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899B1 -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899B1
KR101715899B1 KR1020150044777A KR20150044777A KR101715899B1 KR 101715899 B1 KR101715899 B1 KR 101715899B1 KR 1020150044777 A KR1020150044777 A KR 1020150044777A KR 20150044777 A KR20150044777 A KR 20150044777A KR 101715899 B1 KR101715899 B1 KR 101715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wave tube
corrugated pipe
connection
resin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735A (ko
Inventor
이천구
Original Assignee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이앤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8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단시간에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수분 침투로 인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싱크 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사가 쌓이지 않아 케이블 교체 시 맨홀을 통해 케이블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 후 기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로까지 철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WATERTIGHT INSTALLING METHOD OF PLASTIC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포설할 시 사용되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수밀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을 지하에 매설하려면 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터파기를 한 후,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합성수지 파형관을 복수의 열과 층으로 매설한 다음, 지하에 설치된 합성수지 파형관에 전선을 포설함으로써 지중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을 설치하는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결소켓에 의해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매설되어 있는 터파기한 장소에 원토의 되메우기 작업을 하고 도로 포장작업을 한다. 이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케이블의 지중설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파형관을 설치할 시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손상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그 주된 이유로는 첫째, 롤에 권취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열을 가한 상태로 펴서 직선화시키는 작업으로 인한 합성수지 파형관의 물성변화, 둘째, 합성수지 파형관의 포설에 대한 시공불량, 셋째, 합성수지 파형관 자재 불량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손상되거나 형태가 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손상 또는 변형이 발생되거나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수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하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의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로 단시간에 유입될 경우 지반을 침하시키게 됨으로써 싱크 홀의 원인이 된다는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의 경우 일반적으로 30년 내지 40년 주기로 교체하게 되는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입되어 쌓이게 될 경우 케이블과 토사 사이에 매우 큰 마찰력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맨홀을 통해 인출하여 철거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도로를 굴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까지 철거해야 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수밀이 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할 경우 심각한 전력사고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4-0022965호(발명의 명칭 : 전력 케이블 매설용 견인선 인입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단시간에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수분 침투로 인한 수압으로 전력케이블의 수명단축과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터파기한 장소에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동시에 포설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와,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소켓 삽입접속 단계(S120)와,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위에 모래 포설 후 다짐작업을 함과 동시에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와, 상기 S130 단계에서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S110 단계부터 S130 단계를 재실행 하여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S120단계부터 S130단계를 재실행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상기 S110 단계부터 S130 단계를 재실행하여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는 상단 포설 단계(S140)와, 상기 S140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원하는 층으로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구간 정밀시험 단계(S150)와, 상기 S150 단계에서 접속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포설된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며,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통해 접속 불량 위치를 색출하여 관로를 재시공한 후 S150 단계를 다시 실행 한 다음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는 원토 되메우기 단계(S160) 및, 상기 되메워진 원토 위에 도로를 포장하는 도로 포장 단계(S170)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을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는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백호우의 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공 포설장치에 탑재시키는 단계(S111)와, 상기 다공 포설장치가 설치된 백호우의 붐을 백호우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터파기한 장소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상기 백호우의 운전석을 회전시키는 단계(S112)와, 상기 다공 포설장치를 터파기한 장소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키는 단계(S113) 및, 상기 터파기한 장소를 따라 백호우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의 포설롤러를 작동시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동시에 풀어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하는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는 상기 백호우의 외부에서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연결소켓 삽입접속 단계(S120)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을 연결소켓과 결합시키는 단계(S121)와,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2 결합유닛에 결합시키는 단계(S122)와,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 측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단계(S123) 및,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이송유닛을 작동시켜 레일과 함께 제1 결합유닛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동시켜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단계(S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는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S131)와,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32)와,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단계(S133) 및,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팩커의 내부에는 컴프레서를 통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는 링블로워 또는 컴프레서에 의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를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이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될 시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가는 공기에 의해 포설된 모래가 날리는 곳을 접속 불량 개소로 검출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구간 정밀시험 단계(S150)는 상기 복수개의 층과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포설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S151)와,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52)와,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를 일괄적으로 밀폐시키는 단계(S153) 및,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S180)은 선단에 제1 카메라가 부착된 검출장치를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투입하는 단계(S181)와,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내부 표면 상태를 확인하면서 상기 검출장치를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S182)와, 상기 검출장치를 이동시켜 상기 검출장치의 한 쌍의 팩커 사이에 연결소켓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투입하여 상기 연결소켓이 위치한 팩커 사이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단계(S183)와, 상기 팩커 사이에 위치한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투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84) 및, 상기 팩커 사이에 위치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공기압이 소정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접속 상태가 불량한 개소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S18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출장치를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S182)에서는 곡률반경 측정유닛과 직경 측정유닛을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곡률반경과 직경을 측정하고,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에 의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산부와 골부의 표면상태를 상시 점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은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한 층씩 포설할 시마다 간이 수밀시험을 매번 실시하여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 사이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원하는 층수로 적층시켜 포설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원하는 층수로 포설완료 한 다음에는, 구간 정밀시험을 거쳐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검출하게 된다.
