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363B1 -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363B1
KR101563363B1 KR1020140012306A KR20140012306A KR101563363B1 KR 101563363 B1 KR101563363 B1 KR 101563363B1 KR 1020140012306 A KR1020140012306 A KR 1020140012306A KR 20140012306 A KR20140012306 A KR 20140012306A KR 101563363 B1 KR101563363 B1 KR 10156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silicon
cooling
casting
mold set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726A (ko
Inventor
여동훈
Original Assignee
여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동훈 filed Critical 여동훈
Priority to KR102014001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3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5/00Machines or plants for pig or like casting
    • B22D5/04Machines or plants for pig or like casting with endless cast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부분의 페로실리콘을 제강 공정에 투입 가능한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제강 공정의 부재료로 사용되는 페로실리콘을 주조하기 위한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용해로를 통하여 용융된 페로실리콘을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하는 용융 페로실리콘 분배 단계; 상기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은 연속하여 이송하는 금형셋을 이용하여 특정한 형상으로 주조하는 용융 페로실리콘 형상 주조 단계; 냉각장치를 통하여 페로실리콘과 금형셋을 냉각하는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 응고된 페로실리콘을 금형셋에서 추출하는 주조 페로실리콘 추출 단계; 페로실리콘이 추출된 금형셋을 냉각장치를 통하여 냉각하는 금형셋 냉각 단계; 및 금형셋 표면의 수분과 냉각을 위하여 건조장치를 통하여 건조하는 금형셋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Ferro silicon molding method}
본 발명은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강 공정에 적합한 페로실리콘의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로실리콘은 철과 실리콘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산업적 용도를 가지나, 그 중 대표적인 용도는 제강 공정에서의 사용이다.
강은 철을 기본으로 다양한 부재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부재료들은 강의 종류에 따라 그 범위를 달리하여 첨가된다.
실리콘 역시 강의 성질 개선에 이용되며, 상기 실리콘은 페로실리콘을 통하여 투입되므로, 페로실리콘 함량 관리 역시 제강 공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상기와 같은 페로실리콘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연강과 실리콘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은 강 폐기물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제조 방법이 비교적 단순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을 폐기물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12-0043216호에는 반도체나 태양광 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에 분철 및 제지슬러지 소각재를 혼합하여 혼합슬러지로 제조하고 혼합슬러지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에 물유리를 접착제로 사용하여 압축 성형시켜 성형 페로실리콘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페로실리콘은 자체의 특성으로 별도의 구성품을 이루기도 한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9-0130721호에는 전체 중량 중 실리콘 함량이 50 중량% 내지 75 중량%이며, 입경 크기가 0.1mm 내지 16mm 다수의 페로실리콘(Fe-Si) 조각 90 중량% 내지 95 중량%와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점결제만을 첨가하여 혼합시킨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제 1 입경을 갖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브리케트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제강 공정에서 활용되는 페로실리콘의 공정을 살펴보면, 외부 공정에서 제조된 페로실리콘을 용해로를 통하여 용융시킨다.
페로실리콘의 용융이 완료되면, 단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몰드에 용융 페로실리콘을 투입하여 단일 사각형 평판 형태로 주조한다.
