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841B1 -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841B1
KR101739841B1 KR1020160108369A KR20160108369A KR101739841B1 KR 101739841 B1 KR101739841 B1 KR 101739841B1 KR 1020160108369 A KR1020160108369 A KR 1020160108369A KR 20160108369 A KR20160108369 A KR 20160108369A KR 101739841 B1 KR101739841 B1 KR 10173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trand
body frame
heating chamber
shrin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원옥
김승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0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29C61/025Thermal shrinking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7Cables, i.e. two or more filaments combined together, e.g. ropes, cords, strings,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현수교, 사장교 또는 엑스트라도즈드교 등의 교량에 적용되는 일반 케이블의 일정부위만 COHE 스트랜드화 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 수축튜브를 연속적으로 융착시키도록 가열실 및 냉각실을 구비함으로써 피복이 벗겨진 일반 케이블의 와이어에 수축튜브를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융착시킬 수 있고, 또한, 바디프레임 및 접이식 덮개 사이에 형성된 스트랜드 안착부에 다수의 일반 케이블을 안착시킴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케이블 수축튜브를 융착시킬 수 있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CONSECUTIVE CABLE SHRINKABLE TUBE WELDING APPARATUS FOR CABLE BRIDGE}
본 발명은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현수교, 사장교(Cable-stayed Bridge) 또는 엑스트라도즈드교(Extradosed Bridge) 등의 케이블지지교량에 적용되는 일반 케이블용 스트랜드(Strand Cable)의 피복 일부를 제거하고, 피복이 제거된 부위를 COHE 스트랜드 부위로 제작할 수 있는 연속식 수축튜브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Bridge)은 하천이나 도로 위를 통행할 수 있도록 만든 고가(高架)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교량은 구조적인 위치와 기능에 따라 크게 교량 상부구조물 및 교량 하부구조물로 구분된다.
교량 상부구조물은 통행로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슬래브(Slab) 및 차량과 사람 등의 통행에 의해 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탱하는 주부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교량 하부구조물은 교량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고, 교량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 지반으로 전달하도록 교대, 교각 및 기초 슬래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교량은 주부재의 모양에 따라 그 구조 형식이 결정되고, 이러한 주부재는 그 종류에 따라 거더교(Bridge), 아치교(Arch Bridge) 및 트러스교(Truss Bridge)로 분류되며, 특히, 케이블에 의해 주부재가 지지되는 경우를 케이블교(Cable Bridge)라고 한다.
이러한 케이블교는 아치교, 사장교(Cable-stayed Bridge) 또는 현수교(Suspension Bridge)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러한 케이블교에서 사용되는 보강용 케이블은 교량 상부 구조물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교량 상부 구조물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보강용 케이블과 달리, 경관을 목적으로 교량, 특히, 도심지 등에 설치되는 보도교 또는 차도교와 같은 교량에 설치되는 경관용 케이블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에는 다양한 형식이 있으며, 이 중에서 보강형 주거더의 규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을 이용하여 주거더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매다는 형식을 취한 교량을 케이블 지지 교량이라고 한다.
이러한 케이블 지지 교량은 그 형상에 따라 현수교, 사장교, 아치교 등으로 분류되며, 교량을 이용하는 주체의 구분에 따라 도로교와 보도교로 분류된다. 이때, 다양한 종류의 교량용 케이블(Cable for Bridge)이 있지만 힘전달 주체가 되는 스트랜드(Strand)와 이를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해 스트랜드 양단에 체결되는 정착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은 동일하다.
한편, 도 1은 케이블용 스트랜드가 적용되는 교량(새들사용 케이블교량)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일반 케이블용 스트랜드 및 COHE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부 사장교 또는 통상의 엑스트라도우즈교(Extradosed Bridge)는 주탑(40)의 탑정부(주탑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곡률을 가진 관형태의 새들(Saddle: 80)을 먼저 설치하고, 상기 새들이 매립되도록 주탑의 탑정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주탑을 먼저 시공하며, 이후, 상기 새들을 관통하도록 케이블(Cable)을 설치하되, 상기 새들을 관통한 케이블의 양 단부는 주탑 하부에 배치된 교량상판이나 거더에 설치된 정착단(60, 정착장치 이용)에서 인장되도록 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새들(Saddle)에는 케이블이 내부를 경유하여 주탑의 대향된 출구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양 단부가 교량 상판을 관통하여 교량상판에서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는 공정을 통하여 케이블에 의한 교량이 시공되고 있다.
