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814B1 -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814B1
KR102220814B1 KR1020200075238A KR20200075238A KR102220814B1 KR 102220814 B1 KR102220814 B1 KR 102220814B1 KR 1020200075238 A KR1020200075238 A KR 1020200075238A KR 20200075238 A KR20200075238 A KR 20200075238A KR 102220814 B1 KR102220814 B1 KR 10222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nchor
fixing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환
배경철
Original Assignee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주)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주)씨엔텍 filed Critical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112) 및 결합앵커(200) 고정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릴(711)에 감겨진 케이블나선을 준비하는 케이블 준비단계(S100); 상기 케이블 준비단계 후, 케이블나선 외주연을 폴리머로 피복하는 피복단계(S200); 상기 피복단계 후, 피복케이블(100) 끝단의 피복을 부분 탈피하는 탈피단계(S300); 상기 탈피단계 후, 탈피된 탈피부(114)에 결합앵커(200)를 고정하는 앵커장착단계(S400); 를 포함하는 단계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Cable, Method for connecting cable and anchor, Apparatus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교량구조물에 사용되는 케이블 및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케이블이 삽입된 슬리브를 압착시킬 때 슬리브가 다이에 열착되지 않도록 압착 다이와 안내 다이가 설치된 지지 다이 내부에 다이의 냉각을 위한 냉각유로를 다이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 내에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작업시 냉각유를 순환시킴으로써 케이블에 압착되는 슬리브가 다이에 열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발명 002는 케이블 케이블이 위치한 보호관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성능이 우수하고 보호관이 강성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블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이 적은 케이블 보호관용 다기 능 보호캡 및 이를 적용한 케이블 정착구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발명 003은 분할형 웨지를 사용하여 PC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슬리브에 한꺼번에 압착시킴으로써 타이 케이블 볼트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 케이블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할형 웨지는 PC강연선보다 경도가 높은 합금강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 압착돌기가 형성되어 웨지의 압착돌기가 PC강연선을 파고 들어가 슬리브와 PC강연선이 일체가 되도록 한 것이며, 제조방법은 내부에 테이퍼형 압입구멍이 형성된 슬리브 외부에 사전에 수나사를 가공한 후 웨지를 끼우고 단순 압착작업만 실시하면 되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하고 압착 작업에 소요되는 장비와 인원을 감축하여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발명 004는 금속재의 슬리브를 케이블의 일단에 압착시킬 때 압착용 다이에 열착되지 않고 슬리브가 휘어지지 않도록 케이블에 슬리브를 압착시키기 위하여 지지다이 내에 압착다이와 안내다이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압착다이는 슬리브가 최초로 삽입되는 테이퍼형의 경사부와 이 경사부에 삽입된 슬리브가 1차로 압축되는 압착부가 형성된 제1압착다이와, 이 제1압착다이의 압착부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제2압착다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다이의 내경은 상기 제1압착다이의 압착부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슬리브는 후단부에서부터 선단부까지 동일한 외경으로 이루어지되 그 표면에는 압착다이 통과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윤활유 삽입홈이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기술을 제공한다.
