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007B1 - 탁상용 학습 플래너 - Google Patents

탁상용 학습 플래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007B1
KR101737007B1 KR1020140116197A KR20140116197A KR101737007B1 KR 101737007 B1 KR101737007 B1 KR 101737007B1 KR 1020140116197 A KR1020140116197 A KR 1020140116197A KR 20140116197 A KR20140116197 A KR 20140116197A KR 101737007 B1 KR101737007 B1 KR 10173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lanning
cover
unit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731A (ko
Inventor
이윤근
Original Assignee
이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근 filed Critical 이윤근
Priority to KR102014011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0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2/00Book-keeping books, form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1Calendar blocks with means for engaging calendar sheet perforatio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6Suspension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상용 학습 플래너에 관한 것으로써, 학습에 관련된 내용이 기재되거나, 학습에 관련된 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계획부; 상기 계획부의 일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제1커버부; 상기 계획부의 타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제2커버부; 상기 계획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계획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계획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링; 및 상기 제2커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커버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의 공간인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3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커버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제1폴딩부와, 자성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1폴딩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폴딩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어 상기 제1폴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커버부는, 상기 제2커버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계획부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커버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2폴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폴딩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도록 마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는 제3폴딩부와, 상기 제1부착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3폴딩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홈의 깊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홈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부착부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도록 금속체로 마련되는 제2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획부는, 폭 방향을 따라 월별로 구획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일별로 구획됨으로써 각 월의 각 일별로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월간계획부와, 학기별 시간표가 부착될 수 있는 시간표부착란이 형성되는 시간표부착부와, 폭 방향을 따라 요일별로 구획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시간별로 구획됨으로써 각 요일의 각 시간별로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일일학습계획란이 형성되며 상기 일일학습계획란에 기재된 학습계획의 성취율이 기재될 수 있도록 상기 일일학습계획란의 일측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성취율기재란이 형성되는 주간계획부와, 상기 월간계획부와 상기 주간계획부를 활용하는 방법이 기재되는 사용법확인부와, 대학입시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는 대입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취율기재란은, 백분율이 기재될 수 있도록 "백분율" 및 "%" 의 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월간계획부는, 3월 내지 7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1월간계획부와, 8월 내지 12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2월간계획부와, 1월 및 2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3월간계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간계획부는, 각 요일별로 추가적으로 학습하는 내용이 기재될 수 있는 추가학습내용란을 형성하며, 일주일 동안의 학습한 내용에 대한 평가가 기재될 수 있는 자기평가메모란을 형성하며, 일주일 동안의 독서활동에 대한 상황이 기재될 수 있는 독서활동상황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휴대하는 경우, 계획부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 계획부를 책상 위에 적절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탁상용 학습 플래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탁상용 학습 플래너{STUDY PLANNER FOR DESK}
본 발명은 탁상용 학습 플래너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휴대하는 경우, 계획부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 계획부를 책상 위에 적절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일일학습계획란에 기재된 학습계획의 성취율이 기재될 수 있는 성취율기재란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얼마만큼의 양의 학습을 성취하였는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능률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탁상용 학습 플래너에 관한 것이다.
학습 플래너란, 학습에 대한 계획을 월별, 주별, 일별 등에 따라 각각 기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이어리, 수첩, 달력 등을 의미한다.
종래의 탁상형태의 다이어리 등은 하드커버 형태의 커버부에 의해, 다이어리 등의 속지가 지지된다. 이러한 커버부는 다이어리 등의 내측 속지와 접촉되는 측면부와 책상 등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부로 구성되며, 측면부와 바닥부는 일체되어 있다. 이때, 바닥부가 수축되거나 이완될 수 있도록 바닥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탁상형태의 다이어리 등을 휴대하는 경우, 휴대성이 향상되도록, 사용자가 상술한 홈을 이용하여 바닥부를 수축시켰으며, 이와는 반대로, 종래의 탁상형태의 다이어리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사용자가 상술한 홈을 이용하여 바닥부를 이완시킨 다음, 바닥부를 책상 등에 배치시켰다.
