sensors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in the sensing space to measure eddy currents of the rail; a mounting body coupled to the sensing space so that the unit sensors are individually positioned; and a detachable body that individually detachably couples the unit sensors to the mounting body.

여기서, 상기 센싱바디에는, 상기 단위센서가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할 때 상기 레일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제1센싱바퀴와, 상기 단위센서가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할 때 상기 레일의 측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제2센싱바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Here, in the sensing body, a first sensing wheel capable of rol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when the unit sensor measures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and a side surface of the rail when the unit sensor measures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nsing wheels capable of rolling is included.

여기서,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센싱공간에 이격 배치되는 둘 이상의 장착프레임; 상기 단위센서와 1:1로 대응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장착프레임 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블럭; 및 상기 장착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을 향해 상기 장착블럭을 탄성 가압하는 장착탄성부;를 포함한다.Here, the mounting body includes two or more mounting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nsing space; a mounting block that is movably coupled between a pair of mounting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1:1 correspondence with the unit sensor; and a mounting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mounting block toward the rail based on the mounting frame.

여기서, 상기 탈착바디는, 상기 장착바디에 결합되는 탈착블럭; 및 상기 단위센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탈착블럭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블럭;을 포함한다.Here, the detachable body includes a detachable block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and a pivot block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block in a state coupled to the unit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센싱장치는 상기 센싱모듈을 상기 레일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센싱모듈을 이격시키는 센싱승강모듈;을 더 포함한다.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ing elevation module for adhering the sensing module to the rail or separating the sensing module from the rail.

여기서, 상기 센싱승강모듈은, 상기 센싱모듈의 이동을 위한 기준이 되도록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승강베이스; 상기 센싱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브라켓; 및 상기 센싱모듈이 상기 레일에 밀착되거나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센싱모듈이 이격되도록 상기 승강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브라켓을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Here, the sensing elevation module may include an elevation base spaced apart from the rail to serve as a reference for movement of the sensing module; a lifting bracket to which the sensing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and a lifting driver reciprocating the lifting bracket with respect to the lifting base so that the sensing module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ail or the sensing module is spaced apart from the rail.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회전부; 상기 승강회전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승강회전구동부; 상기 승강회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승강베이스의 양측부에 각각 링크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링크; 및 상기 승강회전부와 치합되고, 양측부가 각각 상기 승강링크와 링크 결합되는 승강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브라켓은, 상기 승강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슬라이더와 대향되는 부분에서 양측부가 상기 승강링크와 링크 결합된다.Here, the lifting driving unit may include: a lifting and rotating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ing base; a lifting and rotating driving unit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lifting and rotating unit; a pair of lifting links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rotating unit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base; And an elevating slider engaged with the elevating rotation unit and having both sides linked to the elevating link, respectively, wherein the elevating bracket has both sides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elevating slider based on the elevating base and the elevating link. Links are combined.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센싱장치는 상기 센싱모듈에서 상기 단위센서에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제어모듈;을 더 포함한다.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ing control module outputting an AC signal from the sensing module to the unit sensor.

본 발명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유닛; 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바퀴모듈을 포함하는 바퀴유닛; 상기 바퀴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엔코터유닛; 상기 레일 상에서 멀티채널을 구현하여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모듈과, 상기 센싱모듈에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센싱유닛; 및 상기 엔코더유닛과 상기 센싱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신호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센싱유닛에서 측정되는 와전류와 상기 엔코더유닛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unit forming an exterior; A wheel unit including a main wheel modul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so as to be movable on rails; an encoder unit outputting data on a moving distance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wheel unit; a sensing unit including a sensing module that implements multi-channels on the rail to measure eddy currents of the rail, and a sensing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n AC signal to the sensing module;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coder unit and the sensing unit, controlling the AC signal, and processing eddy current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and data output from the encoder unit.

여기서, 상기 메인바퀴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퀴모듈과, 상기 본체유닛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퀴모듈과 상기 제2바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엔코더유닛이 연결된다.Here, the main wheel module includes a first wheel modul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and rota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unit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possibly coupled second wheel modules, and the encoder un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wheel module and the second wheel module.

여기서, 상기 바퀴유닛은, 상기 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바퀴모듈은,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고, 상기 보조바퀴모듈은,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다.Here, the wheel un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wheel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so as to enable rolling movement on the rail, but the main wheel module is capable of rolling movement on any one of a pair of rails, , The auxiliary wheel module is capable of rolling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rails.

여기서, 상기 보조바퀴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부재; 및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서포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바퀴;를 포함한다.Here, the auxiliary wheel module, a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and a support wheel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rails.

여기서, 상기 메인바퀴모듈은, 상기 레일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바퀴; 상기 주행바퀴의 주행축 또는 상기 본체유닛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가이드; 상기 레일의 상면과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퀴; 및 상기 주행가이드의 피벗 회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바퀴조절부;를 포함한다.Here, the main wheel module includes a driving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 driving guide pivotally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wheel or to the body unit; a guide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travel guide so as to be able to roll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rail; and a guide wheel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a pivot rotation state of the travel guide.

여기서, 상기 센싱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센싱장치의 센싱모듈;을 포함한다.Here, the sensing module includes a sensing module of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은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에서 상기 바퀴유닛의 접촉 여부를 결정하는 거치유닛; 상기 엔코더유닛과, 상기 센싱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닛; 및 상기 센싱유닛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어유닛의 동작 상태를 시각과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상태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wheel unit is in contact with the rail; a batter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encoder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stat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nsing unit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by at least one of visual and auditory methods.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센싱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단위센서를 레일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a plurality of unit sensors can be positioned on the rail.

이때, 종래 기술과 달리 와전류 센싱장치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한번에 레일의 상면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레일 결함의 위치와 깊이를 실시간으로 검사가 가능하며, 결함의 형태에 대해 3차원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결함 측정 전 와전류 센싱유닛의 교정에 별도의 교정 시트지를 사용하지 않고, 1개의 인공결함을 가진 샘플레일을 사용하여 와전류 센싱유닛이 출력한 위상과 진폭 값을 조절을 통해 교정 절차가 종래 기술에 비해 획기적으로 간편하다.At this time, unlike the prior art,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can be inspected at once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In addition,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rail defect can be inspected in real time, and the shape of the defect can be analyzed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calibration sheet for the calibration of the eddy current sensing unit before measuring the defect, the calibration procedure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phase and amplitude values output by the eddy current sensing unit using a sample rail with one artificial defect. It is remarkably simple compared to

또한, 본 발명은 센싱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의 표면 상태에 대응하여 단위센서의 개별적인 정위치가 가능하고, 개별의 단위센서에 대한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module, individual positioning of the unit sensors is possible in response to the surface state of the rail, and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individual unit sensors can be simplified.

이때, 센싱바디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센싱공간이 안정되게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nsing space is stably form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body.

또한, 본 발명은 센싱바퀴의 구성을 통해 레일을 따라 센싱바디를 안정되게 이동시키고, 센싱바디와 레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ove the sensing body along the rail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wheel and minimize friction between the sensing body and the rail.

또한, 본 발명은 장착바디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개별의 장착블럭을 레일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단위센서와 레일 사이에서 와전류의 생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attach individual mounting blocks to the rail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body, and it is possible to clearly generate eddy current between the unit sensor and the rail.

이때, 장착블럭의 배치구조를 통해 레일에서 단위센서가 안정되게 멀티 채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장착바디의 왕복 이동 구조를 통해 장착프레임을 기준으로 장착블럭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착탄성부의 구조를 통해 안정된 탄성력이 장착블럭에 작용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rough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ounting block, the unit sensor can stably implement multi-channel on the rai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ciprocate the mounting block based on the mounting frame through the reciprocating movement structure of the mounting body. 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elastic part, a stable elastic force acts on the mounting block.

또한, 본 발명은 탈착바디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장착바디에서 개별의 단위센서에 대한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of individual unit sensors in the mounting body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body.

이때, 탈착바디를 통한 단위센서의 결합 구조를 통해 장착바디의 장착블럭에서 단위센서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탈착확인부를 통해 탈착블럭과 피벗블럭의 결합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nit sensor can be stably fixed in the mounting block of the mounting body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nit sensor through the detachable body, and the coupling state of the detachable block and the pivot block can be easily checked through the detachable confirm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은 센싱승강모듈을 통해 센싱모듈과 레일의 밀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센싱모듈이 임의로 레일 또는 바닥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nsing module and the rail are in close contact through the sensing elevation module, and can prevent the sensing module from arbitrarily contacting the rail or the floor.

또한, 본 발명은 센싱승강모듈과 센싱모듈의 결합 구조를 통해 센싱승강모듈에서 센싱모듈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rly reciprocate the sensing module in the sensing elevation module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nsing elevation module and the sensing module.

이때, 승강브라켓과 센싱모듈의 이격 구조를 통해 승강브라켓과 센싱바디 사이에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센싱모듈의 단위센서의 결합 및 유지보수 그리고 탈착바디의 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cure a working space between the lifting bracket and the sensing body through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lifting bracket and the sensing module, an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upling and maintenance of the unit sensor of the sensing module and the operation of the detachable body.

또한, 본 발명은 승강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센싱모듈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하고, 센싱모듈이 레일에 밀착될 때, 승강링크의 회전 구조를 통해 센싱모듈의 최대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rif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ensing module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ift driver, and limit the maximum descent of the sensing module through the rotational structure of the lift link when the sensing modu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또한, 본 발명은 센싱제어모듈을 통해 센싱모듈에 구비된 단위센서가 기설정된 교류 신호를 안정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nit sensor provided in the sensing module to stably output a preset AC signal through the sensing control module.

이때, 센싱제어모듈의 결합 구조를 통해 본체에서 센싱제어모듈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고, 센싱제어모듈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nsing control module,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sensing control module from the main body and to simplify maintenance of the sensing control module.

또한, 본 발명은 탐상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에서의 와전류를 안정되게 탐상하고, 현장에서 레일의 결함을 신속하게 추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을 통해 탐상시스템을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detect the eddy current in the rail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and quickly extract defects in the rail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flaw detection system can be used independently through the control unit.

