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510B1 - 주선기용 스톤몰드 - Google Patents

주선기용 스톤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510B1
KR101739510B1 KR1020160163240A KR20160163240A KR101739510B1 KR 101739510 B1 KR101739510 B1 KR 101739510B1 KR 1020160163240 A KR1020160163240 A KR 1020160163240A KR 20160163240 A KR20160163240 A KR 20160163240A KR 101739510 B1 KR101739510 B1 KR 10173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erro
stone
stroke
type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6016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00Pig or like ca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6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rs for pig-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가 발생하지 않고, 페로 망간 또는 페로 실리콘의 배출이 용이한 주선기용 스톤몰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선기용 스톤몰드는, 서로 이격된 제1스트로크와 제2스트로크에 의해 폐순환하는 밸트를 포함하고, 페로형 첨가제를 주조하는 주선기에 장착되는 스톤몰드로서, 몰드홀더; 상기 몰드홀더에 수용되며 여러 개의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몰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는 석(石)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선기용 스톤몰드{STONE MOLD FOR C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선기용 스톤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로 망간 또는 페로 실리콘의 배출을 편리하게 하고, 쉽게 분쇄되게 하는 주선기용 스톤몰드에 관한 것이다.
철강은 철을 기본으로 하여 다수의 첨가제들이 투입되며, 첨가제들의 조성비에 따라 다양한 특성 또는 성질을 갖는 철강을 제조한다.
이때 첨가제들은 순수물질로 투입되는 경우도 있으나, 일부 첨가제의 경우에는 페로형 첨가제로 투입된다. 페로형 첨가제는 철과 해당 첨가물이 혼합된 각편 형태로 대표적으로 페로 망간과 페로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이중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은 페로 망간으로 상기 페로 망간은 철과 실리콘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산업적 용도를 가지나, 그 중 대표적인 용도는 제강 공정에서의 사용이다.
이하에서는 페로형 첨가제 중 페로 망간에 대하여 설명하나, 다른 페로형 첨가제 역시 동일한 특성을 가진다.
제강 공정에서 활용되는 페로형 첨가제의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외부 공정에서 제조된 페로형 첨가제를 용해로를 통하여 용융시킨다.
페로형 첨가제의 용융이 완료되면, 단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몰드셋에 용융 페로형 첨가제를 투입하여 단일 사각형 평판 형태로 주조한다. 그 후, 평판 페로형 첨가제를 낙하하여 파쇄시킴으로써 각편으로 나눈다.
그러나 종래의 주선기용 몰드의 재질은 용융점이 낮은 금속 재질이기 때문에 용융된 페로형 첨가제가 몰드에 융착하여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주조가 완료된 페로형 첨가제 평판은 주선기에서 낙하되어 파쇄되는데, 낙하시 분진과 소음이 발생되며, 파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가 쉽게 배출될 수 있고, 낙하시 쉽게 파쇄될 수 있는 주선기용 스톤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선기용 스톤몰드는, 서로 이격된 제1스트로크와 제2스트로크에 의해 폐순환하는 밸트를 포함하고, 페로형 첨가제를 주조하는 주선기에 장착되는 스톤몰드로서, 몰드홀더; 상기 몰드홀더에 수용되며 여러 개의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몰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는 석(石)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石)재료는, 알루미나-탄화규소-탄소 화합물(Al2O3-SiC-C), 탄화규소-탄소 화합물(SiC-C) 또는 탄소(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石)재료의 용융점은, 3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石)재료의 열팽창률은, 3.3×10^-6/℃ 이상 6.0×1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티의 하부는 도립된 돔 형태이고, 상부는 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티의 상부는 위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부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몰드홀더와 상기 몰드부는 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볼트홀의 직경은 상기 볼트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홀더의 내측면과 상기 몰드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선기에서, 상기 제2스트로크의 위상은 상기 제1스트로크의 위상보다 높고, 상기 제2스트로크에서 페로형 첨가제가 낙하되고, 페로형 첨가제가 낙하되는 지점에는 낙하슈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스트로크의 위상은 동일하여 상기 주선기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몰드부의 재질은 용융점이 높은 석(石)재이기 때문에 주조가 완료된 페로형 첨가제가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몰드부의 캐비티는 여러 개(분할 주조, 기존 평판 형태의 캐비티보다 체적이 작음)이고, 돔 형태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는 좁은 낙차로도 쉽게 파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선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스톤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톤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톤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톤몰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스톤몰드가 밸트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선기와 낙하슈트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선기가 수평하게 배치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스톤몰드가 장착되는 주선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주선기의 구성도이다. 주선기(1)는, 페로형 첨가제(페로 망간, 페로 실리콘)를 주조용으로, 제1,2스트로크(3,4), 밸트(5), 및 지지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는 밸트(5)와 결합하여 주선기(1)에 장착하게 된다.