주조가 완료된 페로실리콘 평판을 제강 공정 투입전에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파쇄한 후, 제강 공정에 투입하여 페로실리콘 투입 공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페리실리콘 평판 파쇄 시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생성되지 않으며, 또한 분쇄 시 페로실리콘 분말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페로실리콘은 제강 공정 투입 시 일정한 크기 범위인 경우 가장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작은 조각과 분말은 공정에 투입되지 못하여 재료의 손실이 되어 경제성에서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부분의 페로실리콘을 제강 공정에 투입 가능한 형태로 제조 가능한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제강 공정의 부재료로 사용되는 페로실리콘을 주조하기 위한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용해로를 통하여 용융된 페로실리콘을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하는 용융 페로실리콘 분배 단계; 상기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은 연속하여 이송하는 금형셋을 이용하여 특정한 형상으로 주조하는 용융 페로실리콘 형상 주조 단계; 냉각장치를 통하여 페로실리콘과 금형셋을 냉각하는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 응고된 페로실리콘을 금형셋에서 추출하는 주조 페로실리콘 추출 단계; 페로실리콘이 추출된 금형셋을 냉각장치를 통하여 냉각하는 금형셋 냉각 단계; 및 금형셋 표면의 수분과 냉각을 위하여 건조장치를 통하여 건조하는 금형셋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형셋은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장치에 의하여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형셋은 융융 페로실리콘을 수용하는 수용홀과 상기 수용홀에 작용하여 응고된 페로실리콘을 배출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조 페로실리콘 추출 단계에서 상기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주조 완료된 페로실리콘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와 상기 금형셋 냉각 단계에서의 냉각장치는 물을 안개형태로 분무하여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형셋 건조 단계에서 건조장치는 공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은 페로실리콘을 일차 용해하고, 용융된 페로실리콘을 체인장치를 통하여 회전하는 다수의 금형셋에 연속하여 주입하고, 주조된 페로실리콘은 자동으로 금형셋에서 배출하여 제강 공정에 투입하기에 최적의 크기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페로실리콘의 파쇄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높은 경제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을 위한 주조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배기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인장치의 구성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인셋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금형셋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금형셋의 배치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배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냉각장치와 건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의 절차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조 장치(100)를 통하여 수행된다.
상기 주조 장치(100)는 급탕기(1), 분배기(10), 체인장치(30), 금형셋(50), 냉각장치(80) 및 건조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탕기(1)는 통상의 급탕기와 동일한 구조로 별도의 용해로에서 용융된 페로실리콘을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 공간에 용융된 페로실리콘이 담겨져 있으며, 상기 분배기(10)에 용융 페로실리콘을 투입한다.
상기 분배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의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급탕기(1)를 통하여 투입된 용융 페로실리콘을 하부에 설치된 금형셋(5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10)는 네부에 일정한 높이의 분리벽(11)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11) 하부에는 복수의 연통홀(12)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벽(11)은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우측에 투입된 용융 페로실리콘이 상기 연통홀(12)을 통하여 좌측으로 이동하여 우측 공간에 투입되는 용융실리콘의 양이 변화되더라도 좌측으로 이동하는 융융 페로실리콘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10)의 좌측에는 상기 금형셋(50)에 융융 페로실리콘을 투입하는 안내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13)에는 복수의 안내홀(14)이 형성되어 상기 분배기(11)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홀(14)은 후술하는 금형셋(50)에 형성된 페로실리콘의 주조 홈의 수만큼 형성한다.
따라서, 우측 공간에 투입된 용융 페로실리콘은 상기 연통홀(12)을 통하여 좌측 공간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안내홀(14)을 통하여 상기 안내부(13)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금형셋(50)에 투입되므로, 급탕기(1)에서 투입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의 양이 변화하더라도 안내부(13)를 통하여 투입되는 융융 페로실리콘은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탕기(1)에서 제공하는 융융 페로실리콘이 유입되는 분배기(10)의 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면(15)이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단면 역시 투입면(15)이 절개된 형태로 구성하여 투입된 용융 페로시실콘의 비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분배기(10)의 내부는 내화물로 구성되며, 일측는 회전축(16)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나, 하단에 위치하는 비상장치(20)에 의하여 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비상장치(20)는 선형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며, 분배기(10) 내부에 과도한 용융 페로실리콘이 투입되거나, 하부에 위치하는 장치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작동도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10)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내부 공간에 담겨진 융융 페로실리콘이 금형셋(50)에 투입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분배기(10) 하단에는 체인장치(30)가 위치하며, 상기 체인장치(30)는 다수의 금형셋(50)이 결합하며, 상기 분배기(10)를 통하여 연속하여 배출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을 주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체인장치(30)는 바닥에 고정되는 지지부(2)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 스프로켓(31), 복수의 후 스프로켓(35), 상기 전 스프로켓(31)과 후 스프로켓(35)에 권취되어 이동하는 체인셋(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인장치(30)의 회전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39)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39)는 상기 전 스프로켓(31) 또는 후 스프로켓(35)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무한궤도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셋(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축(41), 상기 체인축(41)에 회전 결합하는 고정판(42), 상기 체인축(41) 끝단에 회전 고정되는 롤러(43), 상기 체인축(41)의 끝단에서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체인축(41)과 연결을 위한 링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42)이 체인셋(4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체인축(41)은 각 측면에만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판(42)은 상기 링크(45)와 동일한 방식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체인축(41)에도 회전 고정된다. 즉, 2개의 체인축(41)에 결합한다.