이때, 본체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바퀴유닛과 엔코더유닛의 결합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하고, 센싱유닛과 제어유닛의 탈부착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in uni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upling and maintenance of the wheel unit and the encoder unit, and to simplify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은 메인바퀴모듈의 구성을 통해 레일에서 본체유닛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ove the body unit on the rail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wheel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보조바퀴모듈의 부가 구성을 통해 탐상시스템이 레일에서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하고, 탐상시스템의 정지 또는 탐상시스템의 이동에 대응하여 레일에서 탐상시스템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law detection system to be stably moved on the rail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wheel module, and can prevent the flaw detection system from being overturned on the rail in response to the stop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or the movement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보조바퀴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본체유닛과 보조바퀴모듈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하고, 보조바퀴모듈의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larifie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unit and the auxiliary wheel module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wheel module, and provides convenience in use of the auxiliary wheel module.

이때, 서포트부재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서포트부재의 길이를 단축시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고, 제1서포트와 제2서포트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서포트의 부가 구성을 통해 서포트부재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서포트바퀴의 결합 구조를 통해 서포트바퀴와 레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shorten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it can be carried and stored, and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wheel and the rail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wheel.

또한, 본 발명은 메인바퀴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에서의 구름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레일에서 주행바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move the rolling on the rail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in wheel module, and prevent slipping of the driving wheel on the rail.

이때, 메인바퀴모듈에서 가이드바퀴의 결합 구조를 통해 가이드바퀴와 레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조절부재를 통해 가이드바퀴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guide wheel and the rail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uide wheel in the main wheel module.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guide wheel can be easily adjusted through the guide adjusting member.

이때, 엔코더유닛의 결합 구조를 통해 메인바퀴모듈의 주행바퀴의 회전에 대응하여 탐상시스템의 이동거리를 간편하게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asily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of the main wheel module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ncoder unit.

또한, 본 발명은 거치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바닥 또는 레일에서 메인바퀴모듈의 접촉을 방지하고, 탐상시스템의 직립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ontact of the main wheel module on the floor or rail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unit, and can stabilize the upright state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탐상시스템을 컴팩트하게 하고, 탐상시스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flaw detection system compact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unit, and can freely move the flaw detec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상태표시유닛을 통해 독립적으로 활용되는 탐상시스템의 상태를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status of the independently utilized flaw detection system through the status display unit on-sit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서 사용자와 마주보는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서 정면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서 정면과 대향되는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서 배면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서 거치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탐상장치가 레일에서 주행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탐상장치가 레일에서 주행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서 바퀴유닛 중 보조바퀴모듈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탐상시스템에서 센싱유닛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센싱유닛에서 센싱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센싱유닛에서 센싱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센싱유닛에서 센싱승강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센싱유닛에서 센싱승강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ront facing a user in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exploded view showing a front lower structure in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pposite to a front surface in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exploded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a rear surface in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unting unit in 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aw detector can run on a rail, and (b) shows the flaw detector Indicates a state in which driving on rails is impossible.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wheel module among wheel units in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ing unit in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ing module in the sensing unit of FIG. 9 .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nsing module in the sensing unit of FIG. 9 .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nsing elevation module in the sensing unit of FIG. 9 .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nsing elevation module in the sensing unit of FIG. 9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센싱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은 레일(R)을 따라 이동하면서 와전류를 검출한다.1 to 13, 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eddy current while moving along a rail (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은 본체유닛(10)과, 바퀴유닛(20)과, 엔코더유닛(30)과, 센싱유닛(50)과, 제어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10, a wheel unit 20, an encoder unit 30, a sensing unit 50, and a control unit 70 can do.

본체유닛(10)은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유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11)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장치본체(11)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unit 10 forms an exterior. The body unit 10 may include a device body 11 forming an exterior and a handle coupled to the device body 11 for a user's grip.

장치본체(11)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R)을 기준으로 레일(R)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측면바디(111)와, 제1측면바디(111)와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레일(R)을 기준으로 레일(R)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측면바디(112)와, 제1측면바디(111)와 제2측면바디(112)를 상호 연결시키는 지지브라켓(1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장치본체(11)에서 제1측면바디(111)와 제2측면바디(112) 사이에는 바퀴유닛(20)과, 엔코더유닛(30)과, 센싱유닛(50)과, 제어유닛(70)이 정위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device body 1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body 1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ail R with respect to the rail R, and the first side body 111 A support interconnecting the second side body 11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l R with respect to the rail R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side body 111 and the second side body 112 A bracket 113 may be included. Then, between the first side body 111 and the second side body 112 in the device body 11, the wheel unit 20, the encoder unit 30, the sensing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70 ) is in place.

손잡이는 본체유닛(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유닛(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12)와, 본체유닛(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유닛(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손잡이(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is a first handle 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10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unit 10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 At least one of the provided second handles 13 may be included.

바퀴유닛(20)은 레일(R)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바퀴모듈(21)을 포함한다.The wheel unit 20 includes a main wheel module 21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rail R.

메인바퀴모듈(21)은 본체유닛(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유닛(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퀴모듈(21a)과, 본체유닛(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유닛(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퀴모듈(2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The main wheel module 21 includes a first wheel module 21a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10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 At least one of the second wheel modules 21b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unit 10 is included.

제1바퀴모듈(21a)과 제2바퀴모듈(2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엔코더유닛(30)이 연결된다.The encoder unit 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wheel module 21a and the second wheel module 21b.

이러한 메인바퀴모듈(21)은 도 4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R)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바퀴(22)와, 주행바퀴(22)의 주행축(221) 또는 본체유닛(10)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가이드(23)와, 레일(R)의 상면과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주행가이드(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퀴(24)와, 주행가이드(23)의 피벗 회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바퀴(24)조절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or 6, the main wheel module 21 includes a driving wheel 22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so as to be ro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and a driving wheel ( 22) of the driving shaft 221 or the main unit 10 pivotally coupled to the driving guide 23, and the driving guide 23 so as to be able to roll on at least one of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rail R It includes a guide wheel 24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wheel 24 and a guide wheel 24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the pivot rotation state of the travel guide 23.

주행바퀴(22)는 주행축(221)을 매개로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주행바퀴(22)에는 주행마찰부(222)가 구비되어 레일(R)에서의 구름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레일(R)에서 주행바퀴(22)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iving wheel 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via a driving shaft 221. The running wheel 22 is provided with a running friction unit 222 to facilitate rolling movement on the rail R and to prevent the running wheel 22 from slipping on the rail R.

가이드바퀴(24)는 가이드축(241)을 매개로 주행가이드(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바퀴(24)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레일(R)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지지되므로, 레일(R)의 상면 일부와 레일(R)의 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바퀴(24)는 가이드탄성부(242)에 의해 주행가이드(23)를 기준으로 레일(R)을 향해 탄성 가압되므로, 가이드바퀴(24)와 레일(R)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guide wheel 2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ravel guide 23 via a guide shaft 241. Since the guide wheels 24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supported on the edge of the rail R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enable rolling movement while being support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and the side of the rail R. there is.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wheel 24 is elastically pressed toward the rail R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guide 23 by the guide elastic part 242, the adhesion between the guide wheel 24 and the rail R can be improved. there is.

가이드바퀴(24)조절부는 가이드조절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조절부재(26)는 주행가이드(23)와 본체유닛(10)의 측면바디 중 어느 하나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바디부(261)와, 조절바디부(26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돌부(262)와, 조절돌부(262)의 돌출 상태가 유지되도록 조절바디부(261)를 기준으로 조절돌부(262)를 탄성 가압하는 조절탄성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행가이드(23)와 본체유닛(10)의 측면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조절돌부(262)와의 끼움 결합을 위한 조절홀부(252)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홀부(252)는 주행가이드(23)의 피벗 회전에 대응하여 둘 이상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wheel 24 control unit may include a guide control member 26. The guide control member 26 is coupled to the control body 261 detachably coupled to either one of the travel guide 23 and the side body of the body unit 10, and to the control body 261 to be reciprocally movable. It may include an adjusting protrusion 262 and an adjusting elastic part 263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adjusting protrusion 262 with respect to the adjusting body 261 so that the protruding state of the adjusting protrusion 262 is maintain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hole 252 for fitting with the control protrusion 262 is recessed or forme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travel guide 23 and the side body of the body unit 10. Two or more control holes 252 may be spaced apart in response to the pivot rotation of the driving guide 23 .

조절바디부(261)는 주행가이드(23)와 본체유닛(10)의 측면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조절바디홀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둘 이상의 조절홀부(252) 중 어느 하나에 조절돌부(262)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가이드(251)를 피벗 회전시키면, 조절돌부(262)는 조절바디부(26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둘 이상의 조절홀부(252) 중 어느 하나에서 이탈되었다가 둘 이상의 조절홀부(252) 중 다른 하나에 끼움 결합되므로, 조절탄성부(263)의 탄성력으로 조절돌부(262)가 조절홀부(252)에 삽입될 때 발생되는 소리로 햅틱 효과를 나타내어 주행가이드(23)의 피벗 회전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adjusting body part 261 may be screwed into the adjusting body hole provided in any one of the driving guide 23 and the side body of the body unit 10 . Then, when the adjusting guide 251 is pivotally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adjusting protrusion 262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two or more adjusting holes 252, the adjusting protrusion 262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body 261 and Since it is separated from one of the two or more control hole portions 252 and then inserted into the other one of the two or more control hole portions 252, the control protrusion 262 is attached to the control hole 25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trol elastic part 263.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pivot rotation state of the travel guide 23 by indicating a haptic effect with a sound generated when inserted.

가이드조절부재(26)는 주행가이드(23)와 본체유닛(10)의 측면바디 중 어느 하나에 조절바디부(261)가 고정되도록 조절바디부(261)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너트부(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adjusting member 26 includes an adjusting nut portion 264 screwed to the adjusting body portion 261 so that the adjusting body portion 261 is fixed to either the driving guide 23 or the side body of the body unit 10.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조절부재(26)가 본체유닛(10)에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조절바퀴부는 주행가이드(23)에 구비되는 가이드브라켓(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25)은 주행가이드(23)에서 연장되는 조절가이드(251)와, 주행가이드(23)의 피벗 회전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되어 조절가이드(251)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둘 이상의 조절홀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guide adjusting member 26 is provided in the body unit 10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adjusting wheel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racket 25 provided on the travel guide 23 . The guide bracket 25 includes an adjustment guide 251 extending from the travel guide 23 and two or more control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pivot of the travel guide 23 and recessed or penetrating the control guide 251. (252).

