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353B1 -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 Google Patents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353B1
KR101739353B1 KR1020160073990A KR20160073990A KR101739353B1 KR 101739353 B1 KR101739353 B1 KR 101739353B1 KR 1020160073990 A KR1020160073990 A KR 1020160073990A KR 20160073990 A KR20160073990 A KR 20160073990A KR 101739353 B1 KR101739353 B1 KR 10173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hermoplastic resin
bond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주)제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라원 filed Critical (주)제라원
Priority to KR102016007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353B1/ko
Priority to PCT/KR2017/006167 priority patent/WO20172177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7/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7/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7/04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질 또는 경질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와 동일 또는 다른 물성의 분자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상온에서 접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재 소재의 접합을 위한 결합제 조성물은 디클로로프로판과 비닐클로라이드 수지가 함유된 제 1조성물, 에틸아세테이트와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유된 제 2조성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메틸에틸켈론, 테트라하이드로퓨런이 포함되고 첨가제로 자외선 차단제, 대전방지제, 게르마늄 분말을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Binder Composition for Bonding Polymer Thermoplastic Materials, Method for Producing this Composition and Product Bonded by this Composition}
본 발명은 연질 또는 경질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와 동일 또는 다른 물성의 분자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상온에서 접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PMMA(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PC(폴리카보네이트),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ABS(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경질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포맥스 등의 경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및 TPU(써말 폴리우레탄), 연질 PVC, 인조피혁 등의 연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중에서 동일 또는 다른 재질의 소재들을 상온에서 열이나 물을 가하지 않고 접합시키는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에 관한 것이다.
동일 또는 다른 물성의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접합하는 기술은 광고 간판, 건축자재, 스포츠화, 가구, 수송기계 부품, 전자 부품, 대형 수족관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 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접합하기 위하여 접합되는 소재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키거나 열가소성 수지 소재에 열을 가하여 수지소재가 용융된 상태에서 융착 시키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 소재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수지 소재들을 접착시키는 방법은 건축자재, 가구, 광고 간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접착 강도가 높지 않고 시간이 경과하면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안정성이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른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를 접착한 경우 접착된 판재가 열 팽창시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된 소재를 절단하면 절단면의 파손, 크랙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열 융착하여 일체화하는 방법은 자동차 부품, 스포츠화등의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고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는 방법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열 융착 공정이 복잡하여 이용될 수 있는 분야가 제한적이다. 이종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열 융착하는 경우 성형조건의 설정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열 융착 부분의 접합강도 수명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열 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접합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상온에서 열이나 물을 가하지 않고 접합하여 접합용 결합제를 사용하여 일체화 접합시켜 접합강도를 접합 전 소재의 강도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오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접합부분이 변형되거나 변질되지 않으며 물 또는 습기에 의하여 접합부분이 변질되거나 변형되지 않으며 접합된 소재를 절단하더라도 절단면이 파손되지 않고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접합용 결합제를 사용하여 접합된 소재가 열 변형에 의해 휘어지지 않을 정도로 일체화시키는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은 디클로로프로판과 비닐클로라이드 수지가 함유된 제 1조성물, 에틸아세테이트와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유된 제 2조성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메틸에틸켈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은 테트라하이드로퓨런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첨가제로 자외선 차단제, 대전방지제, 게르마늄 분말을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은 디클로로프로판 90중량% 와 비닐클로라이드 수지 10 중량% 가 함유된 제 1조성물 18,000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90 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10중량%가 함유된 제 2조성물 2,000중량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0중량부, 메틸에틸케론 3,500 중량부로 포함되고 첨가제로 자외선 차단제 200중량부, 대전방지제 500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200중량부의 함유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은 디클로로프로판 90중량% 와 비닐클로라이드 수지 10 중량% 가 함유된 제 1조성물 2,000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90 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10중량%가 함유된 제 2조성물 18,000중량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0중량부, 메틸에틸케론 3,50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런 1,000중량부가 포함되고 첨가제로 자외선 차단제 200중량부, 대전방지제 500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200중량부가 함유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은 디클로로프로판 90중량% 와 비닐클로라이드 수지 10 중량% 가 함유된 제 1조성물 18,000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90 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10중량%가 함유된 제 2조성물 2,000중량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0중량부, 