이러한 종래의 탁상형태의 다이어리 등에 의하면, 탁상형태의 다이어리 등을 휴대하는 경우, 다이어리 등의 외측 속지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다. 이에 의해서, 탁상 형태의 다이어리 등을 가방 등에 넣어 휴대하는 경우, 다이어리 등의 속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학습 다이어리, 수첩, 달력 등은 학습계획이 기재되는 기재란과 기재란에 기재된 학습계획에 대한 점검 또는 평가를 할 수 있는 점검란 또는 평가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개특허 제10-2010-0084742호 에서는 학습 다이어리를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084742호는 교재란, 목표란, 점검란이 요일별로 구획되어 표시되는 일일계획부를 개시하고 있으며, 점검란은 3단계로 (○,△,×)로 기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개특허 제10-2010-0083742호의 점검란은 사용자가 목표란에 기재된 학습목표에 대한 평가가 기재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써, 학습이 계획대로 이루어진 경우 ○, 학습이 계획의 중간 정도로 이루어진 경우 △, 학습이 계획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로써, 3단계로 표기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의 학습 다이어리, 수첩, 달력 등은 상술한 평가 또는 점검란 등에 학습 계획의 달성에 대한 평가를 몇 단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기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그 평가가 세밀하게 기재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학습 계획 달성에 대해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이에 의해, 학업 성취도 및 능률이 저하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학습 플래너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휴대하는 경우, 계획부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접촉되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 및 제1커버부와 연결되는 제3커버부를 이용하여 계획부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키며,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 제1부착부와 제2부착부가 부착되는 것을 이용하여 계획부를 책상 위에 적절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일일학습계획란에 기재된 학습계획의 성취율이 기재될 수 있는 성취율기재란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얼마만큼의 양의 학습을 성취하였는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능률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학습에 관련된 내용이 기재되거나, 학습에 관련된 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계획부; 상기 계획부의 일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제1커버부; 상기 계획부의 타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제2커버부; 상기 계획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계획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계획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링; 및 상기 제2커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커버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의 공간인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3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커버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제1폴딩부와, 자성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1폴딩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폴딩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어 상기 제1폴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커버부는, 상기 제2커버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계획부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커버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2폴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폴딩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도록 마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는 제3폴딩부와, 상기 제1부착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3폴딩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홈의 깊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홈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부착부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도록 금속체로 마련되는 제2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획부는, 폭 방향을 따라 월별로 구획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일별로 구획됨으로써 각 월의 각 일별로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월간계획부와, 학기별 시간표가 부착될 수 있는 시간표부착란이 형성되는 시간표부착부와, 폭 방향을 따라 요일별로 구획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시간별로 구획됨으로써 각 요일의 각 시간별로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일일학습계획란이 형성되며 상기 일일학습계획란에 기재된 학습계획의 성취율이 기재될 수 있도록 상기 일일학습계획란의 일측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성취율기재란이 형성되는 주간계획부와, 상기 월간계획부와 상기 주간계획부를 활용하는 방법이 기재되는 사용법확인부와, 대학입시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는 대입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취율기재란은, 백분율이 기재될 수 있도록 "백분율" 및 "%" 의 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월간계획부는, 3월 내지 7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1월간계획부와, 8월 내지 12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2월간계획부와, 1월 및 2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3월간계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간계획부는, 각 요일별로 추가적으로 학습하는 내용이 기재될 수 있는 추가학습내용란을 형성하며, 일주일 동안의 학습한 내용에 대한 평가가 기재될 수 있는 자기평가메모란을 형성하며, 일주일 동안의 독서활동에 대한 상황이 기재될 수 있는 독서활동상황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학습 플래너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휴대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회동시킨 다음, 제1폴딩부를 계획부의 두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접고, 이후, 제3커버부의 제2폴딩부를 접은 다음, 후술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제3폴딩부를 제1커버부의 베이스부에 고정시킴으로써, 계획부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탁상용 학습 플래너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회동시키고, 제3커버부를 접은 다음, 제1부착부와 제2부착부를 부착시켜 이격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계획부를 책상 위에 적절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일일학습계획란에 기재된 학습계획의 성취율이 기재될 수 있는 성취율기재란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얼마만큼의 양의 학습을 성취하였는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다 전략적으로 다음 학습계획을 세우게 됨으로써, 학습능률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취율기재란에 성취율을 백분율로 기재함으로써, 보다 상세하고 세밀하게 학습 계획의 달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시간표부착부를 이용하여, 학기별 시간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1월간계획부와 제2월간계획부와 제3월간계획부를 이용하여, 학기별로 학습계획을 용이하게 세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측면도 이고,
도 3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월간계획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시간표부착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주간계획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사용법확인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대입정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1동작도이고,
도 9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2동작도이고,
도 10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3동작도이고,
도 11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4동작도이고,
도 12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4동작 이후,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측면도 이고, 도 3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월간계획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시간표부착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주간계획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사용법확인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대입정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는 계획부(110)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와 연결링(140)과 제3커버부(150)와 고정부(160)를 포함한다.
