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191B1 -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191B1
KR101736191B1 KR1020160112800A KR20160112800A KR101736191B1 KR 101736191 B1 KR101736191 B1 KR 101736191B1 KR 1020160112800 A KR1020160112800 A KR 1020160112800A KR 20160112800 A KR20160112800 A KR 20160112800A KR 101736191 B1 KR101736191 B1 KR 10173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drying drum
granule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혁
임훈
임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엔텍
임동혁
임훈
임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엔텍, 임동혁, 임훈, 임세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엔텍
Priority to KR102016011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the drying enclosure having the shape of one or a plurality of shafts or ducts, e.g. with substantially straight and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슬러지 건조에서 주된 해결과제인 글루존(Glue Zone) 문제를 해결하고, 저온(45~95℃) 건조로 폭발 및 화재 위험을 제거할 수 있고, 통상 80wt% 이상의 함수율을 갖는 습(濕)슬러지를 함수율 조절(건슬리지와 혼합) 없이 직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인 그래뉼(heat storage media)이 열원에 의하여 예열되어 극대화된 전열(傳熱)면적을 제공하여 습(濕)슬러지의 빠른 건조를 보장하면서 건조드럼에 내장된 그래뉼머신의 패들(paddle)에 의하여 습(濕)슬러지의 그래뉼레이션(granulation)을 달성하고, 축열메디아에 의한 직접 제1건조, 열원(예: 열풍)에 의한 직접 제2건조, 건조드럼 및 열풍 안내로 벽체의 열기에 의한 간접 제3건조를 통하여 열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그만큼 신속하고 완벽한 건조(함수율 1~15wt%)가 가능한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메디아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는 습(濕)슬러지 투입부 및 건(乾)슬러지 배출부를 구비한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에 내장된 타격성형기, 이 타격성형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그래뉼머신; 상기 건조드럼 내부를 가열하는 열원; 및 상기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인 그래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LOW-TEMPERATURE DRY APPARATUS FOR SLUDGE USING SELF-MADE GRANULE AND DR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슬러지 건조에서 주된 해결과제인 글루존(Glue Zone) 문제를 해결하고, 저온(45~95℃) 건조로 폭발 및 화재 위험을 제거할 수 있고, 통상 80wt% 이상의 함수율을 갖는 습(濕)슬러지를 함수율 조절(건슬리지와 혼합) 없이 직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인 그래뉼, 특히 건(乾)슬러지인 자생 그래뉼이 열원에 의하여 예열되어 극대화된 전열(傳熱)면적을 제공하여 습(濕)슬러지의 빠른 건조를 보장하면서 건조드럼에 내장된 그래뉼머신의 패들(paddle)에 의하여 습(濕)슬러지의 그래뉼레이션(granulation)을 달성하고,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에 의한 직접 제1건조, 열원(예: 열풍)에 의한 직접 제2건조, 건조드럼 및 열풍 안내로 벽체의 열기에 의한 간접 제3건조를 통하여 열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그만큼 신속하고 완벽한 건조(함수율 1~15wt%)가 가능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유기성 폐기물(예: 하수 및 폐수(가축분뇨, 분뇨, 산업폐수 등) 처리물(슬러지, 탈수 케이크 등))과 무기성 폐기물, 기타 고형 폐기물의 해양 투기가 런던협약의 '96의정서(2006.03.24)에 의거하여 전면 금지되어 있다.
반면에 인구의 증가에 따른 신도시 건설사업 등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신설 및 증설이나 총인 배출기준 강화, 매립지의 포화 및 증설에 대한 규제 강화로 인하여 슬러지 처리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가 대두되는 현실에서
기존의 슬러지 건조설비는 과대한 열원(중유, 등유, LPG, LNG등)을 필요로 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운영비가 과대하며,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지구온난화 해소를 위한 리우협약에 따른 세계적인 화석연료사용 규제 추세에도 역행하고 있다.
또한 열원에 의한 건조로 심한 악취의 발생과 대기오염물질의 방출로 심각한 민원이 발생하고 발열량도 감소되는 영향으로 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갖는 건조 방안의 제시가 시급한 현실이다.
