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323B1 -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323B1
KR101740323B1 KR1020150044782A KR20150044782A KR101740323B1 KR 101740323 B1 KR101740323 B1 KR 101740323B1 KR 1020150044782 A KR1020150044782 A KR 1020150044782A KR 20150044782 A KR20150044782 A KR 20150044782A KR 101740323 B1 KR101740323 B1 KR 10174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acker
wave tube
air
corrug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737A (ko
Inventor
이천구
Original Assignee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이앤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32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4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일정구간까지 연장시켜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형성할 시 마다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 사이에 수밀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와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와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된 주변의 싱크 홀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추후 케이블 교체 비용까지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전력사고 또한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수밀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SIMPLICITY WATER TIGHTENING TEST APPARATUS OF PLASTIC CORRUGATED PIPE AND SIMPLICITY WATER TIGHTENING TES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매설할 시 사용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와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과 같은 케이블들은 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관로를 형성한 후, 상기 관로에 합성수지 파형관을 복수의 열과 층으로 설치한 다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삽입함으로써 지중에 매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이 매설되는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결소켓에 의해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매설되어 있는 관로에 원토를 덮고 도로 포장작업을 한 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케이블의 매설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합성수지 파형관 설치 완료 후 원토를 덮을 시 합성수지 파형관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합성수지 파형관에 손상이 발생되어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 사이 또는 손상된 부분을 통해 지하수가 관로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하수는 합성수지 파형관이 매설되어 있는 주변의 토사를 포함한 상태로 단시간에 합성수지 파형관 내부로 유입되어 지반을 침하시키게 됨으로써 싱크 홀의 원인이 된다는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의 경우 일반적으로 30년 주기로 교체하게 되는데, 합성수지 파형관 내부로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입되어 쌓이게 될 경우 케이블과 토사 사이에 매우 큰 마찰력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맨홀을 통해 인출하여 철거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도로를 굴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까지 철거해야 함으로써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수밀이 되지 않아 합성수지 파형관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면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하여 절연이 되지 않음으로써 케이블이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산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수밀 시험장치와 수밀 시험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하수관과는 달리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매설할 시 사용되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에는 수밀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8608호(발명의 명칭 :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수밀시험 장치 및 그 공법)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일정구간까지 연장시켜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형성할 시 마다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 사이에 수밀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와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삽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팩커와,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상기 팩커가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유닛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삽입되는 팩커와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유닛 및, 상기 팩커 내부의 공기 압력과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정압 계측기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팩커는 중공 형상의 관통 축과, 상기 관통 축에 고정 설치되며 팩커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 주입구가 마련된 고정측판과, 상기 관통 축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측판에 고정되는 수축고무 및, 상기 관통 축에 슬라이딩 체결되고 상기 수축고무에 고정되어 상기 수축고무가 팽창되면 상기 관통 축을 따라 고정측판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는 상기 관통 축을 통해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판에 마련된 제2 공기 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안전유닛은 관통 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체결되며 복수개의 연결 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관통 홀과 동심원을 이루는 관통 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면 하우징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회전되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산부의 내주면에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면 하우징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연결 홈 내부로 삽입되도록 회전되는 지지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바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하우징 외부로 이동되면 자동으로 하우징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공기 주입유닛은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압축 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팩커와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급하는 압축공기 생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주입유닛은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으로부터 상기 팩커와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필터링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은 링블로워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은 컴프레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기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이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가는 공기에 의해 포설된 모래가 날리는 곳을 접속 불량 개소로 검출하는 접속 불량 개소 검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와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은 소정 길이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형성할 시 마다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의 접속 부위에 대한 수밀시험을 진행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수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수밀 불량 개소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또 다른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형성하기 전에 시공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접속 불량개소를 색출하여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파형관용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밀 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합성수지 파형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발생되는 싱크 홀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추후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까지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수밀 시험을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팩커 내의 공기를 빼내더라도 상기 제1, 2 안전유닛에 의해 제1, 2 팩커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수밀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팩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안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 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 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2는 팩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안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는 팩커(110), 안전유닛(120), 공기 주입유닛(130) 