계획부(110)는 학습에 관련된 내용이 기재되거나, 학습에 관련된 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것으로써, 월간계획부(111)와 시간표부착부(112)와 주간계획부(113)와 사용법확인부(114)와 대입정보부(115)를 포함한다.
월간계획부(111)는 폭 방향을 따라 월별로 구획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일별로 구획됨으로써 각 월의 각 일별로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링(140)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제1월간계획부(111a)과 제2월간계획부(111b)와 제3월간계획부(111c)을 포함한다.
제1월간계획부(111a)에는 3월 내지 7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된다. 즉, 제1월간계획부(111a)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1학기에 해당하는 월에 대한 일별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된다.
제2월간계획부(111b)에는 8월 내지 12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된다. 즉, 제2월간계획부(111b)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2학기에해당하는 월에 대한 일별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된다.
제3월간계획부(111c)에는 1월 및 2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된다. 즉, 제3월간계획부(111c)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동계방학에 해당하는 월에 대한 일별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월간계획부(111a)과 제2월간계획부(111b)와 제3월간계획부(111c)를 포함하는 월간계획부(111)를 이용하면, 사용자(학생 등)가 각 학기단위로 일별 학습계획을 용이하게 세울 수 있다.
시간표부착부(112)는 학기별 시간표가 부착될 수 있는 시간표부착란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링(14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시간표부착부(112)에 의해서, 사용자(학생 등)가 학기별 시간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기별 시간표를 고려하여 학습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세울 수 있다.
주간계획부(113)는 폭 방향을 따라 요일별로 구획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시간별로 구획됨으로써 각 요일의 각 시간별로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일일학습계획란(113a)이 형성되며, 일일학습계획란(113a)에 기재된 학습계획의 성취율이 기재될 수 있는 성취율기재란(113b)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링(14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주간계획부(113)의 후면에는 여분의 메모공간이 제공된다. 사용자(학생 등)는 후술하는 연결부(164)를 이용하여 주간계획부(113)를 넘길 수 있고, 주간계획부(113)를 넘긴 이후, 사용자(학생 등)는 상술한 후면의 메모공간에 학습에 관련된 기타 내용들을 기재할 수 있다.
성취율기재란(113b)은 일일학습계획란(113a)에 기재된 학습계획을 어느정도 달성했는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써, 사용자(학생 등)가 성취율을 백분율로 기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일학습계획란(113a)에 소정의 문제집에 수록된 문제를 10문제 푸는 것을 기재한 경우, 학습을 실시하여 실제로 7문제만을 풀었을 때에, 성취율기재란(113b)에는 70%를 기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백분율로 기재할 수 있는 성취율기재란(113b)에 의하면, 종래의 수 단계(○,△,× 등)로 학습목표 또는 계획의 달성을 점검, 평가하는 방식에 비해서,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학습계획의 성취를 평가할 수 있다. 즉, 성취율기재란(113b)에 의하면, 사용자(학생 등)가 보다 구체적으로 얼마만큼의 실질적인 양의 학습을 성취하였는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학생 등)가 보다 전략적으로 다음 학습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능률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주간계획부(113)는 각 요일별로 추가적으로 학습하는 내용이 기재될 수 있는 추가학습내용란(113c)을 형성하며, 일주일 동안의 학습한 내용에 대한 평가가 기재될 수 있는 자기평가메모란(113d)을 형성하며, 일주일 동안의 독서활동에 대한 상황이 기재될 수 있는 독서활동상황란(113e)을 형성한다.