이후, 구간 정밀 시험을 거쳐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실행하여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하여 접속 불량 위치를 있는 관로만을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싱크 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사가 쌓이지 않아 케이블 교체 시 맨홀을 통해 케이블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 후 기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로까지 철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S15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S15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 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 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 연결소켓 삽입접속 단계(S120),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 상단 포설 단계(S140), 구간 정밀시험 단계(S150), 원토 되메우기 단계(S160) 및, 도로 포장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는 터파기한 장소에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도 3 참조)을 동시에 포설하는 단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S11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3은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백호우(400)의 붐(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공 포설장치(500)에 탑재시킨다(S111).
예를 들면,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에는 롤 형태로 권취된 적어도 2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탑재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에 롤 형태로 권취된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탑재시킨 후,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가 설치된 백호우(400)의 붐(410)을 백호우(400)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상기 백호우(400)의 운전석(420)을 회전시킨다(S112).
여기서, 상기 백호우(400)의 운전석(420)을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백호우(400)의 운전자가 다공 포설장치(500)와 터파기한 장소(600)를 따라 백호우(400)가 진행되는 방향을 동시에 주시하면서 백호우(400)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백호우(400)를 안전하게 운전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백호우(400)의 운전석(420)을 회전시킨 다음에는,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를 터파기한 장소(60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킨다(S113).
즉,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탑재부(510)가 상기 터파기한 장소(6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본체부(52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본체부(520)는 운전자가 아닌 백호우(400)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원격 제어를 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를 따라 백호우(40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포설롤러(530)를 작동시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동시에 풀어 터파기한 장소(600)에 포설하게 된다(S114).
여기서, 상기 포설롤러(530)는 외주면에 기어 형태의 복수개의 돌기들(53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531)가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골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밀어내면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풀어 터파기한 장소(600)에 포설하게 된다.
상기 포설롤러(530) 또한 상기 본체부(520)와 마찬가지로 운전자가 아닌 백호우(400)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원격 제어를 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에서는 다공 포설장치(500)에 의해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동시에 직선 형태로 펼치면서 터파기한 장소(600)에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포설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본체부(520)가 원격제어를 통해 회전됨으로써 백호우(400)의 운전석(420)을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회전시킨 상태로 백호우(400)의 운전자가 다공 포설장치(500)와 터파기한 장소(600)를 따라 백호우(400)가 진행되는 방향을 동시에 주시하면서 백호우(400)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포설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 삽입접속 단계(S120)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터파기한 장소(600)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연결소켓(213)에 접속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S12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연결소켓(213)에 삽입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의 제1 결합유닛(710)을 연결소켓(213)과 결합시킨다(S121).
이후,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1)(212)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의 제2 결합유닛(720)에 결합시킨다(S122).
상기 제2 결합유닛(720)에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끝단부를 결합시킨 다음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의 제1 결합유닛(710) 측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소켓(213)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게 된다(S123).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휘어진 끝단부가 직선 형태로 펴지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의 이송유닛(730)을 작동시켜 레일(740)과 함께 제1 결합유닛(710)을 제2 결합유닛(720)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접속시키게 된다(S124).
상기 연결소켓 삽입접속 단계(S120)에서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를 제1 결합유닛(710)을 연결소켓(213)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 결합유닛(720)을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결합시킨 후 이송유닛(730)을 작동시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을 접속시킬 수 있다.
한편,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운반되는 특성 상 설치를 위하여 직선 형태로 펼치더라도 끝단부가 휘어져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열풍 등을 이용하여 직선형태로 펴는 작업 없이 단순히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이 제2 결합유닛(7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유닛(710) 측을 가압만 하면 상기 연결소켓(213)에 접속될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휘어진 끝단부가 직선 형태로 펴지게 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의 접속 작업을 한층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는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위에 모래 포설 후 다짐작업을 함과 동시에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S13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7은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에 팩커(110)를 설치한다(S131).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 간 포설이 완료된 상태에서 간이 수밀시험을 할 경우에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과 연결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 끝단에 종단 맨홀 팩커(11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 간 포설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간이 수밀시험을 할 경우에는 맨홀과 연결된 일측 끝단에는 종단 맨홀 팩커(110)를 설치하고, 맨홀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끝단에 종단 관로 팩커(110)를 설치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팩커(110)를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에 안전유닛(120)을 설치한다(S132).