종래의 슬러지 처리기술들을 살펴보면 먼저, 특허등록 제10-1222452호(등록일자 2013년01월09일) [건설오니의 탈수건조 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건물이나 주택 등의 건설 및 해체,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물과 진흙 등의 건설오니에서 물과 오니를 분리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건설오니(汚泥, sludge)의 재활용을 가능케 하는 건설오니의 탈수건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핵심인 탈수장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는 외관부; 상기 몸체 내측에 삽입 안착되고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비한 관 형상의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탈수스크린망과, 상기 탈수스크린망의 내측에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오니를 이송하면서 탈수하기 위한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탈수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수분 배출부; 및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배관;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등록특허는 직간접 고온 가열방식의 건조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서두에 언급한 비용 및 환경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10-1221262호(등록일자 2013년01월04일) [오니건조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작동 과정에서 타공판에 집적되는 오니를 즉시 제거하여 연소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오니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니건조장치에 관한 것인데,
케이스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다단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된 연소가스 흐름공을 갖는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오니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분사구가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에어노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에어노즐의 분사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타공판에 분사됨으로써 상기 연소가스 흐름공에 부착된 오니와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타공판의 표면에 눌러 붙은 오니가 박리되도록 하여 연소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킨 오니건조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기술은 슬러지(오니) 건조의 효율성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통상의 건조 장치의 막힘 방지 기능을 구현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어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기술에 해당한다.
또 특허등록 제10-1229149호(등록일자 2013년01월28일) [슬러지 기류 건조모듈]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피건조물 덩어리를 분산시켜서 건조모듈 내부로 공급하며, 순간적인 분쇄 과정으로 작아진 입자들을 열풍속으로 난류확산 (Diffusion in turbulent flow)시키면서 열풍과 함께 건조모듈 본체 내벽을 따라 상부로 선회 유동(VORTEX MOTION) 이송형태로 신속한 건조를 시행함과 동시 분급기를 통해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건조를 진행하는 저에너지 비용의 고효율 슬러지 기류 건조모듈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고온 슬러지 열풍건조 장치의 분류에 속하는 것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에는 한계가 분명하다.
나아가 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4075호(공개일자 2013년07월04일) [슬러지 건조장치]가 있는데,
상기 공개고안의 슬러지 건조장치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하므로, 기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종래의 슬러지 건조장치에 비해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수분함량이 높은 겔타입의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대용량 처리를 달성하기 어려워 현실성에 문제가 있는 기술이다.
한편, 종래 슬러지 건조기술의 시급한 해결과제 중 하나는 글루존(Glue Zone, 최대점성구간) 문제로,
이는 슬러지의 점성이 커져 덩어리 현상을 갖추게 되는 수분함수율(40wt% ~ 60wt%) 구간으로 최대점성구간이라고도 하며,
이 글루존에서는 과부하에 의한 과다한 전력소모와 막힘현상 및 설비파손 문제까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는 글루존(Glue Zone)(함수율 40wt% ~ 60wt%) 보다 넓은 함수율 33~65wt% 구간을 피해야 현식적인 건조장치의 운전이 가능하므로,
건조 슬러지를 혼합하여 함수율을 25wt%까지 낮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러지 건조효율이 떨어지고, 건조시간이 지연되며, 건조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고온 건조에 의한 폭발 및 화재 위험 등의 다양한 문제가 상존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열원(예: 열풍),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인 그래뉼(granule) 및 그래뉼머신의 타격 성형기를 구성하는 패들(paddle)을 통하여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에 의한 직접 제1건조, 열원(예: 열풍)에 의한 직접 제2건조, 건조드럼 및 열풍 안내로 벽체의 열기에 의한 간접 제3건조를 통하여 열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그만큼 신속하고 완벽한 건조(함수율 1~15wt%)가 가능하며, 기존 슬러지 건조장치에서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인 글루존(Glue Zone) 문제를 해결하고, 저온(45~95℃) 건조로 폭발 및 화재 위험을 제거할 수 있고, 통상 80wt% 이상의 함수율을 갖는 습(濕)슬러지를 함수율 조절(건슬리지와 혼합) 없이 직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인 그래뉼이 열원에 의하여 예열되어 극대화된 전열(傳熱)면적을 제공하여 습(濕)슬러지의 빠른 건조를 보장하는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타격 성형기를 구성하는 패들(paddle)의 슬러지 타격면은 샤프트 축설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배열되고, 나아가 어느 한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은 인접한 다른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여 습(濕)슬러지의 신속한 그래뉼레이션(granulation)을 보장하도록 한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이 슬러지 성형체이며, 건조드럼에서 이루어지는 그래뉼화 슬러지 건조가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건(乾)슬러지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연속식) 또는 1회 배출량(회분식)은 총 슬러지 유입량의 5~60 중량%로 구성하여, 잔량의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는 지속적으로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로 기능하도록 한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그래뉼머신의 타격성형기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 타격성형기는 안내로의 열풍의 상승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열풍에 의한 직접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는