이때 케이블(70)은 주탑(40)을 정점으로 주탑(40)의 양 측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주탑(40)에 교량상판(30) 또는 거더(20)가 매달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지지교량의 케이블(7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스트랜드(70)와 COHE 스트랜드(Cohestrand: Locally Cohesive Strand, 9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일반 스트랜드(7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연도금 와이어(71, Galvanized Wire)들이 꼬아져 형성된 스트랜드(Strand)의 상기 와이어들이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왁스필러(또는 그리스,72)가 주입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피복관(HDPE 피복관,73)으로 감싼 후 압출성형 시킨 것으로서 이러한 일반 스트랜드에 소정의 긴장력 도입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정착단(양 단부에 설치되는 정착장치)을 별도로 필요로 하게 된다.
다음으로 COHE 스트랜드(9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연도금 와이어(Galvanized Wire,91)들이 꼬아져 형성된 스트랜드(Strand)의 상기 와이어들을 본드필러(Resin, 92,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충진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고밀도 폴리에틸렌 피복관(HDPE 피복관,93)으로 감싼 후 압출성형 시킨 것으로서 이러한 COHE 스트랜드(90)는 새들부 내부와 스트랜드 피복사이의 마찰 정착이 가능하므로 긴장력 도입후 예컨대 주탑부 정착단(양 단부에 설치되는 정착장치)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관련 종래 기술로서 “열수축 튜브용 열성형장치”가 도 2c에 개시되어 있다.
즉, 도 2c와 같이, 사용자는 전원스위치를 온동작시킨 후 키이부에 구성된 키이 들을 이용하여 히터(6)의 동작시간 및 동작시키고자 하는 히터(6)의 갯수등을 설정한다.
사용자의 키이부 조작에 따라 제어부(20)는 히터(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히터구동부로 출력하고, 상기 히터구동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의 히터(6)가 켜지도록 히터(6)를 구동시켜, 해당 히터(6)들이 발열하기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는 여러 가닥을 한데 묶어서 된 다발성 열수축튜브(1)을 공간부(4)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러한 열수축튜브(1)를 공간부(4) 내측으로 밀어 넣을때에는 열수축튜브(1)의 다발을 일측의 지지가이드(12)에 얹어서 지지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밀어넣는다.
열수축튜브(1)가 공간부(4) 내로 진입하면 히터(6)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각각의 열수축튜브(1)가 수축되면서 열 성형되어 그 단면이 원형을 이루게 되면서 열수축튜브(1) 내측에 존재하는 와이어(또는 케이블)에 완전히 밀착되어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터(6)를 통과한 열수축튜브(1)는 다시 본체(2)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가이드(13)에 지지되면서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설명과 같이 히터(6)가 동작할 때 공간부(4)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는 히터(6)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와 표시부로 출력하고, 상기 표시부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현재의 히터온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히터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는 온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온도보다 높아질 경우 경고램프를 작동시켜 작업자가 히터(6)의 과열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작업 현장에서 다발성의 열수축튜브(1)를 한번에 열성형시킬 수 있으므로 그만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수축튜브 성형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고, 공간부 내벽면상에 환형으로 설치되는 히터들에 의해 열이 골고루 공급됨에 따라 열수축튜브(1)의 성형 품질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열수축 튜브용 열성형장치는 저면에 바퀴(10)가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특히 현수교, 사장교, 엑스트라도우즈교(Extradosed Bridge)와 같은 케이블지지교량에 있어서, 도 2a와 같이 일반 스트랜드의 일정 부위를 필요에 의하여 COHE 스트랜드로 바로 현장에서 제작하기 위한 장치는 달리 소개된 바 없으며 도 2c와 같은 종래 열수축 튜브용 열성형장치는 단지 스트랜드용 와이어에 열수축튜브안 고밀도 폴리에틸렌 피복관(HDPE 피복관)을 열 융착시키기 위한 가열로에 대한 것일 뿐 일반 케이블용 스트랜드의 일정부위만을 COHE 스트랜드로 제작하기 위한 장치로 소개된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55856호(공개일: 2011년 5월 26일), 발명의 명칭: "케이블 피복용 수축튜브 가열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447829호(출원일: 2002년 4월 26일), 발명의 명칭: "수축튜브용 열성형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82212호(출원일: 2012년 10월 16일), 발명의 명칭: "케이블 고정식 수축튜브 가열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8-84164호(공개일: 2008년 9월 19일), 발명의 명칭: "나동선의 케이블을 피복하거나 케이블의 연결부분의 밀봉을 위한 열수축 케이블 밀봉 튜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78574호(출원일: 2009년 6월 5일), 발명의 명칭: "압출압착식 그립과 앵커통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수교, 사장교 또는 엑스트라도즈드교 등의 케이블 지지교량에 적용되는 일반 케이블용 스트랜드(Strand Cable)의 피복을 일부를 제거하고, 피복이 제거되어 노출된 와이어를 밀실하게 감싸는 케이블용 수축튜브(Shrinkable Tube)를 연속적으로 융착시켜 피복이 제거된 부위만을 COHE 스트랜드 부위로 제작할 수 있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는 와이어를 밀실하게 감싸는 수축튜브를 연속적으로 융착시킬 수 있도록 가열실 및 냉각실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수축튜브를 가열 및 경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블용 수축튜브를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융착시킬 수 있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바디프레임 및 접이식 덮개 사이에 형성된 스트랜드 안착부에 다수의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안착시킬 수 있어 동시에 다수의 수축튜브를 융착시킬 수 있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는,
