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186B1 -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186B1
KR101736186B1 KR1020150169946A KR20150169946A KR101736186B1 KR 101736186 B1 KR101736186 B1 KR 101736186B1 KR 1020150169946 A KR1020150169946 A KR 1020150169946A KR 20150169946 A KR20150169946 A KR 20150169946A KR 101736186 B1 KR101736186 B1 KR 101736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road
control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석
금병직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60K2350/2013
    • B60K2350/35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HUD 영상을 출력하는 HUD영상출력부 및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기반으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고,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HUD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의 발달로 차량의 성능이나 안전에 대한 기능이 발전함과 더불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행 정보가 차량이나 비행기의 전면 유리에 나타나도록 설계된 장치로서, 초기에는 비행기 조종사의 전방 시야를 확보해 주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최근에는 사고 감소를 위해 차량에도 도입되고 있다.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경로 변경을 안내하는 화살표 정보, 속도 등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차량 정보를 윈드쉴드(Windshield) 상에 또는 윈드쉴드 너머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차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방향으로 시선을 옮길 필요가 없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된 전방을 바라보면서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34512호(2015.04.03)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점차 커지고,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많은 정보를 표시하게 되면서, 정보를 표시하는 다수의 이미지 객체들이 존재하게 되어,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오히려 운전자의 집중을 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HUD 영상을 출력하는 HUD영상출력부; 및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기반으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고,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HUD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HUD영상출력부는 증강현실 형태의 HU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집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고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휘도나 투명도를 저하시키거나 블러(blur) 처리하여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HUD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은 차량의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에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를 포함시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운전자 시점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기반으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HUD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집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HUD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휘도나 투명도를 저하시키거나 블러(blur) 처리하여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HUD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에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를 포함시켜 차량의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운전자 시점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의 전방 영상에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를 포함시켜 차량의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안전운행을 유지하면서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표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도 3, 도 4, 도 5, 도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표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은 제어부(100), 영상촬영부(110), HUD영상출력부(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한다.
영상촬영부(110)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부(110)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HUD영상출력부(120)는 HUD(Head Up Display)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UD영상출력부(120)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프로젝터, 출력된 영상의 광로를 변경하여 운전자의 가시영역으로 투영할 수 있는 다수의 거울 등을 포함하여 HU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UD영상출력부(120)는 공지되거나 공지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HU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HUD영상출력부(120)는 증강현실 형태의 HUD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즉, HUD영상출력부(12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방 영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 객체들을 실세계에 겹쳐서 표시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은 HUD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레이더(미도시), GPS장치(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증강현실 또는 일반적인 형태의 HUD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이나 그에 따른 장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방식이든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방 영상을 기반으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고,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HUD 영상이 투영되는 차량의 전방 영역은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이러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차량의 전방 영상을 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차량의 전방 영상에서 차선을 인식하여 도로인 영역과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목적지 정보에 관한 이미지 객체(2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이고, 좌회전에 관한 이미지 객체(300)는 도로인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증강현실 형태의 영상을 출력하는 HUD 시스템은 차선을 인식하는 기능,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들을 실세계와 매칭시키는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들이 실세계의 어느 위치에 겹쳐지는지에 대한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어떠한 이미지 객체가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이렇게 파악된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이미지 객체들이 표시되어 있다면, 이러한 이미지 객체들에 의해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될 수 있고, 운전자의 시선 분산은 안전운전의 방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목적지 정보에 관한 이미지 객체(200))의 시인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시선 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도로인 영역에는 주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예: 차선변경 안내, 경로 안내, 전방차량에 대한 정보 등)가 표시되는 경우가 많고, 도로가 아닌 영역에는 부가적인 정보(예: 목적지 정보, POI(point of interest) 정보 등)가 표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켜, 운전자가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만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운전 중에 도로만을 주시하는 것이 안전운전에 도움이 되므로,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켜, 운전자가 도로만 주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때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휘도나 투명도를 저하시키거나, 블러(blur) 처리하여 그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이미지 객체의 휘도나 투명도를 저하시키는 방식으로 선명도를 저하시키거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러 처리하여 운전자가 인식하게 되는 정도를 저하시킴으로써, 그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다 함은, 도로가 아닌 영역의 전부를 가리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로가 아닌 영역의 일부만을 가리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리는 단일색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도로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주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방 영상에서 도로가 아닌 영역의 대표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대표 색상은 해당 영역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색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의 실제 색상에 가장 가까운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느낄 수 있는 위화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러한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리는 이미지가 불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영상촬영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리는 이미지가 반투명한 상태로 표시되도록 영상촬영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도로가 아닌 영역을 완전히 가린다면, 갑자기 튀어나오는 물체나 사람 등을 인식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을 반투명 상태로 가림으로써, 운전자의 집중을 향상시키면서도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가 조절하는 투명도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 또는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집중모드가 선택되면,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고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차량의 클러스터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방 영상에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목적지 정보에 관한 이미지 객체(200))를 포함시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더라도, 해당 이미지 객체가 내포하고 있는 정보가 무의미한 정보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제어부(100)는 해당 이미지 객체를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단순히 이미지 객체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방 영상에 해당 이미지 객체를 포함시키는 AR(Augmented Reality) 뷰(view)형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의 전방에 대한 증강현실 형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30)를 주시할 때에도 차량의 전방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운전자가 바라보는 시점과 영상촬영부(110)의 카메라 등이 설치된 위치의 시점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방 영상을 운전자의 시점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카메라 등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영상이 변환되어야 하는 위치 및 거리 등을 계산하여 시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00)는 먼저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S20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한다(S210).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HUD 영상이 투영되는 차량의 전방 영역은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이러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차량의 전방 영상을 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차량의 전방 영상에서 차선을 인식하여 도로인 영역과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목적지 정보에 관한 이미지 객체(2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이고, 좌회전에 관한 이미지 객체(300)는 도로인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에 해당한다.
상기 단계(S210)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10)에서 구분된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한다(S220). 예를 들어, 이때 제어부(100)는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휘도나 투명도를 저하시키거나, 블러(blur)처리하여 그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차량의 전방 영상에 상기 단계(S210)에서 구분된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를 포함시켜 차량의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230). 즉,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더라도, 해당 이미지 객체가 내포하고 있는 정보가 무의미한 정보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제어부(100)는 해당 이미지 객체를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바라보는 시점과 카메라 등이 설치된 위치의 시점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방 영상을 운전자의 시점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카메라 등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영상이 변환되어야 하는 위치 및 거리 등을 계산하여 시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230)는 상기 단계(S220)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계(S230)는 상기 단계(S220)와 동시에 또는 그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의 전방 영상에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를 포함시켜 차량의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영상촬영부
120: HUD영상출력부
130: 디스플레이
200, 300: 이미지 객체