습(濕)슬러지 투입부 및 건(乾)슬러지 배출부를 구비한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에 내장된 타격성형기, 이 타격성형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이 구동터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그래뉼머신;
상기 건조드럼 내부를 가열하는 열원; 및
상기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인 그래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에서
상기 타격성형기는 샤프트, 이 샤프트에 방사상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 이 각 링크에 구비된 패들(padd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은 샤프트 축설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어느 한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은 인접한 다른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은 슬러지 성형체이며,
상기 열원은 열풍공급수단이며,
상기 건조드럼의 하부에는 열풍의 상향 안내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그래뉼머신의 타격성형기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 타격성형기는 열풍의 상승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건조드럼의 투입부로 공급되는 습(濕)슬러지의 함수율은 70~95wt% 이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의 함수율은 1~15wt% 이고,
상기 건조드럼은 45~95℃의 저온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건조드럼에서 이루어지는 그래뉼화 슬러지 건조는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드럼 내의 단위 시간당 [습(濕)슬러지 :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의 중량비는 [5~30 : 95~7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방법은 상기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은 열원(예: 열풍),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인 자생 그래뉼(granule) 및 그래뉼머신의 타격 성형기를 구성하는 패들(paddle)을 통하여 슬러지 건조에서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인 글루존(Glue Zone) 문제를 해결하고, 저온(45~95℃) 건조로 폭발 및 화재 위험을 제거할 수 있고, 통상 80wt% 이상의 함수율을 갖는 습(濕)슬러지를 함수율 조절(건슬리지와 혼합) 없이 직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이 열원에 의하여 예열되어 일종의 유동체가 되어 외주면 전체가 극대화된 전열(傳熱)면적을 제공하여 습(濕)슬러지의 빠른 건조를 보장하고,
또 타격 성형기를 구성하는 패들(paddle)의 슬러지 타격면은 샤프트 축설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배열되고, 나아가 어느 한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은 인접한 다른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여 습(濕)슬러지의 신속한 그래뉼레이션(granulation)을 보장하며,
아울러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이 슬러지 성형체이며, 건조드럼에서 이루어지는 그래뉼화 슬러지 건조가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건(乾)슬러지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연속식) 또는 1회 배출량(회분식)은 총 슬러지 유입량의 5~60 중량%로 구성하여, 잔량의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는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로 기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상기 그래뉼머신의 타격성형기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 타격성형기는 안내로의 열풍의 상승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열풍에 의한 직접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결국 축열메디아에 의한 직접 제1건조(축열메디아 특유의 기능으로 인하여 피건조물인 습슬러지에 대한 접촉면적을 획기적으로 확대하여 습슬러지의 간극수(水)가 자유수(水)로 노출되어 건조가 더 빠르게 진행됨), 열원(예: 열풍)에 의한 직접 제2건조, 건조드럼 및 열풍 안내로 벽체의 열기에 의한 간접 제3건조를 통하여 열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그만큼 신속하고 완벽한 건조(함수율 1~15wt%)가 가능하여 진정한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은
저온(45~95℃) 건조 방식을 취하므로 그만큼 악취발생량이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배가스 온도 역시 50~60℃ 정도로 탈취를 위한 전처리설비가 불필요하며,
그래뉼화(granulation) 건(乾)슬러지 배출 외에 미분(먼지)형 건조물을 집진설비를 이용하여 포집하고, 그래뉼화 건(乾)슬러지 그대로 보조연료로 납품하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선별기가 불필요하며, 또한 후단 집진설비가 불필요하여 관련 부하가 그만큼 감소하고,
습(濕)슬러지를 함수율 조절(건슬리지와 혼합) 없이 직투입하는 만큼 컨베이어벨트, 혼합기 등의 전처리설비가 불필요하여 설비비, 운전비 등을 절약할 수 있고, 혼합기 마모에 따른 교체나 유지보수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며,
단순한 건조설비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대부분을 차지하는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인 건(乾)슬러지 대 소량의 습(濕)슬러지 비율로 인하여 타격성형기에 의하여 일종의 부유성 교반이 이루어져 그만큼 마찰이 적어 마모에 따른 타격성형기 부품의 교체가 거의 불필요하여 그만큼 운전비용의 절감과 연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메디아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그래뉼머신의 타격 성형기를 구성하는 패들(paddle) 중심의 개략도.
도 3은 그래뉼머신의 건조드럼 중심의 개략도.
도 4는 그래뉼머신의 제어부와 관련된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축열메디아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A)의 전체 개략도에 대한 도 1과, 그래뉼머신(30)의 타격성형기(31) 중심의 도 2, 건조드럼(10) 중심의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슬러지 건조장치(A)는 크게 건조드럼(10), 그래뉼머신(30), 열원, 그리고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인 그래뉼(Hm)(이하 편의상 '그래뉼'과 '축열메디아'를 병용함)로 구성된다.