접이식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와이어가 노출된 부위에 케이블 수축튜브가 삽입된 일반 스트랜드를 스트랜드 안착부에 세팅되도록 하여 교량에 적용되는 일반 스트랜드를 감싸는 케이블용 수축튜브를 연속적으로 융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에 레일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부에 스트랜드 안착부가 형성되는 바디프레임; 덮개 개폐 실린더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부를 덮거나 열고, 상기 바디프레임 상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가열실 및 냉각실을 형성하는 접이식 덮개; 핀 히터 유닛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배관을 따라 상기 가열실로 공급하는 열풍팬; 에어 콤프레셔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배관을 따라 상기 냉각실로 공급하는 냉각팬; 상기 바디프레임이 구동 체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콤프레셔 및 냉각팬의 작동, 상기 핀 히터 유닛 및 열풍팬의 작동,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실 및 냉각실에서 상기 수축튜브의 가열 및 경화가 동시에 이루어져 상기 수축튜브가 융착되며, 상기 가열실 및 냉각실에 각각 형성되어 가열실 및 냉각실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다단 조절판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실은 일반 스트랜드의 피복을 벗겨내어 노출된 와이어에 케이블용 수축튜브가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블용 수축튜브에 열풍이 가해지도록 하여 와이어에 융착 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열풍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타공판인 다단조절판이 가열실 내부에 수평 장착되고, 상기 다단조절판은 수평판 형태로서 위치를 가열실 내부에서 조정하도록 하며, 상기 냉각실은 격벽에 의하여 가열실과 구분되는 공간으로 열풍에 의하여 와이어에 융착된 케이블용 수축튜트가 냉풍에 의하여 경화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냉풍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타공판인 다단조절판이 냉각실 내부에 수평 장착되고, 상기 다단조절판은 수평판 형태로서 위치를 냉각실 내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무늬철판 발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스트랜드 안착부는 다수의 피복 케이블용 스트랜드가 각각 안착할 수 있는 제1 안착홈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이식 덮개의 하부에 상기 제1 안착홈에 대응하는 제2 안착홈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에 형성되는 스트랜드 안착부를 따라 상기 피복 케이블용 스트랜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 개폐 실린더는 상기 접이식 덮개가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부를 덮거나 열 수 있도록 유압에 의해 양방향으로 상기 접이식 덮개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에 체결되는 구동 체인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전방 수직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후방 수직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는, 상기 피복 케이블용 스트랜드의 일측을 정착시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일측 케이블 정착부; 및 상기 피복 케이블용 스트랜드의 타측을 정착시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방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후방 케이블 정착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의 이동시 상기 피복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지지하는 보조 롤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는, 상기 피복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 냉각노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는,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의 이동시 정해진 가동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가동제어 리미트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장교 또는 엑스트라도즈드교 등의 교량에 적용되는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밀실하게 감싸는 수축튜브를 연속적으로 융착시키도록 가열실 및 냉각실을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수축튜브를 가열 및 경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축튜브를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융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프레임 및 접이식 덮개 사이에 형성된 스트랜드 안착부에 다수의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안착시킴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수축튜브를 융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용 스트랜드가 적용되는 교량을 예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일반 케이블용 스트랜드 및 COHE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c는 종래 열수축 튜브용 열성형장치의 구성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가 설치된 전경 및 측면을 나타내는 사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전방 및 후방을 나타내는 사진,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에서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연속적으로 융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블 지지교량의 스트랜드 피복용 연속식 수축튜브 융착장치(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교량의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01), 레일(102), 바디프레임(103), 접이식 덮개(104), 스트랜드 안착부(105), 덮개 개폐 실린더(106), 열풍팬(107), 냉각팬(108), 탈착식 지붕(109), 구동모터(110), 핀 히터 유닛(111), 제어 패널(112), 에어 콤프레셔(113), 이동체인(114), 보조 롤러(115), 다단 조절판(116), 보조 냉각노즐(117), 가동제어 리미트센서(118),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119),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120), 일측 케이블 정착부(121), 타측 케이블 