Claims (15)

  1.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110);
    HUD 영상을 출력하는 HUD영상출력부(120); 및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기반으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고,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UD영상출력부(120)는 증강현실 형태의 HU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집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고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휘도나 투명도를 저하시키거나 블러(blur) 처리하여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에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를 포함시켜 상기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운전자 시점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
  9. HUD영상출력부(120)를 포함하여 HUD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100)가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기반으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집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도로와 도로가 아닌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의 휘도나 투명도를 저하시키거나 블러(blur) 처리하여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HUD영상출력부(120)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을 가릴 수 있는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에 상기 도로가 아닌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를 포함시켜 차량의 클러스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운전자 시점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50169946A 2015-12-01 2015-12-01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36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46A KR101736186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46A KR101736186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186B1 true KR101736186B1 (ko) 2017-05-17

Family

ID=5904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46A KR101736186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17A (ko) * 2018-08-24 2020-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698A (ja) * 2001-01-30 2002-08-16 Clarion Co Ltd 車両周囲画像表示方法及び車両周囲画像表示装置
JP2014089138A (ja) * 2012-10-31 2014-05-15 Aisin Aw Co Ltd 位置案内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698A (ja) * 2001-01-30 2002-08-16 Clarion Co Ltd 車両周囲画像表示方法及び車両周囲画像表示装置
JP2014089138A (ja) * 2012-10-31 2014-05-15 Aisin Aw Co Ltd 位置案内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17A (ko) * 2018-08-24 2020-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방법
KR102628276B1 (ko) 2018-08-24 202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0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ead-up display (HUD) information
WO2018167966A1 (ja) Ar表示装置及びar表示方法
CN111433067A (zh) 平视显示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JP6409337B2 (ja) 表示装置
EP2857886A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mputer-implemented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jection apparatus
WO2015163205A1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CN110573369A (zh) 平视显示器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JP2008230296A (ja) 車両用運転支援システム
KR2018008362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894620A1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09269551A (ja) 車両用表示装置
US11238834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justing imag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WO2019026747A1 (ja) 車両用拡張現実画像表示装置
KR20160134005A (ko) 드론 및 주변차량을 이용한 시야 확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736186B1 (ko)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0122A (ko) Hud 시스템의 색상 및 휘도 조절장치와 그 방법
JP6485310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313772A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744718B1 (ko) 차량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6100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5300342A (ja) 道路情報表示制御装置
KR101767434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6947873B2 (ja) Ar表示装置、ar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78091B1 (ja) 運転支援装置
KR20180029348A (ko) 차선 시인성 향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