KR 20-0206795 Y1 (등록일자 2000년10월04일) KR 10-1505400 B1 (등록일자 2015년03월18일) KR 10-2017-0058574 A (공개일자 2017년05월29일) KR 10-2005-0091227 A (공개일자 2005년09월15일)
본 발명은 교량구조물에 사용되는 케이블 및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112) 및 결합앵커(200) 고정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릴(711)에 감겨진 케이블나선을 준비하는 케이블 준비단계(S100); 상기 케이블 준비단계 후, 케이블나선 외주연을 폴리머로 피복하는 피복단계(S200); 상기 피복단계 후, 피복케이블(100) 끝단의 피복을 부분 탈피하는 탈피단계(S300); 상기 탈피단계 후, 탈피된 탈피부(114)에 결합앵커(200)를 고정하는 앵커장착단계(S400);을 포함하는 시계열적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112) 및 결합앵커(200) 고정방법에 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단계에 있어서, 상기 피복단계는 케이블이 길이방향진행을 위해 복수의 지지롤러(721)에 의해 변형을 이완시키는 이완단계(S210); 상기 이완단계 후, 금형(731)내부로 케이블이 연속 공급되는 케이블 공급단계(S212); 상기 케이블 공급단계 후, 케이블 외면에 폴리머를 도포하는 도포단계(S213); 상기 도포단계 후, 피복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21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112) 및 결합앵커(200) 고정방법에 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단계에 있어서, 상기 앵커장착단계는 일측에 삽입홀(210)이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앵커를 준비하는 앵커준비단계(S410); 상기 앵커준비단계 후, 상기 삽입홀 내주연을 가열하는 가열단계(S420); 상기 가열단계 후, 앵커삽입홀 내부로 케이블 탈피부(114)를 삽입하는 삽입단계(S430); 상기 삽입단계 후, 앵커의 삽입홀 외주연을 가압 변형하는 가압단계(S4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결합 앵커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블결합 앵커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외부에 폴리머층으로 피복된 피복케이블(100); 상기 피복케이블 끝단과 결합되는 실시예 4-1의 케이블 결합앵커(200); 일측이 외부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케이블 결합앵커와 결합되는 베이스결합체(400); 일측이 상기 베이스결합체와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결합앵커 및 피복케이블을 수용하는 커버(500);를 포함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된 발명에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블결합앵커 및 상기 베이스결합체 사이에 결합되는 소켓(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된 발명에 추가적으로 상기 커버의 타측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복케이블 외주연과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된 발명에 추가적으로상기 케이블 고정체는 내주연은 케이블과 접촉되는 접촉면(311)을 형성하며, 외주연은 제1경사면(312)을 형성하며, 복수로 형성된 압착링(310); 링형상이며, 복수의 이송구(322)가 균일간격 배치되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되는 제2경사면(321)을 형상하는 가압링(320); 상기 가압링의 이송구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330)를 지지하는 고정링(340); 내부의 슬라이딩면(351)에 의해 상기 가압링과 접촉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링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케이스(3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2중 체결구조로 케이블을 고정하므로 안정적인 결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복케이블의 자동생산단계 및 앵커자동결합단계를 포함하므로 생산성향상을 확보할 수 있다.
케이블 및 피복형성과정에서 케이블 외측에 구리스를 도포하므로 수밀성 향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앵커와 케이블을 고주파 가열 및 가압으로 체결하므로 효과적인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앵커, 베이스결합체, 커버, 소켓의 결합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체 세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나선 표면에 연속으로 피복을 형성하는 장치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나선을 직선으로 형성하는 공정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및 앵커를 고주파 가열로 체결하는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및 앵커를 압착 결합하는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피복케이블 단부의 피복을 탈피하는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피복케이블 및 결합앵커를 압출금형으로 결합하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112) 및 결합앵커(200)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릴(711)에 감겨진 케이블나선을 준비하는 케이블 준비단계(S100); 상기 케이블 준비단계 후, 케이블나선 외주연을 폴리머로 피복하는 피복단계(S200); 상기 피복단계 후, 피복케이블(100) 끝단의 피복을 부분 탈피하는 탈피단계(S300); 상기 탈피단계 후, 탈피된 탈피부(114)에 결합앵커(200)를 고정하는 앵커장착단계(S400);를 포함하는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과 케이블 끝단에 고정되는 결합앵커의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현수교 등과 같이 교량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피복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케이블나선에 피복을 입히며, 피복을 부분 탈피 후, 결합앵커를 고정하는 단계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인 시계열적 절차로서,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 케이블에 피복을 입히는 단계, 피복의 일부분을 탈피하는 단계, 탈피된 피복에 앵커를 장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준비단계 후, 피복단계로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해, 릴(70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릴속도제어단계(S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릴속도제어단계는 케이블의 진출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포함한다.
케이블나선은 릴에 감겨 준비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피복을 형성하기 위해, 후술되는 금형으로 투입되며, 이는 릴의 회전으로 케이블나선을 공급하게 된다.