정착부(122),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교량의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100)는 일반 스트랜드(200)의 피복을 일정부위를 제거하여 와이어(210)를 노출시키고, 와이어가 노출된 부위에 케이블 수축튜브(220)를 연속적으로 융착(연속적인 가열 및 경화)시켜 피복이 제거된 일정부위만 COHE 스트랜드(300)화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에 먼저 베이스플레이트(101)는 도 3과 같이 현장의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바디프레임(103)의 이동과 안정적인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철골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중앙 상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양 종방향레일(102)이 형성된 격자수평플레이트(101b); 및 격자수평플레이트 양 측방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무늬철판으로 상면이 마감된 양 측방플레이트(101c);롤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이로서 양 종방향레일(102) 내측의 격자수평플레이트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체인(11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이동체인(114)에 물려진 바디프레임(103)에 장착된 회전치차휠(101d, 치차가 외주면에 형성된 휠이 이동체인에 의하여 물려지면서 회전이동)이 회전이동하게 되면 결국 바디프레임(103)은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종방향레일(102, ㄷ형 채널)에 수용된 롤러(101e)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종방향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로서 연속적으로 일반 스트랜드 일정부위만 COHE 스트랜드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바디프레임(103)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바디프레임(103)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에 형성된 종방향레일(102)을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종방향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일반 스트랜드 일정부위만 COHE 스트랜드로 형성시키기 위한 스트랜드 안착부(105)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즉,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바디프레임(103)은 종방향레일(102)에 수용되는 롤러(101e)가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개략 중앙상면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도록 형성된 베어링축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회전치차휠(101d)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이동체인(114)에 물려지도록 형성된 양 종방향프레임(103a); 및 양 종방향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지지프레임(103b);을 포함하여 이동체인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프레임 상면에 스트랜드 안착부(105)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랜드 안착부(105)는 접이식 덮개(104)가 덮여지면서 도 5와 같이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 공간이 격벽(125)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하우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트랜드 안착부(105)의 상면에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일반 스트랜드(200)을 상면에 각각 안착시킬 수 있는 제1 안착홈(105a)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접이식 덮개(10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개폐 실린더(106)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어 스트랜드 안착부(105)과 함께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트랜드 안착부(105)가 개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덮개형태의 하우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저면에 상기 제1 안착홈에 대응하는 제2 안착홈(104a)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일반 스트랜드(200)가 제 1,2 안착홈(105a,104a: 서로 결합되어 원형을 이룸)에 의하여 안착되어 위치를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을 따라 일반 스트랜드(200)가 평행하게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 개폐 실린더(106)는 양 종방향프레임(103a)에 장착되는 에어 콤프레셔(113)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양방향으로 상기 접이식 덮개(10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접이식 덮개(104)가 상기 스트랜드 안착부(105)의 상부를 덮거나 열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스트랜드 안착부(105)에 상기 접이식 덮개(104)가 덮여지면서 형성되는 내측공간에는 도 4와 같이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이 구획 형성되고, 상기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은 격벽(125)에 의해 구획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25)은 도 5와 같이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세팅된 일반 스트랜드(20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 이격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스트랜드 안착부(105) 및 상기 접이식 덮개(104) 사이에 형성된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에서 가열 및 경화가 동시에 이루어져 케이블 수축튜브(220)가 융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실(123)은 일반 스트랜드(200)의 피복을 벗겨내어 노출된 와이어(220)에 케이블용 수축튜브(2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용 수축튜브(220)에 열풍이 가해지도록 하여 와이어(210)에 융착 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이러한 열풍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타공판인 다단조절판(116)이 가열실 내부에 수평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다단조절판(116)은 수평판 형태로서 위치를 가열실(123) 내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가열실(123)의 열풍으로 케이블용 수축튜브(220)는 노출된 와이어(210)에 융착되면서 COHE 스트랜드로 형성된다.