건조드럼(10)은 내부에 구동모터(30m)와 연결된 그래뉼머신(30)이 내장되어 있고, 습(濕)슬러지 투입부(11A) 및 건(乾)슬러지 배출부(11B)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드레인(15)이 구비되어 있으며, 배출부(11B) 상부에는 집진기(40)와 연결된 배가스 배기부(11C)가 구비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자생, 즉, 건조드럼 내에서 그래뉼과 그래뉼머신에 의하여 자체 생성된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습(濕)슬러지 투입부(11A)는 습(濕)슬러지가 저장된 호퍼(Sh)와 이송컨베이어(Sc)로 구성된, 80wt% 이상의 함수율을 갖는 습(濕)슬러지 공급부(SW)와 연결되어 있다.
습슬러지 공급부(SW) 및 습슬러지 투입부(11A)로는 도 1의 좌측 사진과 같이 습슬러지(Sw)가 소정의 속도로 연속 공급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습슬러지 투입부(11A)는 습슬러지 공급부(SW) 등에서 압밀된 슬러지를 파쇠할 수 있는 파쇄구, 특히 무동력 파쇄구(11f)가 투입구(11a) 직전에 배열되어 습슬러지의 비표면적을 확대하여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에 효과적으로 도포되어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파쇄구(11f)는 도 1의 좌측 제품 사진에서와 같이 습슬러지(Sw)를 복수의 가닥 형태로 압출 하는 하는 다공성 구조물이다.
이 습슬러지 공급부(SW)에서는 기존 슬러지 건조장치와 달리 습(濕)슬러지를 함수율 조절(건슬리지와 혼합) 없이 직투입하는 만큼 이와 관련된 컨베이어벨트, 혼합기 등의 전처리설비가 불필요하여 설비비, 운전비 등을 절약할 수 있고, 혼합기 마모에 따른 교체나 유지보수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된다.
또 건(乾)슬러지 배출부(11B)는 연속식으로 구성된 건조드럼의 구성에 맞게 그래뉼머신(30)에 의하여 그래뉼 타입으로 성형된 건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투입부 반대측에서 타격성형기(31)의 샤프트(31a) 높이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연속식의 경우 그래뉼 타입 건슬러지가 오버플로우가 이루어지는 배출부에는 배출파이프가 연결되고, 건조장치의 용량에 따라 배출파이프 말단에는 건슬러지(Sd) 저장탱크(17)가 구비되어 있다(또는 대안적으로 마대자루 또는 덤프트럭에 직접 저장 가능).
상기 건조드럼의 투입부로 공급되는 습(濕)슬러지의 함수율은 70~95wt% 이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의 함수율은 1~15wt% 이고, 상기 건조드럼은 45~95℃(바람직하기로는 45~9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0~85℃,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50~80℃)의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건(乾)슬러지 배출부(11B)에서의 그래뉼화(granulation) 건(乾)슬러지 배출 외에 미분(먼지)형 건조물을 집진기(40)를 이용하여 포집하고, 그래뉼화 건(乾)슬러지 그대로 보조연료로 납품하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선별기가 불필요하며, 또한 후단 집진설비가 불필요하여 관련 부하가 그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순힌 미분 처리용 집진기(40)는 사이클론(41)과, 그 후단의 웨트스크러버(43)(Wet Scrubber)가 구비되며 웨트스크러버는 펌프와 연결된 세정수공급탱크(43a)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는다. 필요에 따라 후단설비로 미세한 악취 제거를 위한 세정탑 등이 도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축열메디아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A) 및 건조방법은 저온(45~95℃) 건조 방식을 취하므로 그만큼 악취발생량이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기존 150~400℃ 온도의 열풍 등의 건조에서는 특유의 악취(단백질 등의 연소가 원인임, 머리카락 탄내와 유사)가 발생됨) 건조설비 주변의 민원 발생 원인이 해소되며, 상기 건조드럼(10) 내부를 가열하는 열원은 축열메디아(Hm)에 의한 직접 제1건조, 열원(예: 열풍) 그 자체에 의한 직접 제2건조, 건조드럼 및 열풍 안내로 벽체(W)의 열기에 의한 간접 제3건조를 제공하는 원천이며,
이러한 3단계 건조를 통하여 열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그만큼 신속하고 완벽한 건조(함수율 1~15wt%)가 가능하여 진정한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축열메디아(Hm)에 의한 직접 제1건조는 축열메디아 특유의 기능으로 인하여 피건조물인 습슬러지에 대한 접촉면적을 획기적으로 확대하여 외주면 전체가 극대화된 전열(傳熱)면적을 제공하므로 습슬러지의 간극수(水)가 자유수(水)로 노출되어 건조가 더 빠르게 진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도 1에서 이러한 열원은 열풍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를 위하여 열원(20)은 연료탱크(21)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버너(23)로 구성되며, 열풍 형성을 위하여 버너는 또 팬과 연결되어 있다.
