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278B1 -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 Google Patents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278B1
KR101739278B1 KR1020160122477A KR20160122477A KR101739278B1 KR 101739278 B1 KR101739278 B1 KR 101739278B1 KR 1020160122477 A KR1020160122477 A KR 1020160122477A KR 20160122477 A KR20160122477 A KR 20160122477A KR 101739278 B1 KR101739278 B1 KR 10173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upper plate
tap
personal comput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시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시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시모
Priority to KR102016012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8Mounting of power suppl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가 올려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모서리 부위 저면에 고정되는 네 개의 지지대와, 상기 상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되는 USB 포트와 오디오 포트를 구비하는 접속부와,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멀티탭 및 상기 멀티탭의 플러그 삽입구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멀티탭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의 높낮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Pedestal for persnal computer monitor}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기기와 인터페이스되는 접속수단과, 또한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탭을 구비하며, 받침대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다리의 높낮이를 원격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제품의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은 본체와, 모니터, 프린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과 같은 주변기기들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및 주변기기들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멀티탭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특히 모니터는 사용자의 건강상의 이유로, 설치되는 위치가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모니터는 책상 등에 설치되면 화면의 높이가 눈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모니터 화면이 낮으면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목이나 허리가 휘게 되고, 몸에 무리가 가서 거북목증후군이나 디스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모니터는 업무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책상에서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설치되어야 한다.
통상 적당한 모니터의 높이는 모니터를 3등분했을 때 윗쪽 1/3 부위가 눈높이에 있는 위치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니터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아니하여, 장시간 동안 업무를 하거나 학습을 할 때에는 업무 또는 학습에 집중하면서 등과 목이 구부려지거나 피로하게 되는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여,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모니터를 일정 높이만큼 높여서 퍼스널 컴퓨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용 받침대가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모니터용 받침대는 책상의 정리 정돈은 물론 책상의 활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키보드와 마우스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며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체와 모니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탭이 책상 아래의 안쪽과 같이 본체 및 주변기기와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으면, 전원을 제어하기가 어렵게 되며, 본체 및 주변기기들이 멀티탭에 항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 대기 전원이 발생하여 전원이 낭비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8720호에서는 측판 및 상판을 포함하면서, 상기 측판은 지면에 접지되고, 상기 상판의 양측면에 결합된 받침대의 후면에는 외부 전원을 수신하는 복수의 전원 멀티탭이 배치되고, 상기 상판의 전면에는 상기 복수의 전원 멀티탭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통해 멀티탭의 본체 및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멀티탭 장착 다목적 받침대가 제안되었다.
상기 멀티탭 장착 다목적 받침대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탭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근거리에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모니터 받침대가 언제나 전원 멀티탭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즉, 퍼스널 컴퓨터가 설치되는 장소와 근접한 위치에 멀티탭이 구비되고, 이러한 멀티탭을 사용하는 것으로 더욱 편리하게 되는 상황이라면, 굳이 모니터 받침대에 구비된 멀티탭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렇게 모니터용 받침대에 구비되어 있는 멀티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가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됨으로써 외관이 좋지 않게 되고, 더구나 접속구에 점차 먼지가 쌓여 가면서 불결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합선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용 받침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이, 상판 아래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에 의해 모니터 화면의 높이가 결정되고 있는데, 상기 지지대는 각각의 제품들 마다 약 10cm 내외의 높이로 획일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신체적 조건이 서로 다른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모니터 높이를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지지대는 3점 지지방식과 4점 지지방식이 있는데, 4점 지지방식은 네 개의 지지대 하단부가 바닥면에 접촉할 때 수평부정(水平不整, irregularity of level)이 발생하여 네 개의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하나는 지지되는 바닥의 표면에 닿지 않고, 미세한 공간을 형성하며 떨어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바닥의 표면에 닿는 세 개의 지지대와 닿지 않는 하나의 지지대 사이에 위상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흔들림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4점지지방식의 다리 구조로 되는 퍼스널 컴퓨터 모니터용 받침대는 책상 위에서 흔들리는 경우가 많아서, 위치를 이동하여 흔들리지 않는 위치를 찾거나, 사용자에 따라서 지지대 하부면과 책상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에 종이를 접어서 끼워주는 경우도 있어 사용에 불편함을 겪게 되는 것이었다.
10-1082794 B1 (2011. 11. 07.) 10-2015-0008750 A (2015. 01. 23.) 10-1357251 B1 (2014. 01. 23.)