상기 냉각실(125)은 격벽(125)에 의하여 가열실(123)과 구분되는 공간으로서 열풍에 의하여 와이어에 융착된 케이블용 수축튜브(220)가 냉풍에 의하여 경화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역시 냉풍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타공판인 다단조절판(116)이 냉각실 내부에 수평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다단조절판(116)은 수평판 형태로서 위치를 냉각실(124) 내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일반 스트랜드(200)은 케이블용 수축튜브(220)가 융착 형성된 부위만 COHE 스트랜드(300)화 시킬 수 있게 되며, 바디프레임(103)의 이동에 의하여 케이블용 수축튜브(220)의 가열 및 경화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신속한 COHE 스트랜드화 작업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열풍팬(10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히터 유닛(Pin Heater Unit: 111)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배관(P)을 따라 상기 가열실(123)로 공급한다. 이러한 열풍팬(107)도 바디프레임(103)의 양 종방향프레임에 장착시키게 되며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냉각팬(108)은 외부 공기(냉풍)를 배관을 따라 상기 냉각실(124)로 공급한다. 이러한 냉각팬(107)은 열풍팬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바디프레임(103)의 양 종방향프레임에 장착시키게 되며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탈착식 지붕(10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측면에 부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구동모터(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구성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상기 바디프레임(103)이 이동체인(1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체인(114)에 물려진 바디프레임(103)에 장착된 회전치차휠(101d)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10)도 바디프레임(103)의 양 종방향프레임에 장착에 설치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핀 히터 유닛(111)은 도 5와 같이, 스트랜드 안착부(105) 하부 수직지지프레임(103b) 사이의 양 종방향프레임(103a) 상면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열실(123)로 배관(P)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도록 공기가 가열되는 유닛으로 내부에 핀 히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역시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 패널(1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콤프레셔(113) 및 냉각팬(108)의 작동, 상기 핀 히터 유닛(111) 및 열풍팬(107)의 작동, 상기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 패널(1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 콤프레셔(113)는 상기 바디프레임(103) 및 상기 제어 패널(112) 사이의 바디프레임(103)의 양 종방향프레임에 장착에 설치되며 유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러한 유압은 덮개 개폐 실린더(106)의 개폐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살펴본 바와 같다.
다음으로 이동체인(114)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종방향레일(102) 내측의 격자수평플레이트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이동체인(114)에 물려진 바디프레임(103)에 장착된 회전치차휠(101d)이 회전이동함에 따라 바디프레임(103)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종방향레일(102)에 수용된 롤러(101e)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종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체인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연장방향인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 롤러(1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랜드 안착부(105)에 안착된 일반 스트랜드(200)의 인입구 및 배출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이동시 상기 일반 스트랜드(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다음으로 다단 조절판(11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 내측면에 체결구로 체결 설치되는 수평판 형태의 타공판들로서 이들의 위치를 변경하게 되면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케이블용 수축튜브(220)와 타공판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열풍과 냉풍의 강약을 조정하면서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과 냉풍을 케이블용 수축튜브(220)에 유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조 냉각노즐(11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용 수축튜브(220)를 보조 냉각시키도록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내측의 다단 조절판의 타공에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로 형성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가동제어 리미트센서(11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레일(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이동시 정해진 가동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119)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또한,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타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일반 케이블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기능한다.