릴은 외부의 동력장치(릴 구동모터)로 회전되나, 동일속도로 회전시킬 경우, 릴의 금형 진입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는 릴에 케이블이 많이 감겨진 경우, 원주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나, 릴에 케이블이 적게 감겨진 경우, 원주속도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릴의 감겨진 량에 따라 케이블이 진입속도가 상이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릴속도제어단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릴속도제어단계는 케이블의 금형내 진입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릴과 접촉되는 롤러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롤러회전전속도 측정단계, 상기 롤러회전속도 측정단계 후, 릴구동제어기(713)에 의해 릴구동모터(71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속도제어단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탈피단계는 제1절단칼(714) 및 피복케이블(100)의 피복(113)만을 절개하는 부분절개단계(S311); 상기 부분절단단계 후, 피복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단계(S312); 상기 고정단계 후, 제1절단칼이 케이블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탈거단계(S313);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탈피단계는 케이블 끝단에 열을 이용하여 폴리머를 부분 용융하는 부분용융단계(S321);를 포함한다.
케이블에 피복된 폴리머를 부분절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고, 폴리머만 절개해야 된다. 이를 위해, 2개의 반원형 칼이 상하부에서 진입하며, 케이블의 피복두께만 절개한다. 절개된 피복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탈거단계가 포함되며, 케이블 탈거를 위해, 탈거되지 않는 부분은 고정단계에 의해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레이저, 또는 화염 등에 의해 폴리머 부분을 용융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을 이용하여, 폴리머 부분을 가열하며, 가열된 열에 의해 부분용융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피복단계는 케이블이 길이방향 진행을 위해 복수의 지지롤러(721)에 의해 변형을 이완시키는 이완단계(S210); 상기 이완단계 후, 금형(731)내부로 케이블이 연속 공급되는 케이블 공급단계(S212); 상기 케이블 공급단계 후, 케이블 외면에 폴리머를 도포하는 도포단계(S213); 상기 도포단계 후, 피복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214);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금형 내부에서 냉각하는 제1냉각단계(S2141);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단계 후, 금형 외부에서 냉각하는 제2냉각단계(S2142);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단계는 금형 내부의 워터자켓(732)내부로 냉각수가 순환화는 냉각수 순환단계(S2143);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각단계는 금형외부에서 분사노즐(733)에 의해 냉각수가 피복외측에 분사되는 냉각수 분사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순환단계 및 냉각수 분사단계 후, 냉각수를 포집용기(734)에 포집하는 포집단계(S2144); 포집된 냉각수를 냉각수 이송관(735)을 통해 상기 워터자켓 및/또는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단계(S2145);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 중, 이송관에 장착된 필터(736)에 의해 냉각수의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필터단계(S2146);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도포단계는 팰릿 형태의 폴리머를 공급하는 폴리머재료 공급단계(S2131); 상기 폴리머재료를 용융하는 용융단계(S2132); 상기 용융단계 후, 상기 금형의 케비티(737)로 용융폴리머를 투입시키는 투입단계(S21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1 등은 케이블 외부에 일정한 두께로 피복을 형성하는 피복단계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이완단계, 공급단계, 도포단계 냉각단계의 시계열적 순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완단계는 릴에 감겨진 케이블이 변형되어 있으며, 이를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롤러를 통과 하는 과정에서 롤러의 가변에 의해 케이블의 변형을 직선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지지롤러는 장구형태의 롤러가 케이블 양측에 위치하여 하나의 롤러쌍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쌍은 복수로 나열되며, 각각의 롤러쌍은 상이한 각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완단계를 거쳐 직선으로 형성된 케이블은 금형 내부로 공급되며, 연속공급과정에서 폴리머가 도포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폴리머는 용융상태에서 도포되므로 고체화 되는 냉각단계를 거쳐야 된다. 금형내부에는 정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형단계는 냉각단계 중에 형성된다. 상기 정형단계는 균일한 두께의 피복층이 형성되며, 케이블이 피복층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케이블에 도포된 피복층을 고체화 하기 위해 냉각단계를 거친다. 냉각단계는 금형 내부의 워터자켓을 통해 유동되는 물을 이용하며, 상기 물은 저온상태를 유지하여, 금형온도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피복층을 고형화 할 수 있다.
