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862B1 -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862B1
KR101742862B1 KR1020150020980A KR20150020980A KR101742862B1 KR 101742862 B1 KR101742862 B1 KR 101742862B1 KR 1020150020980 A KR1020150020980 A KR 1020150020980A KR 20150020980 A KR20150020980 A KR 20150020980A KR 101742862 B1 KR101742862 B1 KR 10174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er
liquid filtration
membrane
porous support
polym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847A (ko
Inventor
전태준
김선민
류현일
장희수
윤선희
김영록
서영호
박용민
한의돈
유영은
윤재성
김정환
김노원
이윤정
김대중
김문기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862B1/ko
Priority to US14/907,685 priority patent/US9943812B2/en
Priority to PCT/KR2015/013586 priority patent/WO2016129801A1/ko
Publication of KR2016009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2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introduc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6Membranes in the pores of a support, e.g. polymerized in the pores or v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8In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2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with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2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with "carriers"
    • B01D69/144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with "carriers" containing embedded or bound bio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01D71/521Aliphatic polyethers
    • B01D71/5211Polyethylene glycol or polyethylene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4Natural macromolecular material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8Pore 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포어 내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의 액체 여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액체 여과 구조체는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분자막 구조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여 물을 정제하는 여과 장치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Liquid Filtration Structure Integrated with Artificial Membrane}
본 발명은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포어 내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의 액체 여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유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액체 여과 구조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환경오염과 인구의 증가로 먹는 물에 대한 문제는 인류 전체의 당면과제로 다가오고 있다.
고선택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기존 분리막인 역삼투막의 경우, 활성층을 이루는 폴리머 소재의 폴리머 사슬 간에 존재하는 자유체적(free volume)을 투과 경로로 하여, 물분자만 투과하고 다른 분자나 이온은 차단되는 방식으로 물에 대한 선택성이 구현된다. 이때 투과 경로인 자유체적(free volume)은 한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관통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심하게 엉켜있거나 구불구불한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얇은 활성층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복잡하고 긴 투과 경로를 가지게 되어, 선택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투과도는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나노필터(NF), 마이크로필터(MF) 등으로 대표되는 포어 구조를 가지는 포어형 분리막의 경우, 관통형 포어 구조를 가지기는 하나 물 분자 또는 특정 이온을 선별하기에는 그 크기가 너무 커서 투과도는 우수하지만 선택도는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베지클(vesicle)의 막에 재조합 아쿠아포린을 위치시키고 물을 여과하는 시스템의 경우, 지질막 구조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베지클 형태의 여과 시스템을 사용 시 지질막 구조의 불안정성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우수한 새로운 액체 여과 구조체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막 단백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다공성 지지체의 포어 내에서 안정성을 높여 여과 효율이 높고 투과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액체 여과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내벽에 제1 링커가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포어를 가지는 다공성 지지체; 및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 및 제2 링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링커 및 제2 링커는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포어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액체 여과 구조체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막은 막(membrane)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macromolecule)로 구성된 어떠한 막이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지질 단일막 또는 지질 이중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은 아쿠아포린 계열의 단백질일 수 있다.
아쿠아포린(aquaporin)은 세포막에서 물의 수동수송을 담당하는 막 단백질로서, 이온들과 다른 용질들의 이동을 막으면서 선택적으로 세포 안팎으로 물 분자들을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아쿠아포린은 인간, 식물 또는 박테리아에서 발현되는 아쿠아포린 계열의 모든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효모 아쿠아포린(Aqy1), 식물 아쿠아포린(SoPIP2;1), 아쿠아글리세로포린, 즉 Aqp3, 또는 박테리아 아쿠아포린(AqpZ)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쿠아포린은 상기 아쿠아포린 계열의 단백질을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해 인위적으로 발현시킨 재조합 단백질일 수 있다.