다음으로 일측 케이블 정착부(121)는 상기 일반 스트랜드(200)의 일측을 정착시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119)의 상부에 다수 설치된다. 또한, 타측 케이블 정착부(122)는 상기 일반 스트랜드(200)의 타측을 정착시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120)의 상부에 다수 설치된다.
이에 피복이 벗겨진 일반케이블은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119)과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120)의 케이블 정착부들(121,122)에 의하여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매달려 있는 피복이 벗겨진 부위를 가진 일반 스트랜드를 연속적으로 본 발명의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가 COHE 스트랜드화(일정부위만 COHE 스트랜드)시키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100)의 경우, 케이블용 스트랜드 제작을 위한 수축튜브를 융착 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한 번에 5열의 수축튜브를 융착시킬 수 있고, 또한, 시간당 약 75m의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처리할 수 있어 현장에서 신속한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100)는 열풍팬(107) 및 냉각팬(108)을 구비하며, 케이블 수축튜브(220)를 가열하는 가열온도는 200~300℃의 범위에서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에 의해 PID(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제어방식으로 온도를 제어하고,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방식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100)가 설치된 전경 및 측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즉, 도 6a에 의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레일(102)과 이동체인(114)에 의하여 바디프레임(103)이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일측 케이블 정착부(121)가 상단에 세팅된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119)과 타측 케이블 정착부(122)이 상단에 세팅된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120)이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 스트랜드(200)가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119),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120) 사이에 걸쳐져 매달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b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측면을 살펴보면, 앞서 살펴본 상기 핀 히터 유닛(111)이 스트랜드 안착부(105)의 하부, 수직지지프레임(103b)들 사이의 양 종방향프레임(103a) 상면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열실(123)로 배관(P)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트랜드 안착부(105)를 접이식 덮개(104)가 덮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양 종방향프레임(103a)에 장착되는 에어 콤프레셔(113)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덮개 개폐 실린더(106)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상기 접이식 덮개(104)를 회전시킴으로써 접이식 덮개(104)가 상기 스트랜드 안착부(105)의 상부를 덮거나 열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인(114)에 물려진 양 종방향프레임(103a)에 장착된 회전치차휠(101d)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103) 측방으로 양 종방향프레임(103a) 상면에 역시 설치된 제어패널(112)과 냉각실(124)로 배관을 통해 냉풍을 공급하는 냉각팬(108)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10) 역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100)의 일측 및 타측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일측에 의하면, 열풍팬(107)이 핀 히터 유닛(111)을 통해 배관(P)에 의하여 가열실(123)로 열풍을 공급하고 있으며, 가열실(123)의 상면으로부터 플렉시블 배관(P1)에 의하여 다시 열풍을 열풍팬쪽으로 재공급하는 재순환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트랜드 안착부(105)에 설치된 보조 롤러(115)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의 타측을 나타내며, 또한 바디프레임(103) 측방으로 양 종방향프레임(103a) 상면에 역시 설치된 제어패널(112)이 설치된 부분을 나타낸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에서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연속적으로 융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 8a와 같이 일반 스트랜드(200)의 피복 일정부위(L)만을 제거하여 와이어(210)를 노출시키고, 와이어가 노출된 부위에 케이블 수축튜브(220)를 삽입시켜 준비하고,
다음으로 도 8b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에서 접이식 덮개(104)가 열린 상태에서 와이어가 노출된 부위에 케이블 수축튜브(220)가 삽입된 일반 스트랜드(200)를 스트랜드 안착부(105)의 제 1안착홈(105a)에 보조롤러(115)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세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와이어가 노출된 부위에 케이블 수축튜브(220)는 가열실(123)의 위치에 세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8c와 같이 접이식 덮개(104)를 스트랜드 안착부(105) 상면에 덮고 열풍기를 통해 가열실에 열풍을 공급하여 케이블 수축튜브(220)가 와이어가 노출된 부위에 열융착되도록 하되 열융착 시간이 경과하면 이동체인(114)에 물려진 양 종방향프레임(103a)에 장착된 회전치차휠(101d)에 구동력을 공급하여 열융착된 케이블 수축튜브(220)가 냉각실(124)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일반케이블(220)은 