또한, 금형에서 배출된 케이블은 분사노즐로 분사되는 냉각수와 접촉되어 급속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냉각단계는 냉각수를 이용한다. 상기 냉각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워터자켓 및 분사노즐로 배출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관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관은 포집용기를 기준으로 워터자켓, 또는 분사노즐에 냉각수를 공급하며, 회수한다. 원활한 공급을 위해 공급펌프가 사용된다. 냉각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이송관에는 필터를 장착한다. 상기 필터는 주기적인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 후, 케이블 외주연에 구리스를 도포하는 구리스도포단계(S2121);를 포함한다.
상기 구리스도포단계는 케이블 표면 피복층을 형성하기 이전 구리스를 도포하는것이다. 구리스도포는 케이블의 이송과정 중, 구리스용기 내부에 케이블이 침지되며, 케이블 표면에 구리스가 표면장력에 의해 부착되는 특징을 가진다. 구리스를 도포하는 이유는 폴리머와 케이블 사이에 수밀성을 향상시키며, 케이블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장착단계는 일측에 삽입홀(210)이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앵커를 준비하는 앵커준비단계(S410); 상기 앵커준비단계 후, 상기 삽입홀 내주연을 가열하는 가열단계(S420); 상기 가열단계 후, 앵커삽입홀 내부로 케이블 탈피부(114)를 삽입하는 삽입단계(S430); 상기 삽입단계 후, 앵커의 삽입홀 외주연을 가압 변형하는 가압단계(S440);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앵커장차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앵커장착단계는 피복이 탈피된 부분에 앵커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앵커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내부에 삽입홀(210)을 형성하며, 타측은 외부에 나사산(220)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홀에 탈피된 케이블을 삽입한 후, 앵커 외부에 하중을 가해 압착하여 고정해야 된다. 앵커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자, 가열단계가 수반된다. 상기 가열단계는 화염에 의해 가열하거나, 고주파 가열봉(741)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가열봉은 복수의 엑츄에이터(742)에 의해 작동된다. 또는 로봇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결합앵커는 그립(743)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가열됨이 바람직하다.
가열된 삽입홀은 그립의 이동에 의해 케이블과 결합된다. 결합된 앵커는 외주연에 형성된 가압금형(751)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가압금형은 복수로 형성된다. 가압금형은 유압실린더(752)로 가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금형의 가압력을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가압제어기(753)에 의해 가압력을 제어한다. 이는 케이블 외주에 앵커가 일정한 하중으로 결합되기 위함이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장착단계는 상기 결합앵커 일측 내부로 케이블 일부를 삽입하는 부분삽입단계(S451); 상기 부분삽입단계 후, 케이블 및 결합앵커를 동시에 압출금형으로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S452); 상기 제1성형단계 후, 변형된 결합앵커 일측 외주연을 나사 가공하는 제2성형단계(S453);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케이블 및 결합앵커를 고정하는 것이다. 케이블 일측 외부와 결합앵커 일측 내부는 부분 접촉된 상태를 형성하며, 압출금형(760)에 의해 2개의 구성(케이블 및 결합앵커)이 압착되어 결합된다. 결합앵커의 외형치스는 압출금형(760) 정형부(762)에 의해 정해진 치수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결합앵커(200)는 내부가 관통된 관통구(220)를 형성하며, 압출금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구는 케이블과 결합되어 압착되며, 외부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변형전 결합앵커는 금형내부로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230)을 형성하며, 결합앵커 타측은 가압대(771)와 접촉되며, 가압대는 유압실린더(773)의 힘으로 결합앵커를 금형에 삽입시킨다.
가압대 일면에는 케이블이 부분 삽입되는 삽입구(772)를 형성한다. 이는 압출금형에 의해 결합앵커가 변형되는 중간에 케이블 위치가 중심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제2성형단계는 결합앵커 타측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성형된 결합앵커는 회전체(781)와 고정되어 회전되며, 동시에 일정한 속도로 축 방향으로 전진된다. 전진과정 중, 바이트(782)에 의해 나사산을 형성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케이블 결합 앵커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블결합 앵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과 고정된 앵커에 대한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물건에 대한 것이며, 최종형상은 피복된 케이블 탈피된 케이블로 이루어진 케이블, 상기 탈피된 부분에 앵커가 결합된 케이블의 형성을 가진다.