상기 막 단백질을 아쿠아포린으로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여과 구조체는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상기 단백질을 통과하여 물을 선택적이고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링커 또는 제2 링커는 1차 아민 반응 가교제(Primary amine reactive cross-linker), 설프히드릴 반응 가교제(sulfhydryl reactive cross-linker), 카보하이드레이트 반응 가교제(carbohydrate reactive cross-linker), 카복실 반응 가교제(carboxyl reactive cross-linker) 및 광반응성 가교제(photoreactive cross-link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1차 아민 반응 가교제는 예를 들어, 이미도에스테르(imidoesters),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N-hydroxysuccinimide ester) 또는 글루트알데히드(glutaraldehy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설프히드릴 반응 가교제는 예를 들어, 말레이미드(maleimide), 할로아세틸(haloacetyl) 또는 피리딜디설피드(pyridyldisulfi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카복실반응 가교제는 예를 들어,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Dimethylaminopropyl)-3-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또는 1,3-디사이클로헤실-카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 carbodiimi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광반응 가교제는 예를 들어, 아릴 아지드(aryl azide) 또는 디아지린(diazirine)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외에도, 상기 제1 링커 또는 제2 링커는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또는 폴라도파민(polydopamine)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가 다공성 지지체에 형성된 포어의 내벽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링커 및 제2 링커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를 필요로 한다. 상기 제1 링커 및 제2 링커를 통해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와 포어의 내벽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포어 내에서 고분자막 구조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는 상기 서로 다른 고분자막 구조체 상의 제2 링커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서로 교차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커 및 제2 연결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다공성 지지체의 포어 내에서 고분자막 구조체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는 상기 서로 다른 고분자막 구조체 상의 제1 링커 및/또는 제2 링커를 연결시킬 수 있는 어떠한 화합물이라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는 상기 고분자막을 구성하는 막의 유동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고분자막의 유동성을 저해시켜 고분자막이 더욱 단단해지도록 함으로써, 고분자막 구조체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막의 유동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콜레스테롤, 스핑고리피드 및 탄소수 10 이상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분자막 구조체는 지질 단일막 또는 지질 이중막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질 단일막 또는 지질 이중막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카르디오리핀(cardiolipin), 콜레스테롤 및 스핑고마이엘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합한 지질은 아솔렉틴(Asolectin), 다이파이타노일포스파티딜콜린(Diphytanoylphosphatidylcholine, DPhPC), DPPC(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HPC(1,2-dihept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DHPE(1,2-dihexa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MPC(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IODPC(1,2-DiODodecyl-sn-Glycero-3-Phosphocholine), DMPS(dimyristoyl phophatidylserine), DLPC(dimyristoyl phosphatidylglycerol, dilauryl phosphatidycholine), DMPE(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MPG(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 Lyso PC(1-myrist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Lyso PE(1-oleoyl-2 -hydroxy-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DPC(1,2-di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DEPA-NA(1,2-dierucoyl-sn-glycero-3-phosphate (sodium salt)), DEPC(1,2-erucoyl-sn-glycero-3-phosphocholine), DEPE(1,2-dieruc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LOPC(1,2-lin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LPA-NA(1,2-dilauroyl-sn-glycero-3-phosphate (sodium salt)), DLPE(1,2-dilau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LPS-NA(1,2-dilauroyl-sn-glycero-3-phosphoserine (sodium salt)), DMPA-NA(1,2-dimyristoyl-sn-glycero-3-phosphate (sodium salt)), DMPS-NA(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serine (sodium salt)), DOPA-NA(1,2-dioleoyl-sn-glycero-3-phosphate (sodium salt)), DOPC(1,2-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E(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OPS-NA(1,2-dioleoyl-sn-glycero-3-phosphoserine (sodium salt)), DPPA-NA(1,2-dipalmitoyl-sn-glycero-3-phosphate (sodium salt)), DPPE(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PPS-NA(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serine (sodium salt)), DSPA-NA(1,2-distearoyl-sn-glycero-3-phosphate (sodium salt)), DSPC(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DSPE(1,2-diostearp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MSPC(1-myristoyl, 2-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PMPC(1-palmitoyl, 2-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POPC(1-palmitoyl, 2-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POPE(1-palmitoyl-2-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PSPC(1-palmitoyl, 2-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SMPC(1-stearoyl, 2-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SOPC(1-stearoyl, 2-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SPPC(1-stearoyl, 2-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PCDA (10,12- pentacosadiynoic acid), 및 PMOXA-PDMS-PMOXA(poly(methyloxazoline)-poly(dimethylsiloxane)-poly(methyloxazoline) 등의 고분자 기반 AB, ABA, 또는 ABC 공중합체, 폴리펩티드를 기반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포어는 직경이 50 nm 내지 100 ㎛일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 방향으로 병목부를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머 또는 양극산화알루미늄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디페닐페닐렌에테르, 폴리비닐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나이트로 셀룰로스, 아세틸화 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유기 실록산 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유기 폴리실록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도이미드 및 폴리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여과 구조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투수성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투수성 막은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디페닐페닐렌에테르, 폴리비닐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나이트로 셀룰로스, 아세틸화 