메틸에틸케론 3,500 중량부의 주성분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상온 45℃에서 1200 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교반, 혼합한 후 자외선 차단제 200중량부, 대전방지제 500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200중량부의 첨가제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주성분들의 교반 혼합시와 동일조건으로 교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은 디클로로프로판 90중량% 와 비닐클로라이드 수지 10 중량% 가 함유된 제 1조성물 2,000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90 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10중량%가 함유된 제 2조성물 18,000중량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0중량부, 메틸에틸케론 3,500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런 1,000중량부 의 주성분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상온 45℃에서 1200 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교반, 혼합한 후 자외선 차단제 200중량부, 대전방지제 500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200중량부의 첨가제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주성분들의 교반 혼합시와 동일조건으로 교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를 사용하여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접합한 제작물이 제작될 수 있으며, 접합되어지는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 중 하나는 인쇄되어진 것이고 인쇄면에서 접합되어진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접합한 제작물이 제작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제를 사용하여 접합된 열가소성 수지 소재는 접합강도가 접합전 원 소재의 강도 수준까지 높일 수 있어서 견고한 열가소성 수지 접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결합제를 사용하여 접합된 열가소성 수지 소재는 접합부분이 물이나 습기를 가하거나 또는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변질되거나 변형되지 않으며 접합된 소재를 절단하더라도 절단면이 파손되지 않고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제을 사용하여 이종의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일체화 접합시킬 수 있으며 접합된 소재에 열을 가하더라도 접합부분이 박리되거나 부풀어오르거나 휘어지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접합공정은 제조되어진 열가소성 수지 접합용 결합제를 도포 후 접합되는 소재를 올려놓고 열이나 물을 가하지 않고 단순히 가압하기만 하는 공정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어서 시설 및 설비 투자 및 제작 단가 면에서 매우 유리한 여건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제를 사용하여 인쇄된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인쇄면에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접합하면 본 발명의 결합제는 수지와 수지를 일체화 접합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수지 소재 사이의 인쇄층에 대해 방수, 방습 및 자외선에 의한 변색 방지 등의 보호층으로 작용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0.6mm PVC 데코필림에 0.125mm PC를 본 발명으로 접합한 제품(Koptri-1661588-2)과 PC를 접합하지 아니한 제품(Koptri-1661588-1)에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Koptri)가 실시한 인장강도, 좌우왕복마모, 뚫림강도 시험결과이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제품들에 대해 Koptri가 실시한 길이변화율 시험결과이다.
도 3은 도 1과 동일한 제품들{Koptri-1661558-3(코팅 전; 본 발명 미적용, 코팅 후: 본 발명 적용)에 대해 Koptri가 실시한 황변도 및 광택도 시험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도 1과 동일한 제품(Koptri-1661588-4)에 대해 Koptri가 실시한 박리강도 시험결과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을 위한 결합제는 주성분들을 호모믹서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교반 혼합시킨 후 첨가제들을 호모믹서에 순차적으로 추가 투입하여 교반혼합하여 제조한다.
우선 디클로로프로판 90중량% 와 비닐클로라이드 수지 10 중량% 가 함유된 제 1조성물 18,000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90 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10중량%가 함유된 제 2조성물 2,000중량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0중량부, 메틸에틸케론 3,500 중량부의 주성분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상온 45℃에서 1200 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교반, 혼합한다. 상기 주성분들이 혼합되면 자외선 차단제 200중량부, 대전방지제 500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200중량부의 첨가제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주성분들의 교반 혼합시와 동일조건으로 교반 혼합하여 경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를 제조한다.
위의 게르마늄 분말은 350 메시 이하의 작은 입자로 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자외선 차단제로 Ultra Violet SPF 40PA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페놀, 이소부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메탄올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IRGANOX 1010, 1010C, 245, 1076 또는 힌더드 아민의 일종인 Tinuvin 310, 325, 326, 327, 328, 510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위의 대전 방지제로 Antistatic Agent 3M lonic Luiquid Antistatic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은, 금, 니켈, 구리, 알루미늄, 카본, 그래파이트, 은-동, 은-유리, 은-카본, NI-MICA, 카본 섬유 등의 분말로 대체될 수 있다.
접합용 결합제 조성을 위해 주성분들을 먼저 교반 혼합한 후 첨가제들을 추가 투입하는데 결합제 주성분들과 첨가제들의 투입 순서는 바뀌어져도 무방하다.
위의 경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를 사용하여 수지 소재들을 접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접합되어지는 하나의 수재 소재 표면에 경질 열가소성 수지 결합제를 3~5μm 정도의 두께로 도포한 후 접합되어지는 다른 하나의 수지 소재를 올려 놓고 가압기에서 5~10 kg/㎠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접합한다. 경질 열가소성 수지 결합제는 동일 또는 이종 재질의 경질 열가소성 수재들을 접합하는데 적합하나 경질의 열가소성 수지 소재와 경질 소재보다 두께가 작은 연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접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제로 일체화 접합된 열가소성 수지 소재는 접합강도가 탁월하게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접합부분이 물이나 습기에 의하여 변형 또는 변질되지 않고 접합부분이 오랜 시간 경과되어도 박리되거나, 부풀어 오르거나, 휘어지지 않으며 접합부분을 절단하여도 절단면이 파손되지 않고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탁월한 효과를 발생시킴에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접합공정은 열가소성 수지 소재에 본 발명의 결합제를 도포 후 접합되는 소재를 올려놓고 열이나 물을 가하지 않고 단순히 가압하기만 하는 공정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어서 경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접합하는 결합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은 가구, 건축자재, 사무용품, 수송기계 부품, 전자부품, 스포츠용품, 완구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건축자재나 가구의 경우 경질 수지 소재의 프레임에 무늬 등이 인쇄된 수지소재의 인쇄된 배면을 본 발명으로 접합한 제품은 접합된 수지 소재가 박리되거나 부풀어오르거나 무늬가 변색되지 않는다.