상기 롤러(43)는 상기 전 스프로켓(31) 및 후 스프로켓(35)에 형성된 홈(32, 36)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셋(40)은 상기 전 스프로켓(31) 및 후 스프로켓(35)이 회전하면, 연속하여 상기 롤러(43)가 상기 홈(32, 36)에 안착되어 이동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4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형셋(50)이 고정된다.
상기 금형셋(50)은 내부에 용융 페로실리콘을 수용하여 냉각하는 다수의 수용홀(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홀(5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7개가 병렬로 연결되고, 전체 2열이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한 경우 상기 수는 변경 가능하다.
상기 수용홀(51)의 병렬 수는 상기 안내홀(14)의 개수와 일치시키고, 안내홀(14)의 간격 역시 상기 수용홀(51)의 측면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안내홀(14)에서 배출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이 상기 수용홀(51) 중앙에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홀(51)은 내부 차단벽(52)을 통하여 구분되며, 상기 내부 차단벽(52)의 상단은 수용홀(51)을 향하는 부분으로 경사진 경사면(5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2)은 용융 페로실리콘이 상기 내부 차단벽(52)에 투입되는 경우 각각 수용홀(5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4개의 외부 차단벽(54) 역시 수용홀(51)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55)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55) 역시 용융 페로실리콘을 상기 수용홀(5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금형셋(50)의 전방에 위치한 외부 차단벽(54)에는 상단 가이드(60)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가이드(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하는 금형셋(50)의 후방 외부 차단벽(54)을 수용하며, 상기 상단 가이드(60)의 상부에는 역시 양방향으로 경사면(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61) 역시 금형셋(50)과 금형셋(50) 사이에 투입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을 각각 수용홀(5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상단 가이드(60) 하부에는 전방에 위치하는 후단 외부 차단벽(54)이 위치하고, 상기 금형셋(50)이 스프로켓(31, 35) 상에 위치하는 경우,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수용하기 위하여, 즉, 외부 차단벽(54)이 상기 상단 가이드(6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단 가이드(60) 하단은 곡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형셋(50)의 수용홀(51) 하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장치(70)가 구성된다.
상기 배출장치(70)는 수용홀(51)을 관통하는 배출홀(71)과 상기 배출홀(71)을 삽입되는 배출로드(72), 상기 배출로드(72)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73), 상기 금형셋(50)과 상기 배출로드(7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73)가 상기 배출홀(71)을 페쇄시키도록 작용하는 스프링(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로드(72) 하단은 상기 금형셋(50)외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배출로드(72) 하단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헤드(73)가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수용홀(51)에 용융 페로실리콘이 투입된 후, 응고되고, 상기 배출로드(72)를 가압하면, 응고된 페로실리콘이 수용홀(51)에서 이탈한다.
한편, 상기 전 스프로켓(3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압부(33)가 결합되고, 상기 금형셋(50)이 상기 전 스프로켓(31)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배출장치(70)를 가압하여 응고된 페로실리콘을 상기 수용홀(51)에 이탈시키고, 이후 상기 금형셋(50)이 상기 전 스프로켓(31)에서 90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응고된 페로실리콘은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체인장치(40)의 상단 및 하단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80)가 위치한다.