예를 들면,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간이 수밀시험을 하기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실수나 시험과정의 인지 미숙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상기 팩커(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팩커(110)로부터 공기를 빼내게 되면 팩커(110)가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차 있는 높은 공기압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로 근처에 위치한 작업자나 각종 장비들이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팩커(110)에 의해 다치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에서는 상기 안전유닛(120)을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수밀 시험을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팩커(110) 내의 공기를 빼내더라도 상기 안전유닛(120)에 의해 팩커(110)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유닛(120)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팩커(110)를 팽창시킴으로써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다(S133).
여기서, 상기 팩커(110)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압축공기가 생성되어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110)에는 정압 계측기(160)가 연결되어 상기 팩커(110)에 소정 압력이상 공기가 투입되어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팩커(110)를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S134).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공기를 투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팩커(110)의 공기 탈기 후 안전유닛(120)과 팩커(210)를 철거하게 된다(S135).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이 접속이 불량하게 되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소정압력으로 주입된 공기가 접속 불량개소를 통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로 외부로 새어 나오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위에 포설된 모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오는 모래가 날리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접속 불량개소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링블로워(140)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가 에어필터(150)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이 0.5kg/cm2를 초과해야 할 경우에는 0.5kg/cm2의 공기압까지는 링블로워(140)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한 후, 그 이상부터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도 정압 계측기(160)가 연결되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단 포설 단계(S140)는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에서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부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를 재실행 하여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연결소켓 삽입접속 단계(S120)부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를 재실행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부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를 재실행 하여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포설한다.
상기 상단 포설 단계(S140)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원하는 층으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포설한 다음에는, 구간 정밀시험 단계(S150)를 통해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한다.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S15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S15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는 S15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구간 정밀시험 단계(S150)를 통해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과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층과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포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양측에 팩커(110)를 설치한다(S151).
이후, 상기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의 양측에 안전유닛(120)을 설치한다(S152).
상기 안전유닛(120)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를 일괄적으로 밀폐시킨다(S153).
여기서, 상기 팩커(110)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되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110)에는 정압 계측기(160)가 연결되어 상기 팩커(110) 내에 주입되는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팩커(110)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팩커(110)를 팽창시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를 일괄적으로 밀폐시킨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4).
예를 들면,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링블로워(140)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가 에어필터(150)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이 0.5kg/cm2를 초과해야 할 경우에는 0.5kg/cm2의 공기압까지는 링블로워(140)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한 후, 그 이상부터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도 정압 계측기(160)가 연결되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압 계측기(160)에 의해 측정된 팩커(110)의 공기압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은 PLC 제어장치(170)에 기록 저장된 후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구간 정밀시험 단계(S150)를 통해 복수개의 층과 열을 형성하도록 포설된 전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포설된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며,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공기압이 떨어지는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S180)을 실행하여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한 후 관로를 재시공 한 다음, 다시 구간 정밀시험 단계를 실행한 후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한다(S160).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S180)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단에 제1 카메라(810)가 부착된 검출장치(800)를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투입한다(S181).
상기 제1 카메라(810)를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내부 표면 상태를 확인하면서 상기 검출장치(800)를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따라 이동시킨다(S182).
여기서, 상기 검출장치(800)는 맨홀(311)(312) 외부에 배치된 한 쌍의 윈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견인되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카메라(810)는 골부와 산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특성상, 사각 지역 없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전방부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5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800)를 이동시켜 상기 검출장치(800)의 한 쌍의 팩커(110) 사이에 연결소켓(213)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팩커(110)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투입하여 상기 연결소켓(213)이 위치한 팩커(110) 사이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다(S183).
