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645B1 - 파일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645B1
KR101741645B1 KR1020150105346A KR20150105346A KR101741645B1 KR 101741645 B1 KR101741645 B1 KR 101741645B1 KR 1020150105346 A KR1020150105346 A KR 1020150105346A KR 20150105346 A KR20150105346 A KR 20150105346A KR 101741645 B1 KR101741645 B1 KR 101741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diameter
outer tube
tub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898A (ko
Inventor
임인규
김현수
서종무
안광현
여정환
전상배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6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8Sinking workpieces into water or soil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0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파일의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제1 파일을 관입하는 단계, 제1 파일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도록 제1 파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파일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 및 제2 파일을 인발(引拔)하면서 제2 파일의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파일의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일의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ILE}
본 발명은 파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유 또는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채취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양 구조물들이 해상에 건설된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므로 해양 구조물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위치를 고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기초를 해저 지반에 설치한다.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는 설치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해저 지반에 관입되어 설치되는 기초 파일(또는 앵커)은 해저 지반에 관입되는 방식에 따라 항타 파일(driven pile), 석션 파일(suction pile) 또는 낙하 파일(drop pil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해저 지반에 관입되는 기초 파일은 수중에서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기초 파일이 설치되는 수심 또는 해저 지반의 특성 등에 따라 시공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소요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25943호 (2009. 03. 11.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일의 관입 시 발생하는 관입 저항력을 감소시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제1 파일을 관입하는 단계, 제1 파일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도록 제1 파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파일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 및 제2 파일을 인발(引拔)하면서 제2 파일의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파일의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1 파일과 제2 파일의 선단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일은, 제1 파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외관 및 제1 파일의 직경보다 크고 외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관의 내측에 장착되어 외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내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일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는, 내관이 장착된 외관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 및 내관을 외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1 파일의 중공에 외관보다 깊이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관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내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선단에는 내관이 외관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일의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는, 내관을 외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내관을 인발하면서 내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파일의 선단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및 내관이 장착된 외관을 인발하면서 내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파일의 후단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파일을 관입하고 제1 파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파일을 제1 파일에 삽입하여 제1 파일을 확장시키므로, 파일의 초기 관입 시 발생하는 관입 저항력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 파일을 관입하는 단계(S100, 도 2 참조), 제2 파일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S200, 도 3 및 도 4 참조) 및 제2 파일을 인발(引拔)하면서 제1 파일의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S300, 도 5 및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 파일을 관입하는 단계(S100)에서는, 내부에 길이 방향(L)으로 중공(110)이 형성된 제1 파일(100)을 항타 방식 등에 의하여 지반(G)에 관입한다. 이때 제1 파일(100)은 지반(G)에 완전히 관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파일(100)의 관입 깊이는 제1 파일(100)의 전체 길이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1 파일의 후단부(130)는 지반(G) 내로 관입되지 않은 채 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일(100)은 길이 방향(L)과 반경 방향(R)을 가지는 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파일(100)의 길이 방향(L)은 제1 파일(100)의 관입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파일(100)의 길이 방향(L)에 따른 양 단은 선단과 후단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파일(100)의 선단이라 함은 제1 파일(100)의 관입 시 지반(G) 내로 우선 관입되는 일단을 의미하고, 제1 파일(100)의 나머지 일단은 제1 파일(100)의 후단이 된다. 제1 파일(100)이 지반(G) 내로 관입되면, 제1 파일의 선단부(120)는 고심도 영역에 배치되고 제1 파일의 후단부(130)는 저심도 영역에 배치된다.
제1 파일(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0)은 제1 파일(100)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파일(100)의 후단에서 개방된다. 한편, 제1 파일(100)의 관입 시 중공(110)의 내부로 지반 내의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파일(100)의 선단은 폐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일(100)은 제1 파일의 후단부(130)를 타격함으로써 지반 또는 해저 지반(G)에 관입될 수 있으며, 관입되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제1 파일(100)은 선단이 단단한 지반까지 도달하도록 관입되는 지지파일, 파일 주위의 지반과 파일 자체의 마찰에 의해서 지지되는 마찰파일, 이들의 합성파일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종류의 파일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파일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S200)에서는, 제1 파일(100)을 반경 방향(R)으로 확장시키도록 제1 파일(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내부에 길이 방향(L)으로 관통홀(225)이 형성된 제2 파일(200)을 제1 파일(100)의 중공(110)에 삽입한다.