바퀴유닛(20)은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R)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유닛(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퀴모듈(2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메인바퀴모듈(21)은 한 쌍의 레일(R) 중 어느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고, 보조바퀴모듈(27)은 한 쌍의 레일(R) 중 다른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1, 2 and 8 , the wheel unit 20 may include an auxiliary wheel module 27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rail R. . Then, the main wheel module 21 can be rolled on any one of the pair of rails R, and the auxiliary wheel module 27 can be rolled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rails R.

보조바퀴모듈(27)은 본체유닛(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부재(28)와, 한 쌍의 레일(R) 중 다른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유닛(10)으로부터 이격되어 서포트부재(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바퀴(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heel module 27 is a support member 28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and spaced apart from the body unit 10 so that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rails R can move by rolling. It may include a support wheel 29 rotatably coupled to (28).

서포트부재(28)는 본체유닛(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본체유닛(1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g하게 결합되는 제1서프트와, 서포트바퀴(29)가 구비되는 제2서포트(282)와, 제1서포트(281)와 제2서포트(282)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서포트조인트(2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8 includes a first support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10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dy unit 10, and a second support 282 provided with a support wheel 29, A support joint 283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support 281 and the second support 282 may be included.

서포트부재(28)는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제1서포트(281)를 지지하는 지지서포트(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8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upport 284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281 based on the body unit 10 .

서포트부재(28)는 한 쌍의 레일(R) 간격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과 서포트바퀴(29)를 연결하는 서포트로드와, 본체를 기준으로 서포트로드를 지지하는 지지서포트(28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8 includes a support rod connecting the body unit 10 and the support wheel 29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ails R, and a support support 284 supporting the support rod based on the main body. can include

이러한 지지서포트(284)는 찬넬 형상을 나타내고, 제1서포트(281) 또는 서포트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서포트(281) 또는 서포트로드는 지지서포트(284)에 삽입됨에 따라 서포트부재(28)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Since the support support 284 has a channel shap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281 or the support rod, the first support 281 or the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support 284 to support the member ( 28) can be minimized.

서포트바퀴(29)는 서포트브라켓(291)을 매개로 서포트부재(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바퀴(29)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레일(R)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지지되므로, 레일(R)의 상면 일부와 레일(R)의 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바퀴(29)는 서포트탄성부에 의해 서포트브라켓(291)을 기준으로 레일(R)을 향해 탄성 가압되므로, 서포트바퀴(29)와 레일(R)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upport wheel 29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28 via the support bracket 291. Since the support wheels 29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supported on the edge of the rail R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enable rolling movement while being support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and the side of the rail R. there is.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wheel 29 is elastically pressed toward the rail 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racket 291 by the support elastic part,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wheel 29 and the rail R can be improved.

엔코더유닛(3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유닛(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엔코더유닛(30)은 엔코더브라켓(31)을 매개로 본체유닛(10)의 측면바디에 결합된다. 엔코더유닛(30)은 전달부재(32)를 매개로 메인바퀴모듈(21)의 주행바퀴(22)와 연결된다. 다른 표현으로, 엔코더유닛(30)은 제1바퀴모듈(21a)의 주행바퀴(22) 또는 제2바퀴모듈(21b)의 주행바퀴(22)와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encoder unit 30 outputs data about the moving distance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wheel unit 20 . The encoder unit 30 is coupled to the side body of the body unit 10 via the encoder bracket 31. The encoder unit 3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22 of the main wheel module 21 via a transmission member 32. In other words, the encoder unit 3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22 of the first wheel module 21a or the driving wheel 22 of the second wheel module 21b.

여기서, 전달부재(32)는 주행바퀴(22)에 구비되는 제1회전부(321)와, 엔코더유닛(30)에 구비되는 제2회전부(322)와, 제1회전부(321)와 제2회전부(322)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연결부(323)는 벨트 타입으로 무한궤도를 형성하거나, 기어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transmission member 32 includes a first rotation unit 321 provided on the driving wheel 22, a second rotation unit 322 provided on the encoder unit 30, a first rotation unit 321 and a second rotation unit. It may include a rotation connection portion 323 connecting the 322. At this time, the rotation connection unit 323 may form an endless track in a belt type or represent a gear type.

센싱유닛(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전류 센싱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0 may include an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센싱유닛(5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R) 상에서 멀티채널을 구현하여 레일(R)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모듈(51)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to 11 , the sensing unit 50 may include a sensing module 51 that measures eddy current of the rail R by implementing multi-channels on the rail R.

센싱모듈(51)은 레일(R)의 상면에 대응하여 센싱공간을 형성하는 센싱바디(511)와, 센싱공간에서 레일(R)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종횡으로 배열되어 레일(R)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다수의 단위센서(514)와, 단위센서(514)가 개별적으로 정위치되도록 센싱공간에 결합되는 장착바디(512)와, 장착바디(512)에 단위센서(514)를 개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바디(5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51 includes a sensing body 511 forming a sens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and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R in the sensing space to detect eddy currents of the rail R. A plurality of unit sensors 514 for measurement, a mounting body 512 coupled to the sensing space so that the unit sensors 514 are individually positioned, and the unit sensors 514 can be individually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mounting body 512 It may include a detachable body 513 for coupling.

센싱바디(511)는 제1바디프레임(5111)과, 제2바디프레임(5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body 511 may include a first body frame 5111 and a second body frame 5112 .

제1바디프레임(5111)은 레일(R)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이격 배치된다.A pair of the first body frame 5111 is dispose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R).

제2바디프레임(5112)은 레일(R)의 폭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이격 배치된다.A pair of the second body frame 5112 is disposed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R).

제1바디프레임(5111)과 제2바디프레임(5112)의 단부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센싱공간을 형성하게 된다.As ends of the first body frame 5111 and the second body frame 5112 are coupled to each other, a rectangular or square sensing space is formed.

센싱바디(511)에는 단위센서(514)가 레일(R)의 와전류를 측정할 때 레일(R)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제1센싱바퀴(5113)와, 단위센서(514)가 레일(R)의 와전류를 측정할 때 레일(R)의 측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제2센싱바퀴(5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In the sensing body 511, when the unit sensor 514 measures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R, the first sensing wheel 5113 capable of rol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and the unit sensor 514 are included in the rail R When measuring the eddy current of ),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nsing wheels 5114 capable of rolling on the side of the rail R is included.

제1센싱바퀴(5113)는 제1바디프레임(5111)으로부터 레일(R)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바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장착바디(512)가 레일(R)에 밀착되는 경우, 레일(R)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first sensing wheel 511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bracket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frame 5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R, the mounting body 5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R. In this case, rolling movement is possi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제2센싱바퀴(5114)는 제1바디프레임(5111) 또는 제1바디브라켓으로부터 레일(R)의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바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장착바디(512)가 레일(R)에 밀착되는 경우, 레일(R)의 측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second sensing wheel 511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bracket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frame 5111 or the first body bracke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R, the mounting body 512 is attached to the rail ( When in close contact with R), rolling movement is possible on the side of the rail R.

단위센서(514)는 후술하는 센싱제어모듈(53)에서 출력된 교류 신호에 의해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이 생성된다. 이러한 자기장은 레일(R)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레일(R)에서 자기장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와류 형태의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레일(R)에 흐르는 와전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다시 단위센서(514)에 흐르는 전류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면, 레일(R)에 결함이 있는 경우, 레일(R)에 흐르는 와전류의 크기와 모양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센서(514)는 레일(R)의 와전류를 측정함에 따라 레일(R)에 결함이 없는 경우, 단위센서(514)에 흐르는 전류와 레일(R)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단위센서(514)에 흐르는 전류를 비교하여 레일(R)의 결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The unit sensor 514 generates a magnetic field while current flows by an AC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to be described later. This magnetic field may affect the rail (R). A current in the form of a vortex may be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rail R. The eddy current flowing in the rail R generates a magnetic field,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ddy current affects the current flowing in the unit sensor 514 again. Then, when there is a defect in the rail R, the size and shape of the eddy current flowing in the rail R may change. Therefore, as the unit sensor 514 measures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R, when there is no defect in the rail R, the current flowing in the unit sensor 514 and the defect in the rail R, the unit sensor ( 51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ail R is defective.

여기서, 단위센서(514)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레일(R)에 접근한 상태에서 와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of the unit sensor 514 is not limited, and the eddy current can be measured in a state approaching the rail R through various known for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위센서(514)는 16개가 종횡으로 배열될 수 있다. 16개의 단위센서(514) 중 4개의 단위센서(514)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총 4개의 그룹을 형성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unit sensors 514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mong the 16 unit sensors 514, 4 unit sensors 514 form one group to form a total of 4 group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그룹에 포함된 4개의 단위센서(514)의 중심은 레일(R)의 폭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탈착바디(513)와의 탈부착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각 그룹에서 상호 인접한 두 단위센서(514)에 대응하여 해당 탈착바디(513)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4개 그룹의 중심은 레일(R)의 서로 다른 폭 방향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s of the four unit sensors 514 included in each group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R to facilitate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detachable body 513, and each group In response to the two unit sensors 514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achable body 513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lso, the centers of the four groups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widthwise axes of the rail R.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그룹에 포함된 4개의 단위센서(514)는 레일(R)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각 그룹에 포함된 4개의 단위센서(514)의 중심은 레일(R)의 서로 다른 폭 방향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그룹은 레일(R)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our unit sensors 514 included in each group are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R, and the centers of the four unit sensors 514 included in each group are mutually related to each other on the rail R. It may be arranged on another widthwise axis. Also, the four groups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ax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R.