앵커를 가열하여 열변형 가능하게 하며,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앵커와 케이블을 고정하는 방법에 대한 특정사항이 존재하므로 방법적 기재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가열방법을 사용하여 외부가압방법은 앵커의 삽입홀의 내주연이 케이블과 열율착 되기 위함이며, 또한, 앵커의 표면이 케이블의 단위케이블에 형성된 꾜여진 모양을 수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방법적 기재에 의해 물건을 특정할 수 밖에 없는 특별한 사정이 존재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외부에 폴리머층으로 피복된 피복케이블(100); 상기 피복케이블 끝단과 결합되는 실시예 4-1의 케이블 결합앵커(200); 일측이 외부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케이블 결합앵커와 결합되는 베이스결합체(400); 일측이 상기 베이스결합체와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결합앵커 및 피복케이블을 수용하는 커버(500);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실시예 5-2]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복수의 철사가 꼬여 이루어진 단위케이블(111); 상기 단위케이블이 복수로 꼬여 이루어진 케이블나선(112);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나선 외주연에 폴리머로 형성된 피복(113); 상기 케이블나선 외주연에 폴리머가 탈피되어 형성된 탈피부(1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 등)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케이블과 고정되는 앵커,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체, 상기 케이블 고정체 및 베이스결합체를 결합하는 커버,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베이스결합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에 작용하는 하중은 앵커와 결합된 베이스결합체에 의해 힘이 전달되며, 추가적인 고정력은 케이블 고정체에 의해 2차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앵커는 베이스결합체와 직접적인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2차로 케이블 외측면에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앞에서 제시한 케이블은 단위케이블이 복수로 형성되며, 단위케이블이 일체로 꼬여 케이블나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블 부는 피복케이블(100)을 형성할 수 있다. 피복층이 앵커와 결합될 경우, 폴리머 붕괴에 의해 결합이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피복을 탈피하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이 앵커와 함께 고정되어야 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결합앵커 및 상기 베이스결합체 사이에 결합되는 소켓(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원통형상이며, 일측은 상기 케이블 결합앵커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610); 상기 소켓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결합체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6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소켓 및 상기 커버에 위치하며, 링형상으로 형성된 스페이서(630);를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가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5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재질은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 중 케이블 및 베이스결합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버 내부에 소켓을 장착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켓일측은 앵커와 결합되며, 베이스결합체와 결합된다. 소켓은 각각의 앵커 및 베이스결합체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된다. 소켓은 커버 내부에 수용되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스페이서의 내측은 소켓을 삽입하며, 외측은 커버 내부에 삽입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넛형상을 취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외부변형에 탄력적인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측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복케이블 외주연과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체(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체는 내주연은 케이블과 접촉되는 접촉면(311)을 형성하며, 외주연은 제1경사면(312)을 형성하며, 복수로 형성된 압착링(310); 링형상이며, 복수의 이송구(322)가 균일간격 배치되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되는 제2경사면(321)을 형상하는 가압링(320); 상기 가압링의 이송구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330)를 지지하는 고정링(340); 내부의 슬라이딩면(351)에 의해 상기 가압링과 접촉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링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케이스(3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8-2]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 내주연에 형성된 실링(360);을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 내주연에 형성되며, 복수로 형성된 널링부(313);를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3에 있어서, 상기 널링부는 홈과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이 삼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7-1 등, 실시예 8-1 등)은 케이블 고정체에 대한 발명이다. 케이블 고정체는 케이블외주연 원주방향으로 결합력을 발생시켜, 2차적인 체결력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피복 케이블 단면은 원형형태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중간부 외부는 복수로 분개된 다수개의 압착링이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중심으로 압착되는 특징을 가진다.
압착링의 작동은 가압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압착링과 가압링은 경사접촉을 가진다. 상기 경사접촉은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경사면을 가지는 가압링은 케이블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가압링과 경사접촉되는 압착링은 경사력으로부터 분지되는 반경방향 힘에 의해 케이블을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링은 복수로 형성된 체결볼트의 체결력으로 이동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결합체 케이스에 위치가 고정된다.