제1,2스트로크(3,4)는 공지의 스트로크로 밸트(5)와 치합하여 밸트(5)를 폐순환시킨다. 제1,2스트로크(3,4)는 위상차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전방에는 제1스트로크(3)가 배치되고, 제2스트로크(4)는 후방에 배치된다. 또, 제2스트로크(4)의 위상은 제1스트로크(3)의 위상보다 높다. 따라서 주선기(1)는 후방으로 갈수록 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밸트(5)는 스톤몰드(100)를 이송시키는 부재로, 제1,2스트로크(3,4)와 치합되어 폐순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제1,2스트로크(3,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밸트(5)는 주선기(1)의 상부에서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주선기(1)의 하부에서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나아가 밸트(5)는, 제1스트로크(3)에서 외곽으로 커브되어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고, 제2스트로크(4)에서 외곽으로 커브되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한다. 스톤몰드(100)는 밸트(5)에 결합되어 밸트(5)에 의해 이송된다. 이 경우, 스톤몰드(100)는 복수 개로 밸트(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주선기(1)의 전방에는, 위로 이격되어 급탕기(2)가 위치한다. 급탕기(2)에서 용융된 페로형 첨가제는 주선기(1)의 전방 상부에 배치된 스톤몰드(100)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톤몰드(100)의 캐비티(cavity)는 직립된 상태로, 용융 페로형 첨가제를 수용하게 된다. 스톤몰드(1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페로형 첨가제는 냉각되어 주조가 완료된다. 스톤몰드(100)는 제2스트로크(4)에서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스톤몰드(100)의 캐비티는 기울어져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가 배출된다. 따라서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는 낙하 후 파쇄된다. 그 후, 스톤몰드(10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1스트로크(3) 인근을 지나 급탕기(2) 인근으로 재귀한다. 주선기(1)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며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를 생산한다. 지지부재(6)는 주선기(1)를 지지하는 기둥으로 밸트(5)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전방에 배치된 지지부재(6)는 후방에 배치된 지지부재(6)보다 더 길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비교예의 몰드셋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몰드셋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몰드셋은 몰드부(7)와 몰드홀더(8)를 포함한다. 몰드홀더(8)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몰드부(7)를 수용하는 구조이다. 비교예의 몰드부(7)는 금속재질이다. 따라서 몰드부(7)와 용융된 페로형 첨가제가 융착한다. 또, 몰드부(7)와 페로형 첨가제의 열팽창율이 비슷하고, 몰드부(7)의 재질적 특성에 의해, 냉각과정에서 페로형 첨가제가 몰드부(7)에 접합한다. 그 결과,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가 배출되기 어렵다.
한편, 제강공정에서, 페로형 첨가제는 각편으로 장입되기 때문에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를 파쇄하여 각편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주선기(1)는 상향 경사져 있고,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는 제2스트로크(4) 인근에서 낙하되고, 낙하에 의해 페로형 첨가제는 파쇄되어 각편으로 나눠진다. 그러나 비교예의 몰드셋의 캐비티는 단일의 평판 형태이기 때문에, 이에 의해 주조된 평판 형태의 페로형 첨가제에는 낙하 충격이 불균등하게 전파된다. 즉, 단일의 평판 형태의 페로형 첨가제는, 낙하에 의한 파쇄 효율이 좋지 않다. 따라서 파쇄시, 각편의 크기가 불균등하고, 높은 위상에서 낙하시켜야 하기 때문에,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3, 4, 5,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톤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스톤몰드가 밸트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는 몰드부(10-1,10-2,10-3)와 몰드홀더(20)를 포함한다.