장착바디(512)는 센싱공간에 이격 배치되는 둘 이상의 장착프레임(5121)과, 단위센서(514)와 1:1로 대응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장착프레임(5121) 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블럭(5122)과, 장착프레임(5121)을 기준으로 레일(R)을 향해 장착블럭(5122)을 탄성 가압하는 장착탄성부(51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body 512 can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wo or more mounting frames 5121 spaced apart in the sensing space and a pair of mounting frames 51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1:1 correspondence with the unit sensor 514. It may include a mounting block 5122 that is tightly coupled, and a mounting elastic part 5125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mounting block 5122 toward the rail R based on the mounting frame 51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착프레임(5121)은 레일(R)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레일(R)의 상부 굴곡에 대응하여 호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장착프레임(5121)은 적어도 한 쌍이 상호 이격되고 레일(R)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센싱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착블럭(5122)은 한 쌍의 장착프레임(5121)을 기준으로 장착프레임(5121)의 길이 방향 또는 레일(R)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다. 장착블럭(5122)은 장착프레임(5121)의 호 형상 또는 레일(R)의 상부 굴곡에 대응하여 레일(R)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또는 호 형상인 장착프레임(5121)의 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위센서(514)와 레일(R) 사이에서 와전류의 생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frame 5121 is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R), and may exhibit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curve of the rail (R). At least one pair of mounting frames 51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the sensing spa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R.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blocks 5122 is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frame 5121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R based on the pair of mounting frames 5121 . The mounting block 5122 corresponds to the arc shape of the mounting frame 5121 or the upper curvature of the rail R,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or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arc-shaped mounting frame 5121. It is coupled to be reciprocating, and it is possible to clearly generate eddy current between the unit sensor 514 and the rail R.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착프레임(5121)은 레일(R)의 길이 방향으로 계단식으로 단차를 형성하면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프레임(5121)은 적어도 한 쌍이 상호 이격되고 레일(R)의 폭 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센싱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착블럭(5122)은 한 쌍의 장착프레임(5121)을 기준으로 장착프레임(5121)의 길이 방향 또는 레일(R)의 길이 방향으로 단위센서(514)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다. 장착블럭(5122)은 장착프레임(5121)의 이격 배치 형태 또는 레일(R)의 상부 굴곡에 대응하여 레일(R)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위센서(514)와 레일(R) 사이에서 와전류의 생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mounting frame 5121 may be formed long while forming a stepwise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R). At least one pair of mounting frames 51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the sensing space in an arc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R.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blocks 5122 is coupled to the unit sensor 5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frame 5121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R based on the pair of mounting frames 5121. The mounting block 5122 is coupled to be reciprocatingly movabl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paced arrangement form of the mounting frame 5121 or the upper curvature of the rail R, so that the unit sensor 514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generation of eddy current between the and the rail R.

장착블럭(5122)에는 단위센서(514)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홀부가 관통 형성된다. 단위센서(514)는 센서홀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A sensor hole portion through which the unit sensor 514 is detachably coupled is formed through the mounting block 5122 . The unit sensor 514 can rotate while being fitted into the sensor hole.

장착바디(512)에는 장착홈부(5123)와, 장착돌부(5124)가 포함될 수 있다.The mounting body 512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5123 and a mounting protrusion 5124 .

장착홈부(5123)는 장착프레임(5121)과 장착블럭(5122)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된다. 장착홈부(5123)는 장착돌부(5124)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장착홈부(5123)는 상술한 레일(R)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장착홈부(5123)에서 레일(R)과 인접한 부분은 폐쇄되어 장착돌부(5124)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고, 장착바디(512)가 레일(R)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장착블럭(5122)이 장착탄성부(5125)에 의해 레일(R)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장착블럭(5122)이 레일(R)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5123 is recessed into one of the mounting frame 5121 and the mounting block 5122 . The mounting groove 5123 forms a reciprocating movement path of the mounting protrusion 5124 . It is advantageous that the mounting groove 5123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described above. The part adjacent to the rail R in the mounting groove 5123 is closed to limi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unting protrusion 5124, and the mounting block 5122 is mounted while the mounting body 512 is spaced apart from the rail R. Access to the rail R is prevented by the elastic part 5125, and wear of the mounting block 5122 by the rail R can be minimized.

장착돌부(5124)는 장착프레임(5121)과 장착블럭(5122)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된다. 장착돌부(5124)는 장착홈부(5123)에 끼움 결합되어 장착홈부(512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The mounting protrusion 5124 protrudes from the other of the mounting frame 5121 and the mounting block 5122. The mounting protrusion 5124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5123 and can slide along the mounting groove 5123 .

장착탄성부(5125)는 장착결합부와, 장착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결합부는 하나의 장착블럭(5122)에 대응하여 장착프레임(5121)에 결합된다. 장착절곡부는 장착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해당 장착블럭(5122)을 탄성 지지한다.The mounting elastic part 5125 may include a mounting coupling part and a mounting bent part. The mounting coupling part i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5121 corresponding to one mounting block 5122 . The mounting bent portio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coupling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rresponding mounting block 512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착절곡부는 장착결합부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해당 장착블럭(5122)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절곡부는 장착결합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와,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절곡부는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절곡연장부와, 절곡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장착블럭(5122)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되는 블럭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bent portion is formed bent on one side of the mounting coupling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rresponding mounting block 5122 . Here, the mounting bent part may include a first bent part bent at the mounting coupling part and a second bent part bent from the first bent part. The second bent portion may include a bent extension portion bent from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block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nt extension portion and brought into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mounting block 5122 .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착절곡부는 장착결합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장착연장부와, 장착연장부와 장착블럭(5122) 사이에 구비되어 장착연장부를 기준으로 장착블럭(5122)을 탄성 가압 가능한 장착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mounting bent portion includes a mounting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ounting coupling portion, and a mounting spr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extension portion and the mounting block 5122 and capable of elastically pressing the mounting block 5122 based on the mounting extension portion. can do.

탈착바디(513)는 장착바디(512)에 결합되는 탈착블럭(5131)과, 단위센서(514)에 결합된 상태에서 탈착블럭(513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블럭(5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able body 513 may include a detachable block 5131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512 and a pivot block 5132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block 5131 in a state coupled to the unit sensor 514. can

탈착블럭(5131)은 장착바디(512)의 장착블럭(5122)에 결합되어 장착프레임(5121)을 기준으로 장착블럭(5122)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detachable block 5131 is coupled to the mounting block 5122 of the mounting body 512 to smoothly reciprocate the mounting block 5122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frame 5121.

탈착바디(513)에는 탈착홈부(5133)와 탈착돌부(5134)가 포함될 수 있다.The detachable body 513 may include a detachable groove 5133 and a detachable protrusion 5134 .

탈착홈부(5133)는 탈착블럭(5131)과 피벗블럭(5132)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된다. 탈착홈부(5133)는 탈착돌부(5134)의 끼움 결합 또는 걸림 결합 위치를 한정한다. 탈착홈부(5133)는 탈착블럭(5131)과 피벗블럭(5132)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detachable groove part 5133 is recessed in any one of the detachable block 5131 and the pivot block 5132. The detachable groove 5133 defines a fitting or engaging position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5134 . The detachable groove 5133 may be recessed on either side of the detachable block 5131 or the pivot block 5132 .

탈착돌부(5134)는 탈착블럭(5131)과 피벗블럭(5132)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된다. 탈착돌부(5134)는 장착바디(512)의 장착블럭(5122)을 기준으로 피벗블럭(5132)이 회전됨에 따라 탈착홈부(5133)에 끼움 결합 또는 걸림 결합되므로, 탈착블럭(5131)에 피벗블럭(5132)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e detachable protrusion 5134 protrudes from the other of the detachable block 5131 and the pivot block 5132. The detachable protrusion 5134 is fitted or engaged with the detachable groove 5133 as the pivot block 513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lock 5122 of the mounting body 512, so that the pivot block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block 5131. (5132) can be detachably coupled.

탈착바디(513)는 탈착확인부(5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able body 513 may further include a detachment confirmation unit 5135 .

탈착확인부(5135)는 탈착블럭(5131)과 피벗블럭(5132)의 결합 여부를 확인한다. 탈착확인부(5135)는 장착바디(512)의 장착블럭(5122)과 탈착블럭(5131)과 피벗블럭(513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탈착블럭(5131)에 피벗블럭(5132)이 결합되는 경우, 피벗블럭(513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탈착확인부(5135)는 장착바디(512)의 장착블럭(5122)에 삽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탈착블럭(5131)에 피벗블럭(5132)이 결합되는 경우, 피벗확인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The attachment/detachment confirmation unit 5135 checks whether the attachment/detachment block 5131 and the pivot block 5132 are coupled. Detachment confirmation unit 5135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mounting block 5122, detachable block 5131, and pivot block 5132 of the mounting body 512, and the pivot block 5132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block 5131. In this case, the pivot block 5132 may be fix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confirmation unit 513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lock 5122 of the mounting body 512, and when the pivot block 5132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block 5131, pivot confirmation It is intended to be fitted into the part.

여기서, 탈착확인부(5135)는 후술하는 가이드조절부재(26)와 같이 장착바디(512)의 장착블럭(5122)과 탈착홈부(5133)와 피벗돌부 중 어느 하나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인바디부와, 확인바디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인돌부와, 확인돌부의 돌출 상태가 유지되도록 확인바디부를 기준으로 확인돌부를 탄성 가압하는 확인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벗확인부는 탈착블럭(5131)에 피벗블럭(5132)이 결합될 때, 확인바디부 또는 확인돌부와 마주보는 부분에 배치된 장착바디(512)의 장착블럭(5122)과 탈착홈부(5133)와 피벗돌부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etachable confirmation unit 5135 is a confirmation body detach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mounting block 5122 of the mounting body 512, the detachable groove 5133, and the pivot protrusion like the guide adjusting member 26 described later. It may include a unit, an identification protrusion coupled to and reciprocatingly movable to the identification body, and an identification elastic part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identification body so that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maintains a protruding state. At this time, when the pivot block 5132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block 5131, the pivot confirmation unit includes the mounting block 5122 and the detachable groove 5133 of the mounting body 512 disposed at the portion facing the confirmation body or the confirmation protrusion. ) and the pivot protrus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depression.