즉, 발전기(130)에 의해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컴프레서(141)에 의해 압축공기가 생성되어 에어필터(150)를 거친 후 제1 공기주입라인(850)과 제3 공기주입라인(880)을 순차적으로 통해 한 쌍의 팩커(110)에 소정 압력의 공기가 주입되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다. 이때, 제3 밸브(836)는 원격 제어부(84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어 개방되며, 제1, 2 밸브(833)(832)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팩커(110) 사이에 연결소켓(213)이 위치하는지 여부는 상기 한 쌍의 팩커(110) 사이에 위치한 제2 카메라(82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팩커(110)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 압력은 정압 계측기(835)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압 계측기(835)에 의해 측정된 공기압은 제어부(830)의 수발신기(831)를 통해 원격 제어부(830)의 수발신기(841)로 전달된 후 저장부(842)에 저장된 다음, 디스플레이부(843)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출장치(800)를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S182)에서는 후술되는 곡률반경 측정유닛(890)과 직경 측정유닛(891)을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곡률반경과 직경을 측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카메라(810)와 상기 제2 카메라(820)를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산부와 골부의 표면 상태도 상시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213)이 위치한 팩커(110) 사이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 사이에 위치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4).
즉, 상기 제1 공기주입라인(850)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공기주입라인(86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밸브(833)를 원격 제어부(840)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여 개방시키고 제2, 3 밸브(832)(836)는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제2 공기주입라인(860)을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에 주입되는 공기 압력은 정압 계측기(834)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압 계측기(835)에 의해 측정된 공기압은 제어부(830)의 수발신기(831)를 통해 원격 제어부(830)의 수발신기(841)로 전달된 후 저장부(842)에 저장된 다음, 디스플레이부(843)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팩커(110) 사이에 위치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공기압이 소정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검출장치(800)를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윈치의 휠이 얼마나 회전되었는지를 파악하여 접속 상태가 불량한 개소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S185).
또한, 상기 팩커(110) 사이에 위치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제2 밸브(832)를 원격 제어부(840)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여 개방시키고 제1, 3 밸브(833)(836)은 폐쇄시켜 제1 공기배출라인(870)을 통해 팩커(110) 외부로 팩커(110) 내부의 공기를 일부 배출시킨다(S186).
이후, S182 단계에서부터 S186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면서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장치(800)에는 곡률반경 측정유닛(890)과 직경 측정유닛(891)이 더 포함되어 상기 검출장치(800)를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S182)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S180)을 실행할 시, 상기 곡률반경 측정유닛(890)과 상기 직경 측정유닛(891)을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전체에 걸쳐 곡률반경과 직경까지 측정할 수 있는 관로 정밀 탐사 작업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토 되메우기 단계(S160)를 실행한 다음에는, 상기 되메워진 원토 위에 도로를 포장하게 된다(S1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은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한 층씩 포설할 시마다 간이 수밀시험을 매번 실시하여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 사이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원하는 층수로 적층시켜 포설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원하는 층수로 포설완료 한 다음에는, 구간 정밀시험을 거쳐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검출하게 된다.
이후, 구간 정밀 시험을 거쳐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실행하여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하여 접속 불량 위치를 있는 관로만을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포설 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로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싱크 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토사가 쌓이지 않아 케이블 교체 시 맨홀(311)(312)을 통해 케이블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 후 기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까지 철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력케이블의 수명단축과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팩커 (120) : 안전유닛
(130) : 발전기 (140) : 링블로워
(141) : 컴프레서 (150) : 에어필터
(160) : 정압 계측기 (170) : PLC 제어장치

Claims (11)

  1.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백호우의 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공 포설장치에 탑재시키는 단계(S111);
    상기 다공 포설장치가 설치된 백호우의 붐을 백호우의 진행방향으로 터파기한 장소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상기 백호우의 운전석을 회전시키는 단계(S112);
    상기 다공 포설장치를 터파기한 장소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키는 단계(S113);
    상기 터파기한 장소를 따라 백호우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의 포설롤러를 작동시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동시에 풀어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하는 단계(S114);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소켓 삽입접속 단계(S120);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위에 모래 포설 후 다짐작업을 함과 동시에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
    상기 S130 단계에서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S110 단계부터 S130 단계를 재실행 하여 포설된 파형관로의 상단에 새로운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S120단계부터 S130단계를 재실행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상기 S110 단계부터 S130 단계를 재실행하여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는 상단 포설 단계(S140);
    상기 S140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원하는 층으로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구간 정밀시험 단계(S150);
    상기 S150 단계에서 접속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포설된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며,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을 통해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하여 관로를 재시공한 후 S150 단계를 다시 실행 한 다음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는 원토 되메우기 단계(S160); 및
    상기 되메워진 원토 위에 도로를 포장하는 도로 포장 단계(S170)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는,