본 발명의 목적은 퍼스널 컴퓨터 본체와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유에스비(USB) 포트와,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오디오 단자를 구비하여 컴퓨터 받침대로 사용되는 목적 이외에 다양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본체, 모니터, 휴대폰 충전기 또는 기타 전기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탭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서, 멀티탭을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은폐시킬 수 있게 되어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니터가 올려 놓여지는 받침대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의 높낮이를 스마트폰을 비롯한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원격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하부면이 책상 표면과 닿지 않는 지지대를 개별적으로 미세하게 승강이동시켜서 흔들림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가 올려 놓여지는 상판; 상기 상판의 모서리 부위 저면에 고정되는 네 개의 지지대; 상기 상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되는 USB 포트와 오디오 포트를 구비하는 접속부;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멀티탭; 및 상기 멀티탭의 플러그 삽입구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멀티탭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상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멀티탭 본체의 양쪽 측면에 동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판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장축;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상판의 전면에 위치하는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라 상기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는 상기 네 개의 지지대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에 접촉되는 이동대를 승강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이동대의 하단부가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이동대의 접촉 상태를 이동통신기기에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지지대를 구동하는 제1모터와 멀티탭을 구동하는 제2모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한편, USB 포트와 오디오 포트를 포함하는 접속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된다.
따라서 USB 포트와 오디오 포트에 접속되는 메모리 스틱, 이어폰, 헤드폰 등은 제어부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된다.
그리고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퍼스널 컴퓨터 모니터 받침대에 퍼스널 컴퓨터 본체와 입출력이 가능도록 연결되는 유에스비(USB) 포트와,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음향단자를 구비하면서, 컴퓨터 본체, 모니터, 휴대폰 충전기 또는 기타 전기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멀티탭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탭을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전선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를 은폐시킬 수 있게 되는 사용상의 편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모니터가 올려 놓여지는 받침대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의 높낮이를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원격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제품의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의 상판 전면에 각종 IT 기기제품과의 연결 및 통신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유에스비(USB) 포트와 오디오 포트가 구비되어 업무 및 학습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 모니터, 휴대폰 충전기 또는 기타 전기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멀티탭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서, 멀티탭을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은폐시킬 수 있게 되어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를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가 올려 놓여지는 받침대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의 높낮이를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원격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되며, 책상 표면과 닿지 않는 지지대를 미세하게 승강이동시켜서 흔들림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품질의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탭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탭이 설치되는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플러그 접속구가 노출된 상태의 단면도.
(b)는 플러그 접속구가 은폐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이 구비된 지지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낸 이동통신기기의 정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판(10), 지지대(20), 접속부(30), 멀티탭(40), 회전수단 및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M)가 올려 놓여지는 상판(10), 상기 상판(10)의 하부에서 저면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되는 네 개의 지지대(20), 상기 상판(10)의 전면에 배치되는 USB 포트(300)와 오디오 포트(310)를 구비하는 접속부(30), 상기 상판(10)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멀티탭(40), 상기 멀티탭(40)의 플러그 삽입구(400)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멀티탭(4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네 개의 지지대(20)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판(10)은 저면에 고정되는 네 개의 지지대(20)에 의하여 책상의 상부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게 되면서, 전면에는 접속부(3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멀티탭(40)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10)에 고정되는 지지대(20)에 의하여 상판(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S)으로는 키보드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속부(30)는 전면으로 USB 포트(300)와 오디오 포트(310)가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는 커넥터(도시되지 아니함)가 구비된다.
상기 USB 포트(300)는 USB 메모리 스틱을 접속시킬 수 있고, 상기 오디오 포트(310)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접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USB 포트(300)와 오디오 포트(310)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포트(300)와 오디오 포트(3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USB 케이블(도시되지 아니함)을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된다.
멀티탭(40)은 퍼스널 컴퓨터 본체(C)와 모니터(M), 그밖에 다른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멀티탭(4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케이스(410)와 멀티탭 본체(420)로 구성되며,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스(410)에는 멀티탭 본체(4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내주면(411)이 형성된다.
상기 멀티탭 본체(420)는 두 개의 수평면(421, 422)과 상기 수평면(421, 422)에 의하여 양분되는 두 개의 곡면(423, 424)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수평면(421)에는 전선의 플러그에 구비되는 플러그(도시되지 아니함)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접속구(425, 426)가 형성된다.
이러한 멀티탭 본체(420)는 상기 곡면(423, 424)이 케이스(410)의 내주면(411)에 회전가능하게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양쪽 측면으로부터 케이스(410)를 관통하는 회전축(427, 427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27, 427a)이 상기 케이스(410)와 상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일측의 회전축(427)으로부터 동일 축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축(428)이 상판(10)의 전면부위까지 형성된다.