파일을 지반에 관입하는 경우, 파일에는 관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입 저항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관입 저항력은 지반과 파일 사이의 마찰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파일을 관입하기 위해서는 파일에 가해지는 관입 저항력 이상의 힘을 필요로 하므로, 관입 저항력은 파일의 관입 시 작업의 효율에 관여하는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관입 저항력은 파일이 관입되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지만, 지반의 특성이 동일한 경우 관입 저항력은 관입되는 파일의 직경에 비례하므로, 직경이 큰 파일을 관입할수록 더 큰 힘이 요구된다.
한편, 지반에 관입되는 파일의 직경이 클수록 파일의 인발 저항력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파일을 관입하고, 관입이 완료된 파일과 구조물을 무어링 라인을 통하여 연결한 경우, 파일의 직경이 클수록 파일에 연결된 구조물은 더 큰 지지력 또는 고정력을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은 직경이 작은 제1 파일(100)을 우선 관입함으로써, 제1 파일(100)의 관입 시 제1 파일(100)에 가해지는 관입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파일(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파일(200)을 제1 파일(100)의 중공(110)에 삽입하여 제1 파일(100)을 제2 파일(200)의 직경만큼 확장시키므로, 파일 전체의 인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 파일을 관입하는 단계(S100, 도 1 참조)에서, 제1 파일(100)은 지반(G)에 완전히 관입되지 않고 제1 파일의 후단부(130)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지반(G) 내로 관입되지 않은 제1 파일의 후단부(130)는 제1 파일(100)이 제2 파일(200)에 의해서 확장되는 과정에서 지반(G) 내로 관입된다. 즉, 제1 파일(100)은 반경 방향(R)으로 확장되는 대신 길이 방향(L)으로는 축소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일(200)은 제1 파일(100)의 중공(11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파일(200)은 길이 방향(L)에 따른 제1 파일(100)의 전체를 반경 방향(R)으로 확장시키지 않고 제1 파일(100)의 일부만 확장시키도록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파일의 선단부(120)는 제1 파일(100)의 원래 직경을 가지며, 제1 파일의 후단부(130)는 제2 파일(200)의 직경만큼 확장되어 선단부(120)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반은 깊이에 따라 지내력이 서로 상이한 층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지반 내의 영역 중 고심도 영역(지반 내 깊은 영역)은 암반 등과 같은 단단한 층으로 이루어지고, 저심도 영역(지면 근방과 같이 얕은 영역)은 연약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반에 파일을 관입하는 경우, 배치되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파일의 단면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은 파일의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내력이 큰 고심도 영역에 배치되는 파일의 선단부는 파일의 직경이 작아도 충분한 지지력을 받을 수 있으며, 파일의 관입에 필요한 힘의 크기도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지내력이 작은 저심도 영역에 배치되는 파일의 후단부는 파일의 직경을 크게 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파일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의 직경을 전체적으로 크게 하는 것에 비하여 관입 시 발생하는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고심도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파일의 선단부(120)는 그 직경을 확장시키지 않아도 지반(G) 자체의 강한 지내력에 의해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저심도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파일의 후단부(130)는 제2 파일(200)에 의해서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확장되므로 제1 파일의 후단부(130)의 인발 지지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파일을 인발(引拔)하면서 제1 파일의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S300, 도 1 참조)에서는, 제1 파일(100)의 중공(110)에 삽입된 제2 파일(200)을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발하면서 제2 파일(20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225)을 통하여 제1 파일(100)의 내측 공간(S1, S2)에 그라우트(C)를 주입한다.
제1 파일(1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110)은 제2 파일(200)의 삽입으로 인하여 확장되고, 확장된 중공 즉, 제1 파일(1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S1, S2)에는 그라우트(C)가 채워진다. 그라우트(C)는 시멘트 풀, 시멘트 모르타르, 아스팔트 및 약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일(100)은 소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2 파일(200)에 의하여 확장된 후, 확장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파일(200)을 제1 파일(100)에서 인발하면 제1 파일(100)의 내측 공간(S1, S2)은 빈 공간이 되므로, 제1 파일(100)의 지지력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제2 파일(200)이 삽입되어 있던 제1 파일(100)의 내측 공간(S1, S2)을 그라우트(C)로 충진한다.
제1 파일(100)과 제2 파일(200)의 각 선단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일의 선단부(120)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지반(G)으로 관입되는 제1 파일(100)의 관입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제2 파일(200)의 선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파일(100)의 중공(110)으로 제2 파일(200)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일(200)은 제1 파일(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외관(210) 및 제1 파일(100)의 직경보다 크고 외관(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관(22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관통홀(225)이 형성되며, 내관(220)은 외관(2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외관(2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즉, 제2 파일(200)은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외관(210)과 내관(220)을 포함하는 이중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관(210)은 내부에 내관(220)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홀은 외관(210)에 대한 내관(2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양 단이 개방된다.
