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032B1 -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032B1
KR101742032B1 KR1020160007053A KR20160007053A KR101742032B1 KR 101742032 B1 KR101742032 B1 KR 101742032B1 KR 1020160007053 A KR1020160007053 A KR 1020160007053A KR 20160007053 A KR20160007053 A KR 20160007053A KR 101742032 B1 KR101742032 B1 KR 101742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rame
hole
heat insulating
fix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운
김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전동운
김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전동운, 김철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16000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 패널을 시공할 수 있도록 스터트와 브레스가 결합된 메탈 프레임을 마련하되, 상기 스터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하단공과, 상기 상하단공에 전면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단턱 지지부를 형성하여 고정판 및 앵커 볼트와 외장패널 등을 용이하게 조립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은 물론 메탈 프레임에서 스터트와 일치하여 통공되도록 내통과 외통 구조로 결합된 팽킹 성형부를 설치한 다음 메틸 프레임의 개방된 단턱 지지부 전면과 배면을 밀폐하기 위해 박판을 부착한 후, 메탈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한 다음, 단열재의 경화과정을 거친 후 보온 캡 성형부에서 내통을 분리한 다음 단열재에서 외통을 분리하여 조립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열재를 코어 드릴로 천공하여 조립공을 형성하는 방식을 생략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The exterior panel to a building and th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 패널을 시공할 수 있도록 스터트와 브레스가 결합된 메탈 프레임을 마련하되, 상기 스터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하단공과 , 상기 상·하단공의 전면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단턱 지지부를 형성하여 고정판 및 앵커 볼트와 외장패널 등을 용이하게 조립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은 물론 메탈 프레임에서 스터트와 일치하여 통공되도록 내통과 외통 구조로 결합된 팽킹 성형부를 설치한 다음 메틸 프레임의 개방된 단턱 지지부 전면과 배면을 밀폐하기 위해 박판을 부착한 후, 메탈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한 다음, 단열재의 경화과정을 거친 후 보온 캡 성형부에서 내통을 분리한 다음 단열재에서 외통을 분리하여 조립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열재를 코어 드릴로 천공하여 조립공을 형성하는 방식을 생략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장 공사시에 판 형상의 외장 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마감처리 공법에는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이 있다.
상기 습식 공법은 건물의 벽과 외장 패널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접착용재로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시멘트의 양생 시간이 길고 작업 및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비경제적이고 비생산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건축물과 외장 패널 사이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개재하여 외장 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시공 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따라서 종래에 주로 사용하는 건축물의 외장 패널 고정장치는 외장 패널의 일측면에 설치된 앵커볼트의 수나사에 'ㄱ'자 및 'H'자 형상의 브라켓 일측을 너트로 고정시키고, 시공 벽면(외벽)에 'ㄱ'자 형상의 브라켓의 일측을 앵커볼트로 고정시킨 다음, 이들 브라켓들의 타측을 볼트 및 너트로 상호 고정시킴으로서 시공 벽면에 외장 패널을 부착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외장 패널을 브라켓과 앵커 볼트로 고정하는 경우 조립성은 우수하나 앵커 볼트와 브라켓이 외부로 노출되어있어 부식이 쉽게 발생하고, 견고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에 볼트를 삽입하여 벽면에 부착 시공하나 브라켓의 두께가 얇아 볼트에 외장 패널의 하중이 그대로 가중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면 볼트가 파손되거나 벽면에 조임된 볼트가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 패널을 시공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공과 하단공이 반복 배열된 스터트와 브레스를 결합하여 메탈 프레임을 조립한 다음, 상기 메탈 프레임에서 개방된 단턱 지지부 전면과 배면을 밀폐하기 위해 박판을 단턱 지지부 전면과 배면에 부착한 후, 상기 메탈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한 다음, 단열재의 경화과정을 거친 후, 상기 상단공과 하단공에 박판과 단열재를 코어 드릴로 천공하여 조립공을 형성한 후, 상기 조립공에서 분리된 단열재를 조립공에서 분리 및 결합하도록 보온 캡을 사용한 다음 메탈 프레임의 상단공과 하단공으로 상하단 조립 유닛을 각각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단열재에 조립공을 형성하기 위해 코어 드릴로 상·하단공과 통공되도록 천공을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번거롭고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터트의 상·하단공 단턱 지지부 전면 둘레는 평면 상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하단 조립 유닛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하단 조립 유닛을 견고하게 지지하지못하고 지지력이 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제 2004-35712호"건축물의 외장 패널 고정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터트에 형성된 상·하단공으로 각각 조립되는 상하단 조립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 및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메탈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여 성형한 후 상·하단공과 일치하도록 단열재에 보온캡 공을 성형할 때 작업자가 코어 드릴을 사용하지않고 성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 