상기 냉각장치(80)는 금형셋(50)을 냉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워트미스트 형식으로 구성되며, 물의 용량은 공급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의 양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구성하며, 체인장치(40) 전방 그리고 체인장치(40)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냉각장치(80)는 물의 안개형태로 분사하는 방식으로 금형셋(50)의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 증발하여 금형셋(50)을 냉각하나, 분배기(10)를 통하여 용융 페로실리콘이 상기 금형셋(50)에 접촉하는 경우 표면에 수분이 있는 경우, 수간적인 증발에 의한 위험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체인장치(40)는 건조장치(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90)는 체인장치(40) 하단 우측에 위치하여 분배기(10)에 근접하는 금형셋(50)을 최종적으로 냉각한다.
상기 건조장치(90)는 송풍기로 구성되며, 공냉식에 의하여 금형셋(50)의 온도 저감과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주조 장치(100)는 먼저 용융된 페로실리콘을 급탕기(1)를 통하여 이송한 후 상기 분배기(10)에 투입한다.
투입된 용융 페로실리콘은 상기 분배기(10)를 통하여 금형셋(50)에 서서히 투입된다.
금형셋(50)은 투입된 용융 페로실리콘이 수용홀(51)에 담겨져 서서히 응고된다.
이후 금형셋(50)은 체인장치(50)에 의하여 이송하면서 상단에 위치한 냉각장치(80)에 의하여 냉각된다.
이후에는 전 스프로켓(31)에 위치하는 가압부(33)에 의하여 배출장치(70)가 작동하여 응고된 페로실리콘을 배출한다.
이후 상기 금형셋(50)은 하단에 위치하는 냉각장치(80)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냉각된다.
이후에는 건조장치(9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냉각 건조되어 다시 분배기(10)의 하단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급탕기(1)가 주기적으로 용융 페로실리콘을 상기 분배기(10)에 투입하더라도, 상기 분배기(10)는 상기 금형셋(50)에 투입될 정도의 용융 페로실리콘만을 배출하므로, 연속하여 페로실리콘을 주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금형셋(50)은 내열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투입되는 페로실리콘의 양을 조절하는 경우 연강으로도 제작 가능하다. 이는 용융 페로실리콘이 상기 금형셋(50)에 투입되더라도, 상기 냉각장치(80) 및 건조장치(90)에 의하여 금형셋(50)이 충분히 냉각된 상태에서 상기 분배기(10) 하단으로 이송되기 때문이며, 특히 연강을 사용하는 경우 금형셋(50)의 일부 구성물이 상기 용융 페로실리콘으로 용출되더라도 제강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응고된 페로실리콘은 한변 또는 직경이 30mm 이상 70mm 이하인 육면체 또는 원기둥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실제 제강 공정 투입에 적절하므로, 상기 부피 범위 내에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형셋(50)에 형성되는 수용홀(51)은 상기 크기에 준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이후 별다른 가공없이 바로 제강공정의 부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체인장치(40)가 단일인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한 경우 상기 체인장치(40)는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인장치(40)를 복수개로 구성하는 경우 금형셋(50) 역시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므로, 분배기(10)의 안내홀(14)의 수도 연동하여 증가시키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 페로실리콘 분배 단계(S1), 용융 페로실리콘 형상 주조 단계(S2),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S3), 주조 페로실리콘 추출 단계(S4), 금형셋 냉각 단계(S5), 금형셋 건조 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용융 페로실리콘 분배 단계(S1)
페로실리콘 분배 단계(S1)는 용융된 페로실리콘을 금형셋(50)에 일정하게 투입하기 위한 단계로 별도의 용해로에 의해 용융된 페로실리콘을 급탕기(1)를 통하여 분배기(10)에 투입한 후, 상기 분배기(10)를 통하여 금형셋(50)에 분배하는 구성이다.
물론 상기 분배기(10)는 상기 금형셋(50)에 형성된 수용홀(51) 수와 동일한 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안내홀(14)에 통하여 수행된다.