상기 연장축(428)은 상판(10)을 수평상으로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는데, 선단부에는 하나의 노브(429)가 형성된다.
상기 노브(429)는 상판(10)의 전면에서 연장축(428)의 선단에 고정되어 회전축(427)을 통해 멀티탭 본체(420)를 회전시켜서 상판(10)의 표면에서 접속구(425, 426)를 은폐시키거나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멀티탭(40)은 자동 제어수단에 의하여 접속구(425, 426)를 은폐시키거나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동 제어수단은,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427, 427a)에 감속된 제2모터(450)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427, 427a)을 회전시켜서 접속구(425, 426)를 은폐 및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일측의 회전축(427a)에 웜 휠(460)과 웜 기어(461)가 치합되며, 상기 웜 기어(461)에는 제2모터(450)가 설치되어 상기 제2모터(450)의 동력으로 멀티탭 본체(420)가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웜 휠(460)과 웜 기어(461)는 제2모터(450)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게 된다.
상기 웜 휠(460)과 웜 기어(461)는 동력을 감속하어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수단의 일례이다. 따라서 베벨기어, 스퍼어 기어, 헬리컬 기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동력전달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모터(450)는 정역회전 가능한 스텝모터로서, 감속기구를 구비하는 기어드모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멀티탭(40)은 상판(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스위치(430, 4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430, 431)는 외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푸쉬 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전선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425, 426)에 각각 결선되어 상기 접속구(425, 426)의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430, 431)는 외부 전원을 수용하면 빛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구비하여, 온(ON) 상태가 되면 점등이 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 개의 지지대(20)는 각각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지지대(20)는 고정대(210), 이동대(220) 및 제1모터(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210)는 상기 제1모터(2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모터 설치 공간(211)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 설치공간(2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이동대(2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대(210)는 모터 설치 공간(211)의 상부면(213)에 상기 제1모터(230)가 고정되어 상판(10)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대(220)는 상기 고정대(210)의 이동공간(2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모터(23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로서, 감속기구를 구비하는 기어드모터로 이루어지며, 구동축(240)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대(220)에 고정된 너트(250)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모터(230)가 구동하여 구동축(240)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너트(250)가 구동축(240)을 따라 승강 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너트(250)를 고정하고 있는 이동대(220)가 승강이동을 하여 지지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모니터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모터(230)의 구동은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대(220)의 하부에는 센서(260)가 설치되어, 이동대(220)의 바닥면이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에 접촉되었는지, 또는 이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자동 제어수단은 도 6에서 보듯이, 감지부(600), 이동통신기기(610) 및 제어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600)는 상기 센서(260)에 의해 이동대(220)의 하단부와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 예컨대 책상 표면과 이동대(220)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감지부(60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이동대(220)의 접촉 상태를 이동통신기기(610)에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기기(610)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지지대(20)를 구동하는 제1모터(230)와 멀티탭(40)을 구동하는 제2모터(450)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USB 포트(300)와 오디오 포트(310)를 포함하는 접속부(30)는 상기 제어부(62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630)에 접속된다.
따라서 USB 포트(300)와 오디오 포트(310)에 접속되는 메모리 스틱, 이어폰, 헤드폰 등은 제어부(62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630)와 인터페이스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60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상기 제어부(620)를 통해 이동통신기기(610)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감지신호가 이동통신기기(610)에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통신기기(6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감지부(600)에서 감지되는 모니터 받침대의 상태, 즉,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와 멀티탭(40)의 사용여부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모니터 받침대의 상태로는 4개의 지지대(20) 위치가 표시되며, 책상 표면과 밀착된 지지대의 번호는 청색으로 나타나고, 밀착되지 아니한 지지대의 번호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과 밀착상태가 부적합한 지지대는, 예를 들면 "②, ③번을 선택하여 조절하세요."와 같은 문구를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②, ③을 선택하여 터치 스크린을 누르면, 선택된 누름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부(620)를 통해 선택된 지지대는,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해당되는 제1모터(230)가 구동한다.
이렇게 제1모터(230)가 구동하여 이동대(220)의 하부면이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에 밀착되는 것이 감지부(600)에 감지되면 제1모터(230)가 정지되고, 이동통신기기(610)에는 지지대(20)가 정상적인 상태로 표시된다.
