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501B1 -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501B1
KR101740501B1 KR1020160094243A KR20160094243A KR101740501B1 KR 101740501 B1 KR101740501 B1 KR 101740501B1 KR 1020160094243 A KR1020160094243 A KR 1020160094243A KR 20160094243 A KR20160094243 A KR 20160094243A KR 101740501 B1 KR101740501 B1 KR 10174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rrugated pipe
resin corrugated
packer
wav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379A (ko
Inventor
이천구
Original Assignee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이앤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50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단시간에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수분 침투로 인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싱크 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사가 쌓이지 않아 케이블 교체 시 맨홀을 통해 케이블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 후 기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로까지 철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WATERTIGHT TEST METHOD OF PLASTIC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포설할 시 사용되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수밀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을 지하에 매설하려면 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터파기를 한 후,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합성수지 파형관을 복수의 열과 층으로 매설한 다음, 지하에 설치된 합성수지 파형관에 전선을 포설함으로써 지중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을 설치하는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결소켓에 의해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매설되어 있는 터파기한 장소에 원토의 되메우기 작업을 하고 도로 포장작업을 한다. 이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케이블의 지중설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파형관을 설치할 시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손상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그 주된 이유로는 첫째, 롤에 권취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열을 가한 상태로 펴서 직선화시키는 작업으로 인한 합성수지 파형관의 물성변화, 둘째, 합성수지 파형관의 포설에 대한 시공불량, 셋째, 합성수지 파형관 자재 불량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손상되거나 형태가 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손상 또는 변형이 발생되거나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수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하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의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로 단시간에 유입될 경우 지반을 침하시키게 됨으로써 싱크 홀의 원인이 된다는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의 경우 일반적으로 30년 내지 40년 주기로 교체하게 되는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입되어 쌓이게 될 경우 케이블과 토사 사이에 매우 큰 마찰력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맨홀을 통해 인출하여 철거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도로를 굴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까지 철거해야 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수밀이 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케이블의 표면 손상부에 가압된 물이 침투할 경우 심각한 전력사고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4-0022965호(발명의 명칭 : 전력 케이블 매설용 견인선 인입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단시간에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수분 침투로 인한 수압으로 전력케이블의 수명단축과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위에 모래 포설 후 다짐작업을 함과 동시에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 및, 상기 S110 단계에서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S110단계를 재실행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을 재접속시킨 후 S110단계를 재실행 한 후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원하는 층으로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포설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구간 정밀시험 단계(S120)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을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는,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S111)와,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12)와,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단계(S113) 및,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팩커의 내부에는 컴프레서를 통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는 링블로워 또는 컴프레서에 의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를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이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될 시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가는 공기에 의해 포설된 모래가 날리는 곳 또는 공기가 새는 소리가 나는 곳을 접속 불량 개소로 검출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구간 정밀시험 단계(S120)는 상기 복수개의 층과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포설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S121)와,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22)와,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를 일괄적으로 밀폐시키는 단계(S123) 및,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은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한 층씩 포설할 시마다 간이 수밀시험을 매번 실시하여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 사이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원하는 층수로 적층시켜 포설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원하는 층수로 포설완료 한 다음에는, 구간 정밀시험을 거쳐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검출하게 된다.
이후, 구간 정밀 시험을 거쳐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실행하여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하여 접속 불량 위치를 있는 관로만을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싱크 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사가 쌓이지 않아 케이블 교체 시 맨홀을 통해 케이블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 후 기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로까지 철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표면 손상부에 가압된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 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 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은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 및, 구간 정밀시험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는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위에 모래 포설 후 다짐작업을 함과 동시에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S11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3은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에 팩커(110)를 설치한다(S111).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 간 포설이 완료된 상태에서 간이 수밀시험을 할 경우에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과 연결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 끝단에 종단 맨홀 팩커(11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 간 포설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간이 수밀시험을 할 경우에는 맨홀과 연결된 일측 끝단에는 종단 맨홀 팩커(110)를 설치하고, 맨홀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끝단에 종단 관로 팩커(110)를 설치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팩커(110)를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에 안전유닛(120)을 설치한다(S112).
예를 들면,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간이 수밀시험을 하기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실수나 시험과정의 인지 미숙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상기 팩커(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팩커(110)로부터 공기를 빼내게 되면 팩커(110)가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차 있는 높은 공기압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로 근처에 위치한 작업자나 각종 장비들이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팩커(110)에 의해 다치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에서는 상기 안전유닛(120)을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수밀 시험을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팩커(110) 내의 공기를 빼내더라도 상기 안전유닛(120)에 의해 팩커(110)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유닛(120)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팩커(110)를 팽창시킴으로써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다(S113).
여기서, 상기 팩커(110)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압축공기가 생성되어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110)에는 정압 계측기(160)가 연결되어 상기 팩커(110)에 소정 압력이상 공기가 투입되어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팩커(110)를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S114).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공기를 투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팩커(110)의 공기 탈기 후 안전유닛(120)과 팩커(210)를 철거하게 된다(S115).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이 접속이 불량하게 되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소정압력으로 주입된 공기가 접속 불량개소를 통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로 외부로 새어 나오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위에 포설된 모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오는 모래가 날리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공기가 새는 소리가 나는 곳을 접속 불량개소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링블로워(140)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가 에어필터(150)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이 0.5kg/cm2를 초과해야 할 경우에는 0.5kg/cm2의 공기압까지는 링블로워(140)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한 후, 그 이상부터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도 정압 계측기(160)가 연결되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에서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를 재실행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재접속시킨 후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를 재실행한 후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포설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원하는 층으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포설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구간 정밀시험 단계(S120)를 통해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한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S12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간 정밀시험 단계(S120)를 통해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과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층과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포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양측에 팩커(110)를 설치한다(S121).
이후, 상기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양측에 안전유닛(120)을 설치한다(S122).
상기 안전유닛(120)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를 일괄적으로 밀폐시킨다(S123).
여기서, 상기 팩커(110)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되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110)에는 정압 계측기(160)가 연결되어 상기 팩커(110) 내에 주입되는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팩커(110)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팩커(110)를 팽창시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를 일괄적으로 밀폐시킨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
예를 들면,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링블로워(140)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가 에어필터(150)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이 0.5kg/cm2를 초과해야 할 경우에는 0.5kg/cm2의 공기압까지는 링블로워(140)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한 후, 그 이상부터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도 정압 계측기(160)가 연결되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압 계측기(160)에 의해 측정된 팩커(110)의 공기압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은 PLC 제어장치(170)에 기록 저장된 후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은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한 층씩 포설할 시마다 간이 수밀시험을 매번 실시하여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 사이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원하는 층수로 적층시켜 포설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원하는 층수로 포설완료 한 다음에는, 구간 정밀시험을 거쳐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검출하게 된다.
이후, 구간 정밀 시험을 거쳐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접속 불량 개소 검출하여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하여 접속 불량 위치를 있는 관로만을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로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싱크 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토사가 쌓이지 않아 케이블 교체 시 맨홀(311)(312)을 통해 케이블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 후 기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까지 철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력케이블의 수명단축과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팩커 (120) : 안전유닛
(130) : 발전기 (140) : 링블로워
(141) : 컴프레서 (150) : 에어필터
(160) : 정압 계측기 (170) : PLC 제어장치