대형 수족관은 높은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두꺼운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건설되어야 하는데 두꺼운 열가소성 수지 소재는 수요가 충분하지 아니하여 공장생산된 두꺼운 소재확보가 실질적으로 어렵다. 또한 대형수족관은 관객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소재로 건설되어야 하여야 하므로 철골 로 된 구조체에 여러 장의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겹치게 하는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으나 시공공정이 복잡하고 누수 발생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결합제를 사용하여 얇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2장 또는 2장 이상의 여러 장으로 접합하여 견고하게 일체화 접합된 두꺼운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투명도가 저해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로 된 수족관을 용이하게 건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을 위한 결합제도 경질수지용 결합제와 동일하게 주성분들을 호모믹서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교반 혼합시킨 후 첨가제들을 호모믹서에 순차적으로 추가 투입하여 교반혼합하여 제조하나 조성물 성분과 조성비가 경질수지용 결합제가 차이가 있다.
우선 접합용 결합제 조성을 위해 디클로로프로판 90중량% 와 비닐클로라이드 수지 10 중량% 가 함유된 제 1조성물 2,000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90 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10중량%가 함유된 제 2조성물 18,000중량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0중량부, 메틸에틸케론 3,50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런 1,000중량부 의 주성분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상온 45℃에서 1200 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교반, 혼합한다. 주성분들의 혼합이 완료된 후 자외선 차단제 200중량부, 대전방지제 500중량부, 게르마늄 분말(#350) 200중량부의 첨가제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주성분들의 교반 혼합시와 동일조건으로 교반 혼합하여 연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를 제조한다.
접합용 결합제 조성을 위해 주성분들을 먼저 교반 혼합한 후 첨가제들을 추가 투입하는데 결합제 주성분들과 첨가제들의 투입 순서는 바뀌어져도 무방하다.
위의 연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를 사용하여 수지 소재들을 접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접합되어지는 하나의 수재 소재 표면에 연질 열가소성 수지 결합제를 3~5μm 정도의 두께로 도포한 후 접합되어지는 다른 하나의 수지 소재를 올려 놓고 가압기에서 5~10 kg/㎠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접합한다. 연질 열가소성 수지 결합제는 동일 또는 이종 재질의 연질 열가소성 수재들을 접합하는데 적합하나 연질의 열가소성 수지 소재와 연질 소재보다 두께가 작은 경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접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제로 일체화 접합된 연질 열가소성 수지 소재는 접합강도가 우수하고 접합부분이 변형되거나 변질되지 않음에도 본 발명에 의한 실시공정이 단순하여 건축자재, 생활용품, 스포츠용품 등의 여러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 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는 인쇄된 열가소성 수지 소재 위에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소재를 접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접합과정에 인쇄된 열가소성 수지 소재와 위에 접합되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 사이에 접합용 결합제가 도포되지만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접합된 소재는 인쇄된 면이 위에 덮여진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의 작용으로 인하여 투명도의 저하 없이 인쇄된 상태를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위에 선명하게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용 결합제는 수지 소재 사이의 인쇄층 위에 도포됨으로서 보호층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인쇄층이 변질되거나 탈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접합용 결합제는 방수, 방습,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으로 접합된 인쇄물이 탈색되거나 변색되지 않고 오랫동안 선명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두께 0.6mm 인 인쇄된 PVC 데코필림에 두께 0.125mm 인 PC(폴리 카보네이트)를 본 발명에 방법으로 접합한 제품에 대해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가 시험하여 측정한 시험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인장강도, 좌우왕복마모율`, 뚫림강도, 황변도, 광택도 길이변화율 등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아니한 제품과 비교하여 크게 탁월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접합된 부분은 완전히 일체화된 정도로 접합된 수준의 박리강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인쇄물은 광고 간판, 가방, 사진 액자, 완구, 사무용품 등에서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디클로로프로판 90 중량% 와 비닐클로라이드 수지 10 중량%가 함유된 제 1조성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90 중량% 와 폴리우레탄 수지 10 중량%가 함유된 제2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제 1조성물, 상기 제 2조성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에틸케톤을 호모믹서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성물 2,000 중량부, 상기 제 2조성물 18,000 중량부,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0 중량부, 상기 메틸에틸케톤 3,500 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런 1,000 중량부의 주성분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교반 혼합한 후 자외선 차단제 200 중량부, 대전방지제 500 중량부 및 게르마늄분말 200 중량부의 첨가제들을 상기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 18,000 중량부, 상기 제 2조성물 2,000 중량부,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0 중량부 및 상기 메틸에틸케톤 3,500 중량부의 주성분들을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교반 혼합한 후, 자외선 차단제 200 중량부, 대전방지제 500 중량부 및 게르마늄분말 200 중량부의 첨가제들을 상기 호모믹서에 5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경질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5. 제 2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질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4항 또는 제5항의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를 사용하여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접합한 제작물.