확인바디부는 장착바디(512)의 장착블럭(5122)과 탈착홈부(5133)와 피벗돌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확인홀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탈착블럭(5131)에서 피벗블럭(5132)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확인바디부로부터 확인돌부가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탈착블럭(5131)과 피벗블럭(5132)이 결합되면, 확인돌부는 확인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피벗확인부에 끼움 결합되므로, 확인탄성부의 탄성력으로 확인돌부가 피벗확인부에 삽입될 때 발생되는 소리로 햅틱 효과를 나타내어 탈착블럭(5131)과 피벗블럭(5132)의 결합 완료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confirmation body portion may be screwed into a confirmation hole provided in any one of the mounting block 5122, the detachable groove portion 5133, and the pivot protrusion of the mounting body 512. Then, in the state in which the pivot block 5132 is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block 5131, the protruding state of the protrusion from the confirmation body is maintained, and when the detachable block 5131 and the pivot block 5132 are combined, the confirmation protrusion Since it is inserted into the confirmation body part and then fitted into the pivot confirmation part, the elastic force of the confirmation elastic part indicates a haptic effect with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confirma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pivot confirmation part, thereby forming the detachable block 5131 and the pivot block 5132 The completion of the binding can be easily confirmed.

센싱유닛(50)은 센싱모듈(51)을 레일(R)에 밀착시키거나 레일(R)로부터 센싱모듈(51)을 이격시키는 센싱승강모듈(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elevation module 52 that attaches the sensing module 51 to the rail R or separates the sensing module 51 from the rail R.

센싱승강모듈(52)은 도 9와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모듈(51)의 이동을 위한 기준이 되도록 레일(R)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승강베이스(521)와, 센싱모듈(51)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브라켓(526)과, 센싱모듈(51)이 레일(R)에 밀착되거나 레일(R)로부터 센싱모듈(51)이 이격되도록 승강베이스(521)를 기준으로 승강브라켓(526)을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12, and 13, the sensing lift module 52 includes a lift base 521 spaced apart from the rail R to be a reference for the movement of the sensing module 51, and a sensing module ( 5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bracket 526 and the sensing module 51 is lifted based on the lifting base 521 so that the sensing module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R or the sensing module 51 is separated from the rail R. A lift driver for reciprocating the bracket 526 may be included.

승강베이스(5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서 본체유닛(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승강베이스(521)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승강구동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elevating base 521 is coupled to the main unit 10 in 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tructure of the elevating base 521 is not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levating actu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브라켓(526)은 승강베이스(521)에서 이격 배치되고,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승강베이스(521)를 기준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승강브라켓(526)은 슬라이딩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승강베이스(52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bracket 526 is spaced apart from the elevating base 521 and can reciprocate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base 5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river. Although not shown, the elevating bracket 526 may be reciprocally coupled to the elevating base 521 via a sliding member (not shown).

승강브라켓(526)과 센싱모듈(51)의 센싱바디(511)는 모듈연결부재(5261)를 매개로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모듈연결부재(5261)는 승강브라켓(526)으로부터 센싱바디(511)를 이격시키므로, 승강브라켓(526)과 센싱바디(511) 사이에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센싱모듈(51)의 단위센서(514)의 결합 및 유지보수 그리고 탈착바디(513)의 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lifting bracket 526 and the sensing body 511 of the sensing module 51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via the module connection member 5261. Since the module connection member 5261 separates the sensing body 511 from the elevating bracket 526, a working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elevating bracket 526 and the sensing body 511, and the unit of the sensing module 51 The combin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ensor 514 and the operation of the detachable body 513 can be simplified.

승강구동부는 승강베이스(5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회전부(522)와, 승강회전부(522)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승강회전구동부와, 승강회전부(522)로부터 이격되어 승강베이스(521)의 양측부에 각각 링크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링크(524)와, 승강회전부(522)와 치합되고, 양측부가 각각 승강링크(524)와 링크 결합되는 승강슬라이더(5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 drive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lift rotation unit 522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 base 521, the lift rotation drive unit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lift rotation unit 522, and the lift rotation unit 522 to separate the lift base 521. ) It may include a pair of lift links 524 linked to both sides of each link, and a lift slider 525 engaged with the lift rotation unit 522 and linked to both sides of the lift link 524, respectively. .

승강브라켓(526)은 승강베이스(521)를 기준으로 승강슬라이더(525)와 대향되는 부분에서 양측부가 승강링크(524)와 링크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It is advantageous that both sides of the elevating bracket 526 are linked to the elevating link 524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elevating slider 525 based on the elevating base 521.

승강회전부(522)의 일측은 호 형상을 이루고, 호 형상의 외주면에는 회전기어부(5221)가 구비되도록 한다.One sid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rotation unit 522 forms an arc shape, and a rotation gear unit 5221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c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회전구동부는 승강회전부(522)의 타측에 결합되는 승강레버(523)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레버(523)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승강회전부(522)를 회전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 rotation driving unit may include a lift lever 523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ft rotation unit 522 . The lifting lever 523 can be gripped by a user to rotate the lifting and rotating unit 522 .

이때, 승강레버(523)는 승강화전부의 타측에서 레버축부(5231)를 매개로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더불어 승강베이스(521)에는 레일(R)로부터 센싱모듈(51)이 이격된 상태에 대응하여 승강레버(523)가 걸림 지지되는 상승정지부(5211)와, 상승정지부(5211)에서 이격되어 센싱모듈(51)이 레일(R)에 밀착된 상태에 대응하여 승강레버(523)가 걸림 지지되는 하강정지부(5212)와, 상승정지부(5211)와 하강정지부(5212)를 연결하여 승강레버(523)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경로부(521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승강레버(523)가 상승정지부(5211)와 승강경로부(5213) 사이에서 승강레버(523)가 이동하거나 하강정지부(5212)와 승강경로부(5213) 사이에서 승강레버(523)가 이동하는 경우, 승강회전부(522)를 기준으로 승강레버(523)가 안정되게 피벗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ift lever 523 is pivotally rotatably coupled via the lever shaft part 5231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front. In addition, in the elevating base 521, in response to the state in which the sensing module 51 is separated from the rail R, the elevating lever 523 is hooked and supported by a rising stop 5211, and the rising stop 5211 is spaced apart. connected to the lowering stop part 5212 where the lift lever 523 is caught and supported in response to the state in which the sensing module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R, and the up stop part 5211 and the lowering stop part 5212 are connected. An elevation path portion 5213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elevation lever 523 may be provided. Then, the lifting lever 523 moves between the lifting stop part 5211 and the lifting path part 5213, or the lifting lever 523 moves between the lowering stop part 5212 and the lifting path part 5213. ) moves, the elevation lever 523 pivotally rotates stably based on the elevation rotation unit 522.

도시되지 않았지만, 승강회전구동부는 승강회전부(52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모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모터부(미도시)는 후술하는 배터리유닛(60)의 전원으로 동작되어 승강회전부(522)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lift rotation drive unit may include a lift motor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lift rotation unit 522 . The elevation motor unit (not shown) may be operated with power from a battery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to automatically rotate the elevation rotation unit 522 .

승강링크(524)는 승강베이스(521)에 링크 결합되는 제1링크부와, 제1링크부의 일측에서 승강슬라이더(525)와 링크 결합되는 제2링크부와, 제1링크부의 타측에서 승강브라켓(526)과 링크 결합되는 제3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는 슬라이딩링크로 연결되고, 제1링크부와 제3링크부는 브라켓링크로 연결되며, 슬라이딩링크와 브라켓링크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승강링크(524)에서 제2링크부는 링크축부(5241)로 연결되고, 승강슬라이더(525)의 양측부는 각각 링크축부(52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링크축부(5241)에는 승강링크(524)를 기준으로 승강회전부(522)를 향해 승강슬라이더(525)를 탄성 가압하는 링크탄성부가 구비되므로, 승강회전부(522)와 승강슬라이더(525)의 치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link 524 includes a first link portion linked to the elevating base 521, a second link portion linked to the elevating slider 525 at one side of the first link portion, and a lifting bracket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portion. It may include a third link unit linked to (526). The first link part and the second link part are connected by a sliding link, the first link part and the third link part are connected by a bracket link, and the sliding link and the bracket link are integrally formed. In a pair of mutually facing lift links 524, the second link part is connected to the link shaft part 5241, and both sides of the lift slider 525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shaft part 5241, respectively. Here, since the link shaft part 5241 is provided with a link elastic part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lifting slider 525 toward the lifting rotation part 522 based on the lifting link 524, the lifting rotation part 522 and the lifting slider 525 The meshing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승강슬라이더(525)는 승강회전부(522)의 회전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슬라이더(525)에는 승강회전부(522)의 회전기어부(5221)와 치합되는 슬라이딩기어부(5251)가 구비되도록 한다.The lifting slider 525 is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fting and rotating unit 522 . The lifting slider 525 is provided with a sliding gear unit 5251 meshed with the rotation gear unit 5221 of the lifting rotation unit 522 .

센싱유닛(50)은 센싱모듈(51)에서 단위센서(514)에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제어모듈(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control module 53 that outputs an AC signal from the sensing module 51 to the unit sensor 514 .

센싱제어모듈(53)은 본체유닛(10)에 구비된 센싱장착브라켓(53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센싱제어모듈(53)이 센싱장착브라켓(531)에 결합되는 경우, 센싱장착브라켓(531)에 구비된 센싱장착탄성부(5125)가 센싱제어모듈(53)을 탄성 지지하므로, 본체유닛(10)에서 센싱제어모듈(53)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nsing mounting bracket 531 provided in the body unit 10 . When 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is coupled to the sensing mounting bracket 531, since the sensing mounting elastic part 5125 provided in the sensing mounting bracket 531 elastically supports 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the body unit 10 ), 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can be stably fixed.

제어유닛(70)은 엔코더유닛(30)과 센싱유닛(50)에 유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유닛(70)은 센싱유유닛의 센싱모듈(51)에 출력되는 교류신호를 제어한다. 제어유닛(70)은 센싱유닛(50)에서 측정되는 와전류와 엔코더유닛(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coder unit 30 and the sensing unit 50 by wire.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AC signal output to the sensing module 51 of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70 processes the eddy current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50 and data output from the encoder unit 30 .