및, 정압 계측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팩커(110)는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양측에 삽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211)을 복수개의 연결소켓(212)을 이용하여 연장시켜 형성되어 터파기한 장소에 안착되며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안착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는 모래가 포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110)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에 삽입된 후 팽창되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팩커(110)는 관통 축(111), 고정측판(112), 수축고무(113) 및, 이동측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 축(111)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 축(111)의 끝단부에는 나사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측판(112)은 상기 관통 축(111)의 끝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11a)에 나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측판(112)에는 상기 팩커(11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수축고무(113)를 팽창시킬 수 있는 제1 공기 주입구(112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축고무(113)는 상기 관통 축(111)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측판(112)에 일측 끝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축고무(113)와 고정측판(112) 사이에는 압축 링(115)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이동측판(114)은 상기 관통 축(111)에 슬라이딩 체결되고 상기 수축고무(113)에 고정되어 상기 수축고무(113)가 팽창되면 상기 관통 축(111)을 따라 고정측판(112)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수축고무(113)와 이동측판(114) 사이에는 압축 링(116)이 더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측판(114)과 관통 축(111) 사이에는 수밀 링(117)이 더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팩커(110)는 제2 공기 주입구(1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공기 주입구(112b)는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에 삽입되어 팽창되는 팩커(110) 중 어느 한 측에 삽입되는 팩커(110)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 주입구(112b)는 상기 고정측판(112)에 마련되어 상기 관통 축(111)을 통해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유닛(120)은 상기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110) 내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상기 팩커(110)가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간이 수밀시험을 하기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실수나 시험과정의 인지 미숙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상기 팩커(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팩커(110)로부터 공기를 빼내게 되면 팩커(110)가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차 있는 높은 공기압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로 근처에 위치한 작업자나 각종 장비들이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팩커(110)에 의해 다치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에서는 상기 안전유닛(120)을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간이 수밀시험을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팩커(110) 내의 공기를 빼내더라도 상기 안전유닛(120)에 의해 팩커(110)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안전유닛(120)은 하우징(121), 슬라이딩 블록(122) 및, 지지 바(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1)은 중앙부에 관통 홀(121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은 상기 하우징(121)에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에는 상기 하우징(121)의 관통 홀(121a)과 동심원을 이루는 관통 홀(122a)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에는 복수개의 연결 홈(122b)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123)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에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 홈(12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바(123)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이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자동으로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탄성부재(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이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지지 바(123)를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124)로는 토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을 상기 하우징(121)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돌출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 바(123)는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지게 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산부의 내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이 하우징(121)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지지 바(123)는 상기 하우징(121)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연결 홈(122b)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안전유닛(120)은 상기 슬라이딩 블록(122)이 하우징(121)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지지 바(123)가 펼쳐진 상태로 합성수지 파형관(210)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안전유닛(120)을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안전유닛(120)의 지지 바(123)가 합성수지 파형관로(120)의 골부에 의해 가압될 경우에는 하우징(121)의 중심, 즉 연결 홈(122b) 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지지 바(123)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골부를 지나 산부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원상 복원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공기 주입유닛(130)은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삽입되는 팩커(110)와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일측에 삽입되는 팩커(110)에는 제1 공기 주입유닛(130a)에 의해 공기가 주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타측에 삽입되는 팩커(110)와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는 제2 공기 주입유닛(130b)에 의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공기 주입유닛(130a)은 발전기(131)와 압축공기 생성수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131)는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132)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132)은 상기 발전기(1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압축 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일측에 삽입되는 팩커(11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132)으로는 컴프레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공기 주입유닛(130b)은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132)으로부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타측에 삽입되는 팩커(110)와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필터링하는 에어필터(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공기 주입유닛(130b)에서는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132)으로 컴프레서(132a)와 링블로워(132b)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공기 주입유닛(130b)의 경우 팩커(110)에는 컴프레서(132a)를 통해 압축 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에는 링블로워(132b)를 통해 압축 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이 0.5kg/cm2를 초과해야 할 경우에는 0.5kg/cm2의 공기압까지는 링블로워(132b)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한 후, 그 이상부터는 컴프레서(132a)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정압 계측기(140)는 상기 팩커(110) 내부의 공기 압력과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간이 수밀시험을 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시험장치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간이 수밀시험을 하여 상기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에 팩커(110)를 설치한다(S110).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 간 포설이 완료된 상태에서 간이 수밀시험을 할 경우에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과 연결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 끝단에 종단 맨홀 팩커(11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서로 이웃하는 맨홀(311)(312) 간 포설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간이 수밀시험을 할 경우에는 맨홀과 연결된 일측 끝단에는 종단 맨홀 팩커(110)를 설치하고, 맨홀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끝단에 종단 관로 팩커(110)를 설치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팩커(110)를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양측에 안전유닛(120)을 설치한다(S120).