내관(220)은 외관(210)의 내부에 장착되므로 내관(220)의 직경은 외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내관(220)의 직경은 외관(2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홀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내관(220)은 내관(220)의 외주면이 외관(210)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외관(2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파일(200)이 이중관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2 파일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S200, 도 1 참조)는 내관이 장착된 외관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S210, 도 3 참조) 및 내관을 외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1 파일의 중공에 외관보다 깊이 삽입하는 단계(S220,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반(G)에 관입된 제1 파일(100)의 중공(110)에 내관(220)이 장착된 외관(210)을 삽입함으로써 제1 파일(100)의 후단부를 1차 확장시킨다. 이때 외관(210)은 제1 파일(100)의 중공(11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고, 외관(210)이 삽입된 제1 파일(100)의 일부 영역은 외관(210)의 직경만큼 확장될 수 있다.
제1 파일(100)의 중공(110)에 외관(2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관(210)의 내부에 장착된 내관(220)을 항타 방식 등에 의하여 제1 파일(100)의 중공(110)에 추가로 삽입한다. 이때, 내관(220)은 외관(2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외관(210)보다 깊이 삽입되어 제1 파일(100)을 2차 확장시킬 수 있다. 외관(210)의 삽입과 마찬가지로 내관(220)은 제1 파일(100)의 중공(110)의 선단까지 삽입되지 않고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될 수 있다.
내관(220)은 외관(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제1 파일(100)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므로, 제1 파일(100)은 내관(220)의 삽입으로 인하여 2차 확장될 수 있다. 제1 파일(100)은 외관(210) 및 내관(220)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확장되므로, 제1 파일(100)의 길이 방향(L)에 따른 단면의 직경은 여러 단계에 걸쳐 변화될 수 있으며, 파일이 배치되는 지반(G) 특성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파일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파일(200)이 이중관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 파일의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S300, 도 1 참조)는 내관을 외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내관을 인발하면서 내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파일의 선단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S310, 도 5 참조) 및 내관이 장착된 외관을 인발하면서 내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파일의 후단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S320,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210)보다 더욱 깊이 삽입된 내관(220)을 인발하면서 내관(220)에 의해서 확장된 제1 파일의 선단 내측 공간(S1)에 그라우트(C)를 주입한다. 내관(220)의 내부에는 양 단이 개방된 관통홀(2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관(220)의 관통홀(225)을 통하여 제1 파일의 선단 내측 공간(S1)에 그라우트를 주입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20)의 인발이 완료되어 내관(220)이 외관(210)으로부터 이동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면, 내관(220)이 장착된 외관(210)을 제1 파일(100)로부터 인발하면서 외관(210)에 의하여 확장된 제1 파일의 후단 내측 공간(S2)에 그라우트(C)를 주입한다.
한편, 제2 파일(200)이 외관(210) 및 내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외관(21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 가이드홈(211)이 형성되고, 내관(220)의 외주면에는 외관(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1)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211)의 선단에는 내관(220)이 외관(2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내관(220)이 외관(2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외관(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1)과 내관(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21)는 서로 맞물려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관(220)은 외관(210)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홈(211)의 길이와 스토퍼부(212)의 형성 위치는 요구되는 내관(220)의 삽입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시공 방법에 의해서 시공이 완료된 파일(4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공이 완료된 파일(400)의 전체 길이(L1)는 제1 파일의 초기 관입 깊이와 일치할 수 있다. 즉, 제1 파일의 전체가 초기에 모두 지반 내로 관입되지 않으므로, 제1 파일의 전체 길이와 제1 파일의 초기 관입 깊이는 일치하지 않는다. 제1 파일의 관입 깊이를 초과하는 제1 파일의 길이는 제1 파일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지반으로 추가 관입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파일(400)은 직경의 크기가 D1인 제1 파일을 깊이 L1만큼 관입하고, 제2 파일을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파일은 직경의 크기가 D2인 내관과 직경의 크기가 D3인 외관으로 구성되며, 외관을 제1 파일의 중공에 깊이 L2만큼 관입하고 외관에 장착된 내관을 제1 파일의 중공에 깊이 L3만큼 추가 관입함으로써 제1 파일을 여러 단계에 걸쳐 확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에 의하며, 최소 직경을 가지는 제1 파일을 우선 관입하므로 파일의 직경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관입 저항력을 감소시켜 파일의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반의 심도에 따라 파일의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파일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 파일 110: 중공
120: 제1 파일의 선단부 130: 제1 파일의 후단부
200: 제2 파일 210: 외관
211: 가이드홈 212: 스토퍼부
220: 내관 221: 가이드돌기
225: 관통홀 300: 파일
C: 그라우트 D1: 제1 파일의 직경
D2: 내관의 직경 D3: 외관의 직경
G: 지반 L1: 제1 파일의 관입 깊이
L2: 외관의 삽입 깊이 L3: 내관의 삽입 깊이

Claims (6)

  1.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제1 파일을 관입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을 반경 방향으로 제2 파일의 직경만큼 확장시키도록 상기 제1 파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제2 파일을 상기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일을 인발(引拔)하면서 상기 제2 파일의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 파일의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의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과 상기 제2 파일의 선단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일의 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일은,
    상기 제1 파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외관; 및
    상기 제1 파일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외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관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외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내관;을 포함하는, 파일의 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일을 상기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내관이 장착된 상기 외관을 상기 제1 파일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내관을 상기 외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1 파일의 중공에 상기 외관보다 깊이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의 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선단에는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된, 파일의 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의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내관을 상기 외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내관을 인발하면서 상기 내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 파일의 선단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내관이 장착된 상기 외관을 인발하면서 상기 내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 파일의 후단 내측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의 시공 방법.
