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263B1 -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263B1
KR101675263B1 KR1020160094234A KR20160094234A KR101675263B1 KR 101675263 B1 KR101675263 B1 KR 101675263B1 KR 1020160094234 A KR1020160094234 A KR 1020160094234A KR 20160094234 A KR20160094234 A KR 20160094234A KR 101675263 B1 KR101675263 B1 KR 10167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backhoe
connection
wave tube
resin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378A (ko
Inventor
이천구
Original Assignee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이앤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2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백호우의 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공 포설장치에 탑재시키는 단계; (B) 상기 다공 포설장치가 설치된 백호우의 붐을 백호우의 진행방향으로 터파기한 장소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상기 백호우의 운전석을 회전시키는 단계; (C) 상기 다공 포설장치를 터파기한 장소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D) 상기 터파기한 장소를 따라 백호우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의 포설롤러를 작동시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동시에 풀어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하는 단계; (E)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소켓 접속 단계; (F) 상기 (A) 내지 (E) 단계를 반복적으로 재실행하여 포설된 파형관로의 상단에 새로운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상기 (A) 내지 (E) 단계를 재실행하여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는 상단 포설 단계; (G)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포설된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며,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하여 관로를 재시공한 후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는 원토 되메우기 단계; 및 (H) 상기 되메워진 원토 위에 도로를 포장하는 도로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POROUSLY PULLING METHOD USING A UNWRA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포설할 시 사용되는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을 지하에 매설하려면 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터파기를 한 후,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합성수지 파형관을 복수의 열과 층으로 매설한 다음, 지하에 설치된 합성수지 파형관에 전선을 포설함으로써 지중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을 설치하는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결소켓에 의해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매설되어 있는 터파기한 장소에 원토의 되메우기 작업을 하고 도로 포장작업을 한다. 이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케이블의 지중설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파형관을 설치할 시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손상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그 주된 이유로는 첫째, 롤에 권취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열을 가한 상태로 펴서 직선화시키는 작업으로 인한 합성수지 파형관의 물성변화, 둘째, 합성수지 파형관의 포설에 대한 시공불량, 셋째, 합성수지 파형관 자재 불량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손상되거나 형태가 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손상 또는 변형이 발생되거나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수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하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의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로 단시간에 유입될 경우 지반을 침하시키게 됨으로써 싱크 홀의 원인이 된다는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전력 케이블이나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의 경우 일반적으로 30년 내지 40년 주기로 교체하게 되는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입되어 쌓이게 될 경우 케이블과 토사 사이에 매우 큰 마찰력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맨홀을 통해 인출하여 철거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도로를 굴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까지 철거해야 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수밀이 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할 경우 심각한 전력사고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4-0022965호(발명의 명칭 : 전력 케이블 매설용 견인선 인입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단시간에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수분 침투로 인한 수압으로 전력케이블의 수명단축과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A)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백호우의 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공 포설장치에 탑재시키는 단계; (B) 상기 다공 포설장치가 설치된 백호우의 붐을 백호우의 진행방향으로 터파기한 장소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상기 백호우의 운전석을 회전시키는 단계; (C) 상기 다공 포설장치를 터파기한 장소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D) 상기 터파기한 장소를 따라 백호우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의 포설롤러를 작동시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동시에 풀어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하는 단계; (E)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소켓 접속 단계; (F) 상기 (A) 내지 (E) 단계를 반복적으로 재실행하여 포설된 파형관로의 상단에 새로운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상기 (A) 내지 (E) 단계를 재실행하여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는 상단 포설 단계; (G)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포설된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며,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하여 관로를 재시공한 후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는 원토 되메우기 단계; 및 (H) 상기 되메워진 원토 위에 도로를 포장하는 도로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 포설장치는, 상기 백호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 접속 단계(E)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을 연결소켓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2 결합유닛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 측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단계; 및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이송유닛을 작동시켜 레일과 함께 제1 결합유닛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동시켜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은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한 층씩 포설할 시마다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 사이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원하는 층수로 적층시켜 포설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로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싱크 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토사가 쌓이지 않아 케이블 교체 시 맨홀을 통해 케이블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 후 기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로까지 철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 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 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 연결소켓 접속 단계(S120), 상단 포설 단계(S140), 원토 되메우기 단계(S160) 및, 도로 포장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는 터파기한 장소에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도 3 참조)을 동시에 포설하는 단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S11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3은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백호우(400)의 붐(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공 포설장치(500)에 탑재시킨다(S111).