몰드부(10-1,10-2,10-3)는 몰드홀더(20)에 수용되어 있다. 몰드부(10-1,10-2,10-3)는 몰드홀더(20)에 수용되어 있는 위치에 따라 우측몰드부(10-1), 중간몰드부(10-2) 및 좌측몰드부(10-3)로 구분될 수 있다. 우측몰드부(10-1), 중간몰드부(10-2) 및 좌측몰드부(10-3)는 몰드홀더(20)에 수용되어 있는 위치 외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가지므로 이하, 우측몰드부(10-1)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우측몰드부(10-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에 따르면, 우측몰드부(10-1)의 본체는 좌측면(11), 캐비티(12), 후방지지턱(13), 전방지지턱(14) 및 우측지지턱(15)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면(11)은 중간몰드부(10-2)의 우측면과 접하는 지점이다. 캐비티(12)는 페로형 첨가제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후방지지턱(13)은 후술하는 몰드홀더(20)의 후방판(25)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다. 우측몰드부(10-1)가 몰드홀더(20)에 수용되는 경우, 우측몰드부(10-1)의 후방면의 외측면은 몰드홀더(20)의 후방판(25)의 내측면과 접한다. 또, 우측몰드부(10-1)의 후방지지턱(13)의 아랫면은 몰드홀더(20)의 후방판(25)의 상부와 접한다. 그 결과, 우측몰드부(10-1)는 몰드홀더(20)에 의해 지지된다.
전방지지턱(14)은 후술하는 몰드홀더(20)의 전방판(21)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다. 우측몰드부(10-1)가 몰드홀더(20)에 수용되는 경우, 우측몰드부(10-1)의 전방면의 외측면은 몰드홀더(20)의 전방판(21)의 내측면에 접한다. 또, 우측몰드부(10-1)의 전방지지턱(14)의 아랫면은 몰드홀더(20)의 전방판(21)의 상부와 접한다. 그 결과, 우측몰드부(10-1)는 몰드홀더(20)에 의해 지지된다.
우측지지턱(14)은 후술하는 몰드홀더(20)의 측판(23)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다. 우측몰드부(10-1)가 몰드홀더(20)에 수용되는 경우, 우측몰드부(10-1)의 우측면의 외측면은 몰드홀더(20)의 측판(23)의 내측면과 대응한다. 또, 우측몰드부(10-1)의 우측지지턱(15)의 아랫면은 몰드홀더(20)의 측판(23)의 상부와 접한다. 그 결과, 우측몰드부(10-1)는 몰드홀더(20)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몰드부(10-1,10-2,10-3)는 석(石)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석(石)재료는, 알루미나-탄화규소-탄소 화합물(Al2O3-SiC-C), 탄화규소-탄소 화합물(SiC-C) 또는 탄소(C)이다. 특히, 탄소(C)는 흑연 또는 등방성 흑연 또는 이방성 흑연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몰드부(10-1,10-2,10-3)는, 30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융된 페로 실리콘 또는 페로 크롬이 융착되지 않고 손쉽게 배출된다.
또, 석(石)재료의 용융점은, 3000℃ 이상이다. 따라서 180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상태인 페로 실리콘 또는 페로 크롬은 몰드부(10-1,10-2,10-3)의 표면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다. 따라서 용융된 페로 실리콘 또는 페로 크롬이 융착되지 않고, 몰드부(10-1,10-2,10-3)로부터 손쉽게 배출된다.
또, 석(石)재료의 열팽창률(선열팽창률을 의미한다)은, 3.3×10^-6/℃ 이상 6.0×10^-6/℃ 이하이다. 따라서 최대로 팽창된 용융상태의 페로 망간 또는 페로 실리콘은 몰드부(10-1,10-2,10-3)에 담겨 접촉되는 순간부터 응고될 때까지 급속도로 수축이 되는 반면, 몰드부(10-1,10-2,10-3)의 변화는 미미하다. 따라서 페로 망간 또는 페로 실리콘은 몰드부(10-1,10-2,10-3)의 접촉면에서 저절로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용융된 페로 망간 또는 페로 실리콘은 융착되지 않고, 몰드부(10-1,10-2,10-3)로부터 손쉽게 배출된다.