열효율, 특히 동절기에도 건조 처리에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인 배가스 배기부(11C)의 열마저도 회수하도록 응축부(20E)를 구성하여 배가스의 수분은 응축 배수하고, 열원(20)인 버너로 상온 이상의 연소공기(20a)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우측 하부 세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좌우측 하부 두 일점 쇄선 원 내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타격성형기(31)는 생략하고 건조드럼(10)만을 도시함),
열원(20)에서 제공되는 열풍은 곡선형(특히 원형) 하면 구조를 갖는 건조드럼(10)에서 열풍 상향 안내로(13)를 따라 아래에서 위로 공급되어 가압된 열풍기류에 자연 대류적인 상승기류까지 더해져 투입부(11A)에서 공급되는 습(濕)슬러지의 건조 및 그래뉼화(granulation) 과정을 통한 건(乾)슬러지(Hm)화의 효율화가 보장되고 극대화된다.
특히 그래뉼머신(30)의 타격성형기(31), 특히 처리 용량 보장을 위한 한 쌍의 타격성형기는 열풍의 상승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풍이 습(濕)슬러지 및 건(乾)슬러지에 보다 잘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풍은 160~230℃ 정도로 공급되나, 건조드럼(10) 내의 온도는 저온(45~95℃)이어서 건슬러지의 폭발 및 화재 위험이 제거된다(특히 건슬러지(Hm)는 주되게 외경(φ0.3~15mm) 정도의 그래뉼 타입으로 성형되고, 폭발 위험요소인 미분은 극히 미량이면서도 집진기(40)에 의하여 신속히 제거되므로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안정성은 극대화된다).
상기 건조드럼(10)은 곡선형(특히 원형) 하면 구조를 갖고 그 저부에 열풍 상향 안내로(13)가 구비되며,
이 안내로(13)는 건조드럼의 최저부 보다 상부에 열풍홀(13h)이 형성되어 있어 습(濕)슬러지 및 건(乾)슬러지가 열풍홀(13h)을 폐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도 3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건조드럼의 측면도와 같이 열풍홀(13h)은 슬릿(slit) 타입이고,
도 1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건조드럼의 평면도와 같이, 열풍 상향 안내로(13)는 건조드럼(10) 전체에 걸쳐 연속된 것이 아니라 격벽(13p)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고, 격벽에 의하여 분리된 열풍 상향 안내로(13) 구획부 마다(5개의 구획부(13P)) 열원(20)(열풍)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음을 도 3 및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A)의 건조드럼(20)은 버너(23)등의 열원(20)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분기관(13D)을 거쳐 각 구획부(13P)로 공급됨과 함께, 가급적 건조드럼 내의 응축수 발생 및 열손실 발생을 방지하고, 열풍이 건조드럼 전체를 가열하면서 재활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열풍 상향 안내로(13)가 건조드럼(20) 외벽의 6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80% 이상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 도 3의 건조드럼(20) 상부와 같이 안내로(13)가 형성되지 않은 외벽 부위는 단열재로 감싸서 열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그래뉼머신(30)은 건조드럼(10)에 내장된 타격성형기(31), 이 타격성형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m)로 구성되며, 특히 한 쌍의 타격성형기를 갖는데, 처리 용량 필요성에 따라 하나 또는 셋 이상의 타격성형기가 도입될 수 있다.
도 2 [A]의 건조드럼(10) 상부에서 관찰한 평면도, [B]의 측면도, [C]의 정면도(하나의 타격성형기만 도시함), [D]의 측면도(도 3의 우측 일점쇄선 원 내 및 도 2 [D]에서 열풍의 공급 방향을 각각 "Hot Wind" 및 "H.W"로 표시하고 있다) 및 도 2 [B]의 평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타격성형기(31)는 샤프트(31a), 이 샤프트에 방사상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31b), 이 각 링크에 구비된 패들(paddle)(3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A, B, C]는 설계 사양에 가까운 도면이고, [D]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임).
또 상기 패들(31c)의 슬러지 타격면(31d)은 샤프트(31a) 축설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배열되고,
더 나아가 어느 한 패들(31c)의 슬러지 타격면(31d)은 인접한 다른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습슬러지와 축열메디아인 그래뉼(Hm)의 혼합 및 건조와, 습슬러지의 그래뉼 타입 성형 효율성에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어 있다.
