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807B1 -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 Google Patents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807B1
KR101736807B1 KR1020160006005A KR20160006005A KR101736807B1 KR 101736807 B1 KR101736807 B1 KR 101736807B1 KR 1020160006005 A KR1020160006005 A KR 1020160006005A KR 20160006005 A KR20160006005 A KR 20160006005A KR 101736807 B1 KR101736807 B1 KR 10173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pillar
housing
locking mechanism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태
남경우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지중에 설치되는 수납하우징(10)과, 상기 수납하우징(1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차단기능을 수행하는 볼라드기둥(20)와, 상기 수납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볼라드기둥(20)을 수납하우징(10)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수납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볼라드기둥(20)의 일측을 걸어 볼라드기둥(20)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반자동 방식으로 작동되는 승강수단을 통해 볼라드기둥(20)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밀어올리므로, 공압실린더/유압실린더/전기모터와 같은 복잡하고 고가의 부품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볼라드기둥(20)을 쉽게 상승시켜 차단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Semi-automatic type retractable bollard}
본 발명은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승은 자동으로 작동되고 하강은 수동으로 작동되는 반자동타입의 승강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인도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대표적인 수단으로 볼라드(Bollard)가 있다. 볼라드는 원통형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한 후 하부 일구간을 지중에 직접 매설하거나, 콘크리트와 함께 타설하는 고정형 구조물로 주로 횡단보도가 설치된 인도의 진입구 또는 교차로의 모퉁이 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볼라드 중에는 승강식 볼라드가 있는데, 승강식 볼라드는 학교, 공원, 상가 밀집 지역 등의 진입로 또는 광장 등에 설치되어 평상시 보행자만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불법 주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에는 승강식 볼라드를 하강시켜 긴급차량, 작업차량 또는 인가된 차량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승강식 블라드는 지중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 또는 전기 모터식 승하강장치를 사용하여 지중에 수납된 볼라드봉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승강식 볼라드에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기모터와 같이 비교적 고가의 부품이 사용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설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나 전기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부도 함께 설치되어야 하므로 볼라드 전체 구조가 복잡해진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승강장치를 수동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수동방식의 경우 승강작업을 위해 관리자의 큰 힘이 요구되고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조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056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이 용이한 반자동 방식의 승강식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라드의 상승 및 하강 후에 볼라드가 자동으로 고정되어 상승상태 및 하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지중에 설치되는 수납하우징과, 상기 수납하우징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차단기능을 수행하는 볼라드기둥과, 상기 수납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볼라드기둥을 수납하우징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수납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볼라드기둥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납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수납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바와, 상기 수납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바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키돌기와, 상기 회전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회전바에 고정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동부와, 일단이 상기 연동부에 연결되어 연동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하우징에 구비된 입출구를 통해 상기 볼라드기둥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의 외면 양쪽에는 경사면 및 걸림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라드기둥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방향의 동작시에 상기 경사면이 상기 볼라드기둥에 간섭되어 상기 스토퍼가 후퇴하고, 반대 방향의 동작시에는 상기 걸림면이 상기 볼라드기둥을 걸어 고정시킨다.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수납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의 상부로킹기구는 상승한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볼라드기둥의 하강을 방지하며, 하부의 하부로킹기구는 하강한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볼라드기둥의 상승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로킹기구의 스토퍼에는 하부를 향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승하는 볼라드기둥에 간섭되어 후퇴되고, 상기 하부로킹기구의 스토퍼에는 상부를 향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강하는 볼라드기둥에 간섭되어 후퇴된다.