용융 페로실리콘 형상 주조 단계(S2)
상기 단계(S1)를 통하여 분배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은 체인장치(40)를 통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금형셋(50)에 투입되어 제조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수용홀(51)에 안착되어 주조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용융 페로실리콘은 상기 금형셋(50)의 온도에 의하여 급격히 응고되기 시작하며, 상기 금형셋(50)은 상기 체인장치(40)를 통하여 계속적인 이송이 진행된다.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S3)
페로실리콘 형상 주조 단계(S2)에서 안착된 페로실리콘은 여전히 고온의 온도를 유지하므로, 별도의 냉각장치(80)에 의하여 냉각된다.
물론 상기 금형셋(50) 역시 상기 페로실리콘과 더불어 냉각된다.
상기 냉각장치(80)는 물을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냉각 및 안전에 유리하나, 다른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주조 페로실리콘 추출 단계(S4)
상기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S3)를 통하여 응고된 페로실리콘은 상기 금형셋(50)에 장착된 배출장치(70)를 통하여 금형셋(50)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페로실리콘은 별도로 수거되어 제강 공정에 투입된다.
금형셋 냉각 단계(S5)
상기 단계(S4)에서 페로실리콘을 배출한 금형셋(50)은 이후 공정에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냉각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냉각장치(80)를 통하여 냉각된다.
물론 상기 냉각장치(80)는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S3)의 냉각장치(8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 가능하며, 해당 위치만 달리한다.
금형셋 건조 단계(S6)
상기 금형셋 냉각 단계(S5)를 통하여 냉각된 금형셋(50)의 표면에는 수분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이후 공정의 안전을 위한 건조장치(90)를 통하여 건조가 수행된다. 상기 건조장치(90)는 공랭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형셋(50)의 건조와 냉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급탕기 2: 지지부
10: 분배기 11: 분리벽
12: 연통홀 13: 안내부
14: 안내홀 15: 투입면
16: 회전축 20: 비상장치
30: 체인장치 31: 전 스프로켓
32: 홈 33: 가압부
35: 후 스프로켓 36: 홈
39: 구동장치 40: 체인셋
41: 체인축 42: 고정판
43: 롤러 45: 링크
50: 금형셋 51: 수용홀
52: 내부 차단벽 53: 경사면
54: 외부 차단벽 55: 경사면
60: 상단 가이드 61: 경사면
70: 배출장치 71: 배출홀
72: 배출로드 73: 헤드
74: 스프링 80: 냉각장치
90: 건조장치 100: 주조 장치
S1: 용융 페로실리콘 분배 단계
S2: 용융 페로실리콘 형상 주조 단계
S3: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
S4: 주조 페로실리콘 추출 단계
S5: 금형셋 냉각 단계
S6: 금형 건조 단계

Claims (5)

  1. 제강 공정의 부재료로 사용되는 페로실리콘을 주조하기 위한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용해로를 통하여 용융된 페로실리콘을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하는 용융 페로실리콘 분배 단계;
    상기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되는 용융 페로실리콘은 연속하여 이송하는 금형셋을 이용하여 특정한 형상으로 주조하는 용융 페로실리콘 형상 주조 단계;
    냉각장치를 통하여 페로실리콘과 금형셋을 냉각하는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
    응고된 페로실리콘을 금형셋에서 추출하는 주조 페로실리콘 추출 단계;
    페로실리콘이 추출된 금형셋을 냉각장치를 통하여 냉각하는 금형셋 냉각 단계; 및
    금형셋 표면의 수분과 냉각을 위하여 건조장치를 통하여 건조하는 금형셋 건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금형셋은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장치에 의하여 순환되며,
    상기 금형셋은 융융 페로실리콘을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홀과 상기 각 수용홀에 작용하여 응고된 페로실리콘을 배출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조 페로실리콘 추출 단계에서 상기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주조 완료된 페로실리콘을 배출하며,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각 수용홀 하단에 장착되어 응고된 페로실리콘을 가압하여 배출하며, 상기 체인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 스프로켓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부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로실리콘 냉각 단계와 상기 금형셋 냉각 단계에서의 냉각장치는 물을 안개형태로 분무하여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셋 건조 단계에서 건조장치는 공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KR1020140012306A 2014-02-03 2014-02-03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KR10156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06A KR101563363B1 (ko) 2014-02-03 2014-02-03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06A KR101563363B1 (ko) 2014-02-03 2014-02-03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26A KR20150091726A (ko) 2015-08-12