패널을 시공할 수 있도록 스터트와 브레스가 결합된 메탈 프레임과, 상기 메탈 프레임의 스터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단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단공을 짝을 지어 반복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단공의 전면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단턱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 지지부의 전면으로 상·하단 조립 유닛이 밀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터트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반복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 단턱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 지지부의 중앙에는 상·하단공이 각각 형성되어 단턱 지지부의 내측에는 처짐 방지 와셔가 삽입되고, 외측 단턱 지지부 전면에는 고정판이 밀착되어 상하단 조립 유닛을 견고하게 조립 및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하단 조립 유닛은 단턱 지지부에 의해 외장 패널의 하중이 집중 및 분산되게 지지함으로써 지진을 포함한 진동에 의해 앵커 볼트의 조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탈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여 성형한 후 상·하단공과 일치하도록 단열재에 보온캡 공을 성형할 때 작업자가 코어 드릴을 사용하지않고 성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외장 패널에서 스터트의 조립공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서 보온 캡 성형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서 보온 캡 성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서 보온 캡 성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서 보온 캡 성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 보온 캡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1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외장 패널에서 스터트의 조립공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1)는 스터트(14)의 중앙에는 통공되게 상단공(2)과 하단공(2')이 짝을 지어 반복되게 배열된 스터트(14)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상단공(2)과 하단공(2')의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단턱 지지부(3)가 형성된다.
삭제
또한 스터트(14) 사이에는 수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브레스와, 상기 스터트(14) 사이에는 브레스와 교차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수직 보강대(4)와, 상기 스터트(14)의 상부와 하부에는 수평 커버가 용접 조립되어 메탈 프레임(27)을 구성한다.
상기 메탈 프레임(27) 내부로 충진되는 단열재(26)에 조립공(18)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터트(14)의 상·하단공(2, 2')과 일치하도록 조립공(18)을 형성하기 위해 보온 캡 성형부(21)를 각각 설치한다.
또한, 상기 메탈 프레임(27)의 스터트(14)에 형성된 단턱 지지부(3)에 밀착되어 상단공(2)과 하단공(2')으로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을 끼움 결합한다.
상기 메탈 프레임(27)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에 의해 조임 체결되는 외장 패널(25)이 결합된다.
한편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은 단턱 지지부(3)의 전면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장공형상의 장공이 형성된 고정판(5)이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5)의 전면에는 평와셔(6) 및 고정너트(7)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너트(7)와 평와셔(6)에는 앵커 볼트(9)의 일측 단부가 조임 결합되어 고정판(5)의 장공으로 삽입되어 단턱 지지부(3)에 각각 형성된 상·하단공으(2, 2')로 끼움 결합되어 돌출된다.
또한, 단턱 지지부(3)의 내측에는 상·하단공(2, 2')과 통공되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밀착된 처짐 방지 와셔(15)와, 상기 처짐 방지 와셔(15)의 배면에는 평와셔(6')와 고정너트(7')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단공(2, 2')으로 돌출된 앵커 볼트(9)와 결합된다.
상기 앵커 볼트(9)의 헤드에는 코일 스프링(8)과 납작 스프링(11)과 앵커 너트(10)가 순차적으로 조임 체결된 앵커 볼트(9)와, 상기 앵커 너트(10)가 외장 패널(25)의 조립홈(12)으로 삽입된다.
상기 처짐 방지 와셔(15)는 단턱 지지부(3)의 내면에 밀착되어 다수개의 간격유지 돌기(16)가 상·하단공(2, 2')으로 위치 고정판(5)을 지지하여 간격을 유지한다.
즉, 간격유지 돌기(16)는 단턱 지지부(3)의 내면으로 삽입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간격유지 돌기(16)가 상·하단공(2, 2')으로 삽입되어 고정판(5)을 단턱 지지부(3)와 함께 지지한다.
상기 단턱 지지부(3)의 전면에 고정판(5)이 밀착되어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을 견고하게 조립하는 것은 물론 단턱 지지부(3)에 의해 외장 패널(25) 하중이 집중 및 분산되게 지지함으로써 지진을 포함한 진동에 의해 앵커 볼트(9)의 조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서 보온 캡 성형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서 보온 캡 성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서 보온 캡 성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서 보온 캡 성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 보온 캡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1)에서 스터트(14)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하단공(2, 2')과 일치하도록 설치된 보온 캡 성형부(21)는 상광하협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판(23)의 중앙에 연결공(22)이 형성된 상태에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측면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만 개방된 외통(20)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통(20) 내부에 삽입된 내통(19)은 외통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상광하협의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외통(20) 내부를 분할하기 위해 바닥에는 차단판(24)이 형성되고, 상부와 일측 측면이 개방된 내통(19)이 마련된다.