상기 볼라드기둥의 하부에는 걸림플랜지가 상기 볼라드기둥의 외주면을 둘러 구비되고, 상기 걸림플랜지는 상기 상부로킹기구 및 하부로킹기구에 걸려 상기 볼라드기둥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납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볼라드기둥의 하강상태 를 고정하고, 상기 수납하우징의 상부에는 고정형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볼라드기둥의 상승 정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어수단의 회전바에 상기 로킹기구가 상기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볼라드기둥에는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된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볼라드기둥와 수납하우징 사이의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납하우징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압축가스가 내장된 튜브와, 상기 튜브로부터 입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볼라드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볼라드기둥을 승강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하우징의 외면에는 고정앵글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승강식 볼라드는 반자동 방식으로 작동되는 승강수단을 통해 볼라드기둥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밀어올리므로, 공압실린더/유압실린더/전기모터와 같은 복잡하고 고가의 부품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볼라드기둥을 쉽게 상승시켜 차단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제조비용이 감소하고, 별도의 펌프나 전기장치가 불필요하여 설치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로킹기구가 회전하여 볼라드기둥의 상승상태 또는 하강상태를 고정하는데, 로킹기구는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연동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므로 로킹기구의 작은 회전범위만으로도 볼라드기둥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수단에 구비된 스토퍼는 볼라드기둥의 상승과정에서 볼라드기둥에 눌려 자연스럽게 후퇴되었다가, 볼라드기둥이 완전히 상승한 후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볼라드기둥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가 제어수단을 초기에만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켜주면 볼라드기둥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고정되므로 볼라드기둥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일실시례에서 볼라드기둥이 상승한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일실시례에서 볼라드기둥이 하강한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일실시례 중에서 로킹기구의 구조를 상세하게 표현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상부로킹기구의 동작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도 7은 (a) 및 도 7(b)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로킹기구의 동작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일실시례에서 볼라드기둥이 상승하는 과정의 내부상태를 순차적으로 표현한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외관 및 골격은 수납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수납하우징(10)은 그 내부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어, 볼라드기둥(20)을 수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는 볼라드기둥(20)이 상승하여 수납공간(12)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표현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볼라드기둥(20)이 하강하여 수납공간(12)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 수납하우징(10)은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가 지중에 설치되면 대부분 지중에 묻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며, 상부에 구비된 외장판(60)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수납하우징(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몸체(11)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러한 모양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수납하우징(10)의 상부에는 고정돌부(1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부(13)는 외장판(60)가 지중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외장판(60)의 하부로 돌출되어 지중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돌부(13)는 단순히 돌출된 형상이거나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구일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외장판(60)은 상부판(14a)에 조립되는데,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가 지중에 설치되면 상부판(14a)은 지면 높이로 설정된다. 상기 수납하우징(10)의 하부판(14b)은 수납하우징(10)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마감판으로서, 상기 하부판(14b)은 후술할 승강수단(30) 및 회전바(51)의 하단을 지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하우징(10)의 수납공간(12)에는 구획부(도면부호 미부여)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수납공간(1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12) 일측에 제어공간(17)을 형성한다. 상기 제어공간(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수단(50)이 위치한다.