피복이 벗겨진 일정부위에 케이블 수축튜브(220)를 연속적으로 융착시켜 상기 피복이 제거된 일정부위만 COHE 스트랜드(300)화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수교, 사장교 또는 엑스트라도즈드교 등의 교량에 적용되는 케이블용 스트랜드를 밀실하게 감싸는 케이블 수축튜브를 연속적으로 융착시키도록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을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케이블 수축튜브를 가열 및 경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블 수축튜브를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랜드 안착부(105)와 접이식 덮개(104)의 상면과 저면에 제 1,2 안착홈(105a,104a)에 다수의 피복이 벗겨진 일반 스트랜드(200)를 안착시킴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케이블 수축튜브(200)를 융착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101: 베이스플레이트 102: 종방향 레일
103: 바디프레임 104: 접이식 덮개
105: 스트랜드 안착부 106: 덮개 개폐 실린더
107: 열풍팬 108: 냉각팬
109: 탈착식 지붕 110: 구동모터
111: 핀 히터 유닛 112: 제어 패널
113: 에어 콤프레셔 114: 이동체인
115: 보조 롤러 116: 다단 조절판
117: 보조 냉각노즐 118: 가동제어 리미트센서
119: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 120: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
121: 일측 케이블 정착부 122: 타측 케이블 정착부
123: 가열실 124: 냉각실
200: 일반 케이블 210: 와이어
220: 케이블 수축튜브

Claims (10)

  1. 접이식 덮개(104)가 열린 상태에서 와이어가 노출된 부위에 케이블 수축튜브(220)가 삽입된 일반 스트랜드(200)를 스트랜드 안착부(105)에 세팅되도록 하여 교량에 적용되는 일반 스트랜드(200)를 감싸는 케이블용 수축튜브(220)를 연속적으로 융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1)에 형성된 레일(102)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며, 상부에 스트랜드 안착부(105)가 형성되는 바디프레임(103);
    덮개 개폐 실린더(106)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어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상부를 덮거나 열고, 상기 바디프레임(103) 상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을 형성하는 접이식 덮개(104);
    바디프레임(103)에 설치된 핀 히터 유닛(Pin Heater Unit: 111)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배관을 따라 상기 가열실(123)로 공급하는 열풍팬(107);
    바디프레임(103)에 설치된 에어 콤프레셔(113)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배관을 따라 상기 냉각실(124)로 공급하는 냉각팬(108);을 포함하여,
    상기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에 안착된 케이블용 수축튜브(220)의 가열 및 경화가 동시에 이루어져 상기 수축튜브(220)가 와이어에 융착되도록 하며,
    상기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에 각각 형성되어 가열실(123) 및 냉각실(124)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다단 조절판(116)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실(123)은 일반 스트랜드(200)의 피복을 벗겨내어 노출된 와이어(220)에 케이블용 수축튜브(2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블용 수축튜브(220)에 열풍이 가해지도록 하여 와이어(210)에 융착 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열풍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타공판인 다단조절판(116)이 가열실 내부에 수평 장착되고, 상기 다단조절판(116)은 수평판 형태로서 위치를 가열실(123) 내부에서 조정하도록 하며, 상기 냉각실(124)은 격벽에 의하여 가열실(123)과 구분되는 공간으로 열풍에 의하여 와이어에 융착된 케이블용 수축튜브(220)가 냉풍에 의하여 경화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냉풍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타공판인 다단조절판(116)이 냉각실 내부에 수평 장착되고, 상기 다단조절판(116)은 수평판 형태로서 위치를 냉각실(124) 내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에 레일(102)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프레임(103)이 이동체인(1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0); 및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콤프레셔(113) 및 냉각팬(108)의 작동, 상기 핀 히터 유닛(111) 및 열풍팬(107)의 작동, 상기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112)이 더 포함되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03)에 형성된 스트랜드 안착부(105)는 다수의 일반 스트랜드(200)가 각각 안착할 수 있는 제1 안착홈(105a)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이식 덮개(104)의 하부에 상기 제1 안착홈에 대응하는 제2 안착홈(104a)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에 형성되는 스트랜드 안착부(105)를 따라 상기 일반 스트랜드(200)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개폐 실린더(106)는 상기 접이식 덮개(104)가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상부를 덮거나 열 수 있도록 유압에 의해 양방향으로 상기 접이식 덮개(104)를 회전시키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10)에 체결되는 이동체인(11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119);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타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120)을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스트랜드(200)의 