KR1020150105346A 2015-07-24 2015-07-24 파일의 시공 방법 KR101741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46A KR101741645B1 (ko) 2015-07-24 2015-07-24 파일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46A KR101741645B1 (ko) 2015-07-24 2015-07-24 파일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98A KR20170011898A (ko) 2017-02-02
KR101741645B1 true KR101741645B1 (ko) 2017-05-30

Family

ID=5815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346A KR101741645B1 (ko) 2015-07-24 2015-07-24 파일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9614A (zh) * 2020-05-19 2020-08-11 潍坊宏图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不同地质层桩体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0663A (zh) * 2019-01-11 2019-05-14 河北中地志诚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长椎体桩及其施工设计方法
CN112281822A (zh) * 2020-09-03 2021-01-29 宁波汇洲生态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软基道路加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947B1 (ko) * 2010-04-10 2010-12-17 토양건영 주식회사 강관헤드와 이중관 파커를 이용한 파일 헤드 강관 그라우팅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577B1 (ko) 2007-09-07 2012-06-20 석정건설주식회사 변단면 그래블 다짐말뚝을 시공하는 방법(vgcp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947B1 (ko) * 2010-04-10 2010-12-17 토양건영 주식회사 강관헤드와 이중관 파커를 이용한 파일 헤드 강관 그라우팅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9614A (zh) * 2020-05-19 2020-08-11 潍坊宏图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不同地质层桩体施工方法
CN111519614B (zh) * 2020-05-19 2021-10-01 潍坊宏图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不同地质层桩体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98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516B2 (en) Cladding method and expansion tool
KR101741645B1 (ko) 파일의 시공 방법
KR101360731B1 (ko) 확장형 날개가 장착된 내하체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방법
KR100861938B1 (ko) 연약지반 보강 앵커 및 상기 앵커를 이용한 시공방법
MX2012014086A (es) Perno expandible con punta blindada.
KR100948244B1 (ko) 스프링과 쐐기원리를 이용한 그라운드 공간 압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및 이에 연결된 인장재 제거방법
CN203560641U (zh) 插套式弹簧卡接头
US10047491B2 (en) Ground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EP3126614B1 (en) Frangible inner core barrel
US7182155B2 (en) Locking split barrel sampler and soil sampling system
KR20080112559A (ko) 어스앵커구조체 및 어스앵커공법
KR102136300B1 (ko) 시트파일 지중벽체 시공용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722174B1 (ko) 파일 복합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10010862A (ko) 가이드 케이싱
JP2013036216A (ja) 擁壁の補強工法
JP5055186B2 (ja) 地盤補強方法、地盤補強構造
KR101534036B1 (ko)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6389681B2 (ja) トンネル掘削工事における切羽前方の地盤改良方法
KR100717252B1 (ko) 어스앵커의 시공방법 및 장치
JP2008291465A (ja) アンカー及びアンカー打ち込み方法
CN103299034A (zh) 锚固装置
JP4629454B2 (ja) 既設構造物の下部地盤の液状化抑制工法
KR101236074B1 (ko) 신축형 돌출부를 구비하는 활암기
JP3948669B2 (ja) アンカーケーシング用パッカー装置
KR101230174B1 (ko) 제거식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