상기 구획부에는 입출가이드(15)가 구비된다. 상기 입출가이드(15)는 아래에서 설명될 로킹기구(53,55)의 스토퍼(53c,55c)를 안내하기 위한 것인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입출가이드(15)에 의해 스토퍼(53c,55c)가 직선동작을 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가이드(15)는 좌우로 관통된 원통형상이며, 관통된 입출구를 통해서 스토퍼(53c,55c)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입출가이드(15)는 상기 구획부에 높이를 달리하여 두 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두 개의 입출가이드(15)에는 각각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 및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가 안내된다. 입출가이드(15)를 통해 이동하는 스토퍼(53c)는 볼라드기둥(20)의 걸림플랜지(23)를 걸어 지지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납하우징(10)의 외면에는 고정앵글(18)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앵글(18)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 고정된 것으로, 대략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고정앵글(18)은 수납하우징(10)이 지중에 묻혀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나면 콘크리트 내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앵글(18)은 하우징몸체(11)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이 반드시 'ㄱ'자일 필요는 없다. 상기 고정앵글(18)은 하우징몸체(11)의 외부에 다수개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하우징(10)에는 볼라드기둥(20)이 설치된다. 상기 볼라드기둥(20)은 상기 수납하우징(10)에 입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돌출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진입차단기능을 수행하고, 수납된 상태에서는 통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볼라드기둥(20)은 대략 원통형상의 볼라드몸체(21)가 골격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볼라드기둥(20)의 형상은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고, 그 길이 및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라드기둥(2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볼라드기둥(20)의 하부에는 걸림플랜지(23)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플랜지(23)는 로킹기구(53,55)에 의해 걸려 볼라드기둥(20)이 상승상태 또는 하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걸림플랜지(23)는 상기 볼라드기둥(20)의 하부 외면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림플랜지(23)는 상부플랜지(23a) 및 하부플랜지(23b)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플랜지(23a) 및 하부플랜지(23b)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볼라드기둥(20) 외면에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플랜지(23a)는 볼라드기둥(20)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부로킹기구(53)에 걸리고(도 2참조), 하부플랜지(23b)는 볼라드기둥(20)이 하강된 상태에서 하부로킹기구(55)에 걸린다(도 4참조). 결과적으로, 볼라드기둥(20)의 승강시에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와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는 모두 상부플랜지(23a) 및 하부플랜지(23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플랜지(23b)는 볼라드기둥(20)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볼라드기둥(20)의 바닥을 형성한다. 아래에서 설명될 반자동 승강수단(30)의 튜브(31)는 상기 하부플랜지(23b)를 통과하여 볼라드기둥(20)의 내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볼라드기둥(20)에는 완충수단(28,28')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수단(28,28')은 상기 볼라드기둥(20)의 승강시에 볼라드기둥(20)과 수납하우징(10) 사이의 충돌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우레탄 또는 고무와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완충수단(28, 28')은 볼라드기둥(20) 하강시에 수납공간(12)의 하부판(14b)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줄이고 볼라드기둥(20)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하부완충부(28)와, 볼라드기둥(20) 상승시에 수납공간(12)의 상부판(14a)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줄이고 볼라드기둥(20)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상부완충부(28')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완충부(28)는 볼라드기둥(20)의 하부플랜지(23b)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고, 상부완충부(28')는 상부플랜지(23a)로부터 상부로 돌출된다. 물론, 상기 완충수단(28,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볼라드기둥(20)이 아니라 수납하우징(10) 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볼라드기둥(20)의 상부에는 기둥내부판(29)이 구비된다. 상기 기둥내부판(29)은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수단(30)을 구성하는 튜브(31)의 상단이 고정되는 부분으로, 튜브(31)는 너트와 같은 고정구(29')를 통해 상기 기둥내부판(29)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수단(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승강수단(30)은 볼라드기둥(20)을 상승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수납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볼라드기둥(20)을 수납하우징(10)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상기 승강수단(30)은 도 4와 같이 그 하단은 하부판(14b)에서 지지되고, 상단은 볼라드기둥(20) 내부에 고정된 기둥내부판(29)에서 지지되며 고정구(29')로 고정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자동으로 하강되는 힘은 제공되지 않으므로 수동으로 눌러 하강시키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승강수단(30)은 가스스프링이다. 즉, 상기 승강수단(30)은 내부의 압축가스를 이용하여 볼라드기둥(20)을 들어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강수단(30)은 튜브(31)와 피스톤(35)으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31)는 그 일단이 상기 수납하우징(10)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압축가스가 내장된 것이다. 상기 피스톤(35)은 상기 튜브(31)로부터 입출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단이 상기 볼라드기둥(20)에 결합되어 상기 볼라드기둥(2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튜브(31)에 내장되는 가스는 압축된 질소가스일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30)의 튜브(31)는 그 일부가 상기 볼라드기둥(20)의 하부를 통과하여 볼라드기둥(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승강수단(30)의 튜브(31)는 일단은 수납하우징(10)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볼라드기둥(20)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31)의 타단으로부터 피스톤(35)이 입출된다. 