수분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링의 외주연 및 내주연은 고무소재의 오링을 삽입하여 실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링과 케이블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압링 표면은 널링을 형성한다. 상기 널링은 돌출된 복수의 돌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는 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는 일방향성을 가지는 톱니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톱니방향은 케이블 중심축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100 : 피복케이블 111 : 단위케이블
112 : 케이블나선 113 : 피복
114 : 탈피부 200 : 케이블 결합앵커
210 : 삽입홀 300 : 케이블 고정체
310 : 압착링 311 : 접촉면
312 : 제1경사면 313 : 널링부
320 : 가압링 321 : 제2경사면
322 : 이송구 330 : 체결볼트
340 : 고정링 350 : 케이스
351 : 슬라이딩면 360 : 실링
400 : 베이스결합체 500 : 커버
600 : 소켓 610 : 암나사부
620 : 숫나사부 630 : 스페이서
711 : 릴 712 : 릴구동모터
713 : 릴구동제어기 714 : 제1절단칼
721 : 지지롤러 731 : 금형
732 : 워터자켓 733 : 분사노즐
734 : 포집용기 735 : 이송관
736 : 필터 737 : 케비티
741 : 가열봉 742 : 엑츄에이터
743 : 그립 751 : 가압금형
752 : 유압실린더 753 : 가압제어기

Claims (8)

  1. 케이블나선(112) 및 결합앵커(200) 고정방법에 있어서,
    릴(711)에 감겨진 케이블나선을 준비하는 케이블 준비단계(S100);
    상기 케이블 준비단계 후, 케이블나선 외주연을 폴리머로 피복하는 피복단계(S200);
    상기 피복단계 후, 피복케이블(100) 끝단의 피복을 부분 탈피하는 탈피단계(S300);
    상기 탈피단계 후, 탈피된 탈피부(114)에 결합앵커(200)를 고정하는 앵커장착단계(S400);
    상기 케이블 준비단계 후, 피복단계로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의 진출속도에 따라 릴(71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릴속도제어단계(S110);
    상기 피복단계는 케이블이 길이방향진행을 위해 복수의 지지롤러(721)에 의해 변형을 이완시키는 이완단계(S210);
    상기 이완단계 후, 금형(731)내부로 케이블이 연속 공급되는 케이블 공급단계(S212);
    상기 케이블 공급단계 후, 케이블 외주연에 구리스를 도포하는 구리스도포단계(S2121);
    상기 구리스도포단계 후, 케이블 외면에 폴리머를 도포하는 도포단계(S213);
    상기 도포단계 후, 피복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214);를 포함하고, 상기 이완단계(S210)에서의 지지롤러(721)는 장구형태의 롤러가 케이블 양측에 위치하여 하나의 롤러쌍을 형성하며,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열되며, 각각의 롤러쌍은 상이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장착단계는 일측에 삽입홀(210)이 형성되며, 타측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앵커를 준비하는 앵커준비단계(S410);
    상기 앵커준비단계 후, 상기 삽입홀 내주연을 가열하는 가열단계(S420);
    상기 가열단계 후, 앵커삽입홀 내부로 케이블 탈피부(114)를 삽입하는 삽입단계(S430);
    상기 삽입단계 후, 앵커의 삽입홀 외주연을 가압 변형하는 가압단계(S440);를 포함하는 케이블나선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4. 케이블 결합 앵커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케이블결합 앵커.