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유기 실록산 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유기 폴리실록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도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1 ㎛ 내지 1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복수개의 포어를 가지는 다공성 지지체; 및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 및 제2 링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는 상기 서로 다른 고분자막 구조체 상의 제2 링커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서로 교차 결합되어 있는 액체 여과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액체 여과 구조체는 다공성 지지체에 형성된 포어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끼리 제2 링커 및 제2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내벽에 링커와 연결부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설명한 발명과 동일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액체 여과 구조체는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분자막 구조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여 물을 정제하는 여과 장치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액체 여과 구조체 중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포어의 내벽에 고정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액체 여과 구조체 중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포어 내부에 포함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다공성 지지체에 형성된 포어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거나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한 액체 여과 구조체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액체 여과 구조체 중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포어의 내벽에 고정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다공성 지지체(10)에 복수개의 포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어의 내벽에 제1 링커(30)가 제1 연결부(50)를 통하여 고분자막 구조체(20) 상에 존재하는 제2 링커(22)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로 인해 고분자막 구조체(20)는 다공성 지지체(10)의 포어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액체 여과 구조체 중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가 포어 내부에 포함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분자막 구조체(20)는 포어 내에 복수개가 존재하므로, 고분자막 구조체(20) 사이의 결합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여 다공성 지지체(10)에 형성된 포어 내에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고분자막 구조체(20)의 제2 링커(22) 사이에 제2 연결부(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20) 상에는 아쿠아포린(21)과 같은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이 존재하여 물을 정제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20)가 포어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다공성 지지체(10)의 상단 및 하단에 투수성 막(40)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20)는 고분자막을 구성하는 막의 유동성을 저해하는 물질(예를 들어, 스핑고리피드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고분자막의 유동성을 저해시켜 고분자막이 더욱 단단해지도록 함으로써, 고분자막 구조체 자체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다공성 지지체
20: 고분자막 구조체
21: 아쿠아포린
22: 제2 링커
23: 작용기 함유 화합물
30: 제1 링커
40: 투수성 막
50: 제1 연결부
60: 제2 연결부

Claims (27)

  1. 내벽에 제1 링커가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포어를 가지는 다공성 지지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투수성 막; 및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 및 제2 링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링커 및 제2 링커는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포어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액체 여과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는 상기 서로 다른 고분자막 구조체 상의 제2 링커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서로 교차 결합되어 있는 액체 여과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는 상기 고분자막을 구성하는 막의 유동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막의 유동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콜레스테롤, 스핑고리피드 및 탄소수 10 이상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링커는 1차 아민 반응 가교제(Primary amine reactive cross-linker), 설프히드릴 반응 가교제(sulfhydryl reactive cross-linker), 카보하이드레이트 반응 가교제(carbohydrate reactive cross-linker), 카복실 반응 가교제(carboxyl reactive cross-linker) 및 광반응성 가교제(photoreactive cross-link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링커는 1차 아민 반응 가교제(Primary amine reactive cross-linker), 설프히드릴 반응 가교제(sulfhydryl reactive cross-linker), 카보하이드레이트 반응 가교제(carbohydrate reactive cross-linker), 카복실 반응 가교제(carboxyl reactive cross-linker) 및 광반응성 가교제(photoreactive cross-link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어는 직경이 50 nm 내지 100 ㎛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 방향으로 병목부를 가지는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머 또는 양극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디페닐페닐렌에테르, 폴리비닐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나이트로 셀룰로스, 아세틸화 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유기 실록산 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유기 폴리실록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또는 폴리벤즈이미다졸인 액체 여과 구조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1 ㎛ 내지 1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은 아쿠아포린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16. 복수개의 포어를 가지는 다공성 지지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투수성 막; 및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 및 제2 링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분자막 구조체는 상기 서로 다른 고분자막 구조체 상의 제2 링커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서로 교차 결합되어 있는 액체 여과 구조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막 구조체는 상기 고분자막을 구성하는 막의 유동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막의 유동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콜레스테롤, 스핑고리피드 및 탄소수 10 이상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20. 삭제
  21. 삭제
  22.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포어는 직경이 50 nm 내지 100 ㎛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포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 방향으로 병목부를 가지는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머 또는 양극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디페닐페닐렌에테르, 폴리비닐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나이트로 셀룰로스, 아세틸화 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유기 실록산 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유기 폴리실록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또는 폴리벤즈이미다졸인 액체 여과 구조체.
  26.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1 ㎛ 내지 1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2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은 아쿠아포린인 것인 액체 여과 구조체.