상기 피스톤(35)은 상기 볼라드기둥(20)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승강수단(30)은 상기 볼라드기둥(20)을 수납공간(12)으로부터 돌출시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지만 그 반대방향, 즉 볼라드기둥(20)을 수납하우징(10)의 수납공간(12) 내측으로 누르는 힘은 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에서 볼라드기둥(20)을 수납하우징(10) 내측으로 수납시키는 동작은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하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제어수단(5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제어공간(17)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로킹기구(53,55)를 동작시켜 볼라드기둥(20)의 승강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50)의 회전은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50)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제어공간(17)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수단(50)에는 회전바(51)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바(51)는 직선의 세장형 구조로 그 상부 일측에는 회전 조작을 위해 외장판(60) 밖으로 노출되는 키돌기(65)가 구비된다. 도2와 같이 상기 회전바(51)는 상부판(14a)과 하부판(14b)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회전바(51)의 상단에는 키돌기(65)가 형성된다. 상기 키돌기(65)는 상기 회전바(5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장판(6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키돌기(65)는 관리자가 회전바(51)를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키(K)를 끼우는 부분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키돌기(65)는 도 1과 같이 대략 삼각 기둥형태이다. 관리자가 상기 키돌기(65)에 조작키(K)에 끼워 돌리면 상기 회전바(51)가 회전될 수 있다. 도면부호 K'는 조작키(K)에 형성된 키홈으로, 상기 키돌기(65)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키돌기(65)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바(51)를 회전시키면 로킹기구(53,55)가 작동하면서 상기 볼라드기둥(20)을 걸어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로킹기구(53,55)는 상기 회전바(51)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51)와 함께 회전되는데, 상기 로킹기구(53,55)는 상부로킹기구(53) 및 하부로킹기구(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로킹기구(53)는 상승한 볼라드기둥(20)을 하강시키려는 힘이 외부로부터 가해졌을 때 볼라드기둥(20)의 하강을 방지하며, 하부로킹기구(55)는 하강된 볼라드기둥(20)의 상승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로킹기구(53)와 하부로킹기구(55)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그 구체적인 구조는 상부로킹기구(53)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로킹기구(53)는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연동하여 상기 볼라드기둥(20)을 제어하는데, 크게 구동부(53a), 연동부(53b) 및 스토퍼(53c)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53a)는 상기 회전바(51)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바(51)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도 6(a)에서 보듯이, 대략 막대 형태로 구성되고, 그 일단에는 제1회전축(53a')이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축(53a')에는 연동부(53b)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동부(53b)는 상기 구동부(53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53a)에 연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동부(53b)의 일단에는 제2회전축(53b')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53b')에는 스토퍼(53c)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3c)는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53b')에 연결되어 상기 연동부(53b)에 연동되고 타단은 상기 입출가이드(15)에 형성된 입출구를 통해 상기 볼라드기둥(2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토퍼(53c)는 상기 입출가이드(15)에 형성된 입출구를 통해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볼라드기둥(20)의 걸림플랜지(23) 중 상부플랜지(23a)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볼라드기둥(20)이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5참조). 즉, 상기 상부로킹기구(53)는 구동부(53a) 및 연동부(53b)는 회전운동을 스토퍼(53c)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는 걸림플랜지(23) 중 하부플랜지(23b)를 상부에서 지지하여 볼라드기둥(20)이 임의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하부로킹기구(55)의 구조 및 작동메커니즘은 상부로킹기구(53)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로킹기구(53)와 하부로킹기구(55)는 각각 회전바(51)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함께 작동한다.
이때, 상기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의 외면 양쪽에는 각각 경사면(53d) 및 걸림면(53e)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면(53e)은 상기 볼라드 기둥(20)의 걸림플랜지(23) 중 상부플랜지(23a)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이고, 경사면(53d)은 상기 볼라드기둥(2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걸림플랜지(23) 중 상부플랜지(23a)에 의해 후퇴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면에 해당한다.
즉, 상기 볼라드기둥(2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부플랜지(23a)는 경사면(53d)을 밀어 스토퍼(53c)를 후퇴시키고, 볼라드기둥(20)이 같은 방향으로 더 이동한 후에는 후퇴되었던 스토퍼(53c)가 탄성부재(5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반대면인 걸림면(53e)이 상부플랜지(23a)를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에 형성된 경사면(53d)을 수납공간(12)의 바닥면을 향해 형성되고, 경사면(53d)은 그 반대편에 형성된다.