Claims (6)

  1.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위에 모래 포설 후 다짐작업을 함과 동시에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 및
    상기 S110 단계에서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S110단계를 재실행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을 재접속시킨 후 S110단계를 재실행 한 후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원하는 층으로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포설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구간 정밀시험 단계(S120)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10)는,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S111);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12);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단계(S113); 및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14)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 정밀시험 단계(S120)는, 상기 복수개의 층과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포설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S121);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22);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를 일괄적으로 밀폐시키는 단계(S123); 및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4)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팩커의 내부에는 컴프레서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는 링블로워 또는 컴프레서에 의해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를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이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될 시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가는 공기에 의해 포설된 모래가 날리는 곳 또는 공기가 새는 소리가 나는 곳을 접속 불량 개소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6. 삭제
KR1020160094243A 2016-07-25 2016-07-25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KR10174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43A KR101740501B1 (ko) 2016-07-25 2016-07-25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43A KR101740501B1 (ko) 2016-07-25 2016-07-25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777A Division KR101715899B1 (ko)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379A KR20160117379A (ko) 2016-10-10
KR101740501B1 true KR101740501B1 (ko) 2017-05-26

Family

ID=5714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43A KR101740501B1 (ko) 2016-07-25 2016-07-25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5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665B1 (ko) 2006-02-24 2006-09-06 모악개발 주식회사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수밀시험 공법 및 그에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48258B1 (ko) 2007-04-16 2007-08-09 장영환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17B1 (ko) 1993-03-15 1996-07-18 이용석 통신 케이블 매설용 견인선 입입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665B1 (ko) 2006-02-24 2006-09-06 모악개발 주식회사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수밀시험 공법 및 그에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48258B1 (ko) 2007-04-16 2007-08-09 장영환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379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6648B1 (en) Apparatus for sealing joints and leaks
US9738798B2 (en) Method of repairing leakage in pipelines
US2917085A (en) Method of sealing leaks in sub-surface sewer pipe
CN109630803A (zh) 一种管道修复装置、系统及方法
KR101740323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KR101740501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KR101615971B1 (ko) 비 굴착식의 하수관로 보수방법
KR20120051399A (ko) 배관 보수용 구조체, 배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 장치 및 상하수도 비굴착 전체 보수 공법
KR101715899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KR100941654B1 (ko)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기 및 보수공법
KR200465270Y1 (ko) 관 막이용 패커
KR101715885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구간 정밀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간 정밀 수밀 시험방법
US200702587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airing subterranean structures
KR100756437B1 (ko) 경화형 도관 보수공법
KR101675263B1 (ko)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KR100775008B1 (ko) 변형관 삽입공법의 주름제거장치 및 주름제거방법
KR100838759B1 (ko) 콘크리트 복공이 있는 수로터널의 정밀 누수검사 및지하수압 조절장치
KR100783180B1 (ko) 양단 보강구조를 갖는 도관 보수용 보수재
WO2007069832A1 (en) System for sensing short-circuit of strip-lining pipeline
KR20090043892A (ko) 분기관의 유출수 및 유입수 차수공법
KR101713052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용 안전장치
KR200411780Y1 (ko) 가스배관 보링 검지공 보호구
KR101740324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용 팩커
KR101332570B1 (ko) 배관 유닛 및 그 배관 유닛을 이용하여 시공한 배관의 누수 차단 시공방법.
CN220231391U (zh) 试验注浆材料封堵效果的止水结构及止水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