여기서, 상기 안전유닛(120)은 슬라이딩 블록(122)이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복수개의 지지 바(123)가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안전유닛(120)을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안전유닛(120)의 지지 바(123)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골부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골부에 의해 밀려 연결 홈(122b) 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안전유닛(120)의 지지 바(123)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골부를 지나 산부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재(124)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안전유닛(120)을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원하는 위치의 산부까지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안전장치(120)는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수밀 시험을 하기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실수나 시험과정의 인지 미숙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상기 팩커(110)로부터 공기를 빼내더라도 상기 팩커(110)가 매우 빠른 속도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유닛(120)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팩커(110)를 팽창시킴으로써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다(S13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전기(131)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컴프레서(132a)가 작동되어 압축공기가 생성되고, 상기 압축공기는 고정측판(112)에 형성된 제1 공기 주입구(112a)를 통해 상기 팩커(110)의 수축고무(113) 내부로 주입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팩커(110)의 수축고무(113) 내부로 직접 주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필터(133)를 통해 필터링된 후 상기 팩커(110)의 수축고무(113) 내부로 주입될 수도 있다.
상기 수축고무(113)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수축고무(113)가 팽창하게 되고, 상기 수축고무(113)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관통 축(111)을 따라 이동측판(114)이 고정측판(112)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수축고무(113)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팩커(110)에는 정압 계측기(140)가 연결되어 상기 팩커(110) 내에 주입되는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팩커(110)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팩커(110)를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밀폐시킨 다음에는, 상기 팩커(110)에 의해 밀폐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213)과 합성수지 파형관(211)(212)의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S140).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공기를 투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팩커(110)의 공기 탈기 후 안전유닛(120)과 팩커(210)를 철거하게 된다(S151).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1)(212)과 연결소켓(213)이 접속이 불량하게 되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소정압력으로 주입된 공기가 접속 불량개소를 통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로 외부로 새어 나오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위에 포설된 모래가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오는 모래가 날리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접속 불량개소를 검출할 수 있다(S152).
예를 들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에는 발전기(1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압축공기 생성수단(132)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가 에어필터(150)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이 0.5kg/cm2를 초과해야 할 경우에는 0.5kg/cm2의 공기압까지는 링블로워(132b)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한 후, 그 이상부터는 컴프레서(131a)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도 정압 계측기(140)가 연결되어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내의 공기압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와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은 소정 길이의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형성할 시 마다 합성수지 파형관(212)(212)과 연결소켓(213)의 접속 부위에 대한 수밀시험을 진행하여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수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수밀 불량 개소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또 다른 합성수지 파형관로(210)를 형성하기 전에 시공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접속 불량개소를 색출하여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가 매설되어 있는 주변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발생되는 싱크 홀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추후 케이블의 교체시간과 비용까지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의 절단면에 물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되는 심각한 전력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에 수밀 시험을 위한 공기압이 차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팩커 내의 공기를 빼내더라도 상기 제1, 2 안전유닛(121)(122)에 의해 제1, 2 팩커(111)(112)가 합성수지 파형관로(210) 외부로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합성수지 파형관로(210)의 수밀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팩커 (120) : 안전유닛
(130) : 공기 주입유닛 (140) : 정압 계측기

Claims (11)

  1.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양측에 삽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팩커;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상기 팩커가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유닛;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삽입되는 팩커와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유닛; 및
    상기 팩커 내부의 공기 압력과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정압 계측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유닛은,
    관통 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체결되며 복수개의 연결 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관통 홀과 동심원을 이루는 관통 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면 하우징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회전되어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산부의 내주면에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면 하우징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연결 홈 내부로 삽입되도록 회전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팩커는,