한편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에 형성된 경사면(55d) 및 걸림면(55e)은 이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의 경사면(55d)은 수납공간(12)의 천장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의 걸림면(55e)은 수납공간(12)의 바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는 완전히 하강한 볼라드기둥(20)이 임의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의 걸림면(55e)이 걸림플랜지(23)의 하부플랜지(23b)를 위에서 걸어 고정한다.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에 형성된 경사면(55d)은 볼라드기둥(2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플랜지(23b)와 간섭되어 스토퍼(55c)를 후퇴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볼라드기둥(2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플랜지(23b)는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에 형성된 경사면(55d)을 밀어 스토퍼(55c)를 후퇴시키고, 볼라드기둥(20)이 같은 방향으로 더 이동한 후에는 후퇴되었던 스토퍼(55c)가 탄성부재(5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반대면인 걸림면(55e)이 하부플랜지(23b)를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에 형성된 경사면(53d)과,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에 형성된 경사면(55d)은 각각 볼라드기둥(20)의 상승 또는 하강과정에서 걸림플랜지(23)의 상부플랜지(23a)와 하부플랜지(23b)에 의해 스토퍼(53c, 55c)를 자연스럽게 후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제어수단(50)의 회전바(51)를 계속 회전시키고 있을 필요가 없고, 초기에 회전바(51)를 회전시켜 볼라드기둥(20)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에는 회전바(51)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이동되는 볼라드기둥(20)이 스토퍼(53c,55c)를 밀어 후퇴시키고, 탄성부재(5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스토퍼(53c,55c)에 의해 볼라드기둥(20)이 다시 걸어져 고정상태가 된다.
상기 제어수단(50)에는 탄성부재(56)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6)는 상기 제어수단(50)의 회전바(51)에 상기 로킹기구(53,55)가 상기 볼라드기둥(20)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탄성부재(56)는 회전바(51)의 상부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나, 회전바(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탄성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동작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의 일실시례에서 볼라드기둥(20)이 상승하는 과정의 내부상태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8과 함께 앞서 설명된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볼라드기둥(20)이 상승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볼라드기둥(20)이 수납하우징(10)의 수납공간(12)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통행 등을 제한하기 위해 볼라드기둥(20)을 돌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조작키(K)를 조작하여 볼라드기둥(20)을 상승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관리자가 키홈(K')이 형성된 조작키(K)를 키돌기(65)에 끼운 후에 회전시키면 상기 키돌기(65)와 함께 이에 연결된 회전바(51)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바(51)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바(51)에 결합된 상부로킹기구(53) 및 하부로킹기구(55)가 함께 동작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볼라드기둥(20)의 걸림플랜지(23) 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하부플랜지(23b)를 고정하고 있는 하부로킹기구(55)가 회전하여 볼라드기둥(20)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도 7(a)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관리자가 키돌기(65)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바(51)가 회전된다.(화살표①방향) 그리고, 회전바(51)에 연결된 구동부(55a)가 회전바(51)를 따라 같은 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결된 연동부(55b)가 구동부(55a)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동시에 회전된다.(화살표③방향) 상기 연동부(55b)가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스토퍼(55c)가 연동부(55b)의 회전에 따라 회전바(51) 방향으로 당겨지는데, 스토퍼(55c)는 직선이동한다.(화살표④방향) 상기 스토퍼(55c)는 입출가이드(15)의 입출구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입출구를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가 입출구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도 7(b)와 같은 상태가 되고, 결과적으로 하부플랜지(23b)를 상부에서 눌러 고정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이렇게 되면, 승강수단(30)이 상기 볼라드기둥(20)을 수납하우징(10)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즉, 상기 승강수단(30)의 피스톤(35)이 튜브(31)에 내장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볼라드기둥(20)을 들어올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관리자는 키돌기(65)를 계속 돌리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키돌기(65)를 회전시키던 힘을 제거하더라도 볼라드기둥(20)은 계속 상승할 수 있다. 볼라드기둥(2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볼라드기둥(20)의 걸림플랜지(23) 중 상부플랜지(23a)는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의 경사면(53d)을 밀어 스토퍼(53c)를 후퇴시키고, 볼라드기둥(20)이 같은 방향으로 더 이동한 후에는 후퇴되었던 스토퍼(53c)가 탄성부재(5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반대면인 걸림면(53e)이 상부플랜지(23a) 하부를 지지하여 볼라드기둥(20)은 걸림 상태가 된다. 이때 볼라드기둥(20)의 상승시에 상부완충부(28')가 수납하우징(10)의 상부판(14a)과 볼라드기둥(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줄인다.
