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307B1 -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307B1
KR101740307B1 KR1020160018204A KR20160018204A KR101740307B1 KR 101740307 B1 KR101740307 B1 KR 101740307B1 KR 1020160018204 A KR1020160018204 A KR 1020160018204A KR 20160018204 A KR20160018204 A KR 20160018204A KR 101740307 B1 KR101740307 B1 KR 10174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foot plate
base member
restoring portion
til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미디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미디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미디어넷
Priority to KR102016001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자기체중에 의해 발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판과; 상부가 상기 발판에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재에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탄력복원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판의 좌우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력복원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접하여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발판에 좌우 이동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 HORIZONTAL SLIDING EXERCISE APPARATUS }
본 발명은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자기체중에 의해 발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력이나 관절 등이 약한 노약자에게는 등산이나 달리기 등의 실외운동이나 러닝머신과 같은 각종 헬스용 운동기구들을 이용한 운동이 오히려 몸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땀을 흘려 지방을 분해시키는 격한 운동보다는 관절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가볍게 몸을 움직임으로써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거나 장운동이 되게 하여 소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걷기, 줄넘기, 제자리 뜀뛰기 등의 운동이 권장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운동기구들이 개시되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관절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몸의 상하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발판이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교번으로 회전됨으로써 트위스트 운동까지 함께 병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778호 및 등록특허 제10-1177798호 등에는 자기체중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운동기구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7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7798호
본 발명은 발판을 수평에 가깝게 유지하면서 자기체중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하 및 좌우로 이동하면서 하체를 포함한 전신근육을 자극할 수 있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판과; 상부가 상기 발판에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재에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탄력복원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판의 좌우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력복원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접하여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발판에 좌우 이동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력복원부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동부재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력복원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발판의 좌우 이동시 상기 탄력복원부가 상기 발판의 하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접하여 압축되었다가 복원된다.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발판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힌지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력복원부는, 상기 상부힌지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수평 이동시 상기 발판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부탄력복원부와; 상기 하부힌지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수평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부탄력복원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탄력복원부와 하부탄력복원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탄력복원부 및 하부탄력복원부는 1개의 회동부재의 상부의 양측 및 하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발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좌우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는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의 이동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틸트돌기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발판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틸트돌기는 상기 발판의 하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발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판을 수평에 가깝게 유지하면서 자기체중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하 및 좌우로 이동하면서 하체를 포함한 전신근육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재에 형성된 탄력복원부가 발판 및/또는 베이스부재에 접하여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발판이 수평방향으로 보다 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작동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작동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와, 발판(20)과, 회동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발판(20)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발판(2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발판(2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두발로 올라서 디디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30)는 상기 발판(20)과 베이스부재(1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가 상기 발판(20)에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발판(20) 및 베이스부재(10)에는 상기 회동부재(30)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힌지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0)에는 상기 발판(20)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힌지부(33)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힌지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힌지부(33) 및 하부힌지부(34)는 각각 상기 발판(20)의 하면 및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과 이격되게 위치된다.
위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3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발판(20) 및 베이스부재(10)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30)는 상기 발판(20)을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부재(3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20)의 이동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부재(30)는 상기 발판(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회동부재(31)와 제2회동부재(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회동부재(31)와 제2회동부재(32)는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20)의 이동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부재(30)는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4개 이상의 상기 회동부재(30)가 상기 발판(20)의 하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발판(20)이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30)에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탄력복원부(3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판(20)의 좌우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력복원부(35)는 상기 발판(20)의 하면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접하여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발판(20)에 좌우 이동력을 부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부재(30)는 중공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력복원부(35)는 중공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동부재(3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력복원부(35)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동부재(30)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30)는 다양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부재(30)는 중공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0)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리브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3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틸트돌기(3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트돌기(39)는 상기 상부힌지부(33)의 상부와 상기 하부힌지부(34)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틸트돌기(39)는 중심부가 가장 많이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부에 형성된 틸트돌기(39)는 상기 발판(20)의 하면에 접하고, 하부에 형성된 틸트돌기(39)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접하거나 거의 접하고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판(20)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틸트돌기(39)는 상기 발판의 하면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발판(2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회동부재(30)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회동부재(30)의 상부는 상기 발판(20)의 하면과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3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발판(2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하여, 상기 탄력복원부(35)가 상기 발판(20)의 하면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발판(20)의 수평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력복원부(35)가 상기 발판(20)의 수평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면서 압축되게 되고, 압축된 상기 탄력복원부(35)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발판(20)에 좌우 이동력을 부가하여 상기 발판(20)이 수평방향으로 보다 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탄력복원부(35)는, 상기 상부힌지부(33)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20)의 수평 이동시 상기 발판(20)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부탄력복원부(36)와, 상기 하부힌지부(34)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20)의 수평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부탄력복원부(3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탄력복원부(36) 및 하부탄력복원부(37)는 1개의 회동부재(30)의 상부의 양측 및 하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상기 탄력복원부(35)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동부재(30)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탄력복원부(36) 및 하부탄력복원부(37)는 중공원형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상기 회전부재(30)에서 돌출된 상기 틸트돌기(39)에 의해,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20)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치우쳐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판(20)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두발로 상기 발판(20)의 상부에 올라선 후, 힘을 가하여 상기 발판(2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동부재(3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힌지결합된 하부힌지부(34)를 중심으로 상부힌지부(33)가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발판(20)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서 동시에 상기 발판(20)은 상기 상부힌지부(33)가 상기 하부힌지부(34)의 수직선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상승하게 된다.
상기 상부힌지부(33)가 상기 하부힌지부(34)의 수직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발판(20)은 최고의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그 이후에 상기 발판(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발판(20)이 우측으로 이동으로 이동하였을 때 일정위치에서, 상기 상부탄력복원부(36)는 상기 발판(20)의 하면에 접하고, 상기 하부탄력복원부(37)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서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관성력 및 사용자의 하중 등에 의해 상기 상부탄력복원부(36) 및 하부탄력복원부(37)는 압축되게 되고, 압축후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탄력복원부(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30)를 좌측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반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발판(20)의 상부에 올라서 있는 사용자는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체를 포함한 전신운동이 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기체중을 이용하여 수평이동하였을 때, 상기 회동부재(30)에 형성된 상기 탄력복원부(35)에 의해 가해지는 관성력을 완충시키면서 상기 발판(20)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회동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력복원부(35)는 상기 회동부재(30)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상기 회동부재(30)는 기둥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상기 탄력복원부(35)는, 상기 상부힌지부(33)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20)의 수평 이동시 상기 발판(20)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부탄력복원부(36)와, 상기 하부힌지부(34)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20)의 수평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부탄력복원부(3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상부탄력복원부(36) 및 하부탄력복원부(37)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동부재(3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양측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발판(20)의 좌우 이동시 상기 탄력복원부(35)가 상기 발판(20)의 하면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접하여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발판(20)을 수평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상기 상부탄력복원부(36)와 하부탄력복원부(37)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인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베이스부재,
20 : 발판,
30 : 회동부재, 31 : 제1회동부재, 32 : 제2회동부재, 33 : 상부힌지부, 34 : 하부힌지부,
35 : 탄력복원부, 36 : 상부탄력복원부, 37 : 하부탄력복원부,
39 : 틸트돌기.