예를 들면,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에는 롤 형태로 권취된 적어도 2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탑재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에 롤 형태로 권취된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탑재시킨 후,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가 설치된 백호우(400)의 붐(410)을 백호우(400)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상기 백호우(400)의 운전석(420)을 회전시킨다(S112).
여기서, 상기 백호우(400)의 운전석(420)을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백호우(400)의 운전자가 다공 포설장치(500)와 터파기한 장소(600)를 따라 백호우(400)가 진행되는 방향을 동시에 주시하면서 백호우(400)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백호우(400)를 안전하게 운전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백호우(400)의 운전석(420)을 회전시킨 다음에는,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를 터파기한 장소(60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킨다(S113).
즉,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탑재부(510)가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본체부(52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본체부(520)는 백호우(400) 운전자 또는 백호우(400)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원격 제어를 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를 따라 백호우(40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포설롤러(530)를 작동시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동시에 풀어 터파기한 장소(600)에 포설하게 된다(S114).
여기서, 상기 포설롤러(530)는 외주면에 기어 형태의 복수개의 돌기들(53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531)가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골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밀어내면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풀어 터파기한 장소(600)에 포설하게 된다.
상기 포설롤러(530) 또한 상기 본체부(520)와 마찬가지로 운전자가 아닌 백호우(4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원격 제어를 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에서는 다공 포설장치(500)에 의해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동시에 직선 형태로 펼치면서 터파기한 장소(600)에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포설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다공 포설장치(500)의 본체부(520)가 원격제어를 통해 회전됨으로써 백호우(400)의 운전석(420)을 상기 터파기한 장소(600)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회전시킨 상태로 백호우(400)의 운전자가 다공 포설장치(500)와 터파기한 장소(600)를 따라 백호우(400)가 진행되는 방향을 동시에 주시하면서 백호우(400)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포설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 접속 단계(S120)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터파기한 장소(600)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연결소켓(213)에 접속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S120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연결소켓(213)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의 제1 결합유닛(710)을 연결소켓(213)과 결합시킨다(S121).
이후,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1)(212)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의 제2 결합유닛(720)에 결합시킨다(S122).
상기 제2 결합유닛(720)에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끝단부를 결합시킨 다음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의 제1 결합유닛(710) 측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소켓(213)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게 된다(S123).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휘어진 끝단부가 직선 형태로 펴지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의 이송유닛(730)을 작동시켜 레일(740)과 함께 제1 결합유닛(710)을 제2 결합유닛(720)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접속시키게 된다(S124).
상기 연결소켓 접속 단계(S120)에서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700)를 제1 결합유닛(710)을 연결소켓(213)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 결합유닛(720)을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결합시킨 후 이송유닛(730)을 작동시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을 접속시킬 수 있다.
한편,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운반되는 특성 상 설치를 위하여 직선 형태로 펼치더라도 끝단부가 휘어져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을 열풍 등을 이용하여 직선형태로 펴는 작업 없이 단순히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이 제2 결합유닛(7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유닛(710) 측을 가압만 하면 상기 연결소켓(213)에 접속될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휘어진 끝단부가 직선 형태로 펴지게 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의 접속 작업을 한층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단계(S110), 및 연결소켓 접속 단계(S120)가 이루어지면, 상단 포설 단계(S140)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원하는 층으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포설하게 된다. 이후 복수개의 층과 열을 형성하도록 포설된 전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포설된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며,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S180)한 후 관로를 재시공한 다음,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게 된다(S160).