이렇게 되면, 완전히 상승한 볼라드기둥(20)은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에 의해 지지되어 임의로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c)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에 의하면, 관리자가 초기에 키돌기(65)를 회전시키기만하면 볼라드기둥(20)이 자동으로 상승한 후에, 자동으로 걸림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에 형성된 경사면(53d)이 자연스럽게 볼라드기둥(20)에 의해 눌려 후퇴한 후, 탄성부재(56)에 의해 복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관리자가 제어수단(50)을 초기에만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켜주면 볼라드기둥(20)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고정되므로 볼라드기둥(20)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볼라드기둥(20)이 하강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동작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볼라드기둥(20)의 하강은 승강수단(30)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관리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관리자가 상기 키돌기(65)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로킹기구(53)의 스토퍼(53c)가 상기 볼라드기둥(20)의 상부플랜지(23a)를 걸고 있는 상태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가 상기 볼라드기둥(20)의 상부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볼라드기둥(20)은 승강수단(30)이 압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볼라드기둥(20)의 하강시에, 하부완충부(28)가 수납하우징(10)의 수납공간(12) 바닥과 볼라드기둥(20) 사이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볼라드기둥(20)의 하강 동작시에도 관리자는 초기에만 키돌기(65)를 회전시켜 볼라드기둥(20)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상기 볼라드기둥(2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플랜지(23b)는 하부로킹기구(55)의 스토퍼(55c)에 형성된 경사면(55d)을 밀어 스토퍼(55c)를 후퇴시키고, 볼라드기둥(20)이 같은 방향으로 더 이동한 후에는 후퇴되었던 스토퍼(55c)가 탄성부재(5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반대면인 걸림면(55e)이 하부플랜지(23b)를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볼라드기둥(20)이 완전히 하강하여 걸리는 상태도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관리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볼라드기둥(2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걸림상태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 상기 제어수단(50)의 로킹기구(53,55)는 상부로킹기구(53) 및 하부로킹기구(55)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어수단(50)에는 회전바(51)의 하부에만 로킹기구(55)가 구비되어 볼라드기둥(20)의 하강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수납하우징(10)의 상부에는 고정형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볼라드기둥(20)의 상승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수납하우징(10)의 상부에는 반드시 다수개의 부품이 연동되는 로킹기구(53,55)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또는, 상기 제어수단(50)에는 하나의 로킹기구(53,55)가 구비되고, 상기 볼라드기둥(20)에 상기 로킹기구(53,55)에 걸리는 걸림부(미도시)가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개 구비되어 상승상태 및 하강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10: 수납하우징 12: 고정앵글
14a: 상부판 14b: 하부판
15: 입출가이드 17: 제어공간
20: 볼라드기둥 23: 걸림플랜지
28,28': 완충수단 30: 승강수단
31: 튜브 35: 피스톤
50: 제어수단 51: 회전바
53,55: 로킹기구 60: 외장판
65: 키돌기 K: 조작키
K': 키홈

Claims (9)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지중에 설치되는 수납하우징과,
    상기 수납하우징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차단기능을 수행하는 볼라드기둥과,
    상기 수납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볼라드기둥을 수납하우징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수납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볼라드기둥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납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수납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바와,
    상기 수납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바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키돌기와,
    상기 회전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회전바에 고정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동부와, 일단이 상기 연동부에 연결되어 연동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하우징에 구비된 입출구를 통해 상기 볼라드기둥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외면 양쪽에는 경사면 및 걸림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라드기둥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방향의 동작시에 상기 경사면이 상기 볼라드기둥에 간섭되어 상기 스토퍼가 후퇴하고, 반대 방향의 동작시에는 상기 걸림면이 상기 볼라드기둥을 걸어 고정시키며,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수납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의 상부로킹기구는 상승한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볼라드기둥의 