또한, 멀티탭(4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통신기기(610)에서 "사용안함"을 선택하면, 제2모터(450)에 의해 멀티탭 본체(420)가 180도 회전하여 그림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되어 접속구(425, 426)가 은폐될 수 있으며, "사용함"을 선택하면 상기 접속구(425, 426)가 노출되어 전선의 플러그(도시되지 아니함.)를 멀티탭(40)에 접속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10 : 상판 20 : 지지대
30 : 접속부 40 : 멀티탭
210 : 고정대 211 : 모터 설치 공간
212 : 이동공간 213 : 상부면
220 : 이동대 230 : 제1모터
240 : 구동축 250 : 너트
260 : 센서 300 : USB 포트
310 : 오디오 포트 400 : 플러그 삽입구
410 : 케이스 411 : 내주면
420 : 멀티탭 본체 421, 422 : 수평면
423 , 424 : 곡면 425, 426 : 접속구
427, 427a : 회전축 428 : 연장축
429 : 노브 430, 431 : 스위치
450 : 제2모터 460 : 웜 휠
461 : 웜 기어 600 : 감지부
610 : 이동통신기기 620 : 제어부

Claims (5)

  1.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가 올려 놓여지는 상판;
    상기 상판의 모서리 부위 저면에 고정되는 네 개의 지지대;
    상기 상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되는 USB 포트와 오디오 포트를 구비하는 접속부;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멀티탭;
    상기 멀티탭의 플러그 삽입구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멀티탭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1모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모터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 설치 공간의 내주면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이동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에 접촉되는 이동대;
    상기 모터 설치 공간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1모터;
    상기 이동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바닥면이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에 접촉 또는 이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이동대의 하단부와 모니터 받침대가 설치되는 장소 표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가 제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동통신기기; 및
    상기 이동통신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상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멀티탭 본체의 양쪽 측면에 동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판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장축; 및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상판의 전면에 위치하는 노브;
    를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22477A 2016-09-23 2016-09-23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KR10173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77A KR101739278B1 (ko) 2016-09-23 2016-09-23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77A KR101739278B1 (ko) 2016-09-23 2016-09-23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278B1 true KR101739278B1 (ko) 2017-05-24

Family

ID=5905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477A KR101739278B1 (ko) 2016-09-23 2016-09-23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2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87B1 (ko) 2020-08-19 2021-01-18 나이스레이저(주) 노트북 및 모니터가 안착되는 스탠드
KR20220157713A (ko) * 2021-05-21 2022-11-29 (주)다정씨앤씨 살균 및 높낮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모니터 받침대
JP2022187043A (ja) * 2021-06-07 2022-12-19 保夫 磯部 本の上げ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640Y1 (ko) 2002-05-10 2002-08-05 이두영 매립형 방수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640Y1 (ko) 2002-05-10 2002-08-05 이두영 매립형 방수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87B1 (ko) 2020-08-19 2021-01-18 나이스레이저(주) 노트북 및 모니터가 안착되는 스탠드
KR20220157713A (ko) * 2021-05-21 2022-11-29 (주)다정씨앤씨 살균 및 높낮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모니터 받침대
KR102479901B1 (ko) 2021-05-21 2022-12-21 (주)다정씨앤씨 살균 및 높낮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모니터 받침대
JP2022187043A (ja) * 2021-06-07 2022-12-19 保夫 磯部 本の上げ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784B2 (en) Electrical power supplying and cord management station with dockable module supporting multiple modes of operation
KR101739278B1 (ko)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받침대
CN107003750B (zh) 多表面控制器
KR100952697B1 (ko) 인텔렉스테이션
US6211581B1 (en) Power bar with remote control
US20070080892A1 (en) Aftermarket interactive screen display conferencing station
JP3215706U (ja) 回転式マルチコンセント
US8704673B2 (en) Cable structure with indicating function
US11445816B2 (en) Table with one or more tap gesture-activated light indicators
CN204014344U (zh) 用来可旋转地承载一携带式电子装置的保护装置
US8740627B1 (en) Power outlet extens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165227A1 (en) Portable Entertainment System
US11199915B2 (en) Monitor with slidable touchpad
US11366501B2 (en) Display system
CN210244198U (zh) 一种多功能显示器
CN203485963U (zh) 一种机房移动运维装置
CN212123318U (zh) 一种多媒体宣教机器人
CN103625523A (zh) 一种机房移动运维装置
CN211190264U (zh) 组合式物理探究实验台
CN210804905U (zh) 带有电源集成系统的智能实验台
CN211207112U (zh) 一种燃气管道建设仿真模拟用控制装置
CN211380149U (zh) 智能教室实验主控台
CN215010484U (zh) 一种交互式智能网络液晶电视机
CN218390216U (zh) 智能云办公投影装置和办公桌家具
CN107910708A (zh) 一种用于智能家居的插线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