도 2 [B]에서와 같이 샤프트(31a)의 한 원주면 위치에는 180도 간격으로 링크(31b)를 통하여 제1쌍의 패들(31c)이 연결되어 있고, 이격된 인접 위치에는 제1쌍의 패들과 90도 간격으로 어긋난 180도 간격의 제2쌍의 패들(31c)이 배열된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배열 위치와 배열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샤프트의 동일 원주면에 배열된 한 쌍의 패들은 샤프트(31a) 축설 방향과 서로 다른 어긋난 방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2 [A]의 하부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변형예와 같이, 상기 패들(31c)의 타격면(31d)은 샤프트(31a)의 법선(링크(31b)는 법선 선상에 배열됨)과 어긋난 형태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그래뉼머신(30)의 타격성형기(3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m)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데,
이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통해 구동모터(30m)를 제어함에 있어,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나아가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면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회로 별로 동작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안정화회로(162)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정화회로(162)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를 통해 캐패시터(C601)에 저장함으로써 신호 유입에 대한 완충을 제공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다음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과 저항(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회로(163)는 제어신호의 전류를 저항(R602)을 통해 전압으로 변환하고, 저항(R603)에 인가되며, 캐패시터(C602)(C603)를 통해 필터링되어 출력제어소자(161)로 전달한다. 이 후 출력제어소자(161)는 감지회로(163)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의 재 필터링을 명령하게 된다.
다음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력제어소자(161)는 제어신호의 출력 상태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 항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제품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은 물론 비상상황을 대비한 추가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회로(164)가 신호용 전원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출력제어소자(16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게끔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을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604)를 통해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인 그래뉼(G)은 외경φ 0.3~15mm 정도의 다양한 세라믹 또는 단순 흙 성형체일 수 있고, 특히 습슬러지의 성형 효율성을 고려하여 같은 슬러지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 건조드럼에 충진되는 슬러지 성형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성형된 제품을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조드럼(100의 형상과 그래뉼머신(30)의 타격성형기(31) 및 패들(31c)의 타격면(31d) 구조로 인하여,
그리고 축열메디아인 그래뉼(heat storage media)(G)에 의한 직접 제1건조, 열원에 의한 직접 제2건조, 건조드럼 및 열풍 안내로 벽체(W)의 열기에 의한 간접 제3건조로 인하여,
건조드럼 내의 단위 시간당 [습(濕)슬러지 :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의 중량비가 [5~30 : 95~70] 정도로 공급되는 함수율 80wt% 이상의 습(濕)슬러지는 그 성상 및 투입량에 따라 20~60분 정도의 체류시간 내에
그래뉼레이션(granulation) 현상에 의하여 외경φ 0.3~15mm 정도의 그래뉼로 성형되어 배출된다.
도 1에 도시된 건조드럼에서 이루어지는 그래뉼화 슬러지 건조는 연속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회분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건조드럼에서 이루어지는 그래뉼화 슬러지 건조가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건(乾)슬러지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연속식) 또는 1회 배출량(회분식)은 총 슬러지 유입량의 5~60 중량%로 구성하여, 잔량의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는 다시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로 기능하게 된다.
이처럼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 또는 열매체(heat transfer media), 이하 병용함)인 그래뉼이 열원에 의하여 예열되어 일종의 유동체가 되어 타격성형기(31)의 패틀(31c)에 의하여 빠르게 유동하면서 교반되고, 이에 따라 유동체화된 축열메디아인 그래뉼(G)와 습슬러지는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빠르고 보다 완벽하게 열을 전도하여 습슬러지를 건조하고 이를 그래뉼화하도록 축열메디아의 외주면 전체가 극대화된 전열(傳熱)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A)를 이용한 건조방법은 건조드럼(10) 내에서 그래뉼머신(30)에서 유동체화된 축열메디아(G), 즉
대부분을 차지하는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인 건(乾)슬러지 대 소량의 습(濕)슬러지 비율로 인하여 타격성형기(31)에 의하여 일종의 부유성 교반(유동체화된 축열메디아와 습슬러지의 교반)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존 슬러지 건조공정에서의 주된 해결과제인 글루존(Glue Zone)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부유성 교반 특성상 타격성형기에 가해지는 부하와 마찰빈도는 줄어들게 되므로 마모에 따른 타격성형기 부품의 교체가 거의 불필요하여 그만큼 운전비용의 절감과 연속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아래 다양한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A)의 건조드럼(10) 내에서 그래뉼머신(30) 및 열원(2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건조 그래뉼화 완료된 건슬러지(Sd)는 이 결과물 및 이 건슬러지 대한 파괴 결과를 나타낸 아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1]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A)의 저온 건조 특성은 아래 건조과정의 건조드럼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 촬영 결과 및 이를 그래프로 도시한 실험데이터 ② 및 ①에서 확인할 수 있고(③사진의 충청북도에 소재한 시험장 파일롯 설비 현장에서 진행한 것임), 이를 비교 정리한 에너지 소모량 비교그래프에서 더 극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진 2]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2