하강을 방지하며, 하부의 하부로킹기구는 하강한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볼라드기둥의 상승을 방지하는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킹기구의 스토퍼에는 하부를 향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승하는 볼라드기둥에 간섭되어 후퇴되고, 상기 하부로킹기구의 스토퍼에는 상부를 향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강하는 볼라드기둥에 간섭되어 후퇴되는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기둥의 하부에는 걸림플랜지가 상기 볼라드기둥의 외주면을 둘러 구비되고, 상기 걸림플랜지는 상기 상부로킹기구 및 하부로킹기구에 걸려 상기 볼라드기둥의 이동이 제한되는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로킹기구는 볼라드기둥의 하강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수납하우징의 상부에는 고정형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볼라드기둥의 상승 정도를 제어하는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7.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어수단의 회전바에 상기 로킹기구가 상기 볼라드기둥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기둥에는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된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볼라드기둥와 수납하우징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는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납하우징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압축가스가 내장된 튜브와,
    상기 튜브로부터 입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볼라드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볼라드기둥을 승강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KR1020160006005A 2016-01-18 2016-01-18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KR10173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005A KR101736807B1 (ko) 2016-01-18 2016-01-18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005A KR101736807B1 (ko) 2016-01-18 2016-01-18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807B1 true KR101736807B1 (ko) 2017-05-17

Family

ID=5904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005A KR101736807B1 (ko) 2016-01-18 2016-01-18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8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38B1 (ko) * 2020-06-15 2020-09-16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통신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CN114922114A (zh) * 2021-01-12 2022-08-19 深圳市复恒自控技术有限公司 锁定装置及相应的自锁式智能升降安全防护栏
KR20230056909A (ko) * 2021-10-21 2023-04-28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7066A1 (en) * 2006-05-04 2009-02-19 Stice David L Bollard type barri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7066A1 (en) * 2006-05-04 2009-02-19 Stice David L Bollard type barrier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38B1 (ko) * 2020-06-15 2020-09-16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통신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CN114922114A (zh) * 2021-01-12 2022-08-19 深圳市复恒自控技术有限公司 锁定装置及相应的自锁式智能升降安全防护栏
CN114922114B (zh) * 2021-01-12 2024-02-27 深圳市复恒自控技术有限公司 锁定装置及相应的自锁式智能升降安全防护栏
KR20230056909A (ko) * 2021-10-21 2023-04-28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
KR102617097B1 (ko) * 2021-10-21 2023-12-27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807B1 (ko) 반자동타입 승강식 볼라드
KR102534146B1 (ko)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231842B2 (ja) 機械室レス型エレベータのかご用の上部安全柵
GB2273122A (en) Vehicle barrier
JP2005532966A5 (ko)
KR102101779B1 (ko)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JP2017522476A (ja) バリア
ES2715970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cabina para una cabina de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JP2019124055A (ja) マンホール用安全柵装置
GB2323617A (en) Telescopic Post
JP6982902B2 (ja) 免震構造物の壁構造
JP2004162423A (ja) 地下収納型ゲート装置
CA2602996C (en) Perforating gun loading bay, table and method
JP3222635U (ja) 昇降式ボラード
KR102186318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102224467B1 (ko) 방호형 볼라드 조립체
JPS6341478Y2 (ko)
KR102389801B1 (ko) 차량 적재함의 덮개장치
JP2007303140A (ja) 収納庫構造
RU2794572C2 (ru) Дверь для пикапа
US11697573B2 (en) Hoistway access ladder storage
KR102181483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고속도로 비상회차로용 이동형 지주장치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JP2015231788A (ja) 可動柵
KR102350108B1 (ko)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