제어유닛(70)에서는 와전류를 모니터링 하는 한편, 레일(R)의 결함위치, 결함상태 등과 같은 결함정보와, 센싱유닛(50)의 작업위치, 작업시간 등과 같은 탐상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can monitor the eddy current, manage defect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state of the defect of the rail R, and flaw detection information such as the working location and working time of the sensing unit 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유닛(70)의 세부 동작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70 can be applied in various well-known forms,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유닛(70)은 본체유닛(10)에 구비된 제어장착브라켓(7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어유닛(70)이 제어장착브라켓(71)에 결합되는 경우, 제어장착브라켓(71)에 구비된 제어장착탄성부(5125)가 제어유닛(70)을 탄성 지지하므로, 본체유닛(10)에서 제어유닛(7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rol mounting bracket 71 provided in the body unit 10 . When the control unit 70 is coupled to the control mounting bracket 71, since the control mounting elastic part 5125 provided in the control mounting bracket 71 elastically supports the control unit 70, the body unit 10 The control unit 70 can be stably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은 거치유닛(40)과, 배터리유닛(60)과, 상태표시유닛(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holding unit 40, a battery unit 60, and a status display unit 80.

거치유닛(40)은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R)에서 바퀴유닛(20)의 접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to determine whether the wheel unit 20 is in contact with the rail R.

거치유닛(40)은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거치모듈(4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거치모듈(41)은 본체유닛(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유닛(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거치모듈(41a)과, 본체유닛(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유닛(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거치모듈(4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40 may include a rotation mounting module 41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 The rotational mounting module 41 includes a first mounting module 41a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10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 At least one of the second mounting modules 41b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unit 10 may be included.

회전거치모듈(41)은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브라켓(42)과,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거치브라켓(42)을 탄성 지지하는 회전탄성부(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mounting module 41 includes a mounting bracket 42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and a rotational elastic part 43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unting bracket 42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10. can do.

거치브라켓(42)은 레일(R)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거치수평부(421)와, 거치수평부(421)의 양측부에서 연장되어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수직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수평부(421)에는 레일(R)이 안착되는 거치홈부(423)가 함몰 형성되므로, 거치브라켓(42)이 레일(R)에 지지될 때, 레일(R)에서 거치브라켓(4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수직부(422)에는 다수의 거치위치홀부(424)가 관통 형성되므로, 회전탄성부(43)의 결합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42 is a mounting horizontal portion 421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R, and a vertical mounting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unting horizontal portion 421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may include section 422 . Since the mounting groove 423 on which the rail R is seated is recessed in the mounting horizontal portion 421, when the mounting bracket 42 is supported on the rail R, the mounting bracket 42 in the rail R flow can be prevented. Since a plurality of mounting location holes 424 are formed through the mounting vertical portion 422,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rotational elastic portion 43 can be changed.

회전탄성부(43)는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지지부(431)와, 거치브라켓(42)의 거치수직부(422)에 결합되는 거치지지부(432)와, 본체지지부(431)를 기준으로 거치지지부(432)를 탄성 지지하는 거치탄성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al elastic part 43 includes a main body support part 431 coupled to the main body, a supporting part 432 coupled to the vertical part 422 of the mounting bracket 42, and a supporting part based on the main body supporting part 431. A mounting elastic part 43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432 may be included.

그러면, 초기 상태에서 거치브라켓(42)은 도 7의 (a)와 같이 레일(R)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탄성부(43)의 거치지지부(432)가 본체유닛(10)의 측면부 가장자리에 지지되므로, 바퀴유닛(20)의 메인바퀴모듈(21)이 안정되게 레일(R)에 접촉 가능하고, 레일(R)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 7의 (b)와 같이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거치브라켓(42)을 회전시키면, 회전탄성부(43)의 거치지지부(432)가 본체유닛(10)의 하부 가장자리에 지지되면서 레일(R)에 안착되므로, 거치브라켓(42)에 의해 바퀴유닛(20)의 메인바퀴모듈(21)을 레일(R)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Then, in the initial state, the mounting bracket 42 is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ail R as shown in (a) of FIG. Since it is supported, the main wheel module 21 of the wheel unit 20 can stably contact the rail R, and 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un on the rail R let it And when the mounting bracket 42 is rotated based on the body unit 10 as shown in FIG. Since it is seated on the rail (R),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main wheel module 21 of the wheel unit 20 from the rail (R) by the mounting bracket (42).

거치브라켓(42)은 거치수평부(421)와 거치수직부(4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거치연장부(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연장부(425)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여 거치브라켓(42)의 회전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42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extension 425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horizontal portion 421 and the mounting vertical portion 422 . The mounting extension 425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so that the rotation of the mounting bracket 42 can be easily performed.

배터리유닛(60)은 엔코더유닛(30)과, 센싱유닛(50)과, 제어유닛(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unit 60 may supply power to the encoder unit 30 , the sensing unit 50 , and the control unit 70 .

배터리유닛(60)은 본체유닛(10)에 구비된 배터리장착브라켓(6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유닛(60)이 배터리장착브라켓(61)에 결합되는 경우, 배터리장착브라켓(61)에 구비된 배터리장착탄성부(5125)가 배터리유닛(60)을 탄성 지지하므로, 본체유닛(10)에서 배터리유닛(6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battery unit 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mounting bracket 61 provided in the body unit 10 . When the battery unit 60 is coupled to the battery mounting bracket 61, the battery mounting elastic part 5125 provided in the battery mounting bracket 61 elastically supports the battery unit 60, so that the body unit 10 The battery unit 60 can be stably fixed.

상태표시유닛(80)은 센싱유닛(50)의 동작 상태와 제어유닛(70)의 동작 상태를 시각과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할 수 있다.The status display unit 80 may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nsing unit 50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70 by at least one of visual and auditory methods.

상태표시유닛(80)은 본체유닛(10)의 상부에 구비된 표시브라켓(8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태표시유닛(80)에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되어 상태표시유닛(80)에서 와전류의 탐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태표시유닛(80)에 표시되는 정보를 조작할 수 있다.The status display unit 8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play bracket 81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dy unit 10. A touch screen method is applied to the status display unit 80, so that information required for eddy current flaw detection can be input in the status display unit 80 o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tatus display unit 80 can be manipul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은 상술한 제어유닛(70)과, 탐상서버(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70 and the flaw detection server 100.

탐상서버(100)는 센싱유닛(50)에서 측정되는 와전류 또는 제어유닛(70)에서 분석한 와전류를 수집 관리한다. 탐상서버(100)는 센싱유닛(50) 또는 제어유닛(70)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되는 와전류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레일(R)의 결함위치, 결함상태 등과 같은 결함정보와, 센싱유닛(50)의 작업위치, 작업시간 등과 같은 탐상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탐상서버(100)는 센싱유닛(50)으로부터 전달되는 와전류를 바탕으로 제어유닛(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flaw detection server 100 collects and manages eddy currents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50 or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70 . The flaw detection server 100 monitors the eddy current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ly from the sensing unit 50 or the control unit 70, while providing defect information such as the defect location and defect state of the rail R, and the sensing unit 50 ) can manage flaw detection information such as work location and work time. The flaw detection server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70 based on the eddy current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탐상서버(100)의 세부 동작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flaw detection server 100 is applicable to various well-known forms, so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술한 와전류 센싱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단위센서(514)를 레일(R)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nd the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a plurality of unit sensors 514 can be positioned on the rail R.

이때, 종래 기술과 달리 와전류 센싱장치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한번에 레일(R)의 상면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레일(R) 결함의 위치와 깊이를 실시간으로 검사가 가능하며, 결함의 형태에 대해 3차원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결함 측정 전 와전류 센싱유닛(50)의 교정에 별도의 교정 시트지를 사용하지 않고, 1개의 인공결함을 가진 샘플레일(R)을 사용하여 와전류 센싱유닛(50)이 출력한 위상과 진폭 값을 조절을 통해 교정 절차가 종래 기술에 비해 획기적으로 간편하다.At this time, unlike the prior art,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R can be inspected at once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In addition,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defect in the rail R can be inspected in real time, and the shape of the defect can be analyzed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the phase and amplitude values output by the eddy current sensing unit 50 using a sample rail R having one artificial defect without using a separate calibration sheet for the calibration of the eddy current sensing unit 50 before measuring the defect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calibration procedure is remarkably simple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센싱모듈(51)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R)의 표면 상태에 대응하여 단위센서(514)의 개별적인 정위치가 가능하고, 개별의 단위센서(514)에 대한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module 51, individual positioning of the unit sensors 514 is possible in response to the surface state of the rail R, and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individual unit sensors 514 can be simplified. there is.

이때, 센싱바디(511)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센싱공간이 안정되게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nsing space is stably form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body 511 .

또한, 센싱바퀴의 구성을 통해 레일(R)을 따라 센싱바디(511)를 안정되게 이동시키고, 센싱바디(511)와 레일(R)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body 511 can be stably moved along the rail 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wheel, and friction between the sensing body 511 and the rail R can be minimized.

또한, 장착바디(512)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개별의 장착블럭(5122)을 레일(R)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단위센서(514)와 레일(R) 사이에서 와전류의 생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body 512, the individual mounting blocks 5122 can be stably adhered to the rail R, and the generation of eddy current between the unit sensor 514 and the rail R is clearly can do.

이때, 장착블럭(5122)의 배치구조를 통해 레일(R)에서 단위센서(514)가 안정되게 멀티 채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장착바디(512)의 왕복 이동 구조를 통해 장착프레임(5121)을 기준으로 장착블럭(5122)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착탄성부(5125)의 구조를 통해 안정된 탄성력이 장착블럭(5122)에 작용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rough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ounting block 5122, the unit sensor 514 can stably implement multi-channel on the rail R. 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unting block 5122 based on the mounting frame 5121 can be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e reciprocating structure of the mounting body 512 . 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elastic part 5125, a stable elastic force acts on the mounting block 5122.

또한, 탈착바디(513)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장착바디(512)에서 개별의 단위센서(514)에 대한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body 513,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unit sensors 514 in the mounting body 512 can be simplified.

이때, 탈착바디(513)를 통한 단위센서(514)의 결합 구조를 통해 장착바디(512)의 장착블럭(5122)에서 단위센서(514)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탈착확인부(5135)를 통해 탈착블럭(5131)과 피벗블럭(5132)의 결합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nit sensor 514 can be stably fixed in the mounting block 5122 of the mounting body 512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nit sensor 514 through the detachable body 513, and the detachment confirmation unit 5135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coupling state of the detachable block 5131 and the pivot block 5132.