[사진 3]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3
[에너지 소모량 비교]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A)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한 브랜드인 'HMFD'로 약칭하고 병용함; Hanmee Media Floating Dryer))과 타공법의 비교는 아래 요약표를 통하여 보다 선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비교 요약표]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5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A)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HMFD')은 아래 축열메디아('HTM', heat storage media)인 그래뉼 관련 모식도 및 기술특징 요약을 통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모식도]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6
[기술특징-요약]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7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A)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HMFD')은 본 충청북도에 소재한 시험장 파일롯 설비 현장에서 12개월 이상 비밀 실험한 테스트 결과를 통하여 그 우수성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Pilot plant test 결과-01]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8
[Pilot plant test 결과-02]
Figure 112016085617716-pat00009
이상의 설명에서 열원, 특히 열풍 열원의 사양, 그래뉼머신의 사양, 건조 처리 용량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성을 갖는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건조장치 Sw: 습(濕)슬러지
Sd: 건(乾)슬러지 G: 그래뉼
10: 건조드럼 11A: 투입부
11B: 배출부 13: 열풍 상향 안내로
20: 열원 23: 버너
30: 그래뉼머신 30m: 구동모터
31: 타격성형기 31c: 패들
40: 집진기

Claims (2)

  1. 습(濕)슬러지 투입부 및 그래뉼 타입으로 성형되는 건(乾)슬러지 배출부를 구비한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에 내장된 타격성형기, 이 타격성형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이 구동모터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그래뉼머신;
    상기 건조드럼 내부를 가열하는 열원; 및
    상기 건조드럼에 내장된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은 건(乾)슬러지 성형체이고,
    상기 열원은 열풍공급수단이며,
    상기 건조드럼의 하부에는 열풍의 상향 안내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타격성형기는 열풍의 상승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건조드럼(10)은 곡선형 하면 구조를 갖고 그 저부에 열풍 상향 안내로(13)가 구비되며,
    이 안내로(13)는 건조드럼의 최저부 보다 상부에 열풍홀(13h)이 형성되어 있어 습(濕)슬러지 및 건(乾)슬러지가 열풍홀(13h)을 폐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타격성형기는 샤프트, 이 샤프트에 방사상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 이 각 링크에 구비된 패들(padd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열풍 상향 안내로(13)는 격벽(13p)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고,

    상기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은 샤프트 축설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격벽에 의하여 분리된 열풍 상향 안내로(13)는 구획부 마다 열풍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고,
    어느 한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은 인접한 다른 패들의 슬러지 타격면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건조드럼에서 이루어지는 그래뉼화 슬러지 건조는 연속식이고,
    건(乾)슬러지 배출부(11B)는 연속식으로 구성된 건조드럼의 구성에 맞게 그래뉼머신(30)에 의하여 그래뉼 타입으로 성형된 건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투입부 반대측에서 타격성형기(31)의 샤프트(31a) 높이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래뉼머신의 타격성형기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건조드럼의 투입부로 공급되는 습(濕)슬러지의 함수율은 70~95wt% 이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의 함수율은 1~15wt% 이고,
    상기 건조드럼은 45~95℃의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슬러지 성형체인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이 열원에 의하여 예열되어 극대화된 전열(熱)면적을 제공하여 습(濕)슬러지의 빠른 건조를 보장하고,
    건조드럼의 건(乾)슬러지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은 총 슬러지 유입량의 5~60 중량%로 구성되고, 잔량의 그래뉼 타입 건(乾)슬러지는 다시 축열메디아(heat storage media) 그래뉼로 기능하게 되며,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에 의한 직접 제1건조, 열원인 열풍에 의한 직접 제2건조, 건조드럼 및 열풍 안내로 벽체의 열기에 의한 간접 제3건조를 통하여 습(濕)슬러지를 함수율 조절 없이 직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건조드럼(10)에서 열풍 상향 안내로(13)를 따라 아래에서 위로 공급되어 가압된 열풍기류에 자연 대류적인 상승기류까지 더해져 투입부(11A)에서 공급되는 습(濕)슬러지의 건조 및 그래뉼화(granulation) 과정을 통한 건(乾)슬러지화의 효율화가 보장되고,

    상기 그래뉼머신의 제어부는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130)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갖는 신호생성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111) 및 상기 제2증폭회로(112)는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상기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되, 상기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와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여 전압 강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되,
    상기 안정화회로(162)는 상기 신호출력부(160)에서 전달된 제어신호가 통과하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가 저장되는 캐패시터(C601)를 포함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상기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하며,