상기 내통(19)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은 차단판(24)으로 밀폐된 상태에서 상부와 측면 일부가 개방되어 삽입된다.
따라서 메탈 프레임(27) 내부에 단열재(26)를 충진하면 내·외통(19, 20)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내통(19) 내부로 단열재(26)가 충진되어 경화되고, 차단판(24)의 하부에 위치한 외통(20) 내부에는 단열재(26)가 충진되지 않는다.
상기 보온 캡 성형부(21)는 내통(19) 내부로 단열재(26)가 충진되어 경화된 다음 내통(19) 내부에서 보온 캡(17)이 완성되면 외통(20) 바닥판(23)에 형성된 연결공(22)을 통해 차단판(24)을 연장으로 두들겨 내통(19)을 외통(20)에서 분리한 다음 내통(19)에서 보온 캡(17)을 분리한 후 외통(20) 내부로 보온 캡(17)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또한,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을 스터트(14)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보온 캡(17)이 결합된 외통(20) 전체를 단열재(26)에서 분리하여 조립공(18)을 형성한 다음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을 조립한 다음 조립공(18)에 외통(20)을 다시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밀폐한다.
또한, 보온 캡 성형부(21)를 메탈 프레임(27)에 설치 및 단열재(26)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움직이지않고 고정하도록 보온 캡 성형부(21)의 외통(20) 바닥판(23)에는 고정홈(29)이 형성되어 스터트(14)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메탈 프레임(27) 내부에 단열재(26)를 충진하여 성형한 후, 상·하단공(2, 2')과 일치하도록 단열재(26)에 조립공(18)을 성형할 때 작업자가 코어 드릴을 사용하지않고 성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 건축물에 외장 패널 고정장치(1)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외장 패널(25)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단공(2)과 하단공(2')이 연속적으로 반복된 스터트(14)를 수직방향으로 배열하고, 상기 스터트(14) 사이에는 수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브레스와, 상기 스터트(14) 사이에는 브레스와 교차되게 수직 보강대(4)가 입설된 상태에서 스터트(14)의 상부와 하부에는 수평 커버가 용접된 메탈 프레임(27)을 마련한다.
또한, 메탈 프레임(27) 내부에는 상·하단공(2, 2')과 일치하도록 보온 캡 성형부(21)를 설치한 다음 단열재(26)를 충진하기 위해 전면과 배면을 밀폐하도록 박판을 부착한 다음 메탈 프레임(27)의 측면에서 단열재(26)를 내부에 충진한다.
그러면 메탈 프레임(27) 내부는 물론 보온 캡 성형부(21)의 내통(19)에도 단열재(26)가 충진된 상태에서 단열재(26)가 경화된다.
상기 단열재(26)가 경화된 후에는 박판을 제거한 다음 보온 캡 성형부(21)에서 내통(19)만을 제거하거나 또는 보온 캡(17)이 내부에 삽입된 외통(20) 전체를 단열재(26)에서 분리하여 조립공(18)을 형성한다.
상기 보온 캡(17)이 삽입된 외통(20)은 상·하단공(2, 2')으로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을 조립한 다음 조립공(18)을 밀폐할 때 사용하도록 분리 및 결합된다.
단열재(26)에 조립공(18)을 형성하는 이유는 조립공(18)을 통해 상·하단공(2, 2')으로 삽입되어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을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스터트(14)에 형성된 상단공(2)과 하단공(2')에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을 각각 삽입하여 조립한 다음, 메탈 프레임(27)의 전면에 외장 패널(25)을 위치한 다음 상하단 조립 유닛(28, 28')에 의해 조임 체결하여 설치한 후 조립공(18)에 보온 캡(17)이 삽입된 외통을 삽입하여 마무리한다.