Claims (8)

  1.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판과;
    상부가 상기 발판에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재에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탄력복원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틸트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좌우 이동시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력복원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접하여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발판에 좌우 이동력을 부가하며,
    상기 발판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틸트돌기는 상기 발판의 하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발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력복원부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동부재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력복원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발판의 좌우 이동시 상기 탄력복원부가 상기 발판의 하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접하여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발판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힌지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력복원부는,
    상기 상부힌지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수평 이동시 상기 발판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부탄력복원부와;
    상기 하부힌지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수평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부탄력복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상부탄력복원부와 하부탄력복원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상부탄력복원부 및 하부탄력복원부는 1개의 회동부재의 상부의 양측 및 하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발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좌우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는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의 이동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8. 삭제
KR1020160018204A 2016-02-17 2016-02-17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74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204A KR101740307B1 (ko) 2016-02-17 2016-02-17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204A KR101740307B1 (ko) 2016-02-17 2016-02-17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307B1 true KR101740307B1 (ko) 2017-05-29

Family

ID=5905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204A KR101740307B1 (ko) 2016-02-17 2016-02-17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3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22Y1 (ko) 2007-06-18 2007-11-30 정화성 자동트위스트 기능을 가진 스텝퍼
KR101564296B1 (ko) * 2014-06-24 2015-10-30 예종락 상하왕복 운동이 가능한 트위스트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22Y1 (ko) 2007-06-18 2007-11-30 정화성 자동트위스트 기능을 가진 스텝퍼
KR101564296B1 (ko) * 2014-06-24 2015-10-30 예종락 상하왕복 운동이 가능한 트위스트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7474A (en) Balancing and exercising device
US7137926B2 (en) Foam roller
JPWO2009122479A1 (ja) 運動装置
CA3080431A1 (en) Balance training system
JP2020500679A (ja) バランス、瞑想、及び/又は、ヨガのエクササイズを行なうためのトレーニング装置
US6740011B1 (en) Device for exercising foot muscle
CN108926821B (zh) 一种藤球辅助训练方法
KR101688578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740307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244716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101438054B1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KR100869178B1 (ko)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CN108905138B (zh) 一种藤球辅助训练装置及训练方法
KR101837100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0850885B1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JP5598753B2 (ja) 脊椎矯正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6223791A (ja) 運動補助装置
WO2009122480A1 (ja) 運動装置
JP6902799B2 (ja) 膝関節痛み改善装置
KR101570229B1 (ko) 뜀뛰기 운동기구
KR101973497B1 (ko) 기능성 보행 및 밸런스 훈련 트램펄린 장비 세트
JP2016150247A (ja) 揺動型運動器具及びその調整方法
JP2005013300A (ja) 筋肉鍛練用器具
KR20130122590A (ko)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