일측을 정착시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수직 단부프레임(119)의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일측 케이블 정착부(121); 및 상기 일반 스트랜드(200)의 타측을 정착시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수직 단부프레임(120)의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타측 케이블 정착부(122)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이동시 상기 일반 스트랜드(200)를 지지하는 보조 롤러(115)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스트랜드(200)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 냉각노즐(117)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일(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103)의 이동시 정해진 가동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가동제어 리미트센서(118)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KR1020160108369A 2016-08-25 2016-08-25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KR10173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69A KR101739841B1 (ko) 2016-08-25 2016-08-25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69A KR101739841B1 (ko) 2016-08-25 2016-08-25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841B1 true KR101739841B1 (ko) 2017-06-08

Family

ID=5922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69A KR101739841B1 (ko) 2016-08-25 2016-08-25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65B1 (ko) * 2018-11-28 2020-06-05 승진전자산업(주) 에어 튜브 수축기
KR102220814B1 (ko) * 2020-06-19 2021-02-25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WO2022185993A1 (ja) * 2021-03-02 2022-09-0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熱収縮チューブ加熱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071B1 (ko) * 2007-05-31 2008-07-03 (주)티에이치엔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
KR101571813B1 (ko) * 2014-02-28 2015-11-26 주식회사 이랜텍 케이블 튜브 열수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071B1 (ko) * 2007-05-31 2008-07-03 (주)티에이치엔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
KR101571813B1 (ko) * 2014-02-28 2015-11-26 주식회사 이랜텍 케이블 튜브 열수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65B1 (ko) * 2018-11-28 2020-06-05 승진전자산업(주) 에어 튜브 수축기
KR102220814B1 (ko) * 2020-06-19 2021-02-25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WO2022185993A1 (ja) * 2021-03-02 2022-09-0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熱収縮チューブ加熱装置
JP7429329B2 (ja) 2021-03-02 2024-02-07 新明和工業株式会社 熱収縮チューブ加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841B1 (ko)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EP36989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heat-shrinkable pipe sleeves
US11504808B2 (en) Device and method for joining metallic tubulars of drilling wells
JP2008536027A (ja) 部分的に浸水した地中パイプを巻回する装置および方法
WO2017109245A1 (es) Método de construcción de edificios de estructura reticular y edificio construido mediante dicho método
KR20140021390A (ko) 차량형 파형관 포설장비
KR101766207B1 (ko) Cohe 스트랜드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EP1614969B1 (en) Plate-shaped heating panel in which connecting members are fastened by bolts and nuts
KR101816199B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유압식 케이블연결장치
CA27354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of cable elements
KR20220046238A (ko) 강화매트 접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CN104675118B (zh) 一种混凝土冬季施工电加热工艺
CN109235654B (zh) 一种模块化建筑的连接方法
CN101614313B (zh) 用于高强度连续复合管的外保温层包覆设备
CN208219384U (zh) 一种叠合梁节段
CN106193522A (zh) 一种网格布地暖管和网格布快装地暖及其安装方法
CN110983974B (zh) 混凝土箱梁冬期施工综合养护方法
CN109235904B (zh) 一种建筑模块单元组装模具
JP2581316B2 (ja) ロードヒーテイング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
EP1614970B1 (en) Plate-shaped heating panel in which connecting members are fastened by resin
JP6917786B2 (ja) コンクリート充填用の鋼管柱材、及び、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の構築方法
CN206385777U (zh) 一种网格布地暖管和网格布快装地暖
JP6940099B2 (ja) 管更生部材の加熱装置
JP2020176406A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CN104694678A (zh) 一种用于热泼场的伸缩式排蒸汽除尘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