또한, 센싱승강모듈(52)을 통해 센싱모듈(51)과 레일(R)의 밀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센싱모듈(51)이 임의로 레일(R) 또는 바닥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ing module 51 and the rail R are in close contact through the sensing elevation module 52,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nsing module 51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rail R or the floor.

또한, 센싱승강모듈(52)과 센싱모듈(51)의 결합 구조를 통해 센싱승강모듈(52)에서 센싱모듈(51)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nsing elevation module 52 and the sensing module 51,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ensing module 51 in the sensing elevation module 52 can be clarified.

이때, 승강브라켓(526)과 센싱모듈(51)의 이격 구조를 통해 승강브라켓(526)과 센싱바디(511) 사이에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센싱모듈(51)의 단위센서(514)의 결합 및 유지보수 그리고 탈착바디(513)의 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cure a working space between the lifting bracket 526 and the sensing body 511 through the separation structure between the lifting bracket 526 and the sensing module 51, and the unit sensor 514 of the sensing module 51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coupling and maintenance and detachable body 513.

또한, 승강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센싱모듈(51)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하고, 센싱모듈(51)이 레일(R)에 밀착될 때, 승강링크(524)의 회전 구조를 통해 센싱모듈(51)의 최대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ensing module 51 is clarifi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driver, and when the sensing module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R, the sensing module ( 51) can limit the maximum descent.

또한, 센싱제어모듈(53)을 통해 센싱모듈(51)에 구비된 단위센서(514)가 기설정된 교류 신호를 안정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rough 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the unit sensor 514 provided in the sensing module 51 can stably output a preset AC signal.

이때, 센싱제어모듈(53)의 결합 구조를 통해 본체에서 센싱제어모듈(53)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고, 센싱제어모듈(53)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from the main body and to simplify maintenance of the sensing control module 53.

또한, 탐상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R)에서의 와전류를 안정되게 탐상하고, 현장에서 레일(R)의 결함을 신속하게 추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70)을 통해 탐상시스템을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stably detect the eddy current in the rail (R) and quickly extract defects of the rail (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flaw detection system can be used independently through the control unit 70.

이때, 본체유닛(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바퀴유닛(20)과 엔코더유닛(30)의 결합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하고, 센싱유닛(50)과 제어유닛(70)의 탈부착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bination and maintenance of the wheel unit 20 and the encoder unit 30 are simplifi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ody unit 10, and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sensing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70 and maintenance are simplified. can do.

또한, 메인바퀴모듈(21)의 구성을 통해 레일(R)에서 본체유닛(10)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unit 10 can move stably on the rail 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wheel module 21.

또한, 보조바퀴모듈(27)의 부가 구성을 통해 탐상시스템이 레일(R)에서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하고, 탐상시스템의 정지 또는 탐상시스템의 이동에 대응하여 레일(R)에서 탐상시스템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wheel module 27 ensures that the flaw detection system is stably moved on the rail (R), and prevents the flaw detection system from being overturned on the rail (R) in response to the stop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or the movement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It can be prevented.

또한, 보조바퀴모듈(27)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본체유닛(10)과 보조바퀴모듈(27)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하고, 보조바퀴모듈(27)의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unit 10 and the auxiliary wheel module 27 is clarifi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wheel module 27, and convenience in use of the auxiliary wheel module 27 is provided.

이때, 서포트부재(28)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서포트부재(28)의 길이를 단축시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고, 제1서포트(281)와 제2서포트(282)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서포트(284)의 부가 구성을 통해 서포트부재(28)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서포트바퀴(29)의 결합 구조를 통해 서포트바퀴(29)와 레일(R)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28 can be shorten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mber 28 so that it can be carried and stored, and the first support 281 and the second support 282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support member 28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284 . In addi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wheel 29 and the rail R can be improved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wheel 29 .

또한, 메인바퀴모듈(21)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R)에서의 구름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레일(R)에서 주행바퀴(22)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in wheel module 21,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rolling on the rail (R) and prevent the running wheel (22) from slipping on the rail (R).

이때, 메인바퀴모듈(21)에서 가이드바퀴(24)의 결합 구조를 통해 가이드바퀴(24)와 레일(R)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조절부재(26)를 통해 가이드바퀴(24)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guide wheel 24 and the rail (R)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uide wheel 24 in the main wheel module 21.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guide wheel 24 can be easily adjusted through the guide adjusting member 26.

이때, 엔코더유닛(30)의 결합 구조를 통해 메인바퀴모듈(21)의 주행바퀴(22)의 회전에 대응하여 탐상시스템의 이동거리를 간편하게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ncoder unit 30, it is possible to easily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22 of the main wheel module 21.

또한, 거치유닛(40)의 부가 구성을 통해 바닥 또는 레일(R)에서 메인바퀴모듈(21)의 접촉을 방지하고, 탐상시스템의 직립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unit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ct of the main wheel module 21 on the floor or rail R, and to stabilize the upright state of the flaw detection system.

또한, 배터리유닛(60)의 부가 구성을 통해 탐상시스템을 컴팩트하게 하고, 탐상시스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unit 60, it is possible to compact the flaw detection system and freely move the flaw detection system.

또한, 상태표시유닛(80)을 통해 독립적으로 활용되는 탐상시스템의 상태를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e of the independently utilized flaw detection system through the state display unit 80 in the field.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may be modified or changed.

R: 레일 10: 본체유닛 11: 장치본체
111: 제1측면바디 112: 제2측면바디 113: 지지브라켓
12: 제1손잡이 13: 제2손잡이 20: 바퀴유닛
21: 메인바퀴모듈 21a: 제1바퀴모듈 21b: 제2바퀴모듈
22: 주행바퀴 221: 주행축 222: 주행마찰부
23: 주행가이드 24: 가이드바퀴 241: 가이드축
242: 가이드탄성부 25: 가이드브라켓 251: 조절가이드
252: 조절홀부 26: 가이드조절부재 261: 조절바디부
262: 조절돌부 263: 조절탄성부 264: 조절너트부
27: 보조바퀴모듈 28: 서포트부재 281: 제1서포트
282: 제2서포트 283: 서포트조인트 284: 지지서포트
29: 서포트바퀴 291: 서포트브라켓 30: 엔코더유닛
31: 엔코더브라켓 32: 전달부재 321: 제1회전부
322: 제2회전부 323: 회전연결부 40: 거치유닛
41: 회전거치모듈 41a: 제1거치모듈 41b: 제2거치모듈
42: 거치브라켓 421: 거치수평부 422: 거치수직부
423: 거치홈부 424: 거치위치홀부 425: 거치연장부
43: 회전탄성부 431: 본체지지부 432: 거치지지부
433: 거치탄성부 50: 센싱유닛 51: 센싱모듈
511: 센싱바디 5111: 제1바디프레임 5112: 제2바디프레임
5113: 제1센싱바퀴 5114: 제2센싱바퀴 512: 장착바디
5121: 장착프레임 5122: 장착블럭 5123: 장착홈부
5124: 장착돌부 5125: 장착탄성부 513: 탈착바디
5131: 탈착블럭 5132: 피벗블럭 5133: 탈착홈부
5134: 탈착돌부 5135: 탈착확인부 514: 단위센서
52: 센싱승강모듈 521: 승강베이스 5211: 상승정지부
5212: 하강정지부 5213: 승강경로부 522: 승강회전부
5221: 회전기어부 523: 승강레버 5231: 레버축부
524: 승강링크 5241: 링크축부 525: 승강슬라이더
5251: 슬라이딩기어부 526: 승강브라켓 5261: 모듈연결부재
53: 센싱제어모듈 531: 센싱장착브라켓 60: 배터리유닛
61: 배터리장착브라켓 70: 제어유닛 71: 제어장착브라켓
80: 상태표시유닛 81: 표시브라켓 100: 탐상서버
R: rail 10: body unit 11: device body
111: first side body 112: second side body 113: support bracket
12: first handle 13: second handle 20: wheel unit
21: main wheel module 21a: first wheel module 21b: second wheel module
22: driving wheel 221: driving shaft 222: driving friction unit
23: driving guide 24: guide wheel 241: guide shaft
242: guide elastic part 25: guide bracket 251: adjustment guide
252: control hole 26: guide control member 261: control body
262: adjusting protrusion 263: adjusting elastic part 264: adjusting nut part
27: auxiliary wheel module 28: support member 281: first support
282: second support 283: support joint 284: support support
29: support wheel 291: support bracket 30: encoder unit
31: encoder bracket 32: transmission member 321: first rotation unit
322: second rotation part 323: rotation connection part 40: mounting unit
41: rotation mounting module 41a: first mounting module 41b: second mounting module
42: Mounting bracket 421: Mounting horizontal part 422: Mounting vertical part
423: Mounting groove 424: Mounting location hole 425: Mounting extension
43: rotational elastic part 431: body support part 432: support part
433: mounting elastic part 50: sensing unit 51: sensing module
511: sensing body 5111: first body frame 5112: second body frame
5113: first sensing wheel 5114: second sensing wheel 512: mounting body
5121: mounting frame 5122: mounting block 5123: mounting groove
5124: Mounting protrusion 5125: Mounting elastic part 513: Detachable body
5131: Detachable block 5132: Pivot block 5133: Detachable groove
5134: Detachable protrusion 5135: Detachment confirmation unit 514: Unit sensor
52: sensing lift module 521: lift base 5211: lift stop
5212: lowering stop part 5213: lifting route part 522: lifting rotation part
5221: rotation gear part 523: lifting lever 5231: lever shaft part
524: lift link 5241: link shaft part 525: lift slider
5251: sliding gear unit 526: lifting bracket 5261: module connection member
53: sensing control module 531: sensing mounting bracket 60: battery unit
61: battery mounting bracket 70: control unit 71: control mounting bracket
80: status display unit 81: display bracket 100: flaw detection server

Claims (15)