  5. 케이블 고정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폴리머층으로 피복된 피복케이블(100);
    상기 피복케이블 끝단과 결합되는 청구항 4의 케이블 결합앵커(200);
    일측이 외부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케이블 결합앵커와 결합되는 베이스결합체(400);
    일측이 상기 베이스결합체와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결합앵커 및 피복케이블을 수용하는 커버(500);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결합앵커 및 상기 베이스결합체 사이에 결합되는 소켓(600);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측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복케이블 외주연과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체(300);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체는 내주연은 케이블과 접촉되는 접촉면(311)을 형성하며, 외주연은 제1경사면(312)을 형성하며, 복수로 형성된 압착링(310);
    링형상이며, 복수의 이송구(322)가 균일간격 배치되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되는 제2경사면(321)을 형상하는 가압링(320);
    상기 가압링의 이송구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330)를 지지하는 고정링(340);
    내부의 슬라이딩면(351)에 의해 상기 가압링과 접촉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링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케이스(350);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200075238A 2020-06-19 2020-06-19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2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238A KR102220814B1 (ko) 2020-06-19 2020-06-19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238A KR102220814B1 (ko) 2020-06-19 2020-06-19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814B1 true KR102220814B1 (ko) 2021-02-25

Family

ID=7473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238A KR102220814B1 (ko) 2020-06-19 2020-06-19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8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95Y1 (ko) 2000-06-28 2000-12-15 주식회사대붕신구조 타이 케이블 볼트 제조용 다이
KR20050091227A (ko) 2004-03-11 2005-09-15 나정숙 타이 케이블 볼트 제조용 다이 및 슬리브
KR20100004157A (ko) * 2008-07-03 2010-01-13 주식회사신화기공 타이 케이블의 제작 방법
KR101505400B1 (ko) 2014-10-16 2015-03-25 박정환 케이블 앵커 보호관용 다기능 보호캡 및 이를 적용한 케이블 정착구
KR20170058574A (ko) 2015-11-19 2017-05-29 나정숙 타이 케이블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9841B1 (ko) * 2016-08-25 2017-06-08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95Y1 (ko) 2000-06-28 2000-12-15 주식회사대붕신구조 타이 케이블 볼트 제조용 다이
KR20050091227A (ko) 2004-03-11 2005-09-15 나정숙 타이 케이블 볼트 제조용 다이 및 슬리브
KR20100004157A (ko) * 2008-07-03 2010-01-13 주식회사신화기공 타이 케이블의 제작 방법
KR101505400B1 (ko) 2014-10-16 2015-03-25 박정환 케이블 앵커 보호관용 다기능 보호캡 및 이를 적용한 케이블 정착구
KR20170058574A (ko) 2015-11-19 2017-05-29 나정숙 타이 케이블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9841B1 (ko) * 2016-08-25 2017-06-08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연속식 케이블 수축튜브 융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1500A (en) Composite rope having molded-on fixing member at end portion thereof
US9975287B2 (en) Strain relief for connector and cable interconnection
CN105074309B (zh) 用于管道连接的压入接头和用于压入接头的工具
JP2008535006A (ja) 光ケーブ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製造されたケーブル
EP2764587B1 (en) Low pressure molded strain relief for coaxial connector interconnection
CA2013886C (en) Method for forming fixing end portion of composite rope and composite rope having fixing end portion
WO20120062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uniaxial compression stresses to a moving wire
KR102220814B1 (ko) 교량용 케이블, 교량용 케이블 및 결합앵커 고정방법, 교량용 케이블 고정장치
US20110162881A1 (en) Well Seal for Electrical Wiring
CA2445849C (en) Inspection apparatus housing electrical cable
US604758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tube with at least one optical fiber therein
US20130334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uniaxial compression stresses to a moving wire
KR200206795Y1 (ko) 타이 케이블 볼트 제조용 다이
KR100558595B1 (ko) 타이 케이블 볼트 제조용 다이 및 슬리브
EP0927090A1 (de)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ischen röhrchens für lichtwellenleiter
KR200206794Y1 (ko) 타이 케이블 볼트 제조용 다이
JP4068982B2 (ja) 繊維複合線材端部の定着構造及び定着形成方法並びに定着された繊維複合線材の取付け構造
KR200203650Y1 (ko) 타이 케이블 볼트 제조용 슬리브
AU2050399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n optical core for a telecommunications cable
JPH0116799Y2 (ko)
CA2132703C (en) Push-pull cable made using porous expanded fibril oriented ptfe tape
JP420703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CA221039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tubular profile and internal cooling unit for such a method
KR940008701B1 (ko) 타이볼트 제조용 다이 및 타이볼트 제조 방법
CN213512556U (zh) 一种抱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