KR1020150020980A 2015-02-11 2015-02-11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 KR10174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80A KR101742862B1 (ko) 2015-02-11 2015-02-11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
US14/907,685 US9943812B2 (en) 2015-02-11 2015-12-11 Artificial membrane-fixed liquid filtration structure
PCT/KR2015/013586 WO2016129801A1 (ko) 2015-02-11 2015-12-11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80A KR101742862B1 (ko) 2015-02-11 2015-02-11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847A KR20160098847A (ko) 2016-08-19
KR101742862B1 true KR101742862B1 (ko) 2017-06-15

Family

ID=5661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980A KR101742862B1 (ko) 2015-02-11 2015-02-11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43812B2 (ko)
KR (1) KR101742862B1 (ko)
WO (1) WO2016129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282B1 (ko) 2016-12-29 2019-11-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SE544407C2 (en) * 2019-02-27 2022-05-10 Aquammodate Ab Stabilized filtra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304B1 (ko) 2014-11-28 2015-11-19 한국기계연구원 하이브리드 형 액체 여과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200624A (nl) 1992-04-03 1993-11-01 Stichting Membraanfiltratie Composietmembraan, toepassing ervan en werkwijze voor het ontwateren van organische oplosmiddelen.
EP1462154B1 (en) 2001-12-10 2009-02-25 Toray Industries, Inc. Separation membrane
KR100626321B1 (ko) * 2005-07-26 2006-09-20 (주)씨엔디환경 오염도가 낮은 분리막 및 그것의 제조방법
EP2244815A1 (en) * 2007-12-11 2010-11-03 Aquaporin A/S Scaffold for composite biomimetic membrane
US9440195B2 (en) * 2008-10-07 2016-09-13 Applied Biomimetic A/S Biomimetic membrane formed from a vesicle-thread conjugate
KR20100116344A (ko) * 2009-04-22 2010-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필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90963B1 (ko) * 2009-04-22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필터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10084026A1 (en) * 2009-06-30 2011-04-14 B.G. Negev Technologies Ltd. Biomimetic membranes, their production and uses thereof in water purification
WO2012161662A1 (en) * 2011-05-26 2012-11-29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ore-spanning biomimetic membranes embedded with aquaporin
WO2013044734A1 (zh) * 2011-09-28 2013-04-04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骨靶向脂质体及其制备方法
US20150136690A1 (en) * 2012-06-01 2015-05-21 National Unibersity of Singapore Method of making a membrane and a membrane for water filtration
DK177696B1 (en) * 2013-02-25 2014-03-17 Aquaporin As Systems for water extraction
KR101490202B1 (ko) * 2013-04-10 2015-02-05 광주과학기술원 미세기공성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5185B1 (ko) * 2014-09-01 2016-02-19 한국기계연구원 액체 여과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304B1 (ko) 2014-11-28 2015-11-19 한국기계연구원 하이브리드 형 액체 여과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9801A1 (ko) 2016-08-18
US9943812B2 (en) 2018-04-17
KR20160098847A (ko) 2016-08-19
US20160367949A1 (en)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1692B2 (en) Hollow fiber module having TFC-aquaporin modified membranes
EP0294737B1 (en)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N103055709B (zh) 多层微滤膜
KR101572660B1 (ko)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2532A (ko) 복합막 모듈의 제조방법
KR101742862B1 (ko) 인공막 고정형 액체 여과 구조체
US10888823B2 (en) Membrane with improved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KR101577500B1 (ko) 고유량 정삼투막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삼투모듈
CN105727771B (zh) 一种类肝素改性的聚乙烯醇水凝胶薄层纳米复合血液透析膜及其制备方法
KR101448017B1 (ko) 정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236409A1 (en) Permselective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60236156A1 (en) Spiral wound membrane module with reinforced fold line
KR101570304B1 (ko) 하이브리드 형 액체 여과 구조체
US11806676B2 (en) Compositions for use in the simultaneous removal of endotoxins and uremic solutes during the treatment of patients
KR101752960B1 (ko) 작용기를 포함하는 인공막 액체 여과 구조체
KR102309927B1 (ko) 중공사형 정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33373A (ja) 複合中空糸膜
WO2020059752A1 (ja) 中空糸多孔膜
KR101791650B1 (ko) 접착력이 우수한 삼투막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나권형 삼투막 모듈
JP2002045662A (ja) 選択透過性中空糸膜
KR200477157Y1 (ko) Tfc-아쿠아포린 개질된 막을 갖는 중공섬유 모듈
KR102657950B1 (ko) 혈액투석용 이중층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07517A1 (en) Diffusion and/or filtration device
JP2022103007A (ja) 溶液処理方法および溶液処理装置
JP2001038172A (ja) 中空糸型選択分離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