일일학습계획란(113a)에 기재된 학습계획을 초과하여 학습을 수행한 경우, 상술한 추가학습내용란(113c)에 그 내용을 기재함으로써, 사용자(학생 등)가 보다 전략적으로 다음 학습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자기평가메모란(113d)에 의해서, 일주일 동안의 전체 학습 내용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학생 등)가 보다 전략적으로 다음 학습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독서활동상황란(113e)에 의해서, 일주일 동안의 독서활동에 대한 상황을 기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일일학습계획란(113a)과 성취율기재란(113b)과 추가학습내용란(113c)과 자기평가메모란(113d)과 독서활동상황란(113e)이 형성되는 주간계획부(113)에 의하면, 사용자(학생 등)가 보다 구체적으로 얼마만큼의 양의 학습을 성취하였는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보다 전략적으로 다음 학습계획을 세우게 됨으로써, 학습능률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법확인부(114)는 월간계획부(111)와 주간계획부(113)를 활용하는 방법이 기재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링(140)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사용법확인부(114)에 의해서, 월간계획부(111) 및 주간계획부(113)를 활용하는 방법이 사용자(학생 등)에게 제공된다.
대입정보부(115)는 대학입시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링(140)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대입정보부(115)에 의해서, 대학 입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학생 등)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술한 계획부(110)에 의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얼마만큼의 실질적인 양의 학습을 성취하였는지를 백분율(성취율)로 기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세한 학습 성취 여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다 전략적으로 다음 학습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어, 학습능률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1커버부(120)는 계획부(110)의 일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와 제1폴딩부(122)와 제1부착부(12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1)는 상술한 계획부(110)의 일면에 거의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연결링(140)에 의해 계획부(110)와 제2커버부(130)와 연결되며,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폴딩부(122)가 연장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21)는 계획부(110)의 일면을 덮어 계획부(110)의 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베이스부(121)의 재질은 계획부(110)의 재질보다 더 두꺼운 재질, 즉, 하드 커버 용지 등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폴딩부(122)는 상술한 베이스부(121)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1부착부(123)가 설치되며, 베이스부(121)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제1폴딩부(122)에 의해서, 계획부(110)의 하측면, 즉, 계획부(110)의 두께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1부착부(123)는 상술한 제1폴딩부(122)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2부착부(153)에 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부착부(123)가 자성체로 마련되는 경우, 후술하는 제2부착부(153)는 금속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커버부(130)는 계획부(110)의 타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링(140)에 의해 계획부(110) 및 제1커버부(1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2커버부(130)는 계획부(110)의 타면을 덮어 계획부(110)의 타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커버부(130)의 재질은 계획부(110)의 재질보다 더 두꺼운 재질, 즉, 하드 커버 용지 등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링(140)은 계획부(110)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연결하는 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연결링(140)에 의해, 계획부(110)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가 계획부(11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동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링(140)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휴대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회동시킴으로써 계획부(110)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회동시키고, 제2커버부(130)에서 연장되는 제3커버부(150)를 이용하여 이격공간(s)을 형성시킴으로써, 계획부(110)를 책상 위에 적절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3커버부(150)는 제2커버부(13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커버부(120)에 부착되는 것으로써,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 사이의 공간인 이격공간(s)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3커버부(150)는 제2폴딩부(151)와 제3폴딩부(152)와 제2부착부(153)를 포함한다.
제2폴딩부(151)는 일단부가 상술한 제2커버부(130)에서 연장되며, 타단부에서 후술하는 제3폴딩부(152)가 연장되는 것으로써, 제2커버부(13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폴딩부(151)는 상술한 제1폴딩부(122) 보다 더 큰 면적으로 마련된다. 이에 의해서, 제1폴딩부(122)가 계획부(110)의 하측면, 즉, 두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접힌 다음, 제2폴딩부(151)가 제1폴딩부(122) 위에서 계획부(110)의 하측면, 즉, 두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휴대하는 경우, 휴대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제3폴딩부(152)는 제2폴딩부(151)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써, 제2폴딩부(151)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제3폴딩부(152)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부착부(153)가 설치된다.