KR101563363B1 true KR101563363B1 (ko) 2015-10-26

Family

ID=5405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306A KR101563363B1 (ko) 2014-02-03 2014-02-03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3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740B1 (ko) 2018-08-14 2019-08-28 여동훈 용융물 주조를 위한 러너 장치
KR102310993B1 (ko) 2020-06-12 2021-10-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용융물의 열적 손실 방지를 위한 러너 장치
KR20210154331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용융물의 스플리팅을 통한 주조 시스템
KR20230055788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전자파의 선택적 래디에이팅을 통한 용융물의 히팅이 가능한 러너 장치
KR20230055789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마이크로 웨이브의 선택적 조사를 통한 용융물의 히팅이 가능한 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11B1 (ko) * 2017-12-19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페로실리콘 선재토막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281A (ja) * 2002-01-18 2003-07-25 Jfe Steel Kk スラグの連続凝固装置の操業方法
JP2009255319A (ja) * 2008-04-14 2009-11-05 Showa Gosei Kk 突出ピン押出装置及び突出ピン作動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281A (ja) * 2002-01-18 2003-07-25 Jfe Steel Kk スラグの連続凝固装置の操業方法
JP2009255319A (ja) * 2008-04-14 2009-11-05 Showa Gosei Kk 突出ピン押出装置及び突出ピン作動ユニッ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740B1 (ko) 2018-08-14 2019-08-28 여동훈 용융물 주조를 위한 러너 장치
KR102310993B1 (ko) 2020-06-12 2021-10-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용융물의 열적 손실 방지를 위한 러너 장치
KR20210154331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용융물의 스플리팅을 통한 주조 시스템
US11219942B1 (en) 2020-06-12 2022-01-11 Jps Co., Ltd. System for casting by splitting molten material
US11465199B2 (en) 2020-06-12 2022-10-11 Jps Co., Ltd. Runner apparatus for preventing thermal loss of molten materials
KR20230055788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전자파의 선택적 래디에이팅을 통한 용융물의 히팅이 가능한 러너 장치
KR20230055789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마이크로 웨이브의 선택적 조사를 통한 용융물의 히팅이 가능한 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26A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280B1 (ko) 페로실리콘 주조 장치
KR101563363B1 (ko) 페로실리콘 주조 방법
CN203421971U (zh) 矿热炉自动加料车
CN107775000B (zh) 一种对重块热压成型工艺
JP2008151500A (ja) 組み合わせ伝導/対流炉
KR101994111B1 (ko) 페로실리콘 선재토막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157887B2 (en) Metal recovery system
US20110302961A1 (en) Method and auxiliary device for producing foam glass
KR101979741B1 (ko) 무파쇄 주조 시스템
KR101754067B1 (ko) 몰드, 몰드셋 및 주조장치
KR101605889B1 (ko) 제강용 페로형 첨가제 주조 장치
AU70399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of cooling hot bulk material
KR20200125839A (ko) 알루미늄 인고트 연속주조장치
RU2600297C2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расплавов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3207281A (ja) スラグの連続凝固装置の操業方法
US20040168550A1 (en) Method for accelerating separation of granular metallic iron from slag
CN111688086B (zh) 一种台球浇注用快速冷却降温装置
US1898722A (en) Casting machine
JPS5515911A (en) Glass plate cooling method
KR20160047514A (ko) 경금속 용탕으로 주조된 주물품을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KR101765947B1 (ko) 통합형 핫스탬핑 성형장치
US2044199A (en) Treatment of slag
CN207391488U (zh) 一种球铁铸件辅热冷却装置
JP2011214122A (ja) ホットブリケ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CN105834396A (zh) 一种压铸机自动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