    상기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최종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에 대한 재 필터링을 명령하고,
    상기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제어소자(161)의 항시 구동을 제공하고,
    건조드럼의 측면도와 같이 열풍홀(13h)은 슬릿(slit) 타입이고,
    건조드럼의 습(濕)슬러지 투입부에는 파쇄구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건조드럼 내의 단위 시간당 [습(濕)슬러지 : 축열메디아인 그래뉼]의 중량비는 [5~30 : 95~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2. 삭제
KR1020160112800A 2016-09-01 2016-09-01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1736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00A KR101736191B1 (ko) 2016-09-01 2016-09-01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00A KR101736191B1 (ko) 2016-09-01 2016-09-01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191B1 true KR101736191B1 (ko) 2017-05-16

Family

ID=590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00A KR101736191B1 (ko) 2016-09-01 2016-09-01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1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8305A (zh) * 2017-12-07 2018-04-17 中国科学院紫金山天文台 一种南极天文保障平台发电机组带时间限制的控制方法
CN109539755A (zh) * 2018-11-12 2019-03-29 颍上县聚鑫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秸秆颗粒烘干装置
CN110830059A (zh) * 2019-10-21 2020-02-21 河南工业贸易职业学院 一种信息实时交换的智慧物流系统
US20210347665A1 (en) * 2018-09-29 2021-11-11 Baoshan Iron & Stee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drying of inorganic sludge with drum drawing process
CN115140920A (zh) * 2022-06-07 2022-10-04 杭州国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污泥干化的散料收集、自清洗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84Y1 (ko) * 2004-03-12 2004-06-22 이구철 슬러지의 건조장치
KR100851947B1 (ko) * 2008-01-29 2008-08-12 보성환경산업(주) 하수 및 정수 슬러지의 안정화 처리 장치 및 공법
KR101635587B1 (ko) * 2016-03-24 2016-07-20 주식회사 소룩스 엘이디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84Y1 (ko) * 2004-03-12 2004-06-22 이구철 슬러지의 건조장치
KR100851947B1 (ko) * 2008-01-29 2008-08-12 보성환경산업(주) 하수 및 정수 슬러지의 안정화 처리 장치 및 공법
KR101635587B1 (ko) * 2016-03-24 2016-07-20 주식회사 소룩스 엘이디 조명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8305A (zh) * 2017-12-07 2018-04-17 中国科学院紫金山天文台 一种南极天文保障平台发电机组带时间限制的控制方法
US20210347665A1 (en) * 2018-09-29 2021-11-11 Baoshan Iron & Stee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drying of inorganic sludge with drum drawing process
US11891318B2 (en) * 2018-09-29 2024-02-06 Baoshan Iron & Stee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drying of inorganic sludge with drum drawing process
CN109539755A (zh) * 2018-11-12 2019-03-29 颍上县聚鑫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秸秆颗粒烘干装置
CN110830059A (zh) * 2019-10-21 2020-02-21 河南工业贸易职业学院 一种信息实时交换的智慧物流系统
CN110830059B (zh) * 2019-10-21 2020-12-25 河南工业贸易职业学院 一种信息实时交换的智慧物流系统
CN115140920A (zh) * 2022-06-07 2022-10-04 杭州国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污泥干化的散料收集、自清洗系统及控制方法
CN115140920B (zh) * 2022-06-07 2023-08-11 杭州国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污泥干化的散料收集、自清洗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191B1 (ko) 자생 그래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JP6216763B2 (ja) 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CN104588391B (zh) 一种便捷式餐厨垃圾处理系统
CA2502638C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ting waste into energy
KR101729994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EP0906248B2 (fr) Procede de traitement et valorisation energetique optimisee des boues d'epuration urbaine et industrielle
CN103398383A (zh) 一种固体垃圾焚烧系统
JP6639330B2 (ja) 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CN104860501B (zh) 一种无害化处理钻井固废工艺
KR101006466B1 (ko) 폐루프식 슬러지 기류 건조장치
CN108218177B (zh) 一种污泥干化装置与干化方法
KR101339563B1 (ko) 유기성 슬러지 일괄처리장치
KR102235558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연료화와 부숙화 하이브리드 자원화시스템
JP6565097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CA24235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 biosolid sludge to a pasteurised stage for use as an organic fertilizer
KR101755009B1 (ko)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KR10099695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375819B1 (ko) 함수율 조절식 슬러지 건조장치
KR20040085258A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3609636B2 (ja) 汚泥乾燥処理装置
KR20030009690A (ko) 농산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JP5547371B2 (ja) 高含水率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JP2009202078A (ja) 含水有機廃棄物の乾燥及び造粒システム
CN113503544A (zh) 一种针对生活垃圾及禽畜粪便的废弃物减量处理系统
KR101955809B1 (ko) 산화탈수와 하이브리드건조 및 폐열발전을 이용한 저에너지 슬러지 건조 연료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