레일 상에서 멀티채널을 구현하여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레일의 상면에 대응하여 센싱공간을 형성하는 센싱바디;
상기 센싱공간에서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종횡으로 배열되어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다수의 단위센서;
상기 단위센서가 개별적으로 정위치되도록 상기 센싱공간에 결합되는 장착바디; 및
상기 장착바디에 상기 단위센서를 개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바디는,
상기 장착바디에 결합되는 탈착블럭; 및
상기 단위센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탈착블럭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센싱장치.
A sensing module that implements multi-channels on the rail and measures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The sensing module,
a sensing body forming a sens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 plurality of unit sensors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in the sensing space to measure eddy currents of the rail;
a mounting body coupled to the sensing space so that the unit sensors are individually positioned; and
A detachable body that individually detachably couples the unit sensors to the mounting body;
The detachable body,
Detachable block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and
Eddy current sensing device comprising a; pivot block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block in a state coupled to the unit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센싱공간에 이격 배치되는 둘 이상의 장착프레임;
상기 단위센서와 1:1로 대응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장착프레임 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블럭; 및
상기 장착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을 향해 상기 장착블럭을 탄성 가압하는 장착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센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body,
Two or more mounting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nsing space;
a mounting block that is movably coupled between a pair of mounting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1:1 correspondence with the unit sensor; and
Eddy current sensing device comprising: a mounting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mounting block toward the rail based on the mounting frame.
레일 상에서 멀티채널을 구현하여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레일의 상면에 대응하여 센싱공간을 형성하는 센싱바디;
상기 센싱공간에서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종횡으로 배열되어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다수의 단위센서;
상기 단위센서가 개별적으로 정위치되도록 상기 센싱공간에 결합되는 장착바디; 및
상기 장착바디에 상기 단위센서를 개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바디는,
상기 센싱공간에 이격 배치되는 둘 이상의 장착프레임;
상기 단위센서와 1:1로 대응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장착프레임 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블럭; 및
상기 장착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을 향해 상기 장착블럭을 탄성 가압하는 장착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센싱장치.
A sensing module that implements multi-channels on the rail and measures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The sensing module,
a sensing body forming a sens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 plurality of unit sensors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in the sensing space to measure eddy currents of the rail;
a mounting body coupled to the sensing space so that the unit sensors are individually positioned; and
A detachable body that individually detachably couples the unit sensors to the mounting body;
The mounting body,
Two or more mounting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nsing space;
a mounting block that is movably coupled between a pair of mounting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1:1 correspondence with the unit sensor; and
Eddy current sensing device comprising: a mounting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mounting block toward the rail based on the mounting fram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바디에는,
상기 단위센서가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할 때 상기 레일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제1센싱바퀴와, 상기 단위센서가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할 때 상기 레일의 측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제2센싱바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센싱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sensing body,
A first sensing wheel capable of rol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when the unit sensor measures the eddy current of the rail, and a second sensing wheel capable of rolling on the side of the rail when the unit sensor measures the eddy current on the rail Eddy current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includ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을 상기 레일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센싱모듈을 이격시키는 센싱승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센싱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of claim 1 ,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elevating module that attaches the sensing module to the rail or separates the sensing module from the ra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승강모듈은,
상기 센싱모듈의 이동을 위한 기준이 되도록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승강베이스;
상기 센싱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브라켓; 및
상기 센싱모듈이 상기 레일에 밀착되거나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센싱모듈이 이격되도록 상기 승강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브라켓을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센싱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sensing lift module,
an elevating base spaced apart from the rail to serve as a reference for movement of the sensing module;
a lifting bracket to which the sensing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of claim 1 ,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driver configured to reciprocate and reciprocate the lifting bracket with respect to the lifting base so that the sensing modu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or the sensing module is spaced apart from the rai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회전부;
상기 승강회전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승강회전구동부;
상기 승강회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승강베이스의 양측부에 각각 링크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링크; 및
상기 승강회전부와 치합되고, 양측부가 각각 상기 승강링크와 링크 결합되는 승강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브라켓은,
상기 승강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슬라이더와 대향되는 부분에서 양측부가 상기 승강링크와 링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센싱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lift drive unit,
a lifting and rotating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ing base;
a lifting and rotating driving unit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lifting and rotating unit;
a pair of lifting links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rotating unit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base; and
A lifting slider meshed with the lifting rotation unit and having both sides linked to the lifting link, respectively;
The lifting bracket,
Eddy current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linked to the elevating link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elevating slider based on the elevating ba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에서 상기 단위센서에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센싱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Eddy current sen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an AC signal from the sensing module to the unit sensor.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유닛;
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바퀴모듈을 포함하는 바퀴유닛;
상기 바퀴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엔코더유닛;
상기 레일 상에서 멀티채널을 구현하여 상기 레일의 와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모듈과, 상기 센싱모듈에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센싱유닛; 및
상기 엔코더유닛과 상기 센싱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신호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센싱유닛에서 측정되는 와전류와 상기 엔코더유닛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모듈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전류 센싱장치의 센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
A body unit forming an exterior;
A wheel unit including a main wheel modul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so as to be movable on rails;
an encoder unit outputting data on a moving distance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wheel unit;
a sensing unit including a sensing module that implements multi-channels on the rail to measure eddy currents of the rail, and a sensing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n AC signal to the sensing module;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coder unit and the sensing unit, controlling the AC signal and processing the eddy current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and data output from the encoder unit,
The sensing module,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sensing module of the eddy curre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퀴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퀴모듈과, 상기 본체유닛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퀴모듈과 상기 제2바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엔코더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main wheel module,
A first wheel modul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and a second wheel modul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unit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ncoder un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wheel module and the second wheel modu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유닛은, 상기 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바퀴모듈은,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고,
상기 보조바퀴모듈은,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wheel un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wheel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rail;
The main wheel module can be rolled on any one of a pair of rails,
The auxiliary wheel module is an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ing movement on the other of the pair of rail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부재; 및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서포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auxiliary wheel module,
a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support wheel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unit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rails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퀴모듈은,
상기 레일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바퀴;
상기 주행바퀴의 주행축 또는 상기 본체유닛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가이드;
상기 레일의 상면과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퀴; 및
상기 주행가이드의 피벗 회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바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main wheel module,
a driving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 driving guide pivotally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wheel or to the body unit;
a guide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travel guide so as to be able to roll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rail;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guide wheel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the pivot rotation state of the traveling gui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에서 상기 바퀴유닛의 접촉 여부를 결정하는 거치유닛;
상기 엔코더유닛과, 상기 센싱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닛; 및
상기 센싱유닛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어유닛의 동작 상태를 시각과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상태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측정형 와전류 탐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a mounting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wheel unit is in contact with the rail;
a batter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encoder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nsing unit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by at least one of visual and auditory methods;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삭제delete
KR1020210030119A 2021-03-08 2021-03-08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KR102554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119A KR102554403B1 (en) 2021-03-08 2021-03-08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119A KR102554403B1 (en) 2021-03-08 2021-03-08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040A KR20220126040A (en) 2022-09-15
KR102554403B1 true KR102554403B1 (en) 2023-07-11

Family

ID=8328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119A KR102554403B1 (en) 2021-03-08 2021-03-08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40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2197A (en) 2012-11-21 2014-06-05 Meielec:Kk Magnetic induction rail flow detection method, and magnetic induction rail flow detection device
KR101742981B1 (en) 2016-06-03 2017-06-14 대구도시철도공사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KR101898586B1 (en) 2018-04-23 2018-09-13 한국철도공사 A portable phased array ultrasound rail inspection device
KR102008105B1 (en) * 2018-12-04 2019-08-07 에디웍스(주) APPARATUS FOR DETECTING RAIL DEFECT BY USING MULTI-CHANNEL EDDY CURRENT SENSOR AND Sensor calibrating METHOD THEREOF AND RAIL DEFECT DETEC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81A (en) * 2016-12-23 2018-07-03 심성수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of steel for vehicle use
KR20200145191A (en) * 2019-06-21 2020-12-30 김봉택 A phased array ultrasound rail automatic inspection device
KR20210050618A (en) * 2019-10-28 2021-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Vibr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Axis of Solid of Revolu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2197A (en) 2012-11-21 2014-06-05 Meielec:Kk Magnetic induction rail flow detection method, and magnetic induction rail flow detection device
KR101742981B1 (en) 2016-06-03 2017-06-14 대구도시철도공사 Measuring device of abrasion for train rail
KR101898586B1 (en) 2018-04-23 2018-09-13 한국철도공사 A portable phased array ultrasound rail inspection device
KR102008105B1 (en) * 2018-12-04 2019-08-07 에디웍스(주) APPARATUS FOR DETECTING RAIL DEFECT BY USING MULTI-CHANNEL EDDY CURRENT SENSOR AND Sensor calibrating METHOD THEREOF AND RAIL DEFECT DETEC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040A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16102B1 (en) Movable detector and methods for inspecting elongated tube-like objects in equipment.
JP5288110B2 (en) Angle measuring instrument
CN101358688B (en) Magnetic leakage detector out of diameter-variable pipe driven by DC generator
JP6573937B2 (en) Rail flaw detector
KR20170136499A (en) Deployment mechanism for manual normalization of probe to workpiece surface
JP2007271629A (en) Tire uniformity testing device
KR102554403B1 (en) Eddy cuttent sensing device and independent measurement type eddy current examination system
CN108362250B (en) Third rail measuring mechanical arm for subway
EP3838767A1 (en) Damage assessment device for remote controlled inspection of aircrafts
CN202101797U (en) Detector for output force of actuator
CN117168368A (en) Automatic calibrating device for universal caliper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JPH05196455A (en) Monitoring apparatus for lap seam joint
KR200408111Y1 (en) An automatic excursion apparatus of roll surface
KR101710573B1 (en) Ultrasonic Inspe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Variable extension 2-axis rail
JP5740283B2 (en) Pipe thickness measuring device
KR20160036421A (en) Elongation check system for power chain
CN115307526B (en) Visual surface flatness detection device for metal product rust removal processing
US61195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tatic and kinetic frictional coefficients of a sheet material
CN217638814U (en) Smell recognition device based on electronic nose
JP4255901B2 (en) Rail test equipment
CN201262323Y (en) DC motor-driven external leakage detecting instrument of diameter-variable pipe
CN111983015A (en) Vehicle frame weld joint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KR201201376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ickness of taper leaf spring for vehicle
CN212133628U (en) Suspension inspection device
CN104677991A (en) Steel rail flaw detection device based on sensor array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