우측몰드부(10-1)의 우측면과 몰드홀더(20)의 측판(23) 사이에는 탄성부재(27)가 개재된다.(도 6 참조) 이를 위해, 우측몰드부(10-1)의 우측면에는 수용홀(17)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용융된 페로형 첨가제가 공급되는 경우, 스톤몰드(100)의 온도가 증가하는데, 몰드홀더(20)의 열팽창율이 몰드부(10-1,10-2,10-3)의 열팽창율보다 높아 몰드홀더(20)가 더 팽창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에서는 몰드홀더(20)의 측판(23)의 내측면과 우측몰드부(10-1)의 우측면 사이에 탄성부재(27)가 개재됨으로써 몰드홀더(20)의 열변형에 의해 우측몰드부(10-1)와 몰드홀더(2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7)는 몰드홀더(20)의 열팽창에 의한 압력을 상쇄시키는 댐퍼(damper)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27)는 공업용 용수철로 수용홀(17)에 수용되어 몰드홀더(20)의 측판(23)과 우측몰드부(10-1)를 탄성지지한다.
우측몰드부(10-1)의 전방면과 후방면에는 여러 개의 볼트홀(16)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우측몰드부(10-1)와 몰드홀더(20)는 볼트(22)에 의해 결합하기 때문이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는, 볼트홀(16)의 직경이 볼트(22)의 직경보다 큰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용융된 고온의 페로형 첨가제가 우측몰드부(10-1)에 수용되는 경우, 볼트(22)의 열팽창율이 볼트홀(16)의 열팽창율보다 높아, 볼트(22)가 상대적으로 더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볼트(22)의 직경과 볼트홀(16)의 직경이 동일하다면, 볼트(22)의 열팽창에 의해 볼트(22)와 볼트홀(16)이 마모 또는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에서, 볼트홀(16)의 직경은, 스톤몰드(100)의 열팽창전 볼트홀(16)과 볼트(22)의 나사결합이 풀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우측몰드부(10-1)의 윗면에는 여러 개의 캐비티(12)가 형성되어 있다. 여러 개의 캐비티(12)는 전후 좌우로 열을 맞추어 배열되어 있다. 캐비티(12)의 상부는 위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판 형상이다. 즉, 캐비티(12)의 상부는 도립(倒立)된 절단두(頭) 사각뿔 형태이다. 캐비티(12)의 하부는 도립(倒立)된 돔 형태이다.
캐비티(12)의 상부의 도립(倒立)된 절단두(頭) 사각뿔 형태는, 급탕기(2)에서 공급되는 페로형 첨가제가 캐비티(12)의 내부에 원활히 수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 캐비티(12)의 상부가 위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은 페로형 첨가제가 넘치는 경우를 대비한 안전율을 의미한다. 나아가 페로형 첨가제가 넘치는 경우, 이웃하는 캐비티(12)로 가이드될 수 있다.
캐비티(12)의 하부는 도립(倒立)된 돔 형태이기 때문에 냉각되어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의 하부는 도립(倒立)된 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낙하시, 충격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는 돔 형태를 포함하므로 낙하시 파쇄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는 적당한 크기의 각편으로 나눠질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의 캐비티는 비교예의 스톤몰드의 캐비티와 달리 여러 개의 캐비티(12)가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고, 돔 형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교예의 단일 평판 형태의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페로형 첨가제는 주조 단계에서 이미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분할 주조되고, 낙하시 충격력이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강용으로 충분한 크기의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를 생산할 수 있다. 나아가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의 파쇄단계에서의 낙차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의 낙하에 의한 소음과 분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캐비티는, 연마기(미도시)에 의해 제작된다. 연마기의 연마부는 캐비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연마부의 외측은 다이아몬드 코팅에 의해 커버된다. 경도가 높은 석재료로 이루어진 몰드부(10-1,10-2,10-3)를 원활히 가공하기 위해서다. 연마부가 회전하며 연마하는 과정에 의해 몰드부(10-1,10-2,10-3)에 캐비티가 형성된다. 또, 다이아몬드 코팅된 연마부에 의해 캐비티의 표면은 매끈(낮은 조도)하게 연마되기 때문에 냉각된 페로 실리콘 또는 페로 크롬이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몰드홀더(20)는 전방판(21), 2개의 측판(23), 후방판(25) 및 하판(26)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몰드홀더(20)의 내부공간에는 몰드부(10-1,10-2,10-3)가 수용된다. 몰드홀더(20)는 금속 재질이다. 몰드홀더(20)의 전방판(21)과 후방판(25)에는 여러 개의 볼트(22)가 삽입되어 몰드홀더(20)와 몰드부(10-1,10-2,10-3)를 결합한다. 몰드홀더(20)의 우측에 위치한 측판(23)의 내측면과 우측몰드부(10-1)의 우측면 사이에는 탄성부재(27)가 개재된다. 