제2부착부(153)는 제3폴딩부(152)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제1부착부(123)에 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2부착부(153)가 금속체로 마련되는 경우, 상술한 제1부착부(123)는 금속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제1커버부(120), 제2커버부(130) 및 제2폴딩부(151)와 제3폴딩부(152)와 제2부착부(153)를 포함하는 제3커버부(150)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휴대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회동시킨 다음, 제1폴딩부(122)를 계획부(110)의 두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접고, 이후, 제3커버부(150)의 제2폴딩부(151)를 접어 후술하는 고정부(160)를 이용하여 제3폴딩부(152)를 제1커버부(120)의 베이스부(121)에 고정시킴으로써, 계획부(110)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회동시키고, 제3커버부(150)를 접은 다음, 제1부착부(123)에 제2부착부(153)를 부착시켜 이격공간(s)을 형성시킴으로써, 계획부(110)를 책상 위에 적절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60)는 베이스부(121)와 제3폴딩부(152)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써, 버튼 타입으로 구비되어 베이스부(121)와 제3폴딩부(152)에 각각 설치되거나, 고리 및 끈 타입으로 구비되어 베이스부(121)와 제3폴딩부(152)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21)와 제3폴딩부(152)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식으로 구비되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술한 고정부(160)에 의하면, 제3폴딩부(152)를 베이스부(121)에 용이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휴대하는 경우, 계획부(110)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와 연결링(140)과 제3커버부(150)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휴대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회동시킨 다음, 제1폴딩부(122)를 계획부(110)의 두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접고, 이후, 제3커버부(150)의 제2폴딩부(151)를 접어 후술하는 고정부(160)를 이용하여 제3폴딩부(152)를 제1커버부(120)의 베이스부(121)에 고정시킴으로써, 계획부(110)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회동시키고, 제3커버부(150)를 접은 다음, 제1부착부(123)와 제2부착부(153)를 부착시켜 이격공간(s)을 형성시킴으로써, 계획부(110)를 책상 위에 적절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1동작도이고, 도 9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2동작도이고, 도 10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3동작도이고, 도 11은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4동작도이고, 도 12는 도 1의 탁상용 학습 플래너의 제4동작 이후, 고정부(16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와 제3커버부(150)가 이격공간(s)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가 책상 등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부착부(123)와 제2부착부(153)를 분리시킨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부(123)와 제2부착부(153)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커버부(120)와 제3커버부(150)에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힘을 가하면, 연결링(140)에 의해, 제1커버부(120)와 제3커버부(150)가 회동된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20)가 회동되어 제1커버부(120)가 계획부(110)의 일면에 접촉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폴딩부(122)를 계획부(110)의 두께면을 향하는 방향을 접는다. 이후, 제2커버부(130)를 접으면, 제2폴딩부(151)가 제1폴딩부(122)의 상면에 접촉되고, 이후, 제3폴딩부(152)를 접으면, 제3폴딩부(152)가 제1커버부(120)의 상면, 즉, 베이스부(121)의 상면에 접촉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폴딩부(152)가 베이스부(121)의 상면에 접촉된 이후, 제3폴딩부(152)와 베이스부(121)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부(160)를 이용하면, 제3폴딩부(152)와 베이스부(121)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휴대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계획부(110)를 용이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100)를 책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의 역순의 동작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회동시키고, 제3커버부(150)를 접은 다음, 제1부착부(123)와 제2부착부(153)를 부착시켜 이격공간(s)을 형성시킴으로써, 계획부(110)를 책상 위에 적절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학습 플래너
110 : 계획부 111 : 월간계획부
111a : 제1월간계획부 111b : 제2월간계획부
111c : 제3월간계획부 112 : 시간표부착부
113 : 주간계획부 113a : 일일학습계획란
113b : 성취율기재란 113c : 추가학습내용란
113d : 자기평가메모란 113e : 독서활동상황란
114 : 사용법확인부 115 : 대입정보부
120 : 제1커버부 121 : 베이스부
122 : 제1폴딩부 123 : 제1부착부
130 : 제2커버부 140 : 연결링
150 : 제3커버부 151 : 제2폴딩부
152 : 제3폴딩부 153 : 제2부착부
160 : 고정부 s : 이격공간

Claims (9)

  1. 학습에 관련된 내용이 기재되거나, 학습에 관련된 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계획부;
    상기 계획부의 일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제1커버부;
    상기 계획부의 타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제2커버부;
    상기 계획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계획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계획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링; 및