    중공 형상의 관통 축;
    상기 관통 축에 고정 설치되며 팩커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 주입구가 마련된 고정측판;
    상기 관통 축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측판에 고정되는 수축고무; 및
    상기 관통 축에 슬라이딩 체결되고 상기 수축고무에 고정되어 상기 수축고무가 팽창되면 상기 관통 축을 따라 고정측판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측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팩커는,
    상기 관통 축을 통해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판에 마련된 제2 공기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하우징 외부로 이동되면 자동으로 하우징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유닛은,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압축 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팩커와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급하는 압축공기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유닛은,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으로부터 상기 팩커와 상기 팩커에 의해 밀폐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부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필터링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은 링블로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생성수단은 컴프레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10. 터파기한 장소에 포설된 합성수지 파형관로 양측에 팩커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팩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팩커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를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험 구간의 합성수지 파형관로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기간 동안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양측에 안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안전유닛은 슬라이딩 블록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복수개의 지지 바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에 삽입되면, 상기 안전유닛의 지지 바가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골부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골부에 의해 밀려 연결 홈 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안전유닛의 지지 바가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골부를 지나 산부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재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합성수지 파형관로의 원하는 위치의 산부까지 삽입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이 접속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로 외부로 새어 나가는 공기에 의해 포설된 모래가 날리는 곳을 접속 불량 개소로 검출하는 접속 불량 개소 검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KR1020150044782A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KR10174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82A KR101740323B1 (ko)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82A KR101740323B1 (ko)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37A KR20160117737A (ko) 2016-10-11
KR101740323B1 true KR101740323B1 (ko) 2017-06-09

Family

ID=5716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782A KR101740323B1 (ko) 2015-03-31 2015-03-31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5353B (zh) * 2016-11-18 2018-10-30 贵州望江气体有限公司 高压充气连接管缺陷检测方法
CN107884138B (zh) * 2017-10-31 2019-09-13 无锡市永兴金属软管有限公司 一种金属软管及接头拉力强度的检测方法
CN110631769A (zh) * 2019-09-24 2019-12-31 中国航发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波纹管便捷式密封试验装置及试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56B1 (ko) * 2005-11-23 2006-06-08 조성욱 건축물 배관의 압력시험용 수압캡
JP2009243895A (ja) * 2008-03-28 2009-10-22 Taisei Corp 密閉試験装置及び管体接合部の密閉試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08B1 (ko) 2005-06-28 2006-04-07 모악개발 주식회사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수밀시험 장치 및 그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56B1 (ko) * 2005-11-23 2006-06-08 조성욱 건축물 배관의 압력시험용 수압캡
JP2009243895A (ja) * 2008-03-28 2009-10-22 Taisei Corp 密閉試験装置及び管体接合部の密閉試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37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0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utting off fluid flow in a pipe main
US3958607A (en) Apparatus for sealing pipe leaks
EP0126648B1 (en) Apparatus for sealing joints and leaks
KR101740323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간이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수밀 시험방법
KR101740514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하자구간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자구간 검출공법
US3168909A (en) Method for locating and sealing pipe leaks
US8770305B2 (en) Modular hydraulic packer-and-port system
KR100568608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수밀시험 장치 및 그 공법
KR100853578B1 (ko)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KR101615971B1 (ko) 비 굴착식의 하수관로 보수방법
KR101792477B1 (ko) 다양한 직경 및 길이의 관로보수가 가능한 보수기
KR101715885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구간 정밀 수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간 정밀 수밀 시험방법
KR20190008600A (ko) 관로 배면의 함몰량 진단겸 채움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배면 함몰량 진단겸 채움재 주입공법
KR101713052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용 안전장치
KR101740501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방법
CA2303756A1 (en) Plumbing testing device
KR101740324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용 팩커
KR100915425B1 (ko) 분기관의 유출수 및 유입수 차수공법
KR100775008B1 (ko) 변형관 삽입공법의 주름제거장치 및 주름제거방법
KR100756437B1 (ko) 경화형 도관 보수공법
KR101715899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포설방법
KR100719436B1 (ko) 배관 보수장치 및 그에 따른 보수공법
KR102386671B1 (ko) 다구경 관로 검사장치
KR20070000002A (ko) 패커의 기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하수관로 수밀시험장치
KR100719437B1 (ko) 배관 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