또, 몰드홀더(20)의 좌측에 위치한 측판(23)의 내측면과 좌측몰드부(10-3)의 좌측면 사이에는 탄성부재(27)가 개재된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몰드홀더(20)가 열팽창하더라도 몰드부(10-1,10-2,10-3)는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몰드홀더(20)의 2개의 측판(23)의 외측면에는 그립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24)는 주선기(1)의 밸트(5)의 링크와 결합한다. 그 결과, 몰드홀더(20)는 주선기(1)에 장착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밸트(5)는 롤러(5-1)와 링크(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밸트(5)는 체인(chain)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링크(5-2)에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제1,2스트로크(3,5)의 기어이와 치합하고, 제1,2스트로크(3,5)의 회전에 의해 밸트(5)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몰드홀더(20)의 그립부(24)는 링크(5-2)의 내측면과 결합한다. 즉, 스톤몰드(100)는 밸트(5)와 결합하여 주선기(1)에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그립부(24)와 링크(5-2)의 결합을 위해, 그립부(24)와 링크(5-2) 사이에 별도의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가 장착된 주선기(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선기와 낙하슈트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선기가 수평하게 배치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에 의해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는, 낙하시 파쇄효율이 좋기 때문에, 낮은 낙차로도 제강용으로 적당한 각편으로 파쇄될 수 있다. 나아가 상향 경사지게 설계된 기존의 주선기(1)에도 장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는, 기존의 설비를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선기(1)의 제2스트로크(4)의 인근에 낙하슈트(9)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의 낙하식 분쇄에 의한 소음과 분진을 줄일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에 의해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는 분쇄효율이 좋으므로, 주선기(1)의 낙차보다 낮은 낙차를 가지는 낙하슈트(9)에 낙하되더라도 적당한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에 맞추어, 주선기(1)를 설계하는 경우,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선기(1)를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다. 즉, 제1,2스트로크(3,4)의 위상이 동일한 주선기(1)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톤몰드(100)에 의해 주조된 페로형 첨가제는 낮은 낙차로도 파쇄되기 때문에, 주선기(1)가 수평으로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충분한 파쇄력이 확보될 수 있다. 그 결과, 주선기(1)의 가동동력이 낮아질 수 있고, 주선기(1)의 상향 경사배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주선기 2: 급탕기
3: 제1스트로크 4: 제2스트로크
5: 밸트 6: 지지부재
9: 낙하슈트
7, 10-1,10-2,10-3: 몰드부, 우측몰드부, 중간몰드부, 좌측몰드부
11: 좌측면 12: 캐비티
13: 후방지지턱 14: 전방지지턱
15: 우측지지턱 16: 볼트홀
17: 수용홀
8, 20: 몰드홀더 21: 전방판
22: 볼트 23: 측판
24: 그립부 25: 후방판
26: 하판 27: 탄성부재

Claims (10)

  1. 서로 이격된 제1스트로크와 제2스트로크에 의해 폐순환하는 밸트를 포함하고, 페로형 첨가제를 주조하는 주선기에 장착되는 스톤몰드로서,
    몰드홀더; 및
    상기 몰드홀더에 수용되며 분할된 여러 개의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몰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는 용융점이, 3000℃ 이상이고, 열팽창률이, 3.3×10^-6/℃ 이상 6.0×10^-6/℃ 이하인 석(石)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의 하부는 도립된 돔 형태이고, 상부는 위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판 형태이고,
    상기 몰드홀더의 내측면과 상기 몰드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기용 스톤몰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石)재료는, 알루미나-탄화규소-탄소 화합물(Al2O3-SiC-C), 탄화규소-탄소 화합물(SiC-C) 또는 탄소(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기용 스톤몰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몰드홀더와 상기 몰드부는 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볼트홀의 직경은 상기 볼트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기용 스톤몰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선기에서,
    상기 제2스트로크의 위상은 상기 제1스트로크의 위상보다 높고,
    상기 제2스트로크에서 페로형 첨가제가 낙하되고,
    페로형 첨가제가 낙하되는 지점에는 낙하슈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기용 스톤몰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스트로크의 위상은 동일하여 상기 주선기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기용 스톤몰드.