    상기 제2커버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커버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의 공간인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3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커버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제1폴딩부와, 자성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1폴딩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폴딩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어 상기 제1폴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커버부는,
    상기 제2커버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계획부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커버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2폴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폴딩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도록 마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는 제3폴딩부와, 상기 제1부착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3폴딩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홈의 깊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홈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부착부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도록 금속체로 마련되는 제2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획부는,
    폭 방향을 따라 월별로 구획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일별로 구획됨으로써 각 월의 각 일별로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월간계획부와, 학기별 시간표가 부착될 수 있는 시간표부착란이 형성되는 시간표부착부와, 폭 방향을 따라 요일별로 구획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시간별로 구획됨으로써 각 요일의 각 시간별로 학습계획이 기재될 수 있는 일일학습계획란이 형성되며 상기 일일학습계획란에 기재된 학습계획의 성취율이 기재될 수 있도록 상기 일일학습계획란의 일측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성취율기재란이 형성되는 주간계획부와, 상기 월간계획부와 상기 주간계획부를 활용하는 방법이 기재되는 사용법확인부와, 대학입시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는 대입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취율기재란은,
    백분율이 기재될 수 있도록 "백분율" 및 "%" 의 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월간계획부는,
    3월 내지 7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1월간계획부와, 8월 내지 12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2월간계획부와, 1월 및 2월의 월별계획기재란이 형성되는 제3월간계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간계획부는,
    각 요일별로 추가적으로 학습하는 내용이 기재될 수 있는 추가학습내용란을 형성하며, 일주일 동안의 학습한 내용에 대한 평가가 기재될 수 있는 자기평가메모란을 형성하며, 일주일 동안의 독서활동에 대한 상황이 기재될 수 있는 독서활동상황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학습 플래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16197A 2014-09-02 2014-09-02 탁상용 학습 플래너 KR10173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197A KR101737007B1 (ko) 2014-09-02 2014-09-02 탁상용 학습 플래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197A KR101737007B1 (ko) 2014-09-02 2014-09-02 탁상용 학습 플래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31A KR20160027731A (ko) 2016-03-10
KR101737007B1 true KR101737007B1 (ko) 2017-05-17

Family

ID=5553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197A KR101737007B1 (ko) 2014-09-02 2014-09-02 탁상용 학습 플래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0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51Y1 (ko) * 2002-11-25 2003-02-26 김영일 입시용 달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51Y1 (ko) * 2002-11-25 2003-02-26 김영일 입시용 달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31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4527A1 (en) Contextual thinking tool and presentation device
JPS633825Y2 (ko)
KR20080111678A (ko) 다이어리
KR101737007B1 (ko) 탁상용 학습 플래너
JP2011098559A (ja) バインダー式連結手帳
KR101244191B1 (ko) 수첩 및 수첩용 리필 용지
US20070120356A1 (en) Planner booklet
KR101219640B1 (ko) 거치대를 포함한 탁상용 달력
KR200433942Y1 (ko) 탁상용 캘린더
JP3212841U (ja) ダイアリー
JP3167702U (ja) 手帳
KR20100011890U (ko) 다이어리
KR200436275Y1 (ko) 10년 스케줄 확인이 가능한 탁상용 캘린더
US20110010969A1 (en) Appointment card calendar
KR101623250B1 (ko) 페이지 이동이 가능한 시트구조
JP2011046044A (ja) 手帳
KR20100053968A (ko) 다이어리
KR20100011070U (ko) 기능성 바인더 노트
JP3121192U (ja) 生徒手帳
JP3164859U (ja) 手帳
JP2021178447A (ja) 手帳
JP3131888U (ja) 手帳用紙
KR200413772Y1 (ko) 학습계획서 기능의 다이어리
KR200411651Y1 (ko) 달력
RU109045U1 (ru) Планин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