    상기 백호우의 외부에서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 삽입접속 단계(S120)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을 연결소켓과 결합시키는 단계(S121);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2 결합유닛에 결합시키는 단계(S122);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 측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단계(S123); 및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이송유닛을 작동시켜 레일과 함께 제1 결합유닛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동시켜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단계(S124)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S130)는,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S131);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32);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단계(S133); 및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34)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팩커의 내부에는 컴프레서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는 링블로워 또는 컴프레서에 의해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수밀시험 단계를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이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될 시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가는 공기에 의해 포설된 모래가 날리는 곳을 접속 불량 개소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정밀시험 단계(S150)는,
    상기 복수개의 층과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포설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S151);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52);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를 일괄적으로 밀폐시키는 단계(S153); 및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기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4)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불량 개소 검출시험(S180)은,
    선단에 제1 카메라가 부착된 검출장치를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투입하는 단계(S181);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내부 표면 상태를 확인하면서 상기 검출장치를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S182);
    상기 검출장치를 이동시켜 상기 검출장치의 한 쌍의 팩커 사이에 연결소켓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투입하여 상기 연결소켓이 위치한 팩커 사이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단계(S183);
    상기 팩커 사이에 위치한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투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84); 및
    상기 팩커 사이에 위치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공기압이 소정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접속 상태가 불량한 개소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S185)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를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S182)에서는,
    곡률반경 측정유닛과 직경 측정유닛을 통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곡률반경과 직경을 측정하고,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에 의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산부와 골부의 표면상태를 상시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KR1020150044777A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KR10171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77A KR101715899B1 (ko)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77A KR101715899B1 (ko)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34A Division KR101675263B1 (ko) 2016-07-25 2016-07-25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KR1020160094243A Division KR101740501B1 (ko) 2016-07-25 2016-07-25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35A KR20160117735A (ko) 2016-10-11
KR101715899B1 true KR101715899B1 (ko) 2017-03-14

Family

ID=5716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777A KR101715899B1 (ko)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8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665B1 (ko) 2006-02-24 2006-09-06 모악개발 주식회사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수밀시험 공법 및 그에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48258B1 (ko) 2007-04-16 2007-08-09 장영환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KR100792968B1 (ko) 2006-10-18 2008-01-08 김동응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17B1 (ko) 1993-03-15 1996-07-18 이용석 통신 케이블 매설용 견인선 입입방법 및 그 장치
KR100971781B1 (ko) * 2007-11-12 2010-07-22 민병이 파형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665B1 (ko) 2006-02-24 2006-09-06 모악개발 주식회사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수밀시험 공법 및 그에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92968B1 (ko) 2006-10-18 2008-01-08 김동응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장치
KR100748258B1 (ko) 2007-04-16 2007-08-09 장영환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35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667B1 (ko) 강관 그라우팅 장치와 이를 이용한 터널 선진 보강 및 차수 그라우팅공법
CN104696664A (zh) 地下管道渗漏涌沙封堵高聚物复合注浆方法
US9738798B2 (en) Method of repairing leakage in pipelines
WO2013180170A1 (ja) 更生管引込み方法及び更生された管路
US2917085A (en) Method of sealing leaks in sub-surface sewer pipe
KR101474298B1 (ko)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시스템 및 공법
KR20180034725A (ko) 중,대구경 관로 주변 그라우트 겸 내면 보수 및 보강공법
KR101715899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KR101265736B1 (ko) 배관 보수용 구조체, 배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 장치 및 상하수도 비굴착 전체 보수 공법
KR101740323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KR101675263B1 (ko)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KR101740501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CN110778333A (zh) 一种隧道渗漏修复方法
JP2008196151A (ja) 下水取付管の閉塞方法および装置
US200702587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airing subterranean structures
CN207327592U (zh) 一种用于管道修复的气压翻转设备
KR100756437B1 (ko) 경화형 도관 보수공법
KR101715885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구간 정밀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간 정밀 수밀 시험방법
KR100783180B1 (ko) 양단 보강구조를 갖는 도관 보수용 보수재
KR100775008B1 (ko) 변형관 삽입공법의 주름제거장치 및 주름제거방법
CN112594556A (zh) 一种软弱土层管道渗漏处治方法
KR100838759B1 (ko) 콘크리트 복공이 있는 수로터널의 정밀 누수검사 및지하수압 조절장치
WO2007069832A1 (en) System for sensing short-circuit of strip-lining pipeline
KR102386986B1 (ko)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 타입 관로 부분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의 부분보수공법
CN215758329U (zh) 一种中央分隔带管道铺设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