KR1020160163240A 2016-12-02 2016-12-02 주선기용 스톤몰드 KR10173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240A KR101739510B1 (ko) 2016-12-02 2016-12-02 주선기용 스톤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240A KR101739510B1 (ko) 2016-12-02 2016-12-02 주선기용 스톤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510B1 true KR101739510B1 (ko) 2017-05-24

Family

ID=5905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240A KR101739510B1 (ko) 2016-12-02 2016-12-02 주선기용 스톤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51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60B1 (ko) 2017-05-26 2018-09-17 주식회사 심팩 주선기 몰드
KR101942562B1 (ko) * 2017-08-30 2019-01-25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편 연속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942563B1 (ko) * 2017-08-30 2019-01-25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편 연속 제조장치의 용탕 공급장치 및 용탕 공급방법
KR101945380B1 (ko) * 2017-08-30 2019-02-07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편 연속 제조장치의 몰드부 냉각장치
WO2019045193A1 (ko) * 2017-08-30 2019-03-07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편 연속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79741B1 (ko) 2018-08-14 2019-05-17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무파쇄 주조 시스템
WO2021251555A1 (ko) * 2020-06-12 2021-12-16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용융물의 스플리팅을 통한 주조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60B1 (ko) 2017-05-26 2018-09-17 주식회사 심팩 주선기 몰드
KR101942562B1 (ko) * 2017-08-30 2019-01-25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편 연속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942563B1 (ko) * 2017-08-30 2019-01-25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편 연속 제조장치의 용탕 공급장치 및 용탕 공급방법
KR101945380B1 (ko) * 2017-08-30 2019-02-07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편 연속 제조장치의 몰드부 냉각장치
WO2019045193A1 (ko) * 2017-08-30 2019-03-07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편 연속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79741B1 (ko) 2018-08-14 2019-05-17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무파쇄 주조 시스템
US10882108B2 (en) 2018-08-14 2021-01-05 Jps Co., Ltd. System of non-crushing for casting
WO2021251555A1 (ko) * 2020-06-12 2021-12-16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용융물의 스플리팅을 통한 주조 시스템
KR20210154331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용융물의 스플리팅을 통한 주조 시스템
US11219942B1 (en) 2020-06-12 2022-01-11 Jps Co., Ltd. System for casting by splitting molten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510B1 (ko) 주선기용 스톤몰드
US73607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echanical comminu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US20010052374A1 (en) Metal mold for manufacturing amorphous alloy and molded product of amorphous alloy
JP5799110B2 (ja) 冶金スラグの造粒
WO2013176095A1 (ja) ショットブラスト用研削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403015A (zh) 凝固渣製造裝置、混凝土用粗骨材的製造裝置、凝固渣製造方法及混凝土用粗骨材的製造方法
KR101563363B1 (ko)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US10882108B2 (en) System of non-crushing for casting
JP2006192466A (ja) 希土類金属含有合金の鋳造装置
JP2015063414A (ja) 炭化ジルコニウムのインゴット及び粉末の製造方法
JPH1015422A (ja) 多結晶シリコンの破砕方法
KR101754067B1 (ko) 몰드, 몰드셋 및 주조장치
JP2008221320A (ja) 鋳造装置
JP2012176427A (ja) 金属溶製用溶解炉およびこれを用いた金属の溶製方法
JP2011079047A (ja) 金型取付構造、金型セット及びシェルモールド造型機
JPH1157516A (ja) 鋳造耐摩耗性中空球
KR100790097B1 (ko) 철,크롬,탄소 합금을 기재로 하는, 부식되지 않고모서리가 있는 쇼트 블라스팅연마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EP1500890A4 (en) PLASMAREAKTORABSCHEIDER
JP5748991B2 (ja) 粉末作製用ディスク
KR200237277Y1 (ko) 연속 주조기
CN107964574A (zh) 一种高炉主出铁沟
CN207547635U (zh) 一种熔融液流气箱保护装置
KR102127566B1 (ko) 용융 슬래그 입상화 장치 및 방법
JP2003290909A (ja) アーク鋳造装置
JP6107866B2 (ja) スラグ鋳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