한편, 상기 원토 되메우기 단계(S160)를 실행한 다음에는, 상기 되메워진 원토 위에 도로를 포장하게 된다(S1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은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한 층씩 포설할 시마다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 사이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원하는 층수로 적층시켜 포설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원하는 층수로 포설완료 한 다음에는,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포설 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로 토립자가 포함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싱크 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토사가 쌓이지 않아 케이블 교체 시 맨홀(311)(312)을 통해 케이블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 후 기 설치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까지 철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력케이블의 수명단축과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1)(212) : 합성수지 파형관
(213) : 연결소켓
(400) : 백호우
(410) : 붐
(420) : 운전석
(500) : 다공 포설장치
(510) : 탑재부
(520) : 본체부
(530) : 포설롤러
(531) : 돌기
(600) : 터파기한 장소
(700) :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710) : 제1 결합유닛
(720) : 제2 결합유닛
(730) : 이송유닛
(740) : 레일

Claims (3)

  1. (A)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백호우의 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공 포설장치에 탑재시키는 단계;
    (B) 상기 다공 포설장치가 설치된 백호우의 붐을 백호우의 진행방향으로 터파기한 장소와 대각선을 이루도록 상기 백호우의 운전석을 회전시키는 단계;
    (C) 상기 다공 포설장치를 터파기한 장소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D) 상기 터파기한 장소를 따라 백호우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의 포설롤러를 작동시켜 상기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동시에 풀어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하는 단계;
    (E)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소켓 접속 단계;
    (F) 상기 (A) 내지 (E) 단계를 반복적으로 재실행하여 포설된 파형관로의 상단에 새로운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며,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개소를 검출하여 접속 상태를 재확인한 다음 상기 (A) 내지 (E) 단계를 재실행하여 상단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포설하는 상단 포설 단계;
    (G)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전체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포설된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며, 접속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접속 불량 위치를 검출하여 관로를 재시공한 후 터파기 장소에 원토를 되메운 후 다짐작업을 하는 원토 되메우기 단계; 및
    (H) 상기 되메워진 원토 위에 도로를 포장하는 도로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포설장치는,
    상기 백호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 접속 단계(E)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을 연결소켓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2 결합유닛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 측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단계; 및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이송유닛을 작동시켜 레일과 함께 제1 결합유닛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동시켜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KR1020160094234A 2016-07-25 2016-07-25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KR10167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34A KR101675263B1 (ko) 2016-07-25 2016-07-25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34A KR101675263B1 (ko) 2016-07-25 2016-07-25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777A Division KR101715899B1 (ko)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378A KR20160117378A (ko) 2016-10-10
KR101675263B1 true KR101675263B1 (ko) 2016-11-11

Family

ID=5714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34A KR101675263B1 (ko) 2016-07-25 2016-07-25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155B1 (ko) 2020-11-25 2021-02-09 (주)엠알솔루텍 지중매립 합성수지 파형관 단부 선형화 처리 방법 및 지중매립 합성수지 파형관 전용 단부 선형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58B1 (ko) 2007-04-16 2007-08-09 장영환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17B1 (ko) 1993-03-15 1996-07-18 이용석 통신 케이블 매설용 견인선 입입방법 및 그 장치
KR101137778B1 (ko) * 2008-04-21 2012-04-24 이명규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KR101436885B1 (ko) * 2012-08-10 2014-09-02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차량형 파형관 포설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58B1 (ko) 2007-04-16 2007-08-09 장영환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155B1 (ko) 2020-11-25 2021-02-09 (주)엠알솔루텍 지중매립 합성수지 파형관 단부 선형화 처리 방법 및 지중매립 합성수지 파형관 전용 단부 선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378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258B1 (ko) 트로이관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지중선 관로 시공방법
KR100732864B1 (ko) 비 굴착식 관로 보수용 메쉬철망 설치공법
KR101675263B1 (ko)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CN109024675B (zh) 一种地下管廊群管非开挖定向穿越的施工方法
JP2007255436A (ja) 地下埋設多孔管路及びその布設方法
KR101137778B1 (ko)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CN115573771A (zh) 基于超长距离水平定向钻孔铺设排水管的隧道排水方法
KR101186482B1 (ko) 지하 매설관 비굴착 교체방법
KR101715899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KR100756437B1 (ko) 경화형 도관 보수공법
JP6542825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101675264B1 (ko)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Koerner et al. Geosynthetic use in trenchless pipe remediation and rehabilitation
JP3505399B2 (ja) 地中埋設容器の管路導入壁組立部材
KR100783180B1 (ko) 양단 보강구조를 갖는 도관 보수용 보수재
KR100980601B1 (ko) 방수용 지중(地中)송전 전력관로 이음장치
CN104179513A (zh) 一种寒区隧道洞外保温出水口的施工方法
KR101740501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CN215758329U (zh) 一种中央分隔带管道铺设结构
JP7380282B2 (ja) 地中埋設管路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KR100915950B1 (ko) 지중선 보호관의 이음방법
CN213773478U (zh) 一种四通电缆竖井
KR101068626B1 (ko) 복합 굴진장치를 이용한 관로와 터널 비굴착 매설공법
CN109140046B (zh) 一种顶管管幕端头封堵方法
KR101715885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구간 정밀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간 정밀 수밀 시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