  9. 제 8항에 있어서, 접합되어지는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 중 하나는 인쇄되어진 것이고 인쇄면에서 접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 접합용 결합제를 사용하여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을 접합한 제작물.
KR1020160073990A 2016-06-14 2016-06-14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KR10173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990A KR101739353B1 (ko) 2016-06-14 2016-06-14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PCT/KR2017/006167 WO2017217749A1 (ko) 2016-06-14 2017-06-14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990A KR101739353B1 (ko) 2016-06-14 2016-06-14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353B1 true KR101739353B1 (ko) 2017-06-08

Family

ID=5922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990A KR101739353B1 (ko) 2016-06-14 2016-06-14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9353B1 (ko)
WO (1) WO20172177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749A1 (ko) * 2016-06-14 2017-12-21 주식회사 제라원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3525B (zh) * 2017-07-24 2023-05-02 东莞金太阳研磨股份有限公司 用于抛光磨具的双层高分子复合基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8892B2 (ja) * 1998-12-23 2011-01-26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シアノアクリレート接着剤のための活性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6483B2 (en) * 2001-01-08 2003-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 including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DE102004001493A1 (de) * 2004-01-09 2005-08-04 Henkel Kgaa Spaltüberbrückender Cyanacrylat-Klebstoff
CN102365333B (zh) * 2009-12-10 2014-05-14 Dic株式会社 聚氨酯树脂组合物、涂覆剂及粘接剂以及使用其获得的固化物及固化物的制造方法
KR101297673B1 (ko) * 2011-04-26 2013-08-2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739353B1 (ko) * 2016-06-14 2017-06-08 (주)제라원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8892B2 (ja) * 1998-12-23 2011-01-26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シアノアクリレート接着剤のための活性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749A1 (ko) * 2016-06-14 2017-12-21 주식회사 제라원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749A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5701A (en) Composites of polyvinylidene fluoride alloys and thermoplastic polymers and their preparation
US9365748B2 (en) Carrier reinforced heat activated adhesive compounds
KR102046779B1 (ko) 개선된 재작업 능력을 나타내는 양면 코팅 테이프
JP2673951B2 (ja) ポリ弗化ビニリデンに対して非相溶性なポリマー樹脂に接着可能なポリ弗化ビニリデンと共押出可能な組成物と、この組成物を用いて得られる複合材料
CN1183795A (zh) 含有对增塑聚氯乙烯具有改进粘合性的压敏粘合剂的制品
CN107109147A (zh) 粘接性树脂层、粘接性树脂膜、层叠体及层叠体的制造方法
KR100667679B1 (ko) 재귀성 반사 시트
KR101739353B1 (ko)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 소재의 접합용 결합제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해 접합된 제작물
WO2021054350A1 (ja) センサパッケージおよびセンサパッケージの取付方法
TWI375821B (ko)
CA2598551A1 (en) Molded parts with mixed material surface area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KR20160034536A (ko)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143456A (ja) Pvdf、pmmaまたはこれらの混合物をベースとしたフィルムの熱硬化性樹脂物品の被覆での使用
ATE268262T1 (de) Für schuhe geeigneter verbundwerkstoff, verfahren zur dessen herstellung sowie den verbundwerkstoff beinhaltende schuheinlagen
US20080118713A1 (en) Polymer-Based Face Panel Veneer and Edgeband System for Producing Decorative Panels Having Increased Durability and Decorative Effect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oducing Such a System
JPH02124989A (ja) 積層スキー、その製造方法,及びスキー用靴パッド
JP6558121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US10207476B2 (en) Reinforced leather
JP2011031498A (ja) 多層フィルム
JPH0679835A (ja) 内装用化粧材
KR100890008B1 (ko) 자가 점착 필름
CN104212384B (zh) 一种耐高温的用于金属与pvc连接的胶粘剂的制备方法
CN209096185U (zh) 一种耐冲击的冲浪板
KR100859288B1 (ko) 접착층이 형성된 피이티 수지와 피이티 수지의 접착층형성방법
KR20160052091A (ko) 표면층으로 탄성층을 구비한 쿠션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