1: 외장 패널 고정장치 2, 2': 상·하단공
3: 단턱 지지부 4: 수직 보강대
5: 고정판 6, 6': 평와셔
7, 7': 고정너트 8: 코일 스프링
9: 앵커 볼트 10: 앵커 너트
11: 납작 스프링 12: 조립홈
13: 외장 패널 14: 스터트
15: 처짐방지 와셔 16: 간격유지 돌기
17: 보온 캡 18: 조립공
19: 내통 20: 외통
21: 보온 캡 성형부 22: 연결공
23: 바닥판 24: 차단판
25: 외장 패널 26: 단열재
27: 메탈 프레임 28, 28': 상하단 조립유닛

Claims (6)

  1. 스터트의 전면에는 상단공과 하단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공과 하단공의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단턱 지지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단공과 하단공이 짝을 지어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배열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스터트와,
    상기 스터트 사이에는 수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브레스와, 상기 스터트 사이에는 브레스와 교차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수직 보강대와, 상기 스터트의 상부와 하부에는 수평 커버가 용접 조립된 메탈 프레임; 과
    상기 메탈 프레임 내부에 충진된 단열재; 와
    상기 상·하단공과 통공되도록 단열재에 형성된 조립공; 과
    상기 조립공에 분리 및 결합되는 보온 캡; 과
    상기 메탈 프레임의 스터트에 형성된 단턱 지지부에 밀착되어 상단공과 하단공으로 끼움 결합되는 상하단 조립 유닛; 과
    상기 메탈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하단 조립 유닛에 의해 조임 체결되는 외장 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 조립 유닛은 단턱 지지부의 전면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장공형상의 장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위치한 평와셔 및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와 평와셔에 앵커 볼트의 몸체 일측 단부가 조임 결합되어 고정판의 장공으로 삽입되어 단턱 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상·하단공으로 끼움 결합되어 돌출된 앵커 볼트와, 상기 단턱 지지부의 내측에는 상·하단공과 통공되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밀착된 처짐 방지 와셔와, 상기 처짐 방지 와셔의 배면에는 평와셔와 고정너트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단공으로 돌출된 앵커 볼트와 결합되고, 상기 앵커 볼트의 헤드에는 코일 스프링과 납작 스프링과 앵커 너트가 순차적으로 조임 체결된 앵커 볼트와, 상기 앵커 너트가 외장 패널의 조립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 와셔는 단턱 지지부의 내면에 밀착되어 다수개의 간격유지 돌기가 상·하단공으로 위치하여 고정판을 지지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프레임 내부에 충진된 단열재에 조립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터트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하단공과 일치하도록 설치된 보온 캡 성형부는 상광하협의 박스형상으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 위치한 바닥판 중앙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내통을 끼움 결합하였을 때 내통이 위치하는 부분중 일측면만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외통; 과
    상기 외통의 형상과 대응하게 상광하협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을 밀폐하도록 차단판이 형성되고, 상부와 일측면만 개방된 상태에서 외통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에 위치하도록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외통은 바닥판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스터트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KR1020160007053A 2016-01-20 2016-01-20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KR101742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53A KR101742032B1 (ko) 2016-01-20 2016-01-20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53A KR101742032B1 (ko) 2016-01-20 2016-01-20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032B1 true KR101742032B1 (ko) 2017-05-31

Family

ID=5905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053A KR101742032B1 (ko) 2016-01-20 2016-01-20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0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81B1 (ko) 2013-05-30 2014-09-11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81B1 (ko) 2013-05-30 2014-09-11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279B1 (ko) 충진단열재를 이용한 외장 단열패널 설치구조
KR101445639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1403276B1 (ko) 스틸 커튼월 장치
KR101939180B1 (ko) 건물 벽체용 내외부 단열재 및 외장패널의 일체화 시공방법 및 그 일체화 된 벽체구조
KR101546471B1 (ko) 커튼월 구조
KR20170081811A (ko) 세라믹 복합판넬 및 이를 이용한 양단열 거푸집 공법
KR101543683B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101566325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1742032B1 (ko)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JP3173837U (ja) 構造断熱材
JP6512870B2 (ja) ドア枠改装構造及び改装ドア
KR20170113479A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KR101786432B1 (ko) 조립식 몰딩을 이용한 외벽 알루미늄패널 시공방법
KR101154344B1 (ko) 호형구조물용 내/외장재 패널 조립시스템
KR101998321B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100720758B1 (ko) 공동주택 기초부에 설치되는 외단열패널
KR101381107B1 (ko) 하이브리드 패널의 고정구조
KR102015433B1 (ko) 커튼월
KR200463824Y1 (ko) 창호의 스틸커튼 구조
JP5046677B2 (ja) 鋼製のドア枠
KR101727930B1 (ko) 건축물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방법 및 고정장치
JP6367028B2 (ja) 支持部材の取付構造
KR101557151B1 (ko) 건축용 내벽체 및 건축용 내벽체의 시공방법
JPS6234909B